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초반 및 배경
에디슨 에르네스토 바리오스 카스티요는 1988년 10월 11일 베네수엘라 아라과 주 비야데쿠라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음악적 재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아버지는 봉고의 세미프로 연주자였고, 사촌은 전문 트럼펫 연주자이며, 두 명의 삼촌 또한 팀발레스와 색소폰 전문 연주자였다. 바리오스 자신도 봉고와 드럼 연주에 능숙하며, 야구를 그만두면 음악을 배우고 싶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또한, 그는 고국에서 식용으로 사육되는 카피바라를 특별한 날 즐겨 먹는 습관이 있으며, 그 맛이 악어와 비슷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2. 프로 경력
에디슨 바리오스는 2006년 피츠버그 파이리츠 산하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한 이래 일본의 독립 리그, NPB, 멕시코 리그 등 다양한 팀에서 활동하며 인상적인 기록을 남겼다. 그의 경력은 부상과 재기를 반복하며 여러 차례의 계약 및 재계약 과정을 거친 것이 특징이다.
2.1. 마이너 리그 및 독립 리그 시절
에디슨 바리오스는 프로 경력 초기에 미국 메이저 리그 산하 마이너 리그와 베네수엘라 및 일본의 독립 리그에서 경험을 쌓았다.
2.1.1. 피츠버그 파이리츠 산하 시절
바리오스는 2006년 피츠버그 파이리츠 산하의 베네수엘라 서머 리그 파이리츠 팀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2007년과 2008년 시즌에도 이 팀에서 활동하며 3년간 뛰었고, 이 기간 동안 모든 시즌에서 방어율 1점대를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보였다. 이후 그는 자유 계약 선수 신분이 되었다.
2.1.2. 베네수엘라 윈터리그 시절
바리오스는 2009년부터 2년 연속으로 베네수엘라 프로페셔널 야구 리그의 윈터 리그에 참여하여 몇 경기에 등판했으나, 이 시기에는 눈에 띄는 성적을 기록하지 못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자유 계약 선수가 된 2011년 오프 시즌에도 베네수엘라 윈터 리그에 참가하여 구원 투수로 7.2이닝 동안 방어율 3.52를 기록했다. 2014년 오프 시즌에도 그는 모국의 윈터 리그에 참여하여 6경기에 출전(1경기 선발)하여 방어율 3.46, WHIP 2.08을 기록했다.
2.1.3. 간사이 독립리그 고베 선즈 시절
2011년, 바리오스는 그 해 간사이 독립리그 (초대)에 새로 합류한 고베 선즈에 입단하여 4월 24일 팀에 합류했다. 그는 주로 선발 투수로 활동하며 전반기에 최다승과 베스트 나인을 수상하여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당시 그의 방어율은 1.66으로, 리그 4위를 기록했다.
2.2. 일본 프로 야구 (NPB) 시절
바리오스는 NPB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소속으로 활약하며 부상과 재기를 거듭하는 인상적인 경력을 쌓았다.
2.2.1.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1-2016)
바리오스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2011년 시즌 중 입단하여 2016년 시즌 종료 시점까지 활동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부상과 육성 선수 계약, 지배하 선수 등록 등 여러 변화를 겪었다.
2.2.2. 도야마 GRN 썬더버즈 (2017)
2017년 3월 6일, 에디슨 바리오스는 BC 리그의 도야마 GRN 썬더버즈에 입단했다.
2.2.3.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18-2019)
2017년 11월 10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는 에디슨 바리오스와의 계약 합의를 발표했다. 계약 연봉은 약 2000.00 만 JPY (추정)였으며, 등번호는 42번으로 결정되었다.
2018년, 그는 4월 7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이적 후 첫 승리를 거두었다. 시즌 종료 시점에는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해 단 2승만을 기록했지만, 방어율 3.33과 WHIP 1.19 등 선발 투수와 구원 투수로서 인상적인 존재감을 보여주었다.
2019년 시즌 개막부터 바리오스는 부진을 겪기 시작했고, 2군에서도 불안정한 투구를 이어갔다. 1군에서는 단 3경기에만 선발 등판하는 데 그쳤다. 시즌 종료 후 구단은 그에게 2020년 시즌 계약을 보류하겠다는 통보를 했다.
