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이시카와 게이 (石川 慧Ishikawa Kei일본어)는 1992년 9월 30일 일본 니가타현 니가타시에서 태어난 일본의 프로 축구 선수이다. 주 포지션은 골키퍼(GK)이며, 현재 J1리그의 감바 오사카 소속이다. 2025 시즌부터는 J2리그 소속인 반포레 고후로 이적할 예정이다. 이시카와는 185 cm의 키와 83 kg의 체중을 가지고 있으며, 오른발을 주로 사용한다.
그의 프로 경력은 2011년 베갈타 센다이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소니 센다이 FC,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도치기 SC, 사간 도스를 거쳐 감바 오사카에서 활약했다. 그는 골키퍼로서 팀의 수비를 책임지며 중요한 순간마다 활약했지만, 주전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2. 유년기 및 청소년 경력
이시카와 게이는 1992년 9월 30일 니가타현 니가타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니가타시립 세키야 중학교 축구부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니가타 메이쿤 고등학교 축구부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이 시기 동안 그는 골키퍼로서의 기량을 갈고닦으며 프로 축구 선수의 꿈을 키웠다.
3. 클럽 경력
이시카와 게이는 2011년 베갈타 센다이에 입단하며 프로 무대에 데뷔한 이래, 여러 일본 클럽을 거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3.1. 베갈타 센다이 (첫 번째 stints)
2011년 J1리그 클럽인 베갈타 센다이에 입단했으나, 당시 팀의 주전 골키퍼였던 하야시 타쿠토의 견고한 입지 때문에 공식 경기 출전 기회를 잡지 못했다. 2013년 3월, 그는 부상으로 골키퍼 자원이 부족해진 소니 센다이 FC로 긴급 임대 이적을 떠나게 된다.
3.2. 임대 spells
베갈타 센다이 소속으로 두 차례의 임대 이적을 통해 실전 경험을 쌓았다.
3.2.1. 소니 센다이 FC
2013년 3월 7일, 소니 센다이 FC로 임대 이적한 이시카와 게이는 그해 JFL에서 1경기에 출전하며 프로 데뷔 경기를 치렀다. 그는 이 기간 동안 2013년 NHK컵·가호쿠컵 미야기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경험했다.
3.2.2.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2014 시즌에는 J3리그에 새롭게 참가하는 블라우블리츠 아키타로 임대 이적했다. 골키퍼 코치가 없는 상황에서도 그는 전 베갈타 센다이 선수였던 쿠마바야시 신고와 시마카와 토시로로부터 컨디셔닝 관리를 배우고, 아키타 노던 블레츠 럭비 풋볼 클럽 선수들과 함께 근력 훈련을 하는 등 스스로 훈련하며 성장했다. 3월 9일, YS 요코하마와의 J3리그 개막전에서 J리그 데뷔전을 치렀으며, 한 해 동안 꾸준히 출전하며 리그 21경기에 나섰다. 이 기간 동안 2014년 아키타현 종합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3.3. 베갈타 센다이 복귀
2015년 베갈타 센다이로 복귀한 이시카와는 로쿠탄 유지, 세키 겐타로, 다니엘 슈미트와 함께 4명의 골키퍼 체제에서 시즌을 시작했다. 5월 30일 다니엘 슈미트가 로아소 구마모토로 임대 이적하면서 이시카와는 팀의 세 번째 골키퍼가 되었다. 같은 달 3일 나비스코컵 가와사키 프론탈레와의 경기에서 베갈타 센다이 소속으로는 처음으로 교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2015년에는 공식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지만, 리그와 천황배를 포함해 총 6경기에 교체 명단으로 참여했다.
2016년에는 다니엘 슈미트가 마츠모토 야마가 FC로 임대 이적하면서 로쿠탄과 세키와 함께 3인 체제가 되었다. 2월에는 근육 파열로 6주간 팀에서 이탈하는 부상을 겪었다. 하지만 로쿠탄과 세키가 잇따라 부상을 당하면서, 4월 6일 나비스코컵 사간 도스와의 경기에서 베갈타 센다이 소속으로 공식전 첫 출전을 기록했다. 이어서 4월 10일 J1리그 1st 스테이지 6라운드 감바 오사카와의 경기에서는 J1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3.4. 도치기 SC
2018년, 이시카와 게이는 도치기 SC로 완전 이적했다. 그러나 팀의 주전 골키퍼인 타케시게 아키히코와 두 번째 골키퍼인 조니 레오니의 높은 벽에 막혀 리그에서 단 2경기에만 출전하는 데 그쳤다.
3.5. 사간 도스
2019년 8월 5일, 오쿠보 타쿠오가 이적하면서 골키퍼를 찾고 있던 사간 도스로 완전 이적했다. 하지만 다카오카 요헤이의 입지를 넘어서지 못하며 리그 경기에는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다.
3.6. 감바 오사카
2020년 1월 6일, 이시카와 게이는 감바 오사카로 완전 이적했다. 감바 오사카에서도 절대적인 수호신 히가시구치 마사아키가 있었고, 이시카와는 신입 골키퍼 이치모리 준과 함께 제2 골키퍼 자리를 놓고 경쟁하게 되었다. 2020년에는 리그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고, 탑팀에서는 루방컵 2경기에만 출전했다.
2021년에는 루방컵 3경기에 출전했다.
