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수 경력
이시이 겐고는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유소년 팀에서 성장하여 프로 무대에 데뷔한 후, 여러 클럽을 거치며 일본의 주요 리그와 태국 리그에서 활약했다.
1.1. 유소년 및 초기 경력
이시이 겐고는 유소년 시절 하나카와 미나미 일레븐(花川南イレブン)과 ADEAM SAPPORO FC(현 마에다 주오 FC U-15)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고등학교 진학과 동시에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유스 U-18 팀(홋카이도 삿포로 시노로 고등학교 소속)에 입단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당시부터 1군 팀 훈련에 참여하는 등 점차 성장세를 보였으며, 2004년 12월 3일, 동료 노다 타츠로와 함께 2005년 시즌부터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1군 팀으로 승격될 것이 공식 발표되었다.
1.2. 콘사도레 삿포로 (1기)
2005년, 프로 1년차를 맞은 이시이 겐고는 등번호 25번을 부여받았다. 시즌 초반 호리이 가쿠야가 골절로 장기 이탈한 데다 야나기시타 마사아키 감독의 의향으로 일찍부터 출전 기회를 잡았다. 그는 정규 시즌 18경기에 출전했으며, 12월 3일 J2리그 최종전인 더스파 구사츠 군마와의 경기에서 프로 데뷔골을 기록했다.
2006년에는 전년도에 퇴단한 호리이 가쿠야의 등번호 9번을 물려받았다. 이 시즌 그는 헐크, 아이카와 신야 등과 주전 경쟁을 하면서 팀의 주력 선수로 성장했다. 연간 꾸준히 경기에 출전하여 9골을 기록하는 활약을 펼쳤고, 이에 9월에는 베이징 올림픽을 목표로 하는 U-21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후보 선수 훈련 캠프 멤버로 선발되기도 했다.
2007년, 미우라 토시야가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이 해에 영입된 다비와 나카야마 겐키가 공격의 중심으로 기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시이 겐고는 많은 경기에서 교체 선수로 남아있었지만, 주어진 출전 기회 속에서 6골을 기록하는 등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삿포로의 J2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2008년에는 상황이 급변하여 출전 기회가 급격히 감소했다. 전년에 이어 다비와 나카야마 겐키의 기용이 우선시된 데다, 신인 미야자와 히로키의 성장, 이 해에 영입된 클레이통이 공격수로 기용되는 등 여러 요인이 겹쳤다. 또한, 6월에 오른쪽 무릎 내측측부인대 부상을 당하면서 리그전 출전은 9경기에 그쳤고, 프로 4년차 만에 처음으로 골을 기록하지 못하는 시즌을 보냈다.
2009년, 이시자키 노부히로가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그는 부주장으로 임명되어 팀의 중심 선수로 기대를 모았다. 개막전에 선발 출전했지만, 이후 이 해에 영입된 키리누와 미야자와 히로키의 활약, 그리고 동갑내기 대졸 신인 우에하라 신야의 성장으로 인해 출전 기회를 잃게 되었다. 11월 28일 삿포로와의 계약 만료가 발표되었고, 12월 17일에는 에히메 FC로의 완전 이적이 연이어 발표되었다.
1.3. 에히메 FC
2010년, 에히메 FC에서 등번호 11번을 부여받은 이시이 겐고는 전년도에 18골을 기록하고 자신과 자리를 바꿔 삿포로로 이적한 우치무라 유이치로의 공백을 메울 존재로 기대를 받았다. 이비차 바르바리치 감독의 신뢰를 얻어 개막전부터 선발 출전했으며, 이후에도 주력 선수 중 한 명으로 활약했다. 6월 13일 J2리그 17라운드 삿포로전에서 이적 후 첫 골을 기록했고, 8월 29일 J2리그 24라운드 삿포로전에서는 페널티킥을 성공시켜 에히메의 통산 200번째 득점을 올리며 승리에 기여하는 등 전 소속팀을 상대로 고군분투했다.
2011년에는 사이토 마나부가 이적해 오면서 주전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지만, 주력 선수로 연간 많은 경기에서 활약했다. 시즌 첫 골은 5월 27일 J2리그 14라운드 FC 기후전에서야 나왔지만, 이후 컨디션을 끌어올려 11월 16일 천황배 3회전 산프레체 히로시마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며 에히메가 히로시마를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는 데 공헌했다.
2012년, 전년도에 14골을 기록했던 사이토 마나부가 팀을 떠났지만, 아리타 고키 등 새로운 선수들이 영입되면서 여전히 치열한 주전 경쟁을 벌였다. 그러나 시즌 초반부터 골을 기록하는 등 주력 선수로서 꾸준히 활약했다. 여름에 접어들면서 팀은 부진에 빠졌지만, 9월 23일 J2리그 35라운드 파지아노 오카야마전에서 결승골을 넣어 14경기 만의 승리에 기여했다. 경기 후 수훈 선수 인터뷰에서는 오랜만의 승리에 말을 잇지 못하고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이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주 포지션을 오른쪽 측면으로 옮겼다.
