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1.1. 출생 및 성장 환경
에드워드 스튜어트 플랭크는 1875년 8월 31일 펜실베이니아주 게티즈버그 근처의 한 농장에서 태어났다. 그는 마사 매크리어리와 데이비드 플랭크 사이에서 태어난 일곱 자녀 중 넷째였다. 그의 아버지는 게티즈버그에서 학교 이사이자 세금 징수원으로 일했다. 어린 시절 플랭크는 야구를 하지 않았으며, 17세가 되어서야 게티즈버그 지역의 지역 팀에서 야구를 시작했다. 그는 헛간 문에 야구공을 던지며 투구 연습을 했고, 이로 인해 헛간 문에 많은 흠집을 남겨 아버지에게 꾸중을 듣기도 했다.
1.2. 교육 및 야구 입문
플랭크는 게티즈버그 칼리지와 연관된 예비 학교인 게티즈버그 아카데미에 다녔다. 그는 게티즈버그 칼리지에 정식으로 등록된 적은 없었지만, 이따금 역사책에 그가 게티즈버그 칼리지를 졸업했다고 잘못 기재되기도 한다. 그가 약 22세가 되었을 때, 게티즈버그 칼리지의 투수 코치였던 프랭크 포먼이 그에게 학교 야구팀 입단 테스트를 제안했고, 이를 통해 플랭크는 선수 경력의 기초를 다지게 되었다.
2. 선수 경력
2.1. 마이너 리그 및 메이저 리그 데뷔
1900년, 플랭크는 마이너 리그인 버지니아 리그의 리치먼드 콜츠와 계약했다. 그러나 리그가 해체되면서 그는 콜츠에서 투구할 기회를 얻지 못했다. 이듬해 5월, 프랭크 포먼은 플랭크를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의 코니 맥 감독에게 추천했고, 맥 감독은 플랭크의 투구를 보고 계약을 체결했다.
플랭크는 1901년 5월 13일 애슬레틱스 소속으로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신인 시즌에 그는 32경기 선발 등판하여 28번의 완투를 기록하며 17승 13패, 3.31의 평균자책점으로 좋은 활약을 펼쳤다.
2.2.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시절
플랭크는 1902년에 처음으로 20승을 달성하며 20승 15패, 3.3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고, 팀은 아메리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애슬레틱스에서는 루브 와델만이 그보다 더 많은 승리를 거두었다. 1903년에는 23승을 기록하며 아메리칸 리그에서 가장 많은 경기에 선발 등판했다. 그는 1914년까지 애슬레틱스에서 7번의 20승 이상 시즌을 기록하며 리그에서 가장 꾸준한 투수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그의 평균자책점은 데뷔 후 첫 두 시즌을 제외하고는 은퇴할 때까지 2점대를 유지했다.
플랭크는 애슬레틱스 소속으로 5번의 월드 시리즈에 진출했다.
- 1905년 월드 시리즈: 그는 크리스티 매튜슨과 조 맥기니티를 상대하며 17이닝 동안 단 3점만을 내줬지만, 애슬레틱스는 뉴욕 자이언츠에게 5경기에서 패했고, 시리즈 내내 단 한 점의 자책점도 기록하지 못했다.
- 1910년 월드 시리즈: 애슬레틱스는 다시 월드 시리즈에 진출했지만, 플랭크는 팔 부상으로 인해 출전하지 못했다. 당시 언론에서는 그가 등판할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기도 했다.
- 1911년 월드 시리즈: 애슬레틱스는 다시 자이언츠와 맞붙었다. 플랭크는 2차전에서 승리했고 5차전에서는 구원 등판하여 패했지만, 애슬레틱스는 6경기 만에 시리즈를 우승했다.
- 1913년 월드 시리즈: 애슬레틱스와 자이언츠가 다시 월드 시리즈에서 만났고, 플랭크는 2차전과 5차전에서 매튜슨과 대결했다. 2차전에서는 매튜슨이 플랭크를 상대로 10회에 안타를 쳐 자이언츠의 승리를 이끌었지만, 5차전에서는 플랭크와 애슬레틱스가 매튜슨을 3대1로 꺾고 시리즈를 우승했다.
