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배경
1.1. 어린 시절 및 교육
엘 린더맨은 1995년 2월 12일 일본 도쿄도 나카노구에서 태어났으며, 혈액형은 B형이다. 그는 아다치 학원 중학교·고등학교를 졸업했다. 모치즈키 마사아키는 그의 고등학교 선배이다. 어린 시절부터 어린이집에서부터 친했던 친구가 있었는데, 프로레슬링 경기 중 그 친구에게 큰 부상을 입힌 적이 있지만, 현재까지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친구는 그의 경기를 보러 온다고 한다.
2. 프로레슬링 경력
엘 린더맨은 2014년 드래곤 게이트에서 데뷔한 이래, 여러 프로모션을 거치며 다양한 캐릭터와 스타일을 선보이며 경력을 쌓았다.
2.1. 드래곤 게이트 (2014년 ~ 2018년)
엘 린더맨은 2014년 드래곤 게이트에 입단하여 프로레슬러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이 시기 동안 다양한 스테이블에 소속되며 자신의 링네임과 캐릭터를 발전시켰다.
2.1.1. 초기 활동 및 링네임 변경
엘 린더맨은 2014년 4월 4일 DRAGON GATE NEX에서 T-Hawk와의 경기를 통해 데뷔했다. 같은 날 샤치호코 보이와의 다크 매치에서도 패배했다. 그러나 4월 13일 Eita와의 경기 도중 턱뼈가 골절되는 심각한 부상을 입어 몇 달간 활동을 중단해야 했다. 8월 5일 고라쿠엔 홀 대회에서 복귀하며 본전 데뷔를 가졌다. 일본의 젊은 레슬러들이 흔히 겪는 것처럼, 복귀 후에도 초기에는 대부분의 경기에서 패배를 기록했다.
하지만 2014년 12월 16일 고라쿠엔 홀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데뷔 8개월 만에 처음으로 메인 이벤트에 서서 지미 칸다에게 저먼 수플렉스 홀드를 성공시키며 태그 매치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다. 이 활약으로 그는 2014년 주간 프로레슬링이 주최한 프로레슬링 그랑프리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2위인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노무라 나오야와 300표 이상의 큰 격차를 보였다.
2015년 1월 10일에는 오픈 더 브레이브 게이트 챔피언십 토너먼트에 출전하여 펀치 토미나가를 로코모션식 저먼 수플렉스 홀드로 불과 46초 만에 꺾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1월 16일 그는 밀레니얼즈에 합류했고, 이틀 뒤인 1월 18일 더 블루 하츠의 노래 '린다 린다'에서 영감을 받아 링네임을 '엘 린더맨'으로 변경했다. 링네임 변경과 함께 밀레니얼즈의 팀 컬러에 맞춰 복장을 바꾸고 머리를 분홍색으로 염색하기도 했다. 린더맨이라는 이름으로 치른 첫 경기에서 그는 코토카와 팀을 이루어 지미 칸다와 지미 스스무에게 패배했다. 2015년 8월 6일에는 소속 스테이블이었던 밀레니얼즈가 해체되었다.
2.1.2. 스테이블 활동 및 캐릭터 변화
2015년 10월 8일, 엘 린더맨은 CIMA가 이끄는 새로운 스테이블인 오버 제너레이션에 Eita, 감마, 펀치 토미나가, 이시다 가이토, 야마무라 타케히로와 함께 합류했다. 오버 제너레이션에 합류한 후 그는 다시 한번 복장을 변경했다. 같은 해 11월 오픈 더 트라이앵글 게이트 토너먼트에 Eita, 펀치 토미나가와 팀을 이루어 출전했지만, 1라운드에서 베르세르크(야마토, 신고 타카기, 나루키 도이)에게 패배하며 탈락했다. 2016년 킹 오브 게이트 토너먼트에서는 1점만을 기록하며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2016년, 그는 요스케 산타 마리아와 팀을 이루기 시작했으며, 린더맨이 산타 마리아를 좋아하고 "그녀와 함께 싸우고 보호하고 싶다"고 말하면서 케이페이브 로맨스 각본이 시작되었다. 이 둘은 공식적으로 '더 마릴린스'라고 불리게 되었다. 산타 마리아와 팀을 이룬 직후 린더맨은 오버 제너레이션을 떠나 야마토가 이끄는 트라이브 뱅가드에 합류를 요청했다. 야마토는 린더맨의 합류 여부가 2016년 섬머 어드벤처 태그 리그에서 산타 마리아와 함께 보여줄 성과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린더맨과 산타 마리아는 이 태그 리그에서 2점만을 기록하며 조 최하위를 기록했고, 야마토는 린더맨의 트라이브 뱅가드 합류를 거부했다. 야마토가 요청을 거부하자 산타 마리아는 린더맨의 뺨을 때리며 더 마릴린스의 해체를 공식화했다.
