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아라마키 아쓰시 (荒巻 淳일본어, 1926년 11월 16일 ~ 1971년 5월 12일)는 일본 오이타현 오이타시 출신으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 야구 해설가이다. 현역 시절 포지션은 투수였다. 그는 강력한 속구로 인해 '일본제 불덩어리 투수'(和製火の玉投手일본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1950년 퍼시픽 리그 신인왕, 다승왕, 최우수 평균 자책점을 동시에 석권하며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1953년에는 미일 야구 경기에서 미국 올스타팀을 상대로 일본 프로 야구 선수 최초의 완투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사후인 1985년에는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 생애
아라마키 아쓰시의 생애는 그의 유년기부터 학업, 아마추어 야구 경력을 거쳐 프로 야구 선수로서의 전성기와 은퇴, 그리고 지도자 및 해설가로서의 활동까지의 주요 궤적을 포함한다.
2.1. 유년기 및 학업
아라마키 아쓰시는 1926년 11월 16일 오이타현 오이타시 호리카와에서 선어점을 운영하는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오이타 상업학교(현재의 오이타 현립 오이타 상업고등학교)에 진학하여 1942년 여름에 문부성 주최의 전국 중등 학교 야구 대회에 출전했으나, 1회전에서 센다이이치 중학교에 2-3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오이타 상업학교 졸업 후에는 오이타 경제전문학교에 진학했다.
2.2. 아마추어 야구 경력
오이타 경제전문학교 재학 중이던 1946년 전국 전문학교 야구 대회에 출전하여 요코하마 경제전문학교를 상대로 17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승리했다. 이어 결승전에서는 야마네 도시히데가 소속된 돗토리 농림전문학교를 상대로 23개의 삼진을 빼앗는 압도적인 투구로 팀의 우승을 이끌며 세간의 큰 주목을 받았다. 이후 사회인 야구팀의 강호인 호시노구미에 입단하여 1949년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 출전했다. 그는 에이스로서 팀을 우승으로 이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하시도상을 수상했다. 이 무렵부터 그의 공의 속도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뛰어났으며, 당시 메이저 리그의 강속구 투수로 유명했던 밥 펠러에 비견되어 '일본제 불덩어리 투수'(和製火の玉投手일본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2.3. 프로 입단과 초기 활동
아라마키 아쓰시의 뛰어난 구위는 1948년경부터 일본 프로 야구 팀들의 치열한 영입 경쟁을 불러일으켰다. 요미우리, 오사카, 한큐, 다이에이 등 여러 구단이 다양한 방식으로 호시노구미에 아라마키를 영입하려 시도했다. 요미우리는 벳푸 훈련 시 호시노구미 사장 오카모토 다다오가 운영하는 히나코 료칸을 숙소로 이용했고, 한큐는 하마사키 신지 감독이 직접 벳푸로 찾아갔으며, 다이에이는 기타큐슈 지역 영화관 수익 분배를 약속하기도 했다. 오이 히로스케의 저서 『타이거스사』(1958년)와 마쓰키 겐지로의 저서에는 아라마키가 한신과 한 차례 계약을 맺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당시 한신 소속이었던 와카바야시 다다시의 차남 또한 와카바야시에게 들은 이야기라며 한신이 아라마키와 계약했었다고 증언했다. 이들은 와카바야시가 아라마키를 영입하려 했다고 덧붙였다.
1949년 여름 이후, 프로 야구에 참여하려던 마이니치 신문사가 호시노구미 선수들을 영입하기 시작했다. 니시모토 유키오 선수 겸 감독이 협상 담당을 맡았으나, 아라마키만은 호시노구미 사장 오카모토가 후견인이 되어 계약을 직접 처리했다. 오카모토는 자신의 