1. 어린 시절
제프리 앨런 록은 1987년 11월 20일, 뉴햄프셔주 캐롤군 노스 콘웨이에서 앨런과 팸 록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그레타 록의 손자이다. 2006년 6월 A. 크로스비 케넷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록은 케넷 고등학교 역사상 최다승 투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1. 학창 시절 야구 경력
록은 고등학교 야구 경력 동안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2003년에는 뉴햄프셔주 세컨드 팀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이듬해인 2004년에는 뉴햄프셔주 퍼스트 팀 올스타에 이름을 올렸다. 2005년 주니어 시즌에는 뉴햄프셔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다시 한번 뉴햄프셔주 퍼스트 팀 올스타가 되었다. 2006년 시니어 시즌에도 뉴햄프셔 올해의 선수 및 뉴햄프셔주 퍼스트 팀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케넷 고등학교 야구팀의 공동 주장으로 활동하며 롭 녹스와 함께 잭 번스 야구상을 수상했다.
1.2. 별명 "레드스톤 로켓"
제프리 앨런 록은 "레드스톤 로켓(The Redstone Rocket영어)"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다. 이 별명은 2006년 6월, 《콘웨이 데일리 선》의 스포츠 편집자 로이드 존스가 그의 강속구와 고향인 뉴햄프셔주 콘웨이 내의 마을인 레드스톤(Redstone)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또한, 이는 뉴햄프셔주 데리 출신으로 미국 최초의 우주 비행사인 앨런 셰퍼드가 레드스톤 로켓으로 발사된 프리덤 7 비행을 연상시키기 위함이었다.
2. 프로 경력
제프리 앨런 록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산하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피츠버그 파이리츠와 마이애미 말린스에서 메이저리그 생활을 보냈다. 어깨 부상으로 인해 결국 프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2.1.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산하 시절
록은 2006년 메이저리그 신인 드래프트 2라운드에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의 첫 번째 지명(전체 51위)을 받아 입단했다. 2006년 6월 18일 계약 후 루키 리그의 걸프 코스트 브레이브스에 배정되었다. 2007년 6월에는 애틀랜타 브레이브스가 그를 상위 루키 리그인 애팔래치안 리그의 댄빌 브레이브스로 이동시켰다. 같은 해 11월, 《베이스볼 아메리카》는 록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상위 10개 유망주 목록에서 8위로 평가했다. 2008년에는 롬 브레이브스에서 뛰었으며, 12월에는 《베이스볼 아메리카》로부터 브레이브스 상위 10개 유망주 중 7위로 평가받았다. 2009년 시즌은 미틀 비치 펠리컨스에서 시작했다.
2.2. 피츠버그 파이리츠 시절
2009년 6월 3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는 록을 찰리 모턴과 고르키스 에르난데스와 함께 피츠버그 파이리츠로 트레이드했으며, 그 대가로 네이트 매클라우스를 영입했다. 파이리츠로 이적한 후, 록은 하이-A 계열팀인 린치버그 힐캐츠에 배정되었다. 2010년에는 파이리츠가 사라소타 레즈를 인수하여 팀을 브레이든턴 마로더스로 재편성했으며, 록은 4월 9일 포트 마이어스 미라클과의 팀의 두 번째 경기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했다. 2010년 7월 14일, 록은 파이리츠의 더블 A 계열팀인 알투나 커브로 승격되었다. 2010년에 그는 A+급 브레이든턴 마로더스와 AA급 알투나 커브에서 뛰며 합계 12승 5패를 기록했다. 2011년 1월, 《베이스볼 아메리카》는 그를 피츠버그 파이리츠 상위 10개 유망주 목록에서 8위로 평가했다.
2011년에는 알투나와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언스에서 뛰다가 9월에 메이저리그로 콜업되었다. 2011년 9월 10일 플로리다 말린스를 상대로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렀으나 패전 투수가 되었다. 그는 2011년 피츠버그 파이리츠 소속으로 총 4경기에 출전하여 0승 3패, 평균자책점 6.48, 5 삼진을 기록했다. 2011년 11월, 《베이스볼 아메리카》는 록을 피츠버그 파이리츠 상위 10개 유망주 목록에서 10위로 평가했다.