- 1914년 월드 시리즈: 필라델피아에서의 마지막 해에 플랭크는 다시 월드 시리즈에 진출했다. 그는 2차전에서 완투했지만 1대0으로 패했고, 보스턴 브레이브스가 4경기 만에 시리즈를 우승했다.
플랭크는 월드 시리즈 6번의 선발 등판에서 모두 완투를 기록했다. 그는 루브 와델이나 치프 벤더와 같은 다른 애슬레틱스 투수들에 비해 조용한 성격으로 언론의 주목을 덜 받았지만, 이들보다 더 많은 승리를 거두었다. 1911년에는 플랭크가 1901년 팀의 유일한 원년 멤버로 남아있었다.

2.3. 연방 리그 및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시절
1914년 11월, 플랭크가 뉴욕 하이랜더스로 트레이드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12월에는 연방 리그에서 뛰기로 계약했다. 코니 맥 감독은 플랭크의 이적에 대해 "그에게 행운이 있기를 바란다... 나는 그와의 관계가 끝났다. 그는 돈을 쫓았다. 그는 훌륭한 투수였고 여전히 좋은 투수다"라고 언급하며 아쉬움을 드러내지 않았다. 플랭크는 연방 리그의 세인트루이스 테리어스에서 뛰며 21승을 기록, 개인 통산 8번째이자 마지막 20승 시즌을 달성했다. 일부 야구 기록에서는 연방 리그를 메이저 리그로 인정하지 않아, 플랭크의 20승 시즌을 7회, 총 승수를 305승으로 기록하기도 한다.
연방 리그가 해체된 후, 플랭크는 자유 계약을 신청했지만 1916년 시즌에는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소속으로 뛰게 되었다. 1916년 9월, 플랭크는 "올 시즌 공에 더 힘이 실렸는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예전만큼의 실력을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고 말하며 10시즌 더 뛸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1917년 6월, 언론은 플랭크의 경력이 거의 끝났다고 보도했다. 그는 팔 부상으로 고생했고, 한때는 신경쇠약으로 인해 팀을 떠나기도 했다.
플랭크는 1917년 10월, 야구로 인한 스트레스로 위장 문제가 발생했다며 은퇴를 선언했다. 그의 마지막 경기는 1917년 8월 6일 월터 존슨이 이끄는 워싱턴 세너터스와의 경기에서 1대0으로 11회 완투패를 기록한 것이었다. 은퇴 선언에도 불구하고, 뉴욕 양키스는 어반 쇼커, 닉 컬롭, 프리츠 마이젤, 조 기디언, 레스 누나메이커와 현금을 브라운스에 내주고 플랭크와 델 프랫을 영입하는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그러나 플랭크는 은퇴를 고수하며 뉴욕으로 합류하기를 거부했다.
플랭크는 통산 326승 194패, 2.35의 평균자책점, 2,246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그는 아메리칸 리그에서 305승을 거두어 리그 역대 최다승 좌완 투수가 되었다. 1962년 워렌 스판이 327번째 승리를 거두기 전까지 그는 야구 역사상 가장 많은 승리를 거둔 좌완 투수였다. 또한 1921년 월터 존슨에게 추월당하기 전까지 아메리칸 리그에서 가장 많은 승리를 거둔 투수(좌완 및 우완 포함)였다.
3. 투구 스타일 및 특징
3.1. 투구 메커니즘 및 구종
플랭크는 뛰어난 기교파 투수로, 좋은 사이드암 투구 자세와 크게 휘어지는 커브볼을 주무기로 삼았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구종은 "크로스-파이어"라는 별명을 가졌다. 이 공은 몸을 가로질러 던져져 홈 플레이트에 비스듬한 각도로 도달했기 때문에 타자들이 공략하기 어려웠으며, 특히 좌타자들에게는 더욱 까다로웠다.
