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수 이전 경력
오카모토 아쓰시는 유년기부터 대학 시절까지 꾸준히 야구 선수로서의 기량을 다졌으며, 특히 고교 야구에서는 고시엔 대회에 출전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1.1. 유년기 및 교육
오카모토 아쓰시는 오사카부 이바라키시에서 태어났으며, 초등학교 5학년 때 미에현 나바리시로 이사하여 성장했다.
1.2. 고교 및 대학 야구 경력
해성고등학교 (미에현) 2학년이던 1998년에는 최고 140 km/h를 넘는 패스트볼을 주무기로 삼아 팀의 에이스로 활약하며 제80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이듬해인 1999년 제71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서는 팀을 8강까지 이끌었다. 3계절 연속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의 전국 대회 출전을 목표로 했던 여름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미에현 대회에서도 결승에 진출했으나, 9회말 3점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4점을 내줘 역전패를 당했다.
NPB 구단의 스카우트로부터 입단 제안을 받았지만, 체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했던 오카모토는 프로 지명을 포기하고 메이지 대학교에 진학했다. 대학 진학 후에는 도쿄 6대학 야구 리그전에서 통산 48경기에 등판하여 12승 8패, 평균자책점 2.41, 161 탈삼진을 기록하며 기량을 향상시켰다.
2003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로부터 6순위로 지명받아 계약금 6000.00 만 JPY (추정), 연봉 1000.00 만 JPY (추정)의 조건으로 입단했다. 초기 등번호는 28번이었다.
2. 프로 야구 경력 (2004-2016)
오카모토 아쓰시는 2004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에 입단한 후, 부상과 제구 난조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2010년부터 불펜의 핵심 선수로 성장하여 팀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2.1. 입단 및 초기 (2004-2009)
2004년에는 이치군 공식전 10경기에 등판하여 1승 1패를 기록했다. 그러나 통산 28이닝 동안 볼넷 15개, 몸에 맞는 공 5개를 허용하는 등 제구력 난조를 보였고, 평균자책점은 9.32에 달했다. 2005년에는 오픈전에서 호투하여 선발 투수진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4월 1일에는 시즌 6번째 경기인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전에서 선발 등판했는데, 이는 신생 구단 라쿠텐의 홈구장인 미야기 구장의 개장 경기이기도 했다. 당시 오카모토는 오른쪽 팔꿈치 통증을 숨긴 채 등판해야 했고, 그 영향으로 1회말 선두 타자 이소베 고이치에게 라쿠텐 구단 창단 첫 홈런을 허용한 것을 시작으로 연타를 맞아 일찍 강판되었고, 결국 패전 투수가 되었다. 이 시즌에 그는 이치군 공식전 3경기에 등판했으나 선발 등판은 한 경기뿐이었고, 평균자책점은 20.25로 전년보다 악화되었다. 또한 이스턴 리그 공식전에도 13경기 등판했으나 평균자책점 4.92를 기록하는 등 부진했다.
2006년에는 이치군 공식전 6경기, 2007년에는 2경기에 등판했지만 모두 승패 없이 마쳤고, 2007년에는 몸에 맞는 공 3개를 기록하는 등 제구 난조를 극복하지 못했다. 2007년에는 이스턴 리그 공식전 25경기에 선발과 구원을 오가며 등판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자책점이 5.93까지 치솟았다. 2008년에는 이치군 공식전 14경기에서 0승 2패, 평균자책점 5.51을 기록했다. 그러나 시즌 종료 후 고관절 피로 골절이 발견되었다. 이로 인해 2009년에는 부상 재활에 전념했고,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이치군 공식전에 등판하지 못했다.