그 직후 린더맨은 새로운 캐릭터를 채택했다. 경기 전후로 상대방과 심지어는 자신의 파트너까지 공격하는 등 악역 전환의 징후를 보였다. 그는 오픈 더 브레이브 게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하기 위해 Eita에게 경기를 신청했지만, 펀치 토미나가가 링으로 나와 자신도 타이틀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에 9월 29일 넘버원 컨텐더 경기가 열렸고 린더맨이 승리했다. 경기 후 그는 공식적으로 악역으로 전환하여 토미나가를 공격하고 베르세르크의 합류 제안을 받아들였다. 린더맨은 다시 한번 외모를 바꾸어 머리를 빨간색으로 염색하고 베르세르크의 색깔에 맞춰 링 복장을 변경했으며, 목에 큰 밧줄을 매달고 다녔다. 베르세르크를 대표하여 린더맨은 10월 12일 Eita의 챔피언십에 도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12월 25일 파이널 게이트에서 린더맨은 같은 베르세르크 멤버인 사이버 콩과 몬다이 류와 팀을 이루어 벤-K, 코토카, 마사토 요시노와 지미즈(지미 칸다, 지미 스스무, 료 지미 사이토)를 상대로 공석인 오픈 더 트라이앵글 게이트 챔피언십을 놓고 트리플 쓰렛 매치를 치렀지만, 지미즈가 승리했다. 2017년 1월 18일, 린더맨은 베르세르크의 리더 신고 타카기와 T-Hawk와 팀을 이루어 원 나이트 6인 태그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 7월 1일, 린더맨은 신고 타카기와 타카시 요시다(사이버 콩)와 함께 매시멈을 꺾고 오픈 더 트라이앵글 게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하며 드래곤 게이트에서 그의 첫 번째 챔피언십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2.2. 오리엔탈 레슬링 엔터테인먼트 (OWE) 및 스트롱 하츠 (2018년 ~ 2021년)
2018년 초, CIMA는 21년간 몸담았던 드래곤 게이트를 떠난다고 발표하며, 주로 중국에 기반을 둔 새로운 프로모션인 오리엔탈 레슬링 엔터테인먼트(OWE)의 설립을 발표했다. CIMA 외에 T-Hawk, 엘 린더맨, 그리고 야마무라 타케히로도 드래곤 게이트를 떠나 OWE에 합류했다. OWE의 첫 번째 이벤트는 5월 7일에 개최되었다. 6월 22일, OWE를 대표하여 린더맨은 Wrestle-1에 데뷔했다.
곧이어 OWE의 다른 선수들도 Wrestle-1에 데뷔했으며, 이들은 스스로를 '스트롱 하츠'(Strong Hearts영어)라고 명명했다. 이후 데즈몬드 자비에르와 재커리 웬츠를 그룹에 영입했다. 스트롱 하츠는 9월에 DDT 프로레슬링에도 데뷔하여 올 아웃(콘노스케 타케시타, 아키토, 슌마 카츠마타, 유키 이이노)을 꺾었다. OWE를 대표하여 스트롱 하츠는 2019년 5월 25일 올 엘리트 레슬링(AEW)의 더블 오어 나씽에 데뷔했지만, 소칼 언센서드에게 패배했다.
2.3. GLEAT (2021년 ~ 현재)
2021년 3월 12일, 엘 린더맨은 CIMA를 포함한 #STRONGHEARTS 멤버 4명과 함께 GLEAT 입단을 발표했으며, 다음 날 입단 기자회견을 가졌다.
