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울리크 살코는 개인적인 삶에서도 피겨 스케이팅에 대한 열정을 이어갔으며, 스포츠 행정가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1.1. 출생 및 성장 배경
울리크 살코는 1877년 8월 7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태어났다. 그의 본명은 칼 에밀 율리우스 울리크 살코이다. 이후 그는 스웨덴으로 이주하여 스웨덴 국적을 취득하고 스웨덴을 대표하는 선수로 활동했다. 그는 71세의 나이로 1949년 4월 19일 스톡홀름에서 사망했으며, 스톡홀름의 노라 베그라브닝스플라트센(Norra begravningsplatsen)에 안장되었다.
1.2. 결혼
울리크 살코는 1931년 치과의사인 안나 엘리자베스 살코(Anna Elisabeth BAHNSON GORMSEN SALCHOW안나 엘리자베스 반손 고름센 살코영어, 결혼 전 성은 반손) 박사와 결혼했다.
2. 피겨 스케이팅 경력
울리크 살코는 20세기 초 피겨 스케이팅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선수로, 그의 압도적인 기량과 혁신적인 기술은 이 스포츠에 큰 영향을 미쳤다.
2.1. 주요 대회 성적
울리크 살코는 20세기 첫 10년간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부문을 지배했다. 그는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1901년부터 1905년까지, 그리고 1907년부터 1911년까지 총 10회 우승을 차지했다. 이 기록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10회 우승을 달성한 소냐 헤니, 그리고 1960년대와 1970년대에 10회 우승을 달성한 이리나 로드니나와 함께 역대 최다 우승 기록으로 남아있다. 그는 1906년 뮌헨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는 독일의 길버트 푸흐스와의 공정한 심사를 우려하여 출전하지 않았다.
피겨 스케이팅이 1908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을 때, 살코는 손쉽게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역사상 가장 나이가 많은 챔피언 중 한 명이 되었다. 당시 남자 싱글 경기에는 9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5명의 심판이 배정되었다. 이 중 2명은 살코와 같은 스웨덴 국적의 심판이었고, 1명은 살코의 지인인 스위스 국적의 심판이었다. 나머지 2명은 러시아와 독일 심판이었다. 컴펄서리 피겨 종료 시점에서 살코가 1위, 러시아의 니콜라이 파닌이 2위를 기록했는데, 살코에게 1위를 준 심판은 스웨덴인 2명과 스위스인이었고, 파닌에게 1위를 준 심판은 나머지 2명이었다. 이에 파닌은 이의를 제기하고 컴펄서리 종료 시점에서 기권했다. 결국 스웨덴 선수들이 1위, 2위, 3위를 모두 차지했다.
이 외에도 살코는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1898년부터 1900년까지, 1904년, 1906년부터 1907년까지, 그리고 1909년부터 1910년까지, 1913년까지 총 9회 우승하며 이 부문에서도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을 세웠다. 또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3회 준우승을 차지했다.

2.2. 살코 점프
1909년, 울리크 살코는 대회에서 새로운 점프 기술을 처음으로 성공시켰다. 이 점프는 뒤로 도는 동작에서 한 발의 뒤쪽 안쪽 엣지를 이용해 도약하고, 다른 발의 뒤쪽 바깥쪽 엣지로 착지하는 방식이었다. 이 혁신적인 점프는 그의 이름을 따서 오늘날까지 살코 점프로 불리고 있으며, 현대 피겨 스케이팅의 기본 점프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2.3. 대회 결과
울리크 살코의 주요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연도 | 1895 | 1896 | 1897 | 1898 | 1899 | 1900 | 1901 | 1902 | 1903 | 1904 | 1905 | 1906 | 1907 | 1908 | 1909 | 1910 | 1911 | 1913 | 1920 |
---|---|---|---|---|---|---|---|---|---|---|---|---|---|---|---|---|---|---|---|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 1 | 4 | |||||||||||||||||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 | 2 | 2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 | 1 | 1 | 3 | 1 | 1 | 1 | 1 | 1 | 1 | |||||||||
스웨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 | 1 | 1 |
3. 은퇴 후 활동
선수 생활을 마친 후에도 울리크 살코는 스포츠계에 대한 헌신을 이어갔으며, 주요 스포츠 단체의 행정가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3.1. 국제 빙상 연맹(ISU) 회장
울리크 살코는 1925년부터 1937년까지 국제 빙상 연맹(ISU)의 회장으로 재직하며 국제 스포츠 행정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피겨 스케이팅을 포함한 빙상 스포츠의 국제적인 발전과 관리에 기여했다.
3.2. AIK 스포츠 클럽 회장
그는 또한 1928년부터 1939년까지 스톡홀름에 위치한 AIK 스포츠 클럽의 회장을 역임했다. AIK는 당시 축구, 아이스 하키, 밴디, 테니스 등 다양한 스포츠 분야에서 스웨덴을 대표하는 선도적인 클럽이었다.
4. 사망 및 유산
울리크 살코는 피겨 스케이팅 역사에 지울 수 없는 발자취를 남겼으며, 그의 업적은 오늘날까지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4.1. 사망
울리크 살코는 1949년 4월 1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71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스톡홀름의 노라 베그라브닝스플라트센에 안장되었다.
4.2. 세계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
그의 피겨 스케이팅에 대한 지대한 공헌과 업적을 인정받아, 울리크 살코는 1976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5. 영향력
울리크 살코는 선수로서의 압도적인 기량과 함께 혁신적인 기술 개발, 그리고 스포츠 행정가로서의 리더십을 통해 피겨 스케이팅 및 스포츠계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20세기 초 피겨 스케이팅의 황금기를 이끈 주역이었으며, 세계 선수권 10회 우승이라는 전례 없는 기록은 그의 지배력을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그가 1909년에 개발한 살코 점프는 오늘날 피겨 스케이팅의 가장 기본적인 점프 기술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그의 기술적 선구자적 면모를 증명한다. 선수 은퇴 후 국제 빙상 연맹(ISU) 회장으로서 빙상 스포츠의 국제적인 발전과 규정 정립에 기여한 그의 행정적 역할 또한 스포츠의 현대화에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울리크 살코는 단순한 선수를 넘어 피겨 스케이팅의 기술적, 제도적 발전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6. 관련 항목
- 피겨 스케이팅
-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 살코 점프
- 국제 빙상 연맹
- 소냐 헤니
- 이리나 로드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