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아르투르 아르투로비치 드미트리예프(Artur Arturovich Dmitriev, Артур Артурович Дмитриев아르투르 아르투로비치 드미트리예프러시아어; 1992년 9월 7일 출생)는 러시아 태생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현재 미국을 대표하여 출전하고 있다. 그는 2015년 ISU 챌린저 시리즈 아이스 챌린지 챔피언이자 2014년 인터내셔널 컵 오브 니스 은메달리스트이다. 주니어 시절에는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 세 차례 출전하여 두 번이나 10위 안에 들었다. 특히 그는 국제 대회에서 쿼드러플 악셀을 시도한 최초의 스케이터로 기록되어 있다. 2021년 10월부터 미국 국가대표로 활동 중이다.
2. 개인 생활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리듬 체조 세계 챔피언인 타티아나 드루치니나이며, 아버지는 페어 스케이팅에서 두 차례 올림픽 챔피언을 차지한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이다.
2.1. 어린 시절과 가족
그는 약 7세경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하여 7년간 거주한 후 다시 러시아로 돌아왔다. 그의 부모는 2006년에 이혼했으며, 드미트리예프는 아버지의 재혼으로 얻은 이복동생 아르툠을 두고 있다. 그는 러시아어와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어린 시절인 11세경, 뉴저지주 해켄색에서 다른 스케이터의 블레이드에 얼굴을 베여 280바늘을 꿰매는 부상을 입기도 했다.
2.2. 결혼 및 기타 개인사
드미트리예프는 전직 피겨 스케이팅 선수인 예카테리나 드미트리예바(우콜로바)와 2020년 8월에 결혼했다.
3. 경력
드미트리예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서의 여정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어 주요 국제 대회에서의 성과와 기술적 혁신으로 이어졌다. 여러 코치와 훈련 환경을 거치며 성장했고, 최근에는 러시아에서 미국 국가대표로 소속을 변경하며 새로운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3.1. 초기 경력 및 주니어 대회
드미트리예프는 약 7~8세경 뉴저지주 해켄색에서 본격적으로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2007년경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유빌레이니 스포츠 궁전에서 알렉세이 미신 코치와 함께 훈련하기 시작했다. 그는 2010년 세계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롱 프로그램에서 쿼드러플 토루프 점프를 더블 토와 연결하여 성공시킨 유일한 스케이터가 되었으며, 쇼트 프로그램 15위에서 전체 7위로 순위를 끌어올렸다. 이후에도 쿼드러플 살코와 루프 점프를 연습하며 기술을 갈고 닦았으나, 2010-11 시즌에는 등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러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0년에 은메달, 2011년에 금메달, 2012년에 은메달을 획득하는 등 주니어 시절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또한, ISU 주니어 그랑프리 체코 대회에서 은메달(2010년), 폴란드 대회에서 은메달(2011년)을 획득했으며, 2009년에는 주니어 인터내셔널 컵 오브 니스에서 은메달을 차지했다.

3.2. 시니어 경력 및 주요 성과
2014-15 시즌, 그는 2014년 인터내셔널 컵 오브 니스에서 은메달을, 첫 ISU 챌린저 시리즈 (CS) 대회인 2014 CS 볼보 오픈 컵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시니어 무대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2015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후 기권했다.
2015-16 시즌은 그의 시니어 경력에서 가장 빛나는 시즌이었다. 그는 2015 CS 아이스 챌린지에서 총점 247.57점을 기록하며 은메달리스트인 제이슨 브라운보다 6.92점 높은 점수로 우승했다. 일주일 후에는 2015 볼보 오픈 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2016년 사라예보 오픈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 시즌 2016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10위에 올랐다.
2016년 11월, 드미트리예프는 그랑프리 데뷔전을 2016년 로스텔레콤 컵에서 치러 10위를 기록했다. 일주일 뒤 2016년 트로페 드 프랑스에서 9위를 차지했다. 2017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8위, 201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017-18 시즌에는 2017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18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018-19 시즌에는 2018 CS 네벨혼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2018년 로스텔레콤 컵에서는 프리 프로그램에서 쿼드러플 악셀 시도 중 넘어지면서 11위로 마무리했다. 2019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9위에 올랐다.
