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1.1. 출생과 가계
전홍숙은 929년 9월 29일(음력 8월 24일) 항저우 공신당에서 태어났다. 그는 오월의 문목왕(文穆王) 전원관의 아홉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공의부인(恭懿夫人) 오씨(吳氏, 吳漢月Wú Hànyuè중국어)이다. 그의 이복형제로는 오월의 제3대 왕인 전홍좌와 제4대 왕인 전홍종이 있다.
1.2. 교육 및 초기 경력
전홍숙은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경력을 쌓았다. 후진 천복 4년(939년) 12월, 그는 내아제군지휘사(內牙諸軍指揮使) 겸 검교사공(檢校司空)에 임명되었다. 이후 형인 전홍좌의 재위 기간에는 검교태위(檢교太尉)를 지냈다. 947년 3월, 그는 타이저우 자사(刺史)로 부임하였고, 그곳에서 현지의 법안종(法眼宗) 승려 천태덕소를 만나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
2. 오월 왕위 계승 및 통치
2.1. 왕위 계승
전홍숙은 947년 12월, 형인 제4대 왕 전홍종이 축출된 후 왕위에 올랐다. 전홍종은 급진적인 군부 개혁을 시도하다가 숙장(宿將) 호진사의 반란으로 폐위되었다. 호진사는 전홍숙을 오월왕으로 옹립하였고, 전홍숙은 948년 정월 천룡당에서 즉위하였다. 호진사는 폐위된 전홍종의 암살을 진언했으나, 전홍숙은 이를 눈물로 거부했다. 호진사는 이후 설온에게 왕명이라 속여 전홍종의 암살을 명했으나 거부당했고, 결국 근심 속에서 사망했다. 전홍종은 유폐된 채 시를 짓고 술에 취해 지내다가 971년 사망했다.
2.2. 오월의 통치와 정책
2.2.1. 영토와 행정
전홍숙이 왕위에 올랐을 당시, 오월은 현대의 저장성, 장쑤성, 상하이시, 푸젠성에 걸쳐 13개 주(州)를 통치하며 최대 영토를 확보하고 있었다. 그는 국내의 농업, 제염업, 상업을 적극적으로 진흥시켰으며, 동중국해를 무대로 한 국제 해상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또한, 그는 자신의 형제들과 자녀, 사촌, 조카들을 내정과 군부, 지방의 고위 관직에 임명하여 일족이 오월국을 통치하는 체제를 유지했다. 952년 9월에는 금주령을 내리기도 했다. 956년에는 전쟁으로 인한 인력 부족으로 백성들로부터 징병을 시도했으나, 동생 전홍억의 간언을 받아들여 중단했다.
2.2.2. 대외 관계 및 사대 정책
오월은 건국 이래 역대 북방 왕조에 명목상 복종하며 자치권을 유지하는 정책을 고수했다. 오월의 왕들은 다른 남방 소국들과 달리 황제를 칭하지 않았고, 그 대가로 북방 왕조들은 오월의 자치권을 존중하고 왕들에게 높은 명예를 부여했다. 이 중 하나가 "천하병마대원수(天下兵馬大元帥)"라는 칭호였다. 전홍숙은 이러한 정책을 통해 축적된 부를 이용해 오대(五代)의 여러 왕조에 조공을 바치고 책봉을 받아 오월의 안전을 확보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오월은 주변국들과의 관계에서 전략적인 모습을 보였다. 후한 건우 3년(950년) 2월, 남당의 진회가 푸저우를 공격해오자, 전홍숙은 계책을 써서 이를 격퇴시켰다. 후주 현덕 3년(956년) 정월에는 후주의 남당 공격에 요청에 따라 승상 오정을 파견했으나 패퇴했다. 현덕 5년(958년) 2월에는 다시 후주의 남당 공격에 참여하여 남당이 후주에 귀순하는 데 일조했다.
3. 송나라와의 관계 및 항복
3.1. 송나라에 대한 복속
960년, 후주의 세종(시영)이 급사하고 진교의 변을 통해 조광윤이 즉위하여 북송이 건국되자, 전홍숙은 선조 전류가 남긴 "진정한 군주가 나타나면 즉시 복종하라"는 유훈에 따라 송나라에 복속하기로 결정했다. 같은 해 9월, 그는 송나라에 신하의 예를 표하며 복속했다. 이때 그는 송 태조의 아버지인 조홍은(趙弘殷)의 이름에 대한 휘보(避諱)를 피하기 위해 본명인 전홍숙에서 '홍(弘)' 자를 제거하고 전숙으로 개명하였다.
이후 전홍숙은 송나라 조정의 명령에 따라 다른 남방 소국들을 병합하는 송나라의 군사 작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968년, 그는 송 태조에 의해 다시 오월국왕으로 책봉되었고, 이후 추가적인 황실의 명예를 부여받았다. 977년에는 새로운 황제인 송 태종으로부터 상서령(尙書令), 중서령(中書令), 천하병마대원수(天下兵馬大元帥) 등의 명목상 직책을 받았다.
