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출신 학교
이대수는 군산중앙초등학교, 군산중학교를 거쳐 군산상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2. 선수 경력
이대수는 SK 와이번스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하여 두산 베어스, 한화 이글스를 거치며 KBO 리그의 대표적인 유격수로 자리매김했다. 이후 친정팀 SK 와이번스로 복귀하여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2.1. SK 와이번스 시절 (2001-2007)
이대수는 군산상업고등학교 졸업 후 연고 팀인 쌍방울 레이더스에 신고선수로 입단하려 했으나, 쌍방울 레이더스가 해체되면서 선수단을 승계한 팀에서 신고선수들을 받아들이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당시 SK 와이번스의 타격코치였던 이건열의 눈에 띄어 2001년에 SK 와이번스에 신고선수로 입단하게 되었다. 2002년부터 1군에 올라와 주로 내야수로 활동했으며, 2006년부터는 주전 유격수로 발돋움했다. 이후 정근우의 등장으로 주전 자리에서 밀려났고, 2007년에는 스프링캠프 도중 당시 감독이었던 김성근과 불화가 있기도 했다. 이 시기에 손시헌의 군 입대로 유격수 보강이 필요했던 두산 베어스에서 트레이드를 추진했고, 2007년 4월 29일 나주환을 상대로 두산 베어스로 트레이드되었다.
2.2. 두산 베어스 시절 (2007-2009)
두산 베어스로 트레이드된 후 이대수는 주전 유격수로 활동하며 본격적으로 자신의 진가를 발휘하기 시작했다. 2006년 시즌 후 군 입대했던 손시헌의 공백을 훌륭히 메우며 안정적인 수비력을 인정받았다. 2007년에는 한국시리즈에 출전하는 영광을 누렸다. 그러나 2007년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SK 와이번스의 김강민이 친 땅볼 타구를 실책으로 기록했고, 이어서 최정이 친 땅볼 타구 역시 2루 주자 김강민의 실책 유도로 인해 또 다시 실책을 범했다. 심지어 평범한 플라이볼마저 놓치며 한 이닝에만 3개의 실책을 기록, 한국시리즈 한 이닝 최다 실책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결국 이 경기에서 팀이 패배하면서 팬들로부터 '그의 난'이라 불리며 큰 질타를 받았다. 2009년에는 손시헌이 군 복무를 마치고 돌아오면서 다시 주전에서 밀려났고, 손시헌이 잠시 부상으로 쉬었을 때를 제외하고는 시즌 대부분을 2군에서 보내야 했다.
2.3. 한화 이글스 시절 (2010-2013)
2009년 두산 베어스의 내야진이 많은 실책을 기록했고, 2009년 시즌 후 김민재의 은퇴로 내야진 보강을 원했던 당시 한화 이글스의 감독 한대화는 이대수에게 관심을 보였다. 2009년 11월 16일, 한화 이글스 소속이었던 투수 조규수와 김창훈을 상대로 한화 이글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트레이드 후 김민재의 등번호를 물려받았고, 주전 유격수로 활동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 잡았다. 2011년에는 안정된 수비력을 바탕으로 타율 0.301, 8홈런, 50타점을 기록하며 그 해 골든 글러브 유격수 부문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는 신고선수 출신으로서 골든 글러브를 수상한 역대 4번째 사례이자, 한화 이글스의 전신인 빙그레 이글스 시절 1990년 장종훈 이후 21년 만에 나온 유격수 골든 글러브 수상이었다. 당시 그는 유격수 중 김선빈 다음으로 실책이 적을 정도로 뛰어난 수비력을 자랑했다. 2013년에는 시즌 중 군 복무 소집 해제 후 1군에 복귀한 송광민에게 유격수 자리를 내주고 주로 3루수로 출장하는 경기가 많아졌다. 2013년 시즌 후 FA를 선언했으며, 4년간 총액 20.00 억 KRW (계약금 4.00 억 KRW, 연봉 3.50 억 KRW, 옵션 2.00 억 KRW)의 조건으로 한화 이글스에 잔류했다.