2022년에는 개막을 앞두고 히가시구치 마사아키가 부상을 당하면서 기회를 잡았다. 2월 26일 가시마 앤틀러스와의 개막전에서 선발 출전했으며, 2라운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의 경기에서는 여러 차례의 슈퍼 세이브를 선보이며 팀의 시즌 첫 승리에 기여했다. 그러나 3월 6일 3라운드 가와사키 프론탈레와의 경기에서는 2-1로 앞서고 있던 경기 막판, 상대의 헤딩 슈팅을 잡은 뒤 롱 볼을 차기 위해 공을 그라운드에 놓는 순간 뒤에 있던 상대 공격수 코바야시 유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해 공을 빼앗겼고, 결국 레안드로 다미앙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는 치명적인 실수를 저질렀다. 이후 팀의 부진한 성적과 맞물려 4월부터는 부상에서 복귀한 이치모리와 히가시구치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2023년에는 쇼난 벨마레에서 타니 코세이가 복귀하면서, 타니와 히가시구치가 주전 골키퍼 자리를 놓고 경쟁하게 되어 이시카와는 세 번째 골키퍼가 되었다. 그는 모든 컵 대회 경기에서 교체 명단에 포함되었고, 타니가 해외로 이적한 이후에는 모든 리그 경기에서 교체 명단에 포함되었다. 12월 3일 J1리그 최종전인 비셀 고베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며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첫 출전 기록을 세웠다.
2024년에는 감바 오사카에서 리그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3.7. 반포레 고후
2025 시즌부터는 반포레 고후로 이적하여 새로운 활약을 펼칠 예정이다.
4. 클럽 통계
4.1. 국내 리그 통계
시즌 | 클럽 | 등번호 | 리그 | 출전 | 득점 |
---|---|---|---|---|---|
2011 | 센다이 | 22 | J1 | 0 | 0 |
2012 | 0 | 0 | |||
2013 | 0 | 0 | |||
2013 | S 센다이 | 21 | JFL | 1 | 0 |
2014 | 아키타 | J3 | 21 | 0 | |
2015 | 센다이 | 22 | J1 | 0 | 0 |
2016 | 2 | 0 | |||
2017 | 0 | 0 | |||
2018 | 도치기 | 33 | J2 | 2 | 0 |
2019 | 1 | 0 | |||
도스 | 16 | J1 | 0 | 0 | |
2020 | G오사카 | 25 | 0 | 0 | |
2021 | 0 | 0 | |||
2022 | 5 | 0 | |||
2023 | 1 | 0 | |||
2024 | 0 | 0 | |||
2025 | 고후 | 30 | J2 | ||
J1 통산 | 8 | 0 | |||
J2 통산 | 2 | 0 | |||
J3 통산 | 21 | 0 | |||
JFL 통산 | 1 | 0 | |||
총 통산 | 32 | 0 |
시즌 | 클럽 | 등번호 | 리그 | 출전 | 득점 |
---|---|---|---|---|---|
2020 | G오사카 U-23 | 25 | J3 | 5 | 0 |
J3 통산 | 5 | 0 | |||
총 통산 | 5 | 0 |
4.2. 국내 컵 통계
시즌 | 클럽 | 천황배 출전 | 천황배 득점 | J리그컵 출전 | J리그컵 득점 |
---|---|---|---|---|---|
2011 | 센다이 | 0 | 0 | 0 | 0 |
2012 | 센다이 | 0 | 0 | 0 | 0 |
2013 | 센다이 | 0 | 0 | - | |
2013 | S 센다이 | 0 | 0 | - | |
2014 | 아키타 | 2 | 0 | - | |
2015 | 센다이 | 0 | 0 | 0 | 0 |
2016 | 센다이 | 0 | 0 | 1 | 0 |
2017 | 센다이 | 0 | 0 | 0 | 0 |
2018 | 도치기 | 1 | 0 | 0 | 0 |
2019 | 도치기 | 0 | 0 | 0 | 0 |
2019 | 도스 | 0 | 0 | 1 | 0 |
2020 | G오사카 | 0 | 0 | 2 | 0 |
2021 | G오사카 | 0 | 0 | 3 | 0 |
2022 | G오사카 | 2 | 0 | 0 | 0 |
2023 | G오사카 | 0 | 0 | 0 | 0 |
2024 | G오사카 | 0 | 0 | 0 | 0 |
총 통산 | 5 | 0 | 7 | 0 |
4.3. 대륙 클럽 통계
시즌 | 클럽 | 등번호 | 대회 | 출전 | 득점 |
---|---|---|---|---|---|
2013 | 센다이 | 22 | AFC 챔피언스리그 | 0 | 0 |
2021 | G오사카 | 25 | AFC 챔피언스리그 | 2 | 0 |
총 통산 | 2 | 0 |
5. 우승 기록
이시카와 게이 선수가 클럽 경력 동안 획득한 주요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5.1. 클럽 우승 기록
- 소니 센다이 FC**
- NHK컵·가호쿠컵 미야기현 축구 선수권 대회: 2013년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 아키타현 종합 축구 선수권 대회: 2014년
6. 관련 항목
- 베갈타 센다이의 선수 목록
- 소니 센다이 FC의 선수 목록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의 선수 목록
- 도치기 SC의 선수 목록
- 사간 도스의 선수 목록
- 감바 오사카의 선수 목록
- 반포레 고후의 선수 목록
7. 외부 링크
- [https://www.instagram.com/kei.ishikawa1 이시카와 게이 -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