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초기 및 교육
우에노 유사쿠는 유년기와 학창 시절 동안 뛰어난 축구 실력을 선보이며 선수 경력의 기틀을 다졌다.
1.1. 출생 및 유년기
우에노 유사쿠는 1973년 11월 1일, 일본 도치기현 모오카시에서 태어났다. 중학교 1학년이던 1986년에는 모오카 시립 모오카 중학교 소속으로 전국 중학교 축구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당시 중학교 2년 선배로는 나카산카와 데츠하루가 있었다.
1.2. 대학 시절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쓰쿠바 대학에서 축구를 했으며, 대학 재학 중에는 유니버시아드 일본 국가대표팀의 핵심 스트라이커로 활약했다. 특히 1995년 여름 유니버시아드 축구에서 팀이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2. 선수 경력
우에노 유사쿠는 1996년 프로 데뷔 이후 12년간 일본의 여러 프로 클럽에서 포워드로 뛰며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2.1. 클럽 경력
쓰쿠바 대학을 졸업한 우에노 유사쿠는 1996년 J1리그로 승격한 아비스파 후쿠오카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데뷔 첫 시즌부터 주전으로 활약했으며, 1996년부터 1999년까지 4시즌 동안 팀의 주축 공격수로 자리매김했다.
2000년에는 산프레체 히로시마로 이적했으나, 구보 다쓰히코의 백업 선수로 영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카하시 야스시와 중도 합류한 구리하라 게이스케에게 밀려 거의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2001년에는 J2리그의 교토 퍼플 상가로 이적하여 구로베 미쓰아키 등과 함께 활약하며 팀의 J1리그 승격에 크게 기여했다. 이 시기에 교토 상가는 2001년 J2리그 우승을 차지하고 2002년 천황배에서 우승하며 구단 역사상 첫 천황배 우승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다시 J2리그의 알비렉스 니가타에서 뛰며 가나하 가즈키와 함께 일본인 선수 최다 득점인 13골을 기록하는 등 팀의 공격을 이끌었다. 특히 2003년 J2리그 최종전에서 결승골을 터뜨려 팀의 우승과 J1리그 승격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알비렉스 니가타가 J리그에 입성한 지 5년 만에 J1리그로 승격하는 데 큰 공을 세웠고, 이로 인해 현재까지도 니가타 서포터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2006년에는 친정팀인 산프레체 히로시마로 임대 이적했으며, 이듬해 완전 이적했으나 2007년 6월까지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다. 결국 같은 해 6월, 이전부터 영입 제의를 받던 고향 팀인 JFL의 도치기 SC로 완전 이적했다. 도치기 SC에서는 2007년 하반기부터 2008년까지 두 시즌 동안 주전으로 활약하며 팀의 2008년 JFL 준우승과 J2리그 승격에 기여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우에노 유사쿠는 연령별 대표팀에서 일본을 대표하여 활약했다. 1992년 AFC U-20 챔피언십에 U-20 일본 대표팀 소속으로 참가했다. 또한 대학 시절인 1993년 버팔로에서 열린 유니버시아드와 1995년 후쿠오카에서 열린 유니버시아드에서 유니버시아드 일본 대표팀으로 활약하며 1995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3. 선수 은퇴
2008년 시즌을 끝으로 프로 통산 419경기 69골의 기록을 남기고 12년간의 현역 생활을 마감하며 은퇴했다.
3. 지도자 및 감독 경력
선수 은퇴 후 우에노 유사쿠는 다양한 연령대의 팀과 국가대표팀에서 지도자 경험을 쌓았고, FC 기후의 감독직을 역임했다.
3.1. 초기 지도자 역할
선수 은퇴 후 우에노 유사쿠는 도치기 SC 프런트에 합류하여 지역 활성화 그룹 테크니컬 디렉터로 취임했다. 2010년에는 도치기 SC의 코치로 부임했으며, 같은 해 JFA 공인 S급 코치 자격을 획득했다. 2012년에는 수석 코치로 승격했고,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아카데미 디렉터 겸 유소년 감독을 맡았다. 2015년 다시 수석 코치로 돌아왔으나, 같은 해 9월 도치치 SC의 수석 코치직에서 사임했다. 당시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사임할 생각은 없었지만, 현 체제에서는 어려웠다"고 밝혔다.
이후 2015년 10월부터 2020년까지 우라와 레즈 육성 부문 코치로 활동했다. 2018년 4월 2일, 호리 타카후미 감독과 아마노 겐이치 수석 코치의 계약 해지에 따라 육성 디렉터였던 오츠키 츠요시가 임시 감독으로 부임하자, 우에노는 임시적으로 탑팀 코치로 합류했다. 4월 22일, 오스발도 올리베이라 감독의 부임과 함께 팀 체제가 재편되면서 우에노는 육성 부문으로 돌아가 오츠키의 후임으로 육성 디렉터에 취임했다. 2019년 5월에는 다시 우라와 탑팀의 수석 코치로 부임하여 2020년까지 역할을 수행했다.