2.4. SK 와이번스 복귀 및 선수 생활 마감 (2014-2018)
2014년 6월 3일, 조인성을 상대로 김강석과 함께 트레이드되면서 7년 만에 친정팀 SK 와이번스로 복귀했다. 2015년 시즌 72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0.264를 기록하며 백업 내야수로서 팀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러나 2016년 시즌에는 14경기에 출전했으나 안타를 기록하지 못하는 등 출장 기회가 줄어들었다. 결국 2018년 10월 13일에 18년간의 현역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은퇴를 선언했다.
3. 지도자 경력
이대수는 선수 은퇴 후 2019년부터 친정팀인 SK 와이번스의 루키팀 수비코치로 활동하며 새로운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4. 에피소드
이대수는 선수 생활 중 2017년 4월 28일 삼성과의 경기에서 인상 깊은 사건을 겪었다. 당시 몸쪽으로 들어오는 공에 맞았는데, 동시에 배트가 돌아갔다. 이대수는 사사구로 판단하여 1루로 출루하려 했으나, 심판이 삼진 아웃을 선언하자 이에 격렬하게 항의했고, 결국 프로 야구 선수 생활 중 처음으로 퇴장을 당하는 징계를 받았다. KBO는 이 사건에 대해 이대수에게 2경기 출장 정지와 유소년 봉사 40시간의 징계를 내렸다.
5. 통산 기록
이대수의 KBO 리그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비고 |
---|---|---|---|---|---|---|---|---|---|---|---|---|---|---|---|---|---|---|
2002 | SK | - | 3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2003 | 0.000 | 10 | 1 | 2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
2004 | 0.165 | 105 | 103 | 11 | 17 | 2 | 0 | 0 | 5 | 0 | 1 | 5 | 2 | 31 | 0 | 2 | ||
2005 | 0.203 | 99 | 59 | 11 | 12 | 3 | 1 | 0 | 4 | 1 | 1 | 4 | 3 | 19 | 2 | 1 | ||
2006 | 0.253 | 122 | 387 | 46 | 98 | 15 | 4 | 5 | 26 | 5 | 1 | 25 | 5 | 68 | 6 | 13 | ||
2007 | 두산 | 0.252 | 109 | 310 | 33 | 78 | 14 | 1 | 3 | 36 | 5 | 3 | 29 | 7 | 47 | 7 | 13 | |
2008 | 0.282 | 90 | 213 | 22 | 60 | 9 | 3 | 2 | 23 | 2 | 4 | 16 | 5 | 28 | 7 | 12 | ||
2009 | 0.262 | 38 | 61 | 5 | 16 | 4 | 1 | 0 | 7 | 1 | 1 | 3 | 1 | 11 | 5 | 1 | ||
2010 | 한화 | 0.232 | 125 | 375 | 33 | 87 | 13 | 1 | 7 | 37 | 2 | 4 | 26 | 6 | 57 | 4 | 5 | |
2011 | 0.301 | 122 | 366 | 46 | 110 | 16 | 3 | 8 | 50 | 8 | 8 | 31 | 5 | 64 | 5 | 10 | GG | |
2012 | 0.279 | 118 | 376 | 36 | 105 | 23 | 4 | 4 | 48 | 5 | 1 | 27 | 3 | 57 | 9 | 13 | ||
2013 | 0.256 | 122 | 390 | 54 | 100 | 23 | 2 | 4 | 42 | 11 | 4 | 38 | 6 | 88 | 10 | 5 | ||
2014 | SK | 0.160 | 15 | 25 | 1 | 4 | 0 | 0 | 0 | 2 | 0 | 0 | 2 | 1 | 5 | 2 | 1 | |
2015 | 0.264 | 36 | 72 | 9 | 19 | 3 | 0 | 2 | 12 | 0 | 1 | 6 | 1 | 23 | 6 | 2 | ||
2016 | 0.000 | 14 | 12 | 0 | 0 | 0 | 0 | 0 | 2 | 0 | 0 | 2 | 0 | 3 | 0 | 0 | ||
2017 | 0.276 | 58 | 105 | 18 | 29 | 5 | 1 | 0 | 4 | 3 | 0 | 10 | 2 | 20 | 1 | 5 | ||
2018 | 0.200 | 4 | 5 | 1 | 1 | 1 | 0 | 0 | 0 | 0 | 0 | 0 | 0 | 2 | 0 | 0 | ||
통산 | 17시즌 | 0.257 | 1190 | 2860 | 328 | 736 | 131 | 21 | 35 | 299 | 43 | 29 | 224 | 47 | 523 | 64 | 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