2021년 9월 7일, 타무라 하야토의 GLEAT 이적 문제로 인해 ZERO1 측이 GLEAT와의 관계 단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린더맨이 보유하고 있던 ZERO1 인터내셔널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NWA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박탈되었다. 같은 날 전일본 프로레슬링 고라쿠엔 홀 대회에서 T-Hawk와 태그팀을 이루어 제우스와 이잔기가 보유하고 있던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에 도전하여 승리했다. 이로써 제111대 챔피언에 등극하며 메이저 단체에서의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
2022년 2월 22일 고라쿠엔 홀 대회에서는 GLEAT가 신설한 첫 싱글 타이틀인 'G-REX 챔피언십'의 초대 챔피언을 가리는 'G-REX 토너먼트'의 준결승 및 결승전이 열렸다. 엘 린더맨은 결승에서 타무라 하야토와 대결하여 승리하고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 그는 또한 초대 G-RUSH 챔피언이기도 하다.
2.4. 신일본 프로레슬링 (NJPW) 활동
2022년 1월 5일, 엘 린더맨은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도쿄돔 대회 '레슬 킹덤 16'에 CIMA의 세컨드로 깜짝 등장했다. 이때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엘 데스페라도가 희망하는 대전 상대로 린더맨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며 주목을 받았다.
2022년 3월 1일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일본 무도관 대회 '창립기념일'에 CIMA와 T-Hawk와 함께 게스트로 참전했다. 그들은 스즈키군(엘 데스페라도, 카네마루 요시노부, DOUKI)을 상대로 6인 태그 매치에서 승리했다. 경기 후 백스테이지에서 데스페라도는 다시 한번 린더맨에게 싱글 매치를 요청했다.
2022년 5월 15일부터 개막한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 29에 GLEAT 소속으로 B블록에 참가한다고 발표되었다. 그가 열렬히 대결을 원했던 데스페라도와 같은 블록에 배정되었다. 토너먼트에서 4승 5패(8점)의 기록으로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5월 24일 고라쿠엔 홀 대회에서 데스페라도에게 승리를 거두는 등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또한, 시리즈가 진행 중이던 5월 18일에는 이리에 시게히로를 상대로 G-REX 챔피언십 방어전을 치러 2차 방어에 성공했다. 토너먼트 결승 당일에는 휠러 유타, 에이스 오스틴, 알렉스 제인과 팀을 이루어 로비 이글스, YOH, 티탄, 클라크 코너스를 상대로 태그팀 매치에서 승리했다. 2023년 3월 1일 개최된 '주니어 꿈의 제전 ~ALL STAR Jr. FESTIVAL 2023~'에서는 제5경기 태그 매치에 출전했다.
2.5. 기타 프로모션 활동
엘 린더맨은 드래곤 게이트, OWE, GLEAT, 신일본 프로레슬링 외에도 다양한 일본 프로모션에서 활동하며 여러 타이틀을 획득했다.
- ALL JAPAN PRO-WRESTLING (전일본 프로레슬링)**
- 2021년 9월 7일 T-Hawk와 팀을 이루어 제우스와 이잔기를 꺾고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 (제111대)을 획득했다. 이는 그의 첫 메이저 타이틀 획득이었다.
- 2023년 7월 2일 전일본 프로레슬링 고라쿠엔 홀 대회에서 아오야기 아오이를 꺾고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제66대)을 획득했다.
- DDT 프로레슬링 (DDT Pro-Wrestling)**
- KO-D 6인 태그 챔피언십을 엔도 테츠야 및 T-Hawk와 함께 1회 획득했다.
- 프로레슬링 ZERO1 (Pro Wrestling Zero1)**
- 2020년 7월 5일 ZERO1 주최의 천하제일 Jr.에 출전하여 첫 출전임에도 불구하고 결승전까지 진출했지만, 키타무라 아키라에게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
- 2020년 9월 4일, 키타무라 아키라가 보유하고 있던 ZERO1 인터내셔널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NWA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하여 승리하며 커리어 첫 싱글 챔피언에 등극했다.
- 하지만 2021년 9월 7일 타무라 하야토의 GLEAT 이적 문제로 인해 ZERO1과 GLEAT가 절연을 발표하면서 그가 보유하고 있던 두 주니어 헤비웨이트 타이틀은 박탈되었다.
