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초반
양창섭은 어린 시절부터 야구에 두각을 나타냈으며, 학업과 야구 생활을 병행하며 성장했다.
1.1. 출생 및 유년기
양창섭은 1999년 9월 22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노원구 리틀 야구단에서 활동하며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한일전에서 선발 투수로 활약하는 등 일찍이 재능을 보였다. 이후 청량중학교에 진학하여 팀의 에이스로 활약했다.
1.2. 학력
양창섭은 다음 교육 기관을 거쳤다.
- 서울녹천초등학교 (노원구리틀 야구단 소속)
- 서울 청량중학교
- 덕수고등학교
2. 아마추어 경력
양창섭은 학창 시절부터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한국 야구계의 유망주로 큰 기대를 모았다.
2.1. 고교 야구 활동
덕수고등학교 1학년 때는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으나, 2학년 때부터 팀의 에이스이자 전국구 에이스로 급부상하며 팀을 이끌었다. 2학년 시절 덕수고등학교를 황금사자기와 청룡기에서 우승으로 이끌며 팀의 핵심 전력임을 입증했다. 3학년 때도 역시 팀의 에이스로 활약하며 황금사자기 우승을 견인했으며, 이후 경기에는 체력 안배 차원에서 많은 경기에 나서지 않았다.
2.2. 청소년 국가대표
고교 2학년 시절 청소년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활약했으며, 2016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와 2017년 제28회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에이스로 맹활약했다. 이 활약 덕분에 2018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2순위라는 높은 순위로 지명되는 발판을 마련했다.
3. 프로 경력
2018년 KBO 리그에 데뷔한 양창섭은 뛰어난 활약을 보였으나, 부상과 병역 의무 이행으로 경력의 전환점을 맞았다.
3.1. KBO 리그 드래프트 및 입단
양창섭은 2018년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1라운드(전체 2순위)로 삼성 라이온즈에 지명되었다. 그는 계약금 2.60 억 KRW, 연봉 2700.00 만 KRW에 계약하며 프로 무대에 첫발을 내디뎠다.
3.2. 2018 시즌 데뷔 및 활약
프로 입단 후 스프링캠프에는 신인 중 최채흥 선수와 함께 참가하여 주목받았다. 애초에는 고졸 신인으로 불펜으로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스프링캠프 기간 동안 5선발 후보였던 최채흥 선수가 6이닝 14실점으로 부진한 반면, 양창섭은 7이닝 1실점, 평균자책점 0으로 호투하며 5선발 후보로 급부상했다.
2018년 3월 13일 KT 위즈와의 시범 경기 개막전에 선발 등판하여 4이닝 4볼넷, 3탈삼진을 기록했으며, 특히 고교 시절 라이벌이자 주목받는 신인이었던 강백호 선수와의 맞대결에서 강한 모습을 보였다. 시범 경기 후 4선발로 낙점되었다.
2018년 3월 28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 선발 등판하며 대망의 데뷔 첫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에서 6이닝 무실점으로 퀄리티 스타트(QS)를 기록하며 데뷔 첫 승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KBO 리그 역대 6번째 고졸 신인 데뷔 전 선발 승리였으며, 역대 최연소 데뷔 전 선발 승리(만 18세 6개월 6일)라는 진기록을 세웠다.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유독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기아만 만나면 쌩쌩하다'는 의미의 '기나쌩'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시즌 후반에는 불펜으로 등판하여 팀에 기여했다.
3.3. 부상 및 재활
2019년 스프링캠프에서 팔꿈치 통증을 호소했으며, 정밀 검진 결과 수술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2019년 3월 12일 토미 존 서저리(팔꿈치 인대 접합 수술)와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동시에 받으며 2019 시즌을 마감했다. 이후 장기간에 걸친 힘든 재활 기간을 거치며 복귀를 준비했다.
3.4. 병역 의무 이행
양창섭은 2023년 8월 1일 상근예비역으로 입대하여 병역 의무를 이행하고 있다.
3.5. 이후 시즌 활동
2019년의 수술과 재활을 거친 후,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꾸준히 복귀하여 마운드에 올랐다. 이 기간 동안 선발과 불펜을 오가며 팀의 마운드에 힘을 보탰다.
4. 통산 기록
양창섭 선수의 KBO 리그 정규 시즌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18 | 삼성 | 5.05 | 19 | 0 | 0 | 7 | 6 | 0 | 0 | 0.538 | 400 | 87⅓ | 100 | 12 | 34 | 10 | 49 | 52 | 49 |
2020 | 2.70 | 7 | 0 | 0 | 0 | 0 | 0 | 0 | - | 29 | 6⅔ | 6 | 1 | 3 | 0 | 4 | 2 | 2 | |
2021 | 6.60 | 6 | 0 | 0 | 1 | 1 | 0 | 1 | 0.400 | 73 | 15 | 21 | 3 | 8 | 0 | 13 | 11 | 11 | |
2022 | 9.82 | 2 | 0 | 0 | 2 | 3 | 0 | 0 | - | 96 | 20⅓ | 24 | 3 | 12 | 1 | 10 | 19 | 19 | |
2023 | 9.10 | 15 | 0 | 0 | 0 | 3 | 0 | 2 | 0.000 | 141 | 28⅔ | 45 | 7 | 16 | 1 | 12 | 29 | 29 | |
통산 | 5시즌 | 6.27 | 56 | 0 | 0 | 10 | 13 | 0 | 3 | 0.476 | 739 | 158 | 196 | 26 | 85 | 12 | 88 | 113 | 110 |
5. 플레이 스타일 및 평가
양창섭은 학창 시절부터 뛰어난 제구력과 강한 투구를 바탕으로 팀의 에이스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고교 시절 라이벌이었던 강백호 선수와의 대결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고, 프로 데뷔 후 KIA 타이거즈를 상대로 압도적인 투구를 선보여 '기나쌩'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는 그의 특정 팀 및 타자와의 대결에서 발휘되는 집중력과 승부욕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6. 수상 경력
양창섭은 아마추어 및 프로 경력을 통틀어 다음과 같은 주요 상을 수상했다.
- 2014년 전국 중학 야구 선수권 대회 최우수 선수상
- 2016년 황금사자기 전국 고교 야구 대회 겸 주말 리그 왕중왕전 최우수 선수상
- 2016년 청룡기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 대회 겸 주말 리그 왕중왕전 우수 투수상
- 2017년 황금사자기 전국 고교 야구 대회 겸 주말 리그 왕중왕전 최우수 선수상 (황금사자기 역대 2번째 2년 연속 최우수 선수상 수상)
7. 같이 보기
- KBO 리그
- 삼성 라이온즈
- 투수
- 토미존 서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