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인사 및 배경
이에리사는 1954년 8월 15일 충청남도 보령군에서 태어났으며, 서울특별시에서 성장했다. 그의 이름 '에리사'는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2. 학력
이에리사는 다음과 같은 학력을 가지고 있다.
-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 명지대학교 행정학 학사
- 명지대학교 대학원 이학 석사
- 명지대학교 대학원 이학 박사
3. 선수 경력
이에리사는 탁구 선수로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으며, 은퇴 후에는 지도자와 스포츠 행정가로서 한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했다.
3.1. 탁구 선수 활동
이에리사는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1학년이던 1970년에 태극 마크를 달고 1977년 은퇴할 때까지 8년간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그의 선수 경력 중 가장 빛나는 순간은 1973년 유고슬라비아 사라예보에서 열린 1973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였다. 이 대회에서 그는 정현숙, 김순옥, 박미라와 함께 여자 단체전인 코빌론컵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대한민국 구기 종목 사상 최초의 세계 제패 기록으로, 한국 스포츠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그는 1973년 금메달 외에도 여러 메달을 추가했다. 1971년에는 단체전 동메달을, 1975년과 1977년에는 각각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1972년 스웨덴에서 열린 스웨덴 오픈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1976년에는 서독 국제오픈탁구선수권대회에서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여자 개인전에서 우승하며 3관왕을 차지했다.
3.2. 지도자 및 행정 경력
선수 은퇴 후 이에리사는 탁구 지도자와 스포츠 행정가로서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 1978년 5월 ~ 1979년: 서울신탁은행 탁구팀 코치
- 1980년 ~ 1982년 10월: 서독 FTG 프랑크푸르트팀 코치 겸 선수
- 1982년 11월 ~ 1985년 5월: 동아건설 여자탁구팀 코치
- 1985년 ~ 1990년: 경희대학교 여자탁구팀 코치
- 1987년 ~ 1988년: 제24회 서울 올림픽 한국 여자탁구팀 감독
- 2000년 8월: 제27회 시드니 올림픽 한국 대표단 경기 담당
- 2004년 9월: 제28회 아테네 올림픽 한국 여자탁구팀 감독
- 2005년 1월: 제22회 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한국 여자대표팀 감독
- 2005년 10월: 제4회 마카오 동아시아 경기 대회 한국 선수단 부단장
- 2005년 3월 ~ 2008년 8월: 태릉선수촌 제17대 선수촌장
- 2006년 2월: 제20회 토리노 동계 올림픽 대회 한국 선수단 총감독
- 2006년 12월: 제15회 도하 하계 아시아 경기 대회 한국 선수단 총감독
- 2006년 ~ 2009년: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 위원
- 2008년: 제29회 베이징 올림픽 한국 선수단 총감독
- 2008년 ~ 2009년: 대한올림픽위원회 상임위원
- 2009년 ~ 2013년: 대한체육회(KOC) 제37대 선수 분과위원회 위원장
- 2013년 ~: 사단법인 100인의 여성체육인 회장
- 2014년 8월 ~ 2014년 10월: 제17회 인천 아시아 경기 대회 선수촌장. 그는 선수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종합 국제경기대회 선수촌장으로 임명되었다.
- 2017년 4월 ~: 이에리사휴먼스포츠 대표
- 2021년 8월 ~ 2021년 11월: 국민의힘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국민캠프 건강스포츠특별위원회 위원장
4. 공직 및 행정 경력
스포츠계 외에도 이에리사는 학계와 공공 부문에서 다양한 직책을 수행하며 사회 발전에 기여했다.
- 2003년 3월 ~ 2013년 2월: 용인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교수
- 2009년 ~ 2012년: 용인대학교 기획처장
- 2009년 ~ 2012년: 사회통합위원회 위원
-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 2023년 5월 ~: 한국여성의정 감사
5. 정치 경력
이에리사는 스포츠 행정가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치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으로서 의정 활동을 펼쳤다.
5.1. 의정 활동 및 선거
2012년 5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제19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며, 당시 새누리당의 비례대표로 정치에 입문했다.

국회에서는 새누리당 원내부대표와 중앙여성위원장을 맡아 당내 활동에 참여했다. 또한 국회 운영위원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안전행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분야의 정책 수립과 심의에 참여했다. 특히 평창 동계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지원하기 위한 국회 평창동계올림픽 및 국제경기대회지원특별위원회 간사를 역임하며 스포츠 관련 정책에 깊이 관여했다.
제19대 총선에서 그는 새누리당 비례대표 9번으로 출마하여 42.8%의 득표율(9,130,651표)로 당선되었다. 이후 바른정당 대전 중구 조직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 제19대 총선 | 국회의원(비례대표) | 19대 | 새누리당 | 42.8% | 9,130,651표 | 비례대표 9번 | 당선 |
6. 수상 내역
이에리사는 선수 생활과 공직 및 행정 활동 전반에 걸쳐 다음과 같은 주요 상훈 및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 1973년: 제32회 사라예보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단체전 우승
- 1973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 1973년: 대한민국 체육상
- 1974년: 제9회 5.16민족상
- 1974년: 대통령 표창
- 1976년: 서독 국제오픈탁구선수권대회 여자 단식 우승
- 1976년: 서독 국제오픈탁구선수권대회 여자 복식 우승
- 1976년: 서독 국제오픈탁구선수권대회 여자 개인전 우승
- 1988년: 체육훈장 맹호장
- 1996년: 제1회 조정순체육상
- 2002년: 제14회 윤곡상 공로상
- 2006년: IOC 여성과 스포츠 트로피 아시아대륙부문
- 2009년: 여성신문 제3회 올해의 인물상
7. 영향 및 평가
이에리사는 대한민국 스포츠 역사에서 탁구 선수로서의 뛰어난 업적뿐만 아니라, 은퇴 후 스포츠 행정가와 정치인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한국 사회에 다방면으로 영향을 미쳤다.
그는 1973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구기 종목 사상 첫 세계 제패를 이끌며 국민들에게 큰 자긍심을 안겨주었고, 이는 한국 스포츠의 발전과 위상 강화에 기여했다. 선수촌장, 아시안게임 선수촌장 등 주요 스포츠 행정 보직을 역임하며 선수들의 훈련 환경 개선과 국제 대회에서의 성과 향상에 힘썼다. 특히 선수 출신으로는 최초로 종합 국제경기대회 선수촌장에 임명된 것은 한국 스포츠 행정의 전문화와 전직 선수들의 역량 발휘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정치인으로서 그는 국회에서 스포츠 관련 정책과 교육, 문화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발휘하며 스포츠인의 권익 보호와 스포츠 복지 증진에 기여하고자 노력했다. 그의 활동은 스포츠계 인사들이 단순한 경기력 향상을 넘어 사회 전반에 걸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모범이 되었다. 이에리사는 자신의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스포츠계와 정치계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며, 한국 스포츠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