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삶과 배경
자오쥔저는 1979년 4월 19일 랴오닝성 선양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1985년부터 랴오닝 FC의 유소년 아카데미에 입단하여 축구 경력을 시작했다. 자오쥔저는 만주족 혈통으로, 아이신 기오로 가문의 일원이다. 그는 누르하치의 할아버지인 기오창가의 형제인 불룽가(Boolungga)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2. 선수 경력
자오쥔저는 랴오닝 FC 유소년 팀에서 성장하여 프로 무대에 데뷔한 이후,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모두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중국 축구의 상징적인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2.1. 클럽 경력
자오쥔저는 1985년 랴오닝 FC 유소년 아카데미에 입단하여 축구 기술을 익혔고, 1997년에 유소년 생활을 마쳤다. 1998 시즌에 랴오닝 FC 1군 팀으로 승격되어 프로 무대에 데뷔했으며, 같은 해 팀이 중국 축구 갑급 B리그 준우승과 중국 FA컵 준우승을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 이듬해인 1999 시즌부터 주전으로 활약하기 시작했으며, 1999년 중국 축구 갑급 A리그 준우승과 중국 슈퍼컵 우승을 달성하는 데 공헌했다.
이후 꾸준히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2001년 갑급 A리그 3위, 2002년 FA컵 준우승 등에 기여했다. 특히 2003 시즌에는 팀의 중국 슈퍼리그 승격에 크게 기여하였고, 2004 시즌에는 21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하며 팀의 리그 4위를 이끌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2004년 중국 축구 협회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고 AFC 아시안컵 올스타팀에 선정되는 등 개인적인 전성기를 누렸다.
자오쥔저는 랴오닝 FC의 주장으로 팀을 이끌었으나, 2008 시즌 팀이 2부 리그로 강등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에 남아 2009 시즌 중국 갑급리그 우승을 이끌며 곧바로 1부 리그 승격에 성공했다. 2011 시즌에는 팀의 슈퍼리그 3위를 이끌기도 했다. 그는 2016 시즌을 끝으로 19년간의 프로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은퇴를 선언했다. 2016년 10월 30일 장쑤 쑤닝과의 리그 경기가 그의 선수 경력 마지막 출전이었다. 그는 랴오닝 FC에서만 통산 405경기에 출전하여 51골을 기록하며 클럽의 상징적인 선수로 남았다.
2.2. 국가대표 경력
자오쥔저는 1998년 11월 타이 방콕에서 열린 1998년 아시안 게임에서 타지키스탄을 상대로 중국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첫 A매치 득점을 기록하며 팀의 3대1 승리에 기여했다. 중국은 이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한동안 국가대표팀과 인연이 없었으나, 2002년 2월 다시 대표팀에 재발탁되며 보라 밀루티노비치 감독이 이끄는 2002 FIFA 월드컵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 그는 월드컵 조별리그 2경기에 출전했으며, 특히 브라질과의 경기에서는 골대를 맞추는 위협적인 슈팅을 보여주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비록 중국은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지만, 자오쥔저의 활약은 돋보였다.
2004년에는 자국에서 열린 2004 AFC 아시안컵에 참가하여 팀의 핵심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그는 이 대회 전 경기에 출전하며 중국의 준우승을 이끌었고, 대회 베스트 일레븐에도 선정되었다. 이후에도 꾸준히 대표팀에 발탁되었으나, 저우하이빈 등 젊은 선수들의 성장에 따라 주전 경쟁에서 밀려나면서 2008년을 마지막으로 국가대표팀 경력을 마무리했다. 자오쥔저는 중국 국가대표팀에서 통산 71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그의 두 번째 A매치 득점은 2002년 12월 7일 바레인 마나마에서 열린 시리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나왔으며, 이 경기에서 중국은 3대1로 승리했다.
3. 감독 경력
선수 은퇴 후 자오쥔저는 축구 지도자로서 새로운 경력을 시작했으며, 여러 클럽에서 감독직을 수행했다.
3.1. 임시 및 정식 감독 역할
2017년 9월 29일, 자오쥔저는 당시 리그 최하위에 머물던 친정팀 랴오닝 FC의 임시 감독으로 부임했다. 10월 14일, 그의 첫 감독 데뷔전에서 랴오닝은 리그 2위 팀인 상하이 SIPG를 상대로 3대3 무승부를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그러나 랴오닝은 시즌 마지막 세 경기에서 모두 패하며 결국 2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2017년 12월 12일 천양이 정식 감독으로 부임하며 그의 임시 감독직은 종료되었다.
2022년에는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수석 코치를 역임하기도 했다. 같은 해 광저우 시티의 임시 감독을 맡아 팀을 지도했다.
2023년 2월 21일, 자오쥔저는 중국 슈퍼리그 소속인 창저우 마이티 라이온스의 감독으로 정식 부임했다. 그는 2024년 7월 16일까지 창저우 마이티 라이온스의 감독을 역임했으며, 이후 리샤오펑과 보직을 교환하여 팀의 단장 겸 기술 이사로 자리를 옮겼다.
4. 성과와 수상 경력
자오쥔저는 선수 및 감독으로서 여러 대회에서 중요한 성과를 달성하며 그의 경력에 빛나는 기록들을 남겼다.