3.2. 타격 능력
플랭크는 투수임에도 불구하고 타격에도 능했다. 그는 통산 1,607타수 331안타, 3개의 홈런, 122개의 타점을 기록하며 .206의 타율을 올렸다. 또한 통산 수비율은 .971로, 1901년부터 1917년까지 아메리칸 리그 투수 평균보다 28포인트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3.3. 경기 운영 방식
플랭크는 투구하기 전 마운드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으로 유명했으며, 때로는 공을 던지기 전에 야구공에 말을 걸기도 했다. 이러한 독특한 행동은 상대 타자들의 신경을 거슬리게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의 꾸준한 경기력과 강한 직업 윤리 덕분에 코니 맥 감독은 그를 자주 기용했는데, 이것이 플랭크가 선수 경력 내내 팔 부상에 시달렸던 이유 중 하나이기도 했다. 또한 플랭크는 마운드에서 투구 간격이 매우 길기로 유명했는데, 일부에서는 그가 등판하는 경기의 시간이 길어지는 원인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는 통산 몸에 맞는 공이 190개로, 월터 존슨에 이어 메이저 리그 역대 2위를 기록할 정도로 많았다.
4. 개인사
4.1. 가족 관계
플랭크는 1915년 애나 마이어스와 결혼하여 에드워드 스튜어트 플랭크 주니어라는 아들을 두었다. 야구 역사가 프랭크 루소에 따르면, 그는 "찾을 수 있는 가장 견실한 가장"이었다. 플랭크의 형인 이라 플랭크는 20년 이상 게티즈버그 칼리지의 야구 코치를 지냈다.
4.2. 사생활
플랭크는 본래 친근한 성격으로, 애슬레틱스 팀의 신인 투수들을 멘토링하는 이례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팀의 마스코트였던 척추후만증 환자 루이스 반 젤스트와도 친분을 쌓았다. 그는 프리메이슨이었으며, 게티즈버그의 굿 사마리탄 로지 336호의 회원이었다. 현역 시절 비시즌에는 게티즈버그 전적지 공원의 투어 가이드로 일하기도 했다.
5. 은퇴 후 삶 및 사망
5.1. 은퇴 후 활동
은퇴 후 플랭크는 게티즈버그에 뷰익 자동차 대리점을 열었다. 1918년 시즌에는 산업 야구 리그인 베들레헴 스틸 리그의 스틸턴 클럽에서 투구했다. 스틸턴은 그의 집에서 약 64374 m (40 mile)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어, 주중에는 사업을 운영하면서도 야구를 할 수 있었다.
5.2. 사망
플랭크는 은퇴 후 건강이 좋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1926년 2월 22일, 그의 아내는 잠에서 깨어나 남편이 뇌졸중으로 인해 왼쪽 몸이 마비되고 언어 장애를 겪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플랭크의 집에 도착한 가족 주치의와 그의 아내는 그를 병원으로 옮기는 대신 그 자리에서 치료하기로 결정했다. 플랭크는 잠시 회복의 기미를 보였지만, 곧 의식을 잃는 발작을 시작했다. 그는 말을 할 수 없게 되었고, 24일에는 아무도 그의 회복을 기대하지 않았다. 그는 그날 오후 2시 49분에 사망했다.
사망 이틀 후, 플랭크의 장례식은 게티즈버그의 제일 장로교회에서 거행되었다. W. C. 스페이스 목사는 추도사에서 "에디는... 그의 남성다움에 충실했고, 부모님께 충실했으며, 아내와 가정에 충실했고, 하나님과 교회에 충실했습니다. 어떤 사람에 대해 이보다 더 좋은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했다. 그는 게티즈버그의 에버그린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아내 애나는 1955년에 사망할 때까지 29년을 더 살았다.
