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엔샤쿠샨나의 생애는 주로 그의 통치와 군사 활동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특히 그의 아버지와 왕위 계승에 대한 기록은 제한적이나 중요한 역사적 맥락을 제공합니다.
q=31.324167, 45.637222|position=right
1.1. 초기 생애 및 배경
엔샤쿠샨나는 우루크 제2왕조의 왕으로, 수메르 왕명록에 따르면 60년 동안 재위했습니다. 그의 이름은 엔샤그쿠시아나, 에눅두안나, 엔샤칸샤아나, 엔샤쿠슈아나, 엔샤쿠슈안나크 등 다양하게 표기됩니다. 그의 아버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으나, 그의 이름으로 알려진 봉헌 석판 비문에는 그의 아버지가 "엘릴리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그가 우르의 왕 엘룰루일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1.2. 통치와 정복
엔샤쿠샨나의 통치는 광범위한 군사 원정으로 특징지어집니다. 그는 하마지, 아카드, 키시, 니푸르를 정복하며 수메르 전역에 대한 헤게모니를 확립했습니다. 특히 키시와 악샤크에 대한 그의 공격은 니푸르에서 발견된 석조 그릇 비문을 통해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비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새겨져 있습니다.
"모든 땅의 왕 엔릴을 위해, 수메르 땅의 군주이자 국가의 왕인 엔샤쿠샨나가 신들의 명령을 받아 키시를 약탈하고 키시의 왕 엔비-이슈타르를 사로잡았다. 키시의 지도자와 악샤크의 지도자, 그들의 두 도시가 파괴되었을 때... 그는 그들에게 돌아갔으나, 그들의 조각상, 귀금속과 청금석, 목재와 보물을 니푸르의 신 엔릴에게 봉헌했다."
이 기록은 엔샤쿠샨나가 키시를 파괴하고 왕을 사로잡았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학자들은 키시의 궁전 A와 평면-볼록 건물에서 발견된 초기 왕조 시대 IIIb기 파괴층을 엔샤쿠샨나의 공격과 연관 짓고 있으며, 고고학적 증거 또한 "초기 왕조 시대 IIIb기 말 키시 시의 광범위하고 폭력적인 파괴"를 뒷받침합니다. 이는 역사상 기록된 최초의 도시 파괴 명령으로 간주됩니다.
북부 지역에 대한 공격 외에도, 엔샤쿠샨나는 아카드를 공격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연호 중 하나는 "엔샤쿠샨나가 아카드를 물리친 해"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아카드 제국의 부상 직전에 일어난 사건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정복 활동을 통해 그는 막대한 공물을 획득했습니다.
2. 왕호 및 칭호
엔샤쿠샨나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된 독특한 왕호와 칭호를 통해 그의 권력과 지위를 드러냈습니다. 그는 특히 "国土の王"(国土の王국토의 왕일본어)이라는 독특한 왕호, 즉 '땅의 왕'이라는 칭호를 처음으로 사용한 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수메르어로 '엔 키엔기 루갈 칼람'(𒂗 𒆠𒂗𒄀 𒈗 𒌦수메르어, en ki-en-gi lugal kalam)이라는 칭호를 채택했는데, 이는 "수메르의 군주이자 모든 땅의 왕"으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이 칭호는 아마도 우루크 지역의 '엔'(EN엔수메르어)이자 우르 지역의 '루갈'(lugal루갈수메르어)이라는 의미를 내포했을 것입니다.
엔샤쿠샨나가 처음 사용한 "国土の王"이라는 칭호는 이후 수메르 전역을 통합하게 되는 루갈자게시와 아카드의 왕 사르곤 등 후대의 강력한 통치자들에 의해 계승되었습니다. 이 칭호는 궁극적으로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lugal ki-en-gi ki-uri루갈 키엔기 키우리수메르어)이라는 칭호로 발전했으며, 이는 메소포타미아 전체에 대한 왕권을 상징하게 되었습니다.
3. 수메르 왕명록과 연대기적 문제
엔샤쿠샨나는 수메르 왕명록에 우루크 제2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 학계에서는 그의 통치 시기와 수메르 왕명록 내에서의 위치에 대해 상당한 논쟁이 진행 중입니다.