2021년 1월 21일에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코치로 임명되었으며, 2022년 FIFA 월드컵 카타르 대회에서 일본 대표팀 기술팀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3.2. FC 기후 감독
2022년 12월 15일, 2023년 시즌부터 J3리그 클럽인 FC 기후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그는 전 시즌 리그 14위에 머물렀던 팀의 순위를 2023년 시즌 6위로 끌어올리는 성과를 보였다. 하지만 2024년 6월 27일, FC 기후 감독직에서 사임하고 같은 클럽의 풋볼 코디네이터로 보직을 변경했다.
3.3. 이후의 지도자 역할
FC 기후 감독직 사임 후 2024년 6월부터 12월까지 풋볼 코디네이터로 활동했다. 2025년 시즌부터는 시미즈 에스펄스의 코치로 활동할 예정이다.
4. 개인 생활
우에노 유사쿠의 아들인 우에노 요스케 역시 축구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신장 183 cm, 체중 74 kg이다.
5. 일화
- 1995년 여름 유니버시아드 준결승전에서 주전 공격수였던 우에노는 경기 초반 상대 선수와 실랑이를 벌이다 퇴장당했다. 팀은 이후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지만, 그는 팀에 폐를 끼치고 결승전에 출전하지 못한 것을 크게 후회했으며, 프로 입단 후에는 깨끗한 플레이를 지향하게 되었다.
- 알비렉스 니가타의 J1리그 승격에 큰 공을 세웠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니가타 서포터들로부터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그가 산프레체 히로시마로 이적한 후 니가타 스타디움에서 알비렉스 니가타와 경기를 치렀을 때도 니가타 서포터들로부터 '유사쿠 콜'을 받았다.
- 2006년 4월 22일 J1리그 9라운드 세레소 오사카전(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사토 히사토의 J리그 최단 시간 득점(경기 시작 8초)을 어시스트했다.
- 도치기 SC에서 함께 뛰었던 야마시타 요시키는 1996년 아비스파 후쿠오카에 함께 신인으로 입단한 동기이다.
6. 경력 통계
우에노 유사쿠의 선수 및 감독 경력에 대한 공식 통계는 다음과 같다.
6.1. 선수 통계
클럽 성적 | 리그 | 천황배 | 리그컵 | 총합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일본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총합 | ||||||||
1995 | 쓰쿠바 대학 | - | - | - | 2 | 0 | 2 | 0 | ||||
1996 | 후쿠오카 | J1 | 27 | 7 | 11 | 0 | 2 | 0 | 40 | 7 | ||
1997 | 31 | 8 | 5 | 1 | 3 | 1 | 39 | 10 | ||||
1998 | 24 | 1 | 2 | 1 | 2 | 0 | 28 | 2 | ||||
1999 | J1 | 28 | 1 | 4 | 2 | 1 | 0 | 33 | 3 | |||
2000 | 히로시마 | 5 | 1 | 2 | 0 | 0 | 0 | 7 | 1 | |||
2001 | 교토 | J2 | 42 | 10 | 2 | 0 | 4 | 2 | 48 | 12 | ||
2002 | J1 | 23 | 2 | 4 | 0 | 0 | 0 | 27 | 2 | |||
2003 | 니가타 | J2 | 41 | 13 | - | 3 | 0 | 44 | 13 | |||
2004 | J1 | 30 | 5 | 6 | 0 | 1 | 1 | 37 | 6 | |||
2005 | 34 | 2 | 3 | 0 | 1 | 1 | 38 | 3 | ||||
2006 | 히로시마 | J1 | 21 | 0 | 6 | 0 | 2 | 0 | 29 | 0 | ||
2007 | 0 | 0 | 0 | 0 | - | 0 | 0 | |||||
2007 | 도치기 SC | JFL | 19 | 2 | - | 0 | 0 | 19 | 2 | |||
2008 | 28 | 8 | - | 2 | 0 | 30 | 8 | |||||
경력 총합 | 353 | 60 | 45 | 4 | 23 | 5 | 421 | 69 |
기타 공식전
- 1998년: J1 참입 결정전 5경기 2득점
- J리그 첫 출전: 1996년 3월 16일 J리그 제1절 주빌로 이와타전 (야마하 스타디움)
- J리그 첫 득점: 1996년 4월 17일 J리그 제8절 요코하마 플뤼게루스전 (히가시히라오 공원 하카타노모리 구기장)
6.2. 감독 통계
연도 | 클럽 | 소속 | 리그전 | 컵대회 | ||||||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J리그컵 | 천황배 | |||
2023 | 기후 | J3 | 6위 | 54 | 38 | 14 | 12 | 12 | - | 3회전 패퇴 |
2024 | 11위 | 26 | 18 | 7 | 5 | 6 | 1회전 패퇴 | 2회전 패퇴 |
- 2024년은 감독 사임 시점의 성적을 나타낸다.
7. 수상 및 영예
우에노 유사쿠는 선수 및 감독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수상 및 영예를 얻었다.
7.1. 선수 수상
- J2리그: 2001년 (교토 상가 FC), 2003년 (알비렉스 니가타)
- 천황배: 2002년 (교토 상가 FC)
- 일본 풋볼 리그: 2008년 준우승 (도치기 SC)
- 1995년 여름 유니버시아드 축구: 금메달 (일본 국가대표팀)
7.2. 감독 수상
- J3리그 월간 우수 감독상: 2회 (2023년 6월, 2024년 2월·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