2012년 10월 1일, 그는 친정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를 상대로 6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메이저리그 첫 승을 거두었다. 2013년에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감독 브루스 보치에 의해 올스타에 선정되었으나, 허리 통증으로 인해 실제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2013년 전반기에 8승 2패, 평균자책점 2.15의 좋은 성적을 기록했으나, 후반기 8경기에서 1승 2패, 평균자책점 8.10으로 부진했다. 결국 8월 28일 알투나로 강등되었다. 최종적으로 10승을 거두며 생애 첫 두 자릿수 승리를 달성했으나, 후반기 부진으로 인해 2013년 내셔널리그 디비전 시리즈 로스터에서는 제외되었다.
2014년 3월 29일, 15일짜리 부상자 명단에 올랐으며 4월 11일에 부상자 명단에서 제외되어 AAA급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언스로 이동했다. 6월 8일 게릿 콜이 부상자 명단에 오르면서 선발 로테이션에 복귀했으며, 복귀 후 한동안 호투를 펼쳤다. 2014년 올스타 브레이크 전까지 마지막 7번의 선발 등판에서 평균자책점 2.13을 기록했으며, 그의 멘토였던 A. J. 버넷을 상대로 매우 압도적인 투구를 보여주며 시즌 2승을 챙겼다. 시즌 최종 성적은 21경기 선발 등판, 평균자책점 3.91, 7승 6패, WHIP 1.27을 기록했다. 시즌 초 부상 이탈로 인해 규정 이닝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2년 연속 평균자책점 4.00 미만과 승률 5할 이상을 유지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다.
2015년에는 파이리츠 소속으로 30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2년 만에 규정 이닝을 채웠으나,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8승 11패를 기록하며 패전이 더 많았고, 평균자책점도 4.49로 3년 만에 4.00을 넘어섰다. 2016년 시즌은 파이리츠의 선발 로테이션에서 시작했으나, 8승 6패에도 불구하고 평균자책점 5.54를 기록하며 시즌 중반부터 불펜으로 이동했다. 2016년 11월 29일, 파이리츠는 록을 지명 할당했으며, 12월 2일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2.3. 마이애미 말린스 시절
2016년 12월 12일, 록은 마이애미 말린스와 1년 300.00 만 USD에 계약을 맺었다. 스프링 트레이닝 첫 훈련일에 록은 약 18 m 거리에서 공을 던지는 동안 불편함을 느꼈다고 밝혔다. MRI 검사 결과는 깨끗했으나, 2017년 3월 30일 10일짜리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6월 1일, 록은 말린스에 복귀하여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를 상대로 5와 2/3이닝 동안 1실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7월 3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의 경기에서 2와 2/3이닝 동안 11 자책점을 내주며 말린스가 14대 6으로 패배했고, 그의 시즌 평균자책점은 8.16까지 치솟았다. 록은 카디널스를 상대로 통산 0승 7패를 기록했으며, 이 경기 패배로 인해 말린스는 록이 선발 등판한 2017년 시즌 경기에서 0승 6패가 되었다. 다음 날, 그는 지명 할당되었고, 웨이버를 통과하여 말린스의 하이-A 계열팀인 주피터 해머헤즈로 이적했으나, 팀에서 경기에 등판하지는 않았다. 시즌이 끝난 10월 2일 자유 계약을 선언했다.
2.4. 부상 및 은퇴
록은 2018 시즌 동안 어깨 관절와순 부분 파열로 인해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그는 여러 메이저리그 팀으로부터 제안을 받았지만, 완전히 건강해질 때까지 다른 팀과 계약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사실상 그의 프로 선수 경력의 마무리가 되었다.
3. 투구 스타일
록은 2009년 이전에는 머리 위로 던지는 오버핸드 투구 자세를 사용했다. 피츠버그 파이리츠로 트레이드된 후, 투수 코치 월리 화이트허스트는 속임수를 더하기 위해 1루 방향으로 몸을 돌리는 투구 방식을 사용할 것을 권유했다. 그러나 그는 수년간 이 방식에서 점점 더 일관성 없는 결과를 얻게 되자, 2016년 스프링 트레이닝 기간 동안 다시 원래의 오버핸드 투구 자세로 돌아갔다.
록은 주로 투심 패스트볼 (약 142 km/h에서 153 km/h), 서클 체인지업 (약 127 km/h에서 132 km/h), 그리고 너클 커브 (약 124 km/h에서 135 km/h)를 던졌다. 2016년에는 그의 너클 커브가 더 이상 커브가 아닌 슬러브에 가까운 움직임을 보였다.
4. 수상 및 기록
제프리 앨런 록은 학창 시절부터 마이너리그, 그리고 메이저리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상과 기록을 남겼다. 특히 2013년 메이저리그 올스타에 선정되는 등 주요 업적을 달성했다.