수메르 왕명록의 저자는 우루크 제2왕조의 왕들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기록에 상당한 누락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됩니다. 과거에는 새로운 왕이 발견될 때마다 단순히 엔샤쿠샨나의 뒤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왕통보가 복원되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다른 견해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엔샤쿠샨나 시대와 아카드 제국의 사르곤 왕 재위 기간에 작성된 행정 문서에 동일 인물이 등장한다는 점, 그리고 엔샤쿠샨나 시대의 수메르어와 사르곤 시대의 수메르어 사이에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을 근거로, 수메르 왕명록의 기록 순서가 잘못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엔샤쿠샨나는 우루크 제2왕조의 후반기, 즉 아카드 제국 시대에 매우 근접한 시기의 왕일 가능성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루갈키살시와 루갈키긴네두두를 포함한 우루크 제2왕조 왕들의 즉위 순서에 대한 대대적인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4. 왕위 계승 및 정치적 맥락
엔샤쿠샨나의 왕위 계승은 불확실한 부분이 많으며, 그의 재위 이후 수메르의 헤게모니는 다른 도시 국가로 이전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엔샤쿠샨나의 뒤를 이어 우루크의 왕위는 기리메시 또는 루갈키니셰두두에게 계승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당시 수메르의 헤게모니는 라가시의 에안나툼에게로 넘어간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루갈키니셰두두는 에안나툼의 후계자인 엔테메나와 동맹을 맺고 라가시의 주요 라이벌이었던 움마에 대항했습니다. 이는 당시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들 간의 복잡한 정치적 관계와 동맹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5. 비문 및 유물
엔샤쿠샨나의 이름이 새겨진 여러 비문이 현재까지 알려져 있습니다. 이 비문들은 그의 통치와 가족 관계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가장 잘 알려진 유물 중 하나는 현재 러시아 연방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봉헌 석판입니다.

이 석판에는 다음과 같은 설형문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𒀭𒇽𒆪𒊏 / 𒂗𒊮
DLU2-KU-ra / en-sha3-kush2-an-na / en ki-en-gi / lugal kalam-ma / dumu e2-li-li-na#? / e2-ni mu-na-du3
이는 "알 수 없는 신을 위해: 수메르의 군주이자 모든 땅의 왕인 엔샤쿠샨나가 엘릴리나의 아들로서 그를 위한 신전을 지었다"라고 번역될 수 있습니다. 이 비문은 엔샤쿠샨나의 아버지가 "엘릴리나"였음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는 그가 우르의 왕 엘룰루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을 시사하는 학설의 근거가 되기도 합니다.
6. 평가
엔샤쿠샨나는 수메르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에 위치한 군주로 평가됩니다. 그의 업적과 영향력은 후대 통치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나, 그의 통치 방식과 연대기적 위치에 대한 논란도 존재합니다.
6.1. 역사적 의의 및 영향
엔샤쿠샨나의 가장 중요한 역사적 의의 중 하나는 "国土の王"(国土の王국토의 왕일본어)이라는 새로운 왕호, 즉 '땅의 왕'이라는 칭호를 처음으로 사용했다는 점입니다. 이 칭호는 이후 수메르와 아카드 전역의 지배를 상징하는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이라는 칭호의 전신이 되었으며, 루갈자게시와 사르곤과 같은 강력한 제국 건설자들이 이를 계승함으로써 그의 정치적 선견지명과 영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그가 키시를 파괴하도록 명령한 것은 역사상 기록된 최초의 도시 파괴 명령으로, 이는 고대 전쟁의 잔혹성과 승자의 지배 방식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로 남아 있습니다. 그의 광범위한 정복 활동과 수메르 전역에 대한 헤게모니 주장은 초기 메소포타미아의 정치적 통합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6.2. 비판 및 논란
엔샤쿠샨나의 통치 시기와 수메르 왕명록에서의 위치는 현대 학계에서 가장 큰 논쟁거리 중 하나입니다. 수메르 왕명록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그가 우루크 제2왕조의 첫 왕이 아니라 아카드 제국 시대에 더 가까운 시기의 인물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논쟁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연대기 연구의 복잡성을 잘 보여줍니다.
또한, 그가 내린 키시 도시 파괴 명령은 그의 강력한 통치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파괴 행위의 윤리적 측면과 그로 인한 인명 및 문화적 손실에 대한 잠재적인 비판의 여지를 남깁니다. "광범위하고 폭력적인 파괴"라는 고고학적 증거는 그의 군사적 성공 이면에 있는 잔혹성을 상기시킵니다. 이러한 행동은 후대 통치자들에게 전례를 제공했지만, 동시에 역사적 평가에서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