2.2. 불펜 핵심 선수로의 성장 (2010-2012)
2010년에는 이스턴 리그 공식전에서 호투를 이어가다가 7월에 이치군으로 승격되었다. 7월 7일 오릭스 버팔로스와의 경기에서 6년 만에 이치군 승리를 거뒀다. 승격 초기에는 선발 투수가 이른 이닝에 강판된 상황에서 등판하여 롱 릴리프로 호투하며 와타나베 히사노부 감독의 신뢰를 얻었다. 여름 이후에는 나가다 슈이치로, 후지타 다이요, 브라이언 시코스키에 이은 4번째 불펜 투수로서 중요한 상황에서 기용되었다. 나가다와 후지타가 번갈아 이탈했던 기간에는 두 선수 대신 셋업맨으로 등판했다. 9월 15일 오릭스와의 경기(스카이마크 스타디움)에서는 9회말 1사 상황에서 구원 등판하여 ⅔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이치군 공식전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또한, 팀이 정규 시즌 2위로 진출한 2010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도 2경기 등판하여 무실점을 기록했지만, 시리즈 종료 후 고관절 피로 골절이 재발한 것이 확인되었다.
2011년에는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개막전 엔트리에 포함되어 이치군에서 시즌을 맞이했다. 재발한 고관절 골절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나가다, 후지타, 시코스키가 연달아 부상으로 이탈하자 클로저로 기용되었다. 6월경부터 부진에 빠지면서 클로저 자리를 신인 마키타 가즈히사에게 내주고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8월 재등록 이후에는 앞선 투수가 만든 위기를 막아내는 역할이나 쉬밍지에, 마키타에 이어 등판하는 셋업맨으로 활약했다. 8월 10일부터 구원 등판한 26경기에서 1실점, 평균자책점 0.28, 12 홀드 포인트를 기록하며 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정규 시즌에서 기록한 5승은 모두 9월 이후의 구원 등판에서 거둔 것이었다. 11월 13일에는 등번호를 22번으로 변경한다는 구단 발표가 있었다.
2012년에는 마쓰나가 히로노리와 함께 개막부터 이치군의 중간 계투 요원으로 활약했다. 시즌 중반에 엔트리에서 말소되었지만, 재등록 후에는 나가다, 랜디 윌리엄스, 와쿠이 히데아키 등 다른 구원 투수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치군 공식전 통산 평균자책점은 지난 2년보다 악화되었지만, 등판 수는 개인 최다인 59경기에 달했다.
2.3. 말년 경력 및 은퇴 (2013-2016)
2013년에도 개막부터 이치군에 동행했다. 그러나 선발 투수진의 호조로 인해 공식전에 반달 정도 등판하지 못했고, 시즌 초반에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결국 시즌 막판까지 이치군에 복귀하지 못했고, 이치군 공식전 등판 수는 20경기에 그쳤다. 팀은 정규 시즌 2위로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했지만, 오카모토 본인은 시리즈 등록 선수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한편, 자신의 생일인 5월 20일에는 2010년부터 교제했던 여성과의 결혼을 발표했다.
2014년에는 공식전 개막을 이치군에서 맞이했으나 4월 하순에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7월 초에 다시 등록되었다. 그 달에는 등록 기간 중 팀의 16경기 중 11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0.79를 기록했다. 8월에도 팀의 26경기 중 15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2.25를 기록하는 등 다케쿠마 쇼타와 함께 중간 계투 투수로서 활약했다. 시즌 통산으로는 이치군 공식전 42경기에 등판하여 1승 1패 11홀드, 평균자책점 2.75의 성적을 남겼다.
2015년에는 공식전 개막 직후 이치군 공식전 구원 등판에서 무실점을 이어갔다. 시즌 전체적으로는 23경기 등판하여 1승 0패 5홀드, 평균자책점 3.05를 기록했다. 한편, 시즌 막바지인 9월에는 오른쪽 팔꿈치 수술을 받았다.