3.3. 코칭 변경 및 훈련 환경
드미트리예프는 경력 전반에 걸쳐 여러 코치와 훈련 장소를 변경하며 기량을 향상시켰다. 2007년경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유빌레이니 스포츠 궁전에서 알렉세이 미신 코치와 함께 훈련을 시작했다. 2010년 말에는 모스크바로 이동하여 엘레나 보도레조바 (부야노바) 코치 밑에서 훈련했다. 2012-13 시즌에는 니콜라이 모로조프 코치로 변경했으나, 무릎과 발 골절 부상으로 시즌 대부분을 결장했다. 2014년 3월에는 다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와 알렉세이 미신 코치와 재회했다. 이후 알렉산더 줄린에게 코칭을 받기도 했으며, 일시적으로 아버지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에게 코칭을 받기도 했다. 현재는 예카테리나 드미트리예바(우콜로바)가 그의 코치를 맡고 있다.
3.4. 기술 혁신 및 쿼드러플 악셀 시도
드미트리예프는 2018년 네벨혼 트로피 쇼트 프로그램에서 3Lz+3F (트리플 루츠 + 트리플 플립) 콤비네이션 점프를 국제 대회에서 처음으로 클린 랜딩한 선수로 기록되었다. 그는 또한 2018년 로스텔레콤 컵에서 쿼드러플 악셀을 시도하며 국제 대회에서 이 점프를 시도한 최초의 스케이터라는 역사를 만들었다. 비록 착지에는 실패했지만, 이는 피겨 스케이팅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로 평가받고 있다.
3.5. 미국 국가대표팀으로의 전환
2021년, 드미트리예프는 미국을 대표하여 대회에 출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는 2022년 미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의 예선 시리즈인 미국 선수권 시리즈에 참가했다. 버지니아주 리스버그에서 열린 대회에서 쇼트 프로그램 4위, 프리 스케이팅 2위, 총점 3위를 기록했다. 이후 2022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11위를 차지했다.
4. 주요 성적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의 주요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4.1. 상세 결과
2021-22 시즌 (미국 대표) | ||||
---|---|---|---|---|
날짜 | 대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2022년 1월 3-9일 | 2022년 미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2위 (74.45) | 11위 (143.08) | 11위 (217.53) |
2021년 10월 28-30일 | 2022 미국 선수권 시리즈 (리스버그) | 4위 (76.87) | 2위 (141.01) | 3위 (217.88) |
2018-19 시즌 (러시아 대표) | ||||
날짜 | 대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2018년 12월 19-23일 | 2019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6위 (79.75) | 10위 (136.06) | 9위 (215.81) |
2018년 11월 16-18일 | 2018년 로스텔레콤 컵 | 9위 (67.58) | 11위 (122.00) | 11위 (189.58) |
2018년 9월 26-29일 | 2018 CS 네벨혼 트로피 | 2위 (81.06) | 3위 (144.25) | 3위 (225.31) |
2017-18 시즌 (러시아 대표) | ||||
날짜 | 대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2017년 12월 21-24일 | 2018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7위 (83.66) | 5위 (154.85) | 5위 (238.51) |
2017년 12월 6-9일 | 2017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 5위 (77.35) | 4위 (152.39) | 3위 (229.74) |
2016-17 시즌 (러시아 대표) | ||||
날짜 | 대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2017년 2월 1-5일 | 201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 3위 (87.18) | 7위 (150.64) | 4위 (237.82) |
2016년 12월 20-26일 | 2017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5위 (80.97) | 10위 (145.80) | 8위 (226.77) |
2016년 12월 7-10일 | 2016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 9위 (71.71) | 9위 (142.90) | 9위 (214.61) |
2016년 11월 11-13일 | 2016년 트로페 드 프랑스 | 11위 (64.48) | 7위 (154.22) | 9위 (218.70) |
2016년 11월 4-6일 | 2016년 로스텔레콤 컵 | 7위 (76.06) | 9위 (145.46) | 10위 (221.52) |
2016년 9월 22-24일 | 2016 CS 네벨혼 트로피 | 6위 (71.36) | 6위 (137.83) | 6위 (209.19) |
2015-16 시즌 (러시아 대표) | ||||
날짜 | 대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2016년 2월 4-6일 | 2016 사라예보 오픈 | 1위 (70.75) | 1위 (146.55) | 1위 (217.30) |
2015년 12월 23-27일 | 2016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2위 (72.67) | 9위 (150.60) | 10위 (223.27) |
2015년 11월 4-8일 | 2015 볼보 오픈 컵 | 1위 (86.18) | 1위 (165.26) | 1위 (251.44) |
2015년 10월 27-31일 | 2015 CS 아이스 챌린지 | 2위 (84.46) | 2위 (163.11) | 1위 (247.57) |
2014-15 시즌 (러시아 대표) | ||||
날짜 | 대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2014년 12월 24-28일 | 2015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5위 (60.82) | 기권 | 기권 |