4.1. 클럽 수상
- 랴오닝 FC
- 중국 갑급리그
- 우승: 2009
- 중국 축구 갑급 A리그
- 준우승: 1999
- 3위: 2001
- 중국 축구 갑급 B리그
- 준우승: 1998
- 중국 FA컵
- 준우승: 1998, 2002
- 중국 슈퍼컵
- 우승: 1999
- 중국 슈퍼리그
- 3위: 2011
- 4위: 2004
- 중국 갑급리그
4.2. 국제 수상
- 중국
- 아시안 게임
- 동메달: 1998
- AFC 아시안컵
- 준우승: 2004
- 아시안 게임
4.3. 개인 수상
- AFC 아시안컵 올스타팀: 2004
- 중국 축구 협회 올해의 선수: 2004
- 중국 슈퍼리그 올해의 팀: 2002, 2003
5. 경력 통계
자오쥔저의 선수 및 감독 경력에 대한 통계는 다음과 같다.
5.1. 클럽 통계
클럽 경기 출전 및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
클럽 기록 | 리그 | 컵 대회 | 리그컵 | 대륙 대회 | 기타 | 총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중화인민공화국 | 리그 | 중국 FA컵 | 중국 슈퍼리그컵 | 아시아 | 기타 | 총계 | ||||||||
1998 | 랴오닝 FC | 중국 축구 갑급 B리그 | 3 | - | - | - | - | - | - | 3 | ||||
1999 | 중국 축구 갑급 A리그 | 25 | 3 | 0 | 0 | - | - | - | - | - | - | 25 | 3 | |
2000 | 24 | 4 | 4 | 1 | - | - | - | - | 1 | 0 | 29 | 5 | ||
2001 | 25 | 4 | 1 | 1 | - | - | - | - | - | - | 26 | 5 | ||
2002 | 27 | 3 | 5 | 1 | - | - | - | - | - | - | 32 | 4 | ||
2003 | 27 | 5 | 3 | 3 | - | - | - | - | - | - | 30 | 8 | ||
2004 | 중국 슈퍼리그 | 21 | 3 | 1 | 0 | 0 | 0 | - | - | - | - | 22 | 3 | |
2005 | 15 | 0 | 2 | 1 | 3 | 0 | - | - | - | - | 20 | 1 | ||
2006 | 28 | 3 | 1 | 0 | - | - | - | - | - | - | 29 | 3 | ||
2007 | 28 | 4 | - | - | - | - | - | - | - | - | 28 | 4 | ||
2008 | 29 | 4 | - | - | - | - | - | - | - | - | 29 | 4 | ||
2009 | 중국 갑급리그 | 24 | 5 | - | - | - | - | - | - | - | - | 24 | 5 | |
2010 | 중국 슈퍼리그 | 29 | 0 | - | - | - | - | - | - | - | - | 29 | 0 | |
2011 | 28 | 5 | 0 | 0 | - | - | - | - | - | - | 28 | 5 | ||
2012 | 26 | 4 | 4 | 1 | - | - | - | - | - | - | 30 | 5 | ||
2013 | 24 | 1 | 1 | 0 | - | - | - | - | - | - | 25 | 1 | ||
2014 | 20 | 3 | 1 | 0 | - | - | - | - | - | - | 21 | 3 | ||
2015 | 2 | 0 | 0 | 0 | - | - | - | - | - | - | 2 | 0 | ||
2016 | 3 | 0 | 0 | 0 | - | - | - | - | - | - | 3 | 0 | ||
경력 총계 | 405 | 51 | 23 | 8 | 3 | 0 | 0 | 0 | 1 | 0 | 432 | 59 |
5.2. 국제 통계
국제 A매치 출전 및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전 | 득점 |
1998 | 8 | 1 |
1999 | 0 | 0 |
2000 | 0 | 0 |
2001 | 0 | 0 |
2002 | 10 | 1 |
2003 | 8 | 0 |
2004 | 20 | 0 |
2005 | 5 | 0 |
2006 | 8 | 0 |
2007 | 5 | 0 |
2008 | 7 | 0 |
총계 | 71 | 2 |
5.3. 감독 통계
감독으로서의 경기 관리 기록은 다음과 같다.
팀 | 국적 | 시작 | 종료 | 기록 | ||||
---|---|---|---|---|---|---|---|---|
경기 수 | 승 | 무 | 패 | 승률 | ||||
랴오닝 FC (임시 감독) | CHN중국영어 | 2017년 9월 29일 | 2017년 12월 12일 | 4 | 0 | 1 | 3 | 0.0% |
창저우 마이티 라이온스 | CHN중국영어 | 2023년 2월 21일 | 2024년 7월 15일 | 51 | 12 | 12 | 27 | 23.5% |
총계 | 55 | 12 | 13 | 30 | 21.8% |
6. 개인사
자오쥔저는 만주족 혈통으로, 청나라 황실의 통치 가문이었던 아이신 기오로 가문의 일원이다. 그는 누르하치의 할아버지인 기오창가의 형제인 불룽가(Boolungga)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이러한 배경은 중국 내에서도 주목받는 부분 중 하나이다.
7. 유산과 평가
자오쥔저는 1998년부터 2016년까지 랴오닝 FC에서만 선수 생활을 하며 팀에 대한 깊은 충성심과 헌신을 보여주었다. 그의 원클럽맨으로서의 기록은 현대 축구에서 찾아보기 드문 사례로, 많은 팬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그는 뛰어난 리더십과 경기력을 바탕으로 랴오닝 FC의 전성기와 암흑기를 모두 함께하며 팀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국가대표팀에서는 2002 FIFA 월드컵에 참가하여 중국 축구 역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의 주역이 되었고, 2004 AFC 아시안컵 준우승을 이끄는 등 국제 무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미드필더로서의 기량은 물론, 팀에 대한 헌신적인 태도와 책임감은 중국 축구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선수 은퇴 후에도 지도자로서 중국 축구 발전에 기여하려는 그의 노력은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자오쥔저는 단순한 축구 선수를 넘어 중국 축구의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긴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