2016년에는 7월 중순에 시즌 첫 이치군 승격을 이뤘으나, 공식전 3경기에 등판한 후 다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9월 27일에 그 해를 끝으로 현역 은퇴를 표명했다. 다음 날인 28일에는 재등록 및 은퇴 기자회견을 거쳐 팀의 시즌 최종전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전(세이부 프린스 돔) 7회초에 '타자 1명' 조건으로 등판했다. 닛폰햄의 퍼시픽 리그 우승이 걸린 경기에서 1점 뒤진 상황에서 등판했지만, 오노 쇼타를 헛스윙 삼진으로 잡으며 13년간의 현역 생활을 마감했다. 12월 2일, NPB로부터 자유 계약 선수로 공시되었다.
3. 선수로서의 특징 및 인물상
오카모토 아쓰시는 강한 패스트볼과 다양한 변화구를 구사하며 타자와의 정면 승부를 즐기는 투수였으나, 제구력 난조와 고질적인 부상으로 인해 선수 생활 내내 어려움을 겪었다. 은퇴 후에는 연예계에 진출하여 야구계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3.1. 투구 스타일 및 구종
오카모토 아쓰시는 평균 구속 약 143 km/h, 최고 구속 151 km/h의 강력한 직구와 체인지업을 주무기로 하는 강기의 피칭이 특징이었다. 이 외에도 슬라이더, 포크볼, 슈트 등 다양한 변화구를 구사했다.
3.2. 도전과 부상
세이부 입단 후에는 제구력 난조와 결정구 부족으로 인해 이치군 정착이 29세가 되던 7년차 시즌(2010년) 이후로 미뤄졌다. 또한, 2010년 시즌 종료 후 재발한 고관절 피로 골절은 2016년 현역 은퇴할 때까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 오카모토 본인은 니군에서 함께 재활했던 후배 투수들의 이치군 승격이 잇따르면서 자신의 승격 보류에 대한 아쉬움이나 후배들에 대한 경쟁심을 느끼지 않게 된 것을 은퇴 이유로 꼽았다.
프로 입단 전부터 사람들 앞에 나서는 것을 좋아했던 오카모토는 현역 은퇴를 계기로 탤런트로 변신했다. 앞으로는 축구계의 다케다 노부히로와 같은 위치를 목표로 한다고 밝힌 바 있다.
4. 은퇴 후 활동
오카모토 아쓰시는 "야구에 흥미를 갖는 계기를 만들고 싶다"는 이유로 연예 기획사인 이엠지플러스(EMG Plus)에 소속되었다. 그는 2016년에 이엠지플러스가 발족시킨 스포츠 부문의 첫 소속 탤런트가 되었으며, 활동의 중심을 야구에 두면서 텔레비전 프로그램 출연 등을 시작했다. 2018년에는 인재 파견 회사인 L.M.K를 설립하여 사업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5. 개인 생활
오카모토 아쓰시는 2013년 5월 20일, 자신의 생일에 2010년부터 교제해 오던 여성과의 결혼을 발표했다.