플랭크의 사망 소식을 들은 코니 맥 감독은 마치 아들을 잃은 아버지와 같은 심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에디 플랭크는 제가 클럽에 두었던 가장 똑똑한 좌완 투수 중 한 명이었습니다. 투수로서는 키가 작고 몸무게가 덜 나갔지만, 만약 그것이 신체적 결함이었다면, 그는 경기에 대한 연구와 투구할 때의 영리함으로 그러한 결함을 보완했습니다"라고 회고했다. 전 팀 동료 잭 쿰스는 "대부분의 야구 선수들이 현재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었던 시절에, 그렇게 영감을 주는 사람과 친밀하게 접촉할 수 있었다는 것에 항상 감사하게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6. 평가 및 유산
6.1. 동시대 및 역사적 평가
1943년, 전 팀 동료 에디 콜린스는 플랭크를 야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투수라고 회고했다. 콜린스는 "가장 빠르지도, 가장 교묘하지도, 가장 많은 구종을 가진 것도 아니었지만, 그저 가장 위대했다"고 말했다. 베이브 루스는 그를 가장 치기 어려운 투수로 생각했고, 타이 콥은 그를 자신의 올타임 팀에 선정했다. 그는 1946년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1972년에는 펜실베이니아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선정되었다.
6.2. 기념 사업 및 영향
게티즈버그 칼리지는 플랭크 사망 직후 그의 이름을 딴 에디 플랭크 기념 체육관 건립을 계획했다. 이 체육관은 1927년에 완공되어 1962년까지 농구와 레슬링과 같은 실내 스포츠 경기에 사용되었다. 게티즈버그 시내의 한 레스토랑은 플랭크의 선수 경력을 기리고 있다. 플랭크의 어린 시절 농장 부지 일부는 현재 플랭크스 필드라는 주택 단지로 개발되었다. 그는 1949년 오그덴 내쉬의 시 "어제를 위한 라인업"에도 언급되었다. 이 시에서는 'P는 플랭크, 애슬레틱스의 팔; 그가 매티와 얽혔을 때, 경기는 며칠간 이어졌네.'라고 묘사되었다.
2000년 8월 31일, 펜실베이니아주 게티즈버그의 칼라일 스트리트와 웨스트 링컨 애비뉴 교차로에 에디 플랭크를 기리는 역사 표지판이 세워졌다.
q=39.83635,-77.23134|position=right
2006년, 플랭크의 모습이 담긴 T206 담배 카드는 "현존하는 두 번째로 가치 있는 카드"로 평가받았다. 이 카드는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구단주 켄 켄드릭이 소유하고 있으며, 켄드릭이 야구 명예의 전당에 전시를 위해 대여한 컬렉션의 일부이다. 현존하는 가장 가치 있는 야구 카드인 T206 호너스 와그너 카드 또한 같은 컬렉션에 포함되어 있다. 로렌스 크노르가 쓴 에디 플랭크의 첫 번째 전기인 『게티즈버그 에디: 에디 플랭크 이야기』는 2018년 선버리 프레스에서 출판되었다.
7. 통계 자료
7.1.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팀 | 경기 | 선발 | 완투 | 완봉 | 세이브 | 승 | 패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몸에 맞는 공 | 폭투 | 탈삼진 | WHIP | 평균자책점 |
---|---|---|---|---|---|---|---|---|---|---|---|---|---|---|---|---|---|---|---|---|
1901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33 | 32 | 28 | 1 | 1 | 17 | 13 | 0 | .567 | 1081 | 260.2 inning | 254 | 3 | 68 | 7 | 13 | 90 | 1.24 | 3.31 |
1902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36 | 32 | 31 | 5 | 1 | 20 | 15 | 0 | .571 | 1248 | 300 inning | 319 | 5 | 61 | 18 | 4 | 107 | 1.27 | 3.30 |
1903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43 | 40 | 33 | 4 | 3 | 23 | 16 | 0 | .590 | 1363 | 336 inning | 317 | 5 | 65 | 23 | 8 | 176 | 1.14 | 2.38 |
1904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44 | 43 | 37 | 7 | 1 | 26 | 17 | 0 | .605 | 1427 | 357.1 inning | 311 | 2 | 86 | 19 | 6 | 201 | 1.11 | 2.17 |
1905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41 | 41 | 35 | 4 | 3 | 24 | 12 | 0 | .667 | 1362 | 346.2 inning | 287 | 3 | 75 | 24 | 9 | 210 | 1.04 | 2.26 |