2014년 11월 5-9일 | 2014 CS 볼보 오픈 컵 | 6위 (58.67) | 3위 (130.61) | 3위 (189.28) |
2014년 10월 15-19일 | 2014년 인터내셔널 컵 오브 니스 | 2위 (74.20) | 3위 (126.94) | 2위 (201.14) |
2013-14 시즌 (러시아 대표) | ||||
날짜 | 대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2013년 12월 24-27일 | 2014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8위 (71.32) | 11위 (130.71) | 9위 (202.03) |
2013년 9월 26-28일 | 2013년 네벨혼 트로피 | 4위 (73.39) | 7위 (128.35) | 4위 (201.74) |
2012-13 시즌 (러시아 대표) | ||||
날짜 | 대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2012년 12월 24-28일 | 2013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7위 (73.78) | 11위 (130.46) | 9위 (204.24) |
2011-12 시즌 (러시아 대표) | ||||
날짜 | 대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2012년 2월 27일 - 3월 4일 | 2012년 세계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8위 (59.36) | 15위 (107.60) | 14위 (166.96) |
2012년 2월 5-7일 | 러시아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위 (74.66) | 4위 (126.23) | 2위 (200.89) |
2011년 12월 25-29일 | 2012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4위 (79.69) | 7위 (140.60) | 5위 (220.29) |
2011년 10월 26-30일 | 2011년 인터내셔널 컵 오브 니스 | 10위 (56.30) | 5위 (124.84) | 7위 (181.14) |
2011년 10월 12-16일 | 2011년 ISU 주니어 그랑프리 발터 롬바르디 트로피 | 5위 (52.99) | 3위 (121.20) | 4위 (174.19) |
2011년 9월 14-18일 | 2011년 ISU 주니어 그랑프리 발틱 트로피 | 2위 (66.88) | 1위 (130.21) | 2위 (197.09) |
2010-11 시즌 (러시아 대표) | ||||
날짜 | 대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2011년 2월 28일 - 3월 6일 | 2011년 세계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위 (68.91) | 11위 (112.28) | 8위 (181.19) |
2011년 2월 2-4일 | 러시아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위 (72.30) | 2위 (134.55) | 1위 (206.85) |
2010년 12월 26-29일 | 2011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위 (77.65) | 9위 (125.07) | 7위 (202.72) |
2010년 10월 13-17일 | 2010년 ISU 주니어 그랑프리 체코스케이트 | 6위 (60.51) | 2위 (125.22) | 2위 (185.73) |
2010년 10월 6-10일 | 2010년 ISU 주니어 그랑프리 블라이온 슈베르터 포칼 | 4위 (60.16) | 5위 (110.59) | 4위 (170.75) |
2009-10 시즌 (러시아 대표) | ||||
날짜 | 대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2010년 3월 8-14일 | 2010년 세계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5위 (53.90) | 5위 (123.88) | 7위 (177.78) |
2010년 2월 3-6일 | 러시아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위 (71.42) | 3위 (140.32) | 2위 (211.74) |
2009년 12월 23-27일 | 2010년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7위 (53.15) | 9위 (126.36) | 14위 (179.51) |
2009년 11월 4-8일 | 2009년 인터내셔널 컵 오브 니스 주니어 클래스 | 2위 (54.12) | 3위 (89.23) | 2위 (143.35) |
2008-09 시즌 (러시아 대표) | ||||
날짜 | 대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총점 |
2009년 1월 28-31일 | 러시아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8위 (58.07) | 13위 (91.18) | 11위 (149.25) |
5. 프로그램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가 각 시즌별 쇼트 프로그램(SP)과 프리 스케이팅(FS)에서 사용한 음악은 다음과 같다.
시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
2018-19 |
작곡: 한스 짐머 |
작곡: Globus
작곡: Globus
작곡: Globus |
2017-18 |
작곡: 스콜피언스 |
작곡: Globus
작곡: Globus
작곡: Globus |
2016-17 |
작곡: 레모 자조토, 토마소 알비노니 |
작곡: 알렉산드르 보로딘 |
2015-16 |
작곡: 게리 무어 |
작곡: 니노 로타 |
2014-15 |
작곡: 이고리 스트라빈스키 |
작곡: 대니 엘프만 |
2013-14 |
작곡: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작곡: 막심 로드리게스 |
2012-13 |
작곡: 로버트 로드리게스 |
작곡: 레프 크니페르 |
2011-12 |
작곡: 대니 엘프만 |
작곡: 윌리엄 조셉 |
2010-11 |
작곡: 막심 므르비차 |
안무: 타티아나 드루치니나 |
2009-10 |
작곡: 막심 므르비차 |
작곡: 클라우스 바델트, 한스 짐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