6. 경력 통계 및 기록
6.1. 시즌별 투수 성적
연도 | 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세이브 | 홀드 | 승리 | 패배 | 승률 | 상대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 사구 | 몸에 맞는 공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2004 | 세이부 | 10 | 3 | 0 | 0 | 0 | 1 | 1 | 0 | .500 | 143 | 28.0 | 37 | 8 | 15 | 0 | 5 | 23 | 4 | 0 | 32 | 29 | 9.32 | 1.86 |
2005 | 세이부 | 3 | 1 | 0 | 0 | 0 | 0 | 0 | 1 | .000 | 36 | 5.1 | 13 | 3 | 7 | 0 | 0 | 4 | 0 | 0 | 14 | 12 | 20.25 | 3.75 |
2006 | 세이부 | 6 | 0 | 0 | 0 | 0 | 0 | 0 | 0 | ---- | 34 | 7.0 | 11 | 2 | 4 | 0 | 1 | 5 | 1 | 0 | 6 | 6 | 7.71 | 2.14 |
2007 | 세이부 | 2 | 0 | 0 | 0 | 0 | 0 | 0 | 0 | ---- | 16 | 3.0 | 4 | 0 | 0 | 0 | 3 | 1 | 0 | 0 | 2 | 2 | 6.00 | 1.33 |
2008 | 세이부 | 14 | 1 | 0 | 0 | 0 | 0 | 0 | 2 | .000 | 87 | 16.1 | 30 | 0 | 10 | 0 | 0 | 9 | 0 | 0 | 16 | 10 | 5.51 | 2.45 |
2010 | 세이부 | 33 | 0 | 0 | 0 | 1 | 10 | 2 | 1 | .667 | 193 | 43.2 | 45 | 4 | 19 | 0 | 1 | 38 | 4 | 0 | 15 | 15 | 3.09 | 1.47 |
2011 | 세이부 | 49 | 0 | 0 | 0 | 7 | 11 | 5 | 1 | .833 | 226 | 55.1 | 41 | 1 | 27 | 0 | 3 | 40 | 3 | 0 | 15 | 13 | 2.11 | 1.23 |
2012 | 세이부 | 59 | 0 | 0 | 0 | 2 | 15 | 1 | 3 | .250 | 255 | 57.0 | 66 | 5 | 17 | 1 | 4 | 39 | 0 | 0 | 32 | 26 | 4.11 | 1.46 |
2013 | 세이부 | 20 | 0 | 0 | 0 | 0 | 6 | 0 | 1 | .000 | 91 | 18.0 | 29 | 1 | 8 | 0 | 0 | 12 | 0 | 0 | 13 | 9 | 4.50 | 2.06 |
2014 | 세이부 | 42 | 0 | 0 | 0 | 0 | 11 | 1 | 1 | .500 | 178 | 39.1 | 44 | 1 | 22 | 0 | 1 | 28 | 2 | 0 | 12 | 12 | 2.75 | 1.68 |
2015 | 세이부 | 23 | 0 | 0 | 0 | 0 | 5 | 1 | 0 | 1.000 | 89 | 20.2 | 25 | 2 | 2 | 0 | 2 | 8 | 1 | 0 | 9 | 7 | 3.05 | 1.31 |
2016 | 세이부 | 4 | 0 | 0 | 0 | 0 | 0 | 0 | 0 | .000 | 13 | 2.2 | 4 | 0 | 2 | 0 | 0 | 2 | 0 | 0 | 2 | 2 | 6.75 | 2.25 |
통산: 12년 | 265 | 5 | 0 | 0 | 10 | 58 | 11 | 11 | .500 | 1361 | 296.1 | 349 | 27 | 133 | 1 | 20 | 209 | 15 | 0 | 168 | 143 | 4.34 | 1.63 |
6.2. 주요 기록
- 첫 등판: 2004년 6월 12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전(세이부 돔), 4회초에 2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2와 1/3이닝 1실점
- 첫 탈삼진: 위와 동일, 4회초 사부로에게서 헛스윙 삼진
- 첫 승리: 2004년 8월 10일, 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전(후쿠오카 돔), 4회말 1사 상황에서 2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3과 2/3이닝 무실점
- 첫 선발 등판: 2004년 8월 16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전(세이부 돔), 4와 1/3이닝 7실점
- 첫 홀드: 2010년 7월 1일,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전(세이부 돔), 5회초에 2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2이닝 무실점
- 첫 세이브: 2010년 9월 15일, 대 오릭스 버팔로스전(스카이마크 스타디움), 9회말 1사 상황에서 6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및 마무리, 2/3이닝 무실점
6.3. 등번호
- 28 (2004년 ~ 2007년)
- 30 (2008년 ~ 2009년)
- 59 (2010년 ~ 2011년)
- 22 (2012년 ~ 2016년)
6.4. 등장곡
- 「SCARY -Delete streamin' freq. from fear side-」 - 더 매드 캡슐 마켓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