2013년, 이시마루 기요타카가 신임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그의 신뢰를 얻었다. 3월 3일 J2리그 개막전 몬테디오 야마가타전에 선발 출전하여 골을 기록하고 승리에 기여했으며, 이어진 3월 10일 J2리그 2라운드 마츠모토 야마가 FC전에서도 골을 기록하는 등 시즌 전반기 에히메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다. 하지만 7월 말 오른쪽 무릎 내측측부인대 부상을 당해 전력에서 이탈했다. 11월 27일, 5년 만에 친정팀인 삿포로로 복귀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1.4.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2기)
2014년, 5년 만에 삿포로로 복귀한 이시이 겐고는 등번호 19번을 달았다. 1월 삿포로 웹사이트에서 진행된 연습 경기 선발 투표에서는 1위를 차지하는 등 서포터들의 높은 기대와 인기를 증명했다. 시즌 내내 꾸준히 경기에 출전하여 36경기에서 3골을 기록했다.
2016년 9월 11일, J2리그 31라운드 더스파 구사츠 군마와의 경기에서 J2리그 통산 300경기 출장을 달성하며 역대 27번째 기록의 주인공이 되었다. 그는 이 시즌 총 27경기에 출전하여 팀의 J2리그 우승과 5년 만의 J1리그 승격에 크게 기여했다.
2017년, 이시이 겐고는 자신에게 2008년 이후 9년 만의 J1리그 무대에서 개막전 선발로 출전하며 3경기 연속 선발 출전의 기회를 잡았다. 그러나 이후로는 J리그컵과 천황배에서만 출전하는 데 그쳤다. 팀은 16년 만에 J1리그 잔류에 성공했지만, 12월 1일 계약 만료가 발표되었다.
1.5. 태국 리그 및 난카츠 SC
2018년, 이시이 겐고는 태국 2부 리그의 사무트 사콘 FC로 완전 이적을 발표하며 해외 무대에 도전했다.
2019년에는 일본으로 돌아와 도쿄도 사회인 축구 리그에 소속된 난카츠 SC로 이적했다. 그는 2022년까지 난카츠 SC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이 기간 동안 간토 축구 리그에서도 뛰었다.
1.6. 은퇴
이시이 겐고는 2022년 11월 15일, 현역 선수 은퇴를 공식 발표하며 축구 선수 경력을 마무리했다.
2. 클럽 통계
이시이 겐고의 각 클럽에서의 시즌별 출전 및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
클럽 성적 | 리그 | 컵 (천황배) | 리그컵 (J리그컵) | 합계 | |||||||
---|---|---|---|---|---|---|---|---|---|---|---|
시즌 | 클럽 | 등번호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일본 | |||||||||||
2005 | 삿포로 | 25 | J2리그 | 17 | 1 | 1 | 0 | - | 18 | 1 | |
2006 | 9 | J2리그 | 37 | 9 | 4 | 0 | - | 41 | 9 | ||
2007 | J2리그 | 36 | 6 | 1 | 1 | - | 37 | 7 | |||
2008 | J1리그 | 9 | 0 | 0 | 0 | 3 | 0 | 12 | 0 | ||
2009 | J2리그 | 16 | 1 | 1 | 0 | - | 17 | 1 | |||
2010 | 에히메 | 11 | J2리그 | 28 | 3 | 1 | 0 | - | 29 | 3 | |
2011 | J2리그 | 32 | 4 | 3 | 1 | - | 35 | 5 | |||
2012 | J2리그 | 37 | 6 | 1 | 0 | - | 38 | 6 | |||
2013 | J2리그 | 29 | 5 | 0 | 0 | - | 29 | 5 | |||
2014 | 삿포로 | 19 | J2리그 | 36 | 3 | 0 | 0 | - | 36 | 3 | |
2015 | J2리그 | 14 | 1 | 0 | 0 | - | 14 | 1 | |||
2016 | J2리그 | 27 | 1 | 1 | 0 | - | 28 | 1 | |||
2017 | J1리그 | 4 | 0 | 1 | 0 | 7 | 0 | 12 | 0 | ||
태국 | |||||||||||
2018 | 사무트 사콘 | 99 | 태국 2부 | 26 | 8 | - | 26 | 8 | |||
일본 (지역 리그) | |||||||||||
2019 | 난카츠 | 25 | 도쿄도 1부 | - | |||||||
2020 | 도쿄도 1부 | - | |||||||||
2021 | 간토 2부 | 2 | 0 | - | 2 | 0 | |||||
2022 | 간토 1부 | 3 | 0 | - | 3 | 0 | |||||
총 통산 | 350 | 48 | 14 | 2 | 10 | 0 | 374 | 50 |
- J리그 첫 출전: 2005년 3월 5일 J2리그 1라운드 대 반포레 고후 (고세)
- J리그 첫 득점: 2005년 12월 3일 J2리그 44라운드 대 더스파 구사츠 군마 (삿포로 돔)
3. 국가대표 경력
이시이 겐고는 2006년 U-21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후보 선수로 선발되어 훈련 캠프에 참가한 바 있다.
4. 우승 기록
이시이 겐고는 선수 생활 동안 소속 팀에서 다음과 같은 우승 기록을 달성했다.
- J2리그: 2007년, 2016년 (이상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