4.1. 주요 수상 내역
- 뉴햄프셔주 고등학교 야구 세컨드 팀 올스타 (2003)
- 뉴햄프셔주 고등학교 야구 퍼스트 팀 올스타 (2004, 2005, 2006) 3회 선정
- 뉴햄프셔주 고등학교 야구 올해의 선수 (2005, 2006) 2회 선정
- 잭 번스 야구상 (2006, 롭 녹스와 공동 수상)
- 애팔래치안 리그 이주의 투수 (2007년 7월 17일 ~ 23일)
- 애팔래치안 리그 포스트시즌 올스타 (2007)
- 《베이스볼 아메리카》 루키 올스타 (2007)
- 캐롤라이나 리그 이주의 투수 (2009년 4월 28일 ~ 5월 4일)
- 플로리다 스테이트 리그 미드 시즌 올스타 (2010)
- 이스턴 리그 미드 시즌 올스타 (2011)
- 메이저리그 올스타 (2013)
4.2. 등번호
- 61 (2011년)
- 49 (2012년 ~ 2016년)
- 31 (2017년)
4.3.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구단 | 경기 | 선발 | 완투 | 완봉 | 홀드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포인트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4구 | 몸에 맞는 볼 | 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 자책점 | WHIP |
---|---|---|---|---|---|---|---|---|---|---|---|---|---|---|---|---|---|---|---|---|---|---|---|---|---|
2011 | PIT | 4 | 4 | 0 | 0 | 0 | 0 | 3 | 0 | 0 | .000 | 78 | 16.2 | 21 | 3 | 10 | 0 | 1 | 5 | 0 | 0 | 12 | 12 | 6.48 | 1.86 |
2012 | PIT | 8 | 6 | 0 | 0 | 0 | 1 | 3 | 0 | 0 | .250 | 148 | 34.1 | 36 | 6 | 11 | 0 | 1 | 34 | 0 | 0 | 21 | 21 | 5.50 | 1.37 |
2013 | PIT | 30 | 30 | 0 | 0 | 0 | 10 | 7 | 0 | 0 | .588 | 711 | 166.1 | 146 | 11 | 84 | 4 | 6 | 125 | 8 | 2 | 69 | 65 | 3.52 | 1.38 |
2014 | PIT | 21 | 21 | 0 | 0 | 0 | 7 | 6 | 0 | 0 | .538 | 548 | 131.1 | 127 | 16 | 40 | 2 | 4 | 89 | 1 | 0 | 63 | 57 | 3.91 | 1.27 |
2015 | PIT | 30 | 30 | 0 | 0 | 0 | 8 | 11 | 0 | 0 | .421 | 736 | 168.1 | 179 | 15 | 60 | 4 | 7 | 129 | 5 | 0 | 95 | 84 | 4.49 | 1.42 |
2016 | PIT | 30 | 19 | 1 | 1 | 1 | 9 | 8 | 0 | 0 | .529 | 564 | 127.1 | 151 | 17 | 44 | 4 | 3 | 73 | 7 | 0 | 81 | 77 | 5.44 | 1.53 |
2017 | MIA | 7 | 7 | 0 | 0 | 0 | 0 | 5 | 0 | 0 | .000 | 152 | 32.0 | 42 | 4 | 15 | 3 | 0 | 26 | 3 | 0 | 30 | 29 | 8.16 | 1.78 |
MLB 7년 | 130 | 117 | 1 | 1 | 1 | 35 | 43 | 0 | 0 | .449 | 2937 | 676.1 | 702 | 72 | 264 | 17 | 22 | 481 | 24 | 2 | 371 | 345 | 4.59 | 1.43 |
4.4. 연도별 수비 성적
연도 | 구단 | 투수 (P)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11 | PIT | 4 | 0 | 5 | 0 | 0 | 1.000 |
2012 | 8 | 2 | 2 | 0 | 1 | 1.000 | |
2013 | 30 | 15 | 30 | 1 | 0 | .978 | |
2014 | 21 | 4 | 14 | 0 | 1 | 1.000 | |
2015 | 30 | 7 | 25 | 0 | 1 | 1.000 | |
2016 | 30 | 2 | 18 | 2 | 1 | .909 | |
2017 | MIA | 7 | 0 | 2 | 0 | 0 | 1.000 |
MLB | 130 | 30 | 96 | 3 | 4 | .9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