2.3. 멕시칸 리그 시절
2020년 4월 2일, 에디슨 바리오스는 멕시칸 리그의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와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멕시칸 리그 시즌이 취소되면서, 바리오스는 2020년에 공식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9월 7일, 그는 소속팀에서 방출되며 자유 계약 선수 신분이 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
에디슨 바리오스는 강속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변화구를 구사하는 투수이다. 고베 선즈 시절 그의 직구 최고 구속은 148 km/h, 평균 구속은 146 km/h였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이적 후 2군 첫 등판에서는 최고 구속 152 km/h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는 포심 패스트볼과 투심 패스트볼을 모두 구사하며, 타자의 몸쪽을 과감하게 공략하는 강한 투구를 선보인다. 2015년 5월, 구도 기미야스 감독은 바리오스가 일본인 투수처럼 하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실제 구속보다 공이 더 빠르게 느껴진다고 평가했다.
변화구로는 NPB 이적 전부터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을 던졌으며, NPB 이적 후에는 포크볼을 연마하고 커트 패스트볼을 새로 익혔다. 또한, 너클 커브도 구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2년 캠프에서 아키야마 고지 감독은 그의 투구가 단조롭다고 평가한 바 있다.
4. 개인적인 면모
에디슨 바리오스는 그라운드 밖에서도 여러 흥미로운 일화와 친화적인 성격을 보여주었다.
4.1. 가족 관계 및 취미
바리오스는 토미 존 수술을 받을 당시 가족들을 베네수엘라에 둔 채 일본에서 홀로 재활 과정을 거쳤다. 2013년 7월 지배하 등록이 된 후 그는 기숙사를 나와 아내와 1살 된 아들 에딕손(Edixon)과 함께 생활하기 시작했다. 그의 가족은 아버지가 봉고의 세미프로 연주자였고, 사촌은 전문 트럼펫 연주자, 두 명의 삼촌은 팀발레스와 색소폰 전문 연주자일 정도로 음악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바리오스 본인도 봉고와 드럼 연주에 소질이 있으며, 야구 선수 생활을 마친 후에는 음악을 배우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또한, 그는 고국에서 식용으로 길러지는 카피바라를 특별한 날 즐겨 먹는 독특한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데, 그 맛이 악어와 비슷하다고 표현했다.
4.2. 대인 관계 및 언어 능력
바리오스는 베네수엘라에서 활동하던 시절 알렉스 카브레라의 아들과 배터리를 이룬 경험이 있으며, 이후 알렉스 카브레라 본인과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동료로 함께 뛰게 되었다. 후쿠오카로 이주한 후에도 그는 이적 첫 해 고베 선즈의 스태프에게 거의 매일 전화하며 관계를 이어갔다. 오프 시즌에는 이전에 자신이 소속되었던 모국의 자택 근처 야구 아카데미에서 훈련을 계속했다.
소프트뱅크의 사이토자키 기숙사에 머무는 동안, 그는 통역 없이 젊은 선수들로부터 일본어를 열심히 배우며 히라가나를 읽을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 히어로 인터뷰 등에서는 스페인어 악센트가 있는 영어로 대화한다. 그는 왕정치 구단 회장과 매년 캠프에서 식사를 함께하며 야구에 대한 생각과 다양한 경험을 경청하며 자신의 성장에 자양분으로 삼았다. 특히 2015년 그가 일본 프로 야구 연속 홀드 기록과 타이 기록을 세운 날이 왕 회장의 생일이어서, 일본어로 축하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2015년 5월 22일부터 6월 24일까지 4차례나 홀드에 실패하며 부진했을 때, 선발 로테이션에서 셋쓰 다다시와 오토나리 겐지 두 명의 선발 투수가 이탈하고, 외국인 선발 투수 릭 밴덴헐크가 방어율 2.08로 2승 무패의 호투를 이어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구도 기미야스 감독은 "투구 내용이 나빠진 것이 아니다. (바리오스의 재조정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의 활약을 생각하면 보호해 주고 싶다"고 발언하며 그를 1군 등록 명단에서 말소하지 않는 등 강한 신뢰를 보여주었다.