3.2. 송나라의 군사 작전 참여
전홍숙은 송나라의 남방 통일 전쟁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964년 11월, 그는 왕비 손태진의 동생인 손승우를 송나라의 후촉 공격에 파견하여 참여시켰다. 이후에도 왕세자 전유준을 여러 차례 대리인으로 개봉에 파견하여 송나라에 대한 충성을 보였다. 970년 9월에는 송나라로부터 남한의 부주(富州) 공격에 참여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거리가 멀다는 이유로 면제받았다. 974년 10월에는 송나라의 남당 공격에 직접 출정하여 상주를 공격했고, 이듬해 4월에는 남당이 송나라에 항복하는 데 기여했다. 976년 정월, 그는 남당 항복 축하를 위해 직접 해로를 통해 개봉에 입조했으며, 4월에 귀국했다.
3.3. 영토 헌납과 송에서의 생활
978년 3월, 전홍숙은 다시 개봉에 입조했고, 5월에는 신하들과 상의하여 오월의 13개 주, 1개 군, 86개 현의 영토를 송나라에 헌납하며 스스로 오월국의 종말을 고했다. 이는 송나라 조정의 은밀한 압력 때문일 수도 있었으나, 이러한 "자발적인" 항복은 오월 지역을 다른 동시대 왕국들이 겪었던 전쟁의 참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었다. 이 지역은 오월 시대에 구축된 인프라와 경제적 이점을 유지할 수 있었고, 이는 양쯔강 삼각주가 오늘날까지 중국의 경제 중심지로 기능하는 데 적지 않은 기여를 했다.
북방의 의심을 불식시키고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전홍숙은 송나라의 수도 개봉에 머물렀으며, 그의 가솔 3,000명도 함께 이주했다. 전홍숙은 명목상 왕의 지위를 유지했다. 그의 아들들과 많은 오월의 고위 인사들은 송나라로부터 다양한 제국 직책과 칭호를 받았다. 처음에는 송 태종이 양저우를 회해국(淮海國)이라는 명목상의 국가로 승격시키고 전홍숙을 회해국왕(淮海國王)으로 봉했다. 984년 12월에는 한남국왕(漢南國王)으로 개봉되었는데, 이는 더 작은 명목상의 봉읍이었다. 987년 2월 3일에는 무승군절도사(武勝軍節度使)에 임명되고 남양국왕(南陽國王)이 되었으며, 남양에 거주할 권리를 얻었다. 그러나 곧이어 2월 21일에는 허왕(許王)으로 개봉되어 더 넓은 봉읍을 받았다. 988년 2월에는 왕의 칭호를 잃고 등왕(鄧王)으로 봉해졌으며, 더 큰 명목상의 봉읍과 실질적인 수입을 얻었다.
전홍숙은 송 태종과 좋은 개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정기적으로 궁궐에 소환되어 연회와 축구 경기에 참여했다. 988년 그의 60세 생일(음력 8월 24일)에 송 태종은 그에게 술을 선물로 보냈다. 이 술을 마신 후 그는 심하게 병이 들어 그날 밤 사망했다. 그는 국장으로 장례를 치렀고, 사후에는 진왕(秦王)으로 추증되었으며, 뤄양 근처에 묻혔다.
4. 개인적인 삶과 문화 활동
4.1. 불교 신앙과 후원
전홍숙은 다른 오월의 왕들과 마찬가지로 독실한 불교 신자였다. 그는 천태덕소를 국사(國師)로 초빙하여 보살계(菩薩戒)를 받았으며, 영명연수를 정자사의 영명사(永明寺)에 초빙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아육왕탑(阿育王塔Āyùwáng Tǎ중국어, 일명 전홍숙탑)을 제작하여 각지에 봉헌하도록 명령했다. 공률사(空律寺), 영지사(靈芝寺), 영은사(靈隱寺), 천광왕사(千光王寺) 등 여러 사찰을 창건했으며, 대륙에서 흩어진 천태경전(天台經典)을 구하기 위해 고려와 일본에 사신을 보내기도 했다. 심지어 자신의 자녀들을 승려로 출가시키기도 했다. 항저우의 뇌봉탑은 그의 아들의 잉태를 기념하기 위해, 또는 일부 기록에 따르면 황비(黃妃)를 위해 그의 명령으로 건설되었다.
4.2. 문학 활동
전홍숙은 시를 쓰는 것을 즐겼으며, 그의 작품 중 하나는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5. 가족 관계
5.1. 부모와 형제
전홍숙의 아버지는 오월의 문목왕(文穆王) 전원관이며, 어머니는 공의부인(恭懿夫人) 오씨(吳氏)이다. 그는 전원관의 아홉째 아들이었다.