1906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26 | 25 | 21 | 5 | 1 | 19 | 6 | 0 | .760 | 831 | 211.2 inning | 173 | 1 | 51 | 15 | 1 | 108 | 1.06 | 2.25 |
1907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43 | 40 | 33 | 8 | 4 | 24 | 16 | 0 | .600 | 1349 | 343.2 inning | 282 | 5 | 85 | 17 | 5 | 183 | 1.07 | 2.20 |
1908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34 | 28 | 21 | 4 | 5 | 14 | 16 | 1 | .467 | 956 | 244.2 inning | 202 | 1 | 46 | 9 | 7 | 135 | 1.01 | 2.17 |
1909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34 | 33 | 24 | 3 | 2 | 19 | 10 | 0 | .655 | 1028 | 265.1 inning | 215 | 1 | 62 | 8 | 4 | 132 | 1.04 | 1.76 |
1910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38 | 32 | 22 | 1 | 2 | 16 | 10 | 2 | .615 | 982 | 250.1 inning | 218 | 3 | 55 | 8 | 5 | 123 | 1.09 | 2.01 |
1911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40 | 30 | 24 | 6 | 0 | 23 | 8 | 4 | .742 | 1020 | 256.2 inning | 237 | 2 | 77 | 14 | 5 | 149 | 1.22 | 2.10 |
1912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37 | 30 | 23 | 5 | 0 | 26 | 6 | 2 | .813 | 1044 | 259.2 inning | 234 | 1 | 83 | 6 | 5 | 110 | 1.22 | 2.22 |
1913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41 | 30 | 18 | 7 | 3 | 18 | 10 | 4 | .643 | 931 | 242.2 inning | 211 | 3 | 57 | 5 | 5 | 151 | 1.10 | 2.60 |
1914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34 | 22 | 12 | 4 | 1 | 15 | 7 | 3 | .682 | 717 | 185.1 inning | 178 | 2 | 42 | 6 | 4 | 110 | 1.19 | 2.87 |
1915 | 세인트루이스 테리어스 | 42 | 31 | 23 | 6 | 5 | 21 | 11 | 3 | .656 | 1028 | 268.1 inning | 212 | 1 | 54 | 3 | 4 | 147 | 0.99 | 2.08 |
1916 |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 37 | 26 | 17 | 3 | 2 | 16 | 15 | 3 | .516 | 930 | 235.2 inning | 203 | 2 | 67 | 6 | 2 | 88 | 1.15 | 2.33 |
1917 |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 20 | 14 | 8 | 1 | 2 | 5 | 6 | 1 | .455 | 506 | 131 inning | 105 | 2 | 38 | 2 | 1 | 26 | 1.09 | 1.79 |
통산 (17년) | 623 | 529 | 410 | 69 | 41 | 326 | 194 | 23 | .627 | 17803 | 4495.2 inning | 3958 | 42 | 1072 | 190 | 88 | 2246 | 1.12 | 2.35 |
7.2. 주요 기록 및 업적
- 통산 승리 수: 326승 (역대 13위, 좌완 역대 3위)
- 완봉 수: 69개 (역대 5위, MLB 좌완 최다)
- 통산 몸에 맞는 공: 190개 (역대 5위)
- 월드 시리즈 출전: 4회 (1905년, 1911년, 1913년, 1914년)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 센추리 팀 후보 지명 (1999년)
- 좌완 투수 최초 통산 200승 달성 (1910년)
- 좌완 투수 최초 통산 300승 달성 (1915년)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구단 통산 기록 (모두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시절 기록)
- 평균자책점: 2.49 (투구 이닝 500이닝 이상 기준 역대 4위)
- 승리 수: 284승 (역대 1위)
- 등판 수: 524경기 (역대 2위)
- 투구 이닝: 3860.2 inning (역대 1위)
- 탈삼진: 1985개 (역대 1위)
- 선발 등판 수: 458경기 (역대 1위)
- 완투 수: 362개 (역대 1위)
- 완봉 수: 59개 (역대 1위)
7.3. 타격 성적
- 통산 성적: 629경기 출전, 1607타수 331안타, 3홈런, 122타점, 타율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