5. 상세 기록 및 수상 내역
에디슨 바리오스의 프로 야구 경력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 기록과 주요 기록, 그리고 사용했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5.1. 연도별 투수 성적
일본 프로 야구 (NPB)
연도 | 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볼넷 | 승리 | 패배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 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방어율 | 탈삼진율 | WHIP |
---|---|---|---|---|---|---|---|---|---|---|---|---|---|---|---|---|---|---|---|---|---|---|---|---|---|---|
2013 | 소프트뱅크 | 3 | 3 | 0 | 0 | 0 | 2 | 1 | 0 | 0 | .667 | 63 | 13.2 | 18 | 1 | 5 | 0 | 1 | 8 | 2 | 0 | 7 | 7 | 4.61 | 5.27 | 1.69 |
2014 | 소프트뱅크 | 2 | 0 | 0 | 0 | 0 | 0 | 0 | 0 | 0 | ---- | 12 | 2.2 | 3 | 0 | 2 | 0 | 0 | 3 | 0 | 0 | 1 | 1 | 3.38 | 10.13 | 1.88 |
2015 | 소프트뱅크 | 30 | 0 | 0 | 0 | 0 | 0 | 2 | 1 | 20 | .000 | 152 | 34.0 | 37 | 1 | 16 | 2 | 3 | 34 | 1 | 1 | 15 | 12 | 3.18 | 9.00 | 1.56 |
2016 | 소프트뱅크 | 11 | 0 | 0 | 0 | 0 | 0 | 2 | 0 | 3 | .000 | 60 | 12.2 | 20 | 1 | 5 | 2 | 0 | 16 | 1 | 1 | 11 | 11 | 7.82 | 11.37 | 1.97 |
2018 | DeNA | 14 | 10 | 0 | 0 | 0 | 2 | 5 | 0 | 0 | .286 | 228 | 54.0 | 52 | 1 | 12 | 0 | 2 | 39 | 2 | 1 | 23 | 20 | 3.33 | 6.50 | 1.19 |
2019 | DeNA | 3 | 3 | 0 | 0 | 0 | 1 | 2 | 0 | 0 | .333 | 66 | 14.2 | 12 | 0 | 10 | 1 | 2 | 11 | 0 | 0 | 8 | 7 | 4.30 | 6.75 | 1.50 |
통산 (6년) | 63 | 16 | 0 | 0 | 0 | 5 | 12 | 1 | 23 | .294 | 581 | 131.2 | 142 | 4 | 50 | 5 | 8 | 111 | 6 | 3 | 65 | 58 | 3.96 | 7.59 | 1.46 |
- 2021년 시즌 종료 시점 기준
독립 리그 투수 성적
연도 | 팀 | 등판 | 승리 | 패배 | 세이브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방어율 | 탈삼진율 | WHIP |
---|---|---|---|---|---|---|---|---|---|---|---|---|---|---|---|---|---|---|---|---|
2011 | 고베 | 9 | 6 | 1 | 0 | .857 | 202 | 48.2 | 37 | 0 | 22 | 1 | 38 | 3 | 1 | 14 | 9 | 1.66 | 7.03 | 1.23 |
2017 | 도야마 | 18 | 10 | 4 | 0 | .714 | 386 | 97.1 | 73 | 1 | 29 | 5 | 103 | 6 | 0 | 18 | 15 | 1.39 | 9.52 | 1.05 |
통산 (2년) | 27 | 16 | 5 | 0 | .762 | 588 | 146.0 | 110 | 1 | 51 | 6 | 141 | 9 | 1 | 32 | 24 | 1.48 | 8.69 | 1.10 |
5.2. 주요 기록
5.2.1. 일본 프로 야구 (NPB)
; 첫 기록
- 첫 등판, 첫 선발 등판, 첫 승리, 첫 선발 승리: 2013년 8월 18일,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전 ((오비히로노모리 야구장)), 5이닝 2실점
- 첫 탈삼진: 상동, 1회 말 미첼 아브레우에게 루킹 삼진
- 첫 홀드: 2015년 3월 28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전 ((후쿠오카 야후 돔)), 8회 초 2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 첫 세이브: 2015년 6월 23일,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전 ((사이타마 현영 오미야 공원 야구장)), 7회 말 2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 8회 초 도중 강우 콜드 게임
; 기타 기록
- 17경기 연속 홀드: 2015년 ※ 후지카와 규지와 동률의 NPB 타이 기록
5.3. 등번호
에디슨 바리오스는 프로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등번호를 사용했다.
- 34 (2011년 ~ 2011년 7월 28일, 2017년)
- 69 (2011년 7월 29일 ~ 2011년 시즌 종료)
- 142 (2012년 ~ 2013년 7월 30일, 2015년 1월 7일 ~ 2015년 3월 23일)
- 7 (2013년 7월 31일 ~ 2013년 시즌 종료)
- 67 (2014년)
- 65 (2015년 3월 24일 ~ 2016년)
- 42 (2018년 ~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