그의 주요 형제들은 다음과 같다.
- 전홍좌: 전원관의 아들이자 오월의 제3대 국왕.
- 전홍종: 전원관의 아들이자 오월의 제4대 국왕.
- 전홍참(錢弘偡Qián Hóngchǎn중국어): 전원관의 여덟째 아들, 오월의 검교사공(檢校司空).
- 전홍억(錢弘億Qián Hóngyì중국어): 전원관의 열째 아들, 오월의 승상(丞相).
- 전홍의(錢弘儀Qián Hóngyí중국어): 전원관의 열한째 아들, 북송의 금주관찰사(金州觀察使).
- 전홍악(錢弘偓Qián Hóngwò중국어): 전원관의 열두째 아들, 오월의 구주자사(衢州刺史).
- 전홍앙(錢弘仰Qián Hóngyǎng중국어): 전원관의 열셋째 아들, 오월의 태주자사(台州刺史).
- 전홍엄(錢弘儼Qián Hóngyǎn중국어, 또는 전홍신): 전원관의 열넷째 아들, 북송의 수주관찰사(隨州觀察使).
5.2. 왕비와 자녀
전홍숙은 여러 왕비와 자녀를 두었다.
- 왕비
- 손태진(孫太眞Sūn Tàizhēn중국어, ? ~ 976년): 오월국왕비(吳越國王妃)이자 현덕순목부인(賢德順穆夫人).
- 유씨(俞氏Yú Shì중국어): 초국부인(楚國夫人).
- 황씨(黃氏Huáng Shì중국어): 황비(黃妃).
- 아들 (7명)
- 전유준(錢惟濬Qián Wéijùn중국어, 955년 ~ 991년): 첫째 아들. 왕세자(王世子)였으며, 북송에서 시중(侍中)을 지내고 분왕(邠王) 안희(安僖)와 소국공(蕭國公)에 봉해졌다.
- 전유선(錢惟渲Qián Wéixuàn중국어): 둘째 아들. 북송에서 유주단련사(濰州團練使)를 지냈다.
- 전유호(錢惟灝Qián Wéihào중국어): 셋째 아들. 북송에서 소주자사(昭州刺史)를 지냈다.
- 전유진(錢惟溍Qián Wéijìn중국어): 넷째 아들. 북송에서 연주자사(演州刺史)를 지냈다.
- 전유최(錢惟漼Qián Wéicuǐ중국어): 다섯째 아들.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고, 법명은 정조(淨照)이다.
- 전유연(錢惟演Qián Wéiyǎn중국어, 977년 ~ 1034년): 여섯째 아들. 북송에서 영국공(英國公) 문희(文僖)에 봉해졌으며, 재상격인 추밀사를 역임했다.
- 전유제(錢惟濟Qián Wéijì중국어, 978년 ~ 1032년): 일곱째 아들. 북송에서 평강절도사(平江節度使) 선혜(宣惠)에 봉해졌다.
- 양자
- 전유치(錢惟治Qián Wéizhì중국어, 949년 ~ 1014년 또는 1019년): 전홍숙의 양자이나, 실제로는 전홍종의 장남이다. 오월에서 검교태위(檢校太尉)를 지냈고, 북송에서 팽성군왕(彭城郡王)에 봉해졌다.
- 딸 (7명)
- 하동로(河東路)의 배조(裴祚)에게 출가.
- 전당(錢塘, 항저우)의 원상종(元象宗)에게 출가.
- 여남(汝南)의 신종길(慎從吉)에게 출가.
- 부춘(富春, 오군)의 손포(孫誧)에게 출가.
- 부춘(富春, 오군)의 손유(孫誘)에게 출가.
- 송나라 외척인 유미(劉美Liú Měi중국어)에게 출가.
-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 1명.
6. 사후 평가 및 유산
6.1. 역사적 평가
전홍숙의 통치와 행동은 역사적으로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특히 오월 왕국을 송나라에 평화적으로 통합시킨 그의 결정은 지역 사회에 막대한 이점을 가져다주었다. 그는 다른 남방 왕국들이 송나라에 의해 군사적으로 정복되면서 겪었던 전쟁의 참화로부터 오월 지역을 보호했다. 이러한 평화로운 전환 덕분에 오월은 기존의 인프라와 경제적 우위를 유지할 수 있었고, 이는 오늘날 양쯔강 삼각주가 중국의 경제 중심지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그의 통치 방식은 사회적 안정을 최우선으로 삼았으며, 백성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6.2. 문화적 영향
전홍숙은 독실한 불교 신자로서 불교 진흥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여러 사찰을 건립하고 불경 보존에 힘썼으며, 이는 오월 지역의 불교 문화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시를 쓰는 데에도 조예가 깊어, 그의 문학적 관심은 당시 문화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의 문화적 후원은 오월의 독자적인 문화적 유산을 풍요롭게 하는 데 일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