3. 프로레슬링 기술 및 스타일
엘 린더맨은 강력한 수플렉스와 다양한 기술을 구사하며 독특한 경기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 로코모션식 타이거 수플렉스 홀드: 린더맨의 주요 피니셔로, 보통 두 번의 저먼 수플렉스에 이어서 사용한다.
- 저먼 수플렉스 홀드
- 각종 유도 기술
- 곰 죽이기: 업어치기 자세에서 주저앉는 형태로 상대방을 앞으로 떨어뜨리는 기술이다. 기술의 이름은 중계석에서 해설자들이 붙여주며 알려졌다.
- 토페 콘 히로: 때로는 로프에 닿지 않고 노터치로 구사하기도 한다.
4. 수상 및 업적
엘 린더맨은 그의 프로레슬링 경력 동안 여러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하고 개인적인 영예를 얻었다.
단체 | 타이틀 | 획득 횟수 | 함께 획득한 선수 및 비고 |
---|---|---|---|
전일본 프로레슬링 |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 | 1회 | T-Hawk |
전일본 프로레슬링 |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회 | |
DDT 프로레슬링 | KO-D 6인 태그 챔피언십 | 1회 | 엔도 테츠야 & T-Hawk |
드래곤 게이트 | 뉴 이어 유닛 6인 태그 1일 토너먼트 | 1회 | 신고 타카기 & T-Hawk |
드래곤 게이트 | 오픈 더 트라이앵글 게이트 챔피언십 | 1회 | 신고 타카기 & 타카시 요시다 |
GLEAT | G-REX 챔피언십 | 1회 | 초대 챔피언 |
GLEAT | G-RUSH 챔피언십 | 1회 | 초대 챔피언, 현재 챔피언 |
GLEAT | G-REX 타이틀 초대 챔피언 결정 토너먼트 | 2022 | |
GLEAT | G-RUSH 토너먼트 | 2025 | |
프로레슬링 일러스트레이티드 | PWI 500 (2023) | 119위 | 싱글 레슬러 랭킹 |
프로레슬링 ZERO1 | ZERO1 인터내셔널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회 | |
프로레슬링 ZERO1 | NWA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회 | |
도쿄 스포츠 | 기술상 | 2022 | |
주간 프로레슬링 | 신인상 | 2014 |
5. 에피소드 및 평가
엘 린더맨은 그의 프로레슬링 경력 동안 여러 인상 깊은 일화와 함께 특출난 마이크 퍼포먼스 능력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5.1. 주요 일화
- 엘 린더맨은 2014년 드래곤 게이트에서 유일하게 데뷔한 선수였다.
- 그의 고등학교는 아다치 학원 중학교·고등학교이며, 모치즈키 마사아키는 그의 고등학교 선배이다.
- 드래곤 게이트 회원을 대상으로 한 팜플렛에서, 그는 어린 시절부터의 친한 친구에게 경기 중 큰 부상을 입혔다는 이야기가 공개되었다. 하지만 이 친구와는 여전히 친분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의 경기를 직접 보러 오기도 한다.
- CIMA와의 트윈 게이트 챔피언십을 둘러싼 대립 이후, 그는 종종 상대 선수에게 자신의 신발을 핥으라고 강요하는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대부분은 방해를 받거나 상대에게 발을 물리는 등의 이유로 성공하지 못했다.
5.2. 마이크워크 및 캐릭터 평가
엘 린더맨은 그의 뛰어난 마이크 퍼포먼스 능력으로 CIMA에게까지 인정받았다. 2015년 1월 16일 고라쿠엔 홀 대회에서 그는 밀레니얼즈와 CIMA를 상대로 마이크 대결을 펼쳐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고, 이에 CIMA는 "데뷔 반 년 만에 이 정도의 마이크 실력"이라며 그를 극찬했다.
그는 악역 캐릭터로서도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특히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한 후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대해 벨트를 좌부동처럼 사용하는 등 모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에 평소 좀처럼 분노를 드러내지 않던 라이징 HAYATO조차 "애초에 린더맨은 그냥 싫다. 아마 인간적으로 맞지 않을 것"이라며 감정을 표출할 정도였다.
6. 입장곡
엘 린더맨의 입장곡은 다음과 같다.
- Double RL Ansemic
- 작곡: 쿠로미야 마사토 (from 라치엔 브라더스)
- 편곡: 료마 (From MAKEOWNLIFE & 夜韻-Yo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