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1.1. 출생 및 가족
이장무는 1945년 5월 14일에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대한민국 학계 및 문화계에서 여러 저명인사를 배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부인 이병도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역사학자이며, 백부 이기령은 분자생물학자로 활동했다. 부친 이춘녕은 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학장을 역임했으며, 동생 이건무는 전 문화재청 청장을 지냈다. 이외에도 작은아버지 이태령, 핵물리학자 이동녕, 고모부인 화가 장욱진, 그리고 9촌 숙부인 이어령 등 학술 및 문화 예술 분야에서 활약한 인물들이 그의 가족 관계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우봉 이씨 세보에 따르면 이장무의 20대조인 이주(李周)는 이완용의 16대조인 이교(李喬)의 동생으로 알려져 있다.
1.2. 학력
이장무는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며 공학 분야의 기초를 다졌다. 이후 미국으로 유학하여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학문적 전문성을 심화했다. 그의 학문적 업적과 기여를 인정받아 루마니아 바베시 볼리야이 대학교와 일본 홋카이도대학에서 명예 공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2. 주요 경력
이장무는 학계와 국가 과학기술계에서 폭넓은 경력을 쌓으며 리더십을 발휘했다.
2.1. 서울대학교 교수 및 학장
이장무는 1976년 7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과 기계공학 분야 연구에 헌신했다. 특히 1997년 2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장을 역임하며 공과대학의 교육 및 연구 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
2.2. 서울대학교 총장
그는 제24대 서울대학교 총장으로 2006년 7월 20일부터 2010년 7월 19일까지 재임했다. 전임 총장은 정운찬이며, 후임 총장은 오연천이다. 총장 재임 기간 동안 서울대학교의 학술적 위상을 높이고, 교육 시스템을 혁신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3. 학술 및 과학기술계 리더십
이장무는 다양한 학술 단체 및 국가 과학기술 관련 위원회에서 핵심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며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1996년 1월 ~ 1999년 12월: 한국정밀공학회 회장
- 1998년 4월 ~ 2000년 4월: 전국공과대학장협의회 회장
- 1998년 5월 ~ 1999년 5월: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위원
- 1998년 11월 ~ 2000년 10월: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정책심의회 대학교육분과 위원장
- 1999년 6월 ~ 2005년 6월: 지식경제부 산업기술평가원 이사장
- 1999년 6월 ~ 2003년 5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운영위원회 위원
- 2000년 1월 ~ 2000년 12월: 대한기계학회 회장
- 2001년 11월 ~ 2006년 8월: 국립과학관추진위원회 위원장
- 2002년: 교육과학기술부 주요업무평가위원회 고등대학교육분과 위원장
- 2003년 7월 ~ 2004년 6월: 교육과학기술부 기술영향평가위원회 위원장
- 2004년 7월 ~ 2006년 7월: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회장
- 2005년 3월 ~ 2007년 2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회장
- 2007년 4월 ~ 2008년 4월: 제13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
- 2008년 7월 ~ 2009년 7월: 대법관제청자문위원회 위원장
- 2010년 4월 ~ 2015년 11월: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 2010년 9월 ~ : 경암학술상위원회 위원장
- 2010년 9월 ~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2013년 7월 ~ 2017년: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민간위원장
- 2013년 11월 ~ 2020년 4월: 한국과학기술원 이사장
- 2014년 7월 ~ 2017년 7월: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위원장
- 2014년 7월 ~ 2020년 7월: 대한민국학술원 자연 제3분과 회원
- 2020년 8월 ~ 2021년 3월: 대한민국학술원 부회장
- 2021년 4월 ~ : 대한민국학술원 회장
- 2021년 5월 ~ : 아시아학술회의 회장
-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고문
- 기후변화센터 고문
2.4. 국제 활동
이장무는 국내 활동 외에도 국제적인 학술 교류 및 리더십 활동에 적극 참여했다. 1982년 12월부터 1983년 12월까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선진 학문을 교류했다. 또한 루마니아 바베시 볼리야이 대학교와 일본 홋카이도대학에서 명예 공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으며 국제적인 학술적 명성을 얻었다. 2021년 5월부터는 아시아학술회의 회장을 맡아 아시아 지역의 학술 협력 및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3. 저서
이장무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기계공학 분야의 전문 서적인 《기계진동학》이 있다. 이 책은 해당 분야의 학술적 지식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4. 수상 경력
이장무는 그의 학술적 업적과 기여를 인정받아 다수의 권위 있는 상을 수상했다.
- 1985년: 대한기계학회 학술상
- 1996년: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상
- 1996년: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우수논문상
- 2004년: 한국정밀공학회 대상
- 2005년: 제50회 대한민국학술원상
5. 평가
이장무는 기계공학 분야의 선도적인 학자로서 깊이 있는 연구와 교육에 매진하며 학문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장과 총장을 역임하며 대한민국 최고 고등 교육기관의 행정을 이끌었고, 교육 시스템의 질적 향상과 학술 연구 역량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또한 대한민국학술원 회장을 비롯하여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민간위원장,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사장 등 국가 과학기술 정책의 핵심 직책들을 두루 거치며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관련 정책 수립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의 이러한 다방면의 활동은 학계와 국가 과학기술계 전반에 걸쳐 그의 탁월한 리더십과 헌신을 보여주는 증거로 평가된다.
6. 영향
이장무의 연구와 리더십, 그리고 정책 참여는 대한민국 기계공학 분야, 고등 교육 시스템, 그리고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서울대학교 교수로서 수많은 기계공학 인재를 양성하고, 진동학 분야의 학문적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서울대학교 총장으로서 그는 대학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교육 및 연구 환경을 개선하여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 양성에 힘썼다. 또한 대한기계학회, 한국정밀공학회,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등 주요 학술 단체의 회장직을 수행하며 각 학문 분야의 발전을 이끌고 학술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및 한국과학기술원 이사장으로서 국가 과학기술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연구 개발 투자를 촉진하며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의 활동은 단순한 학술적 성과를 넘어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사회 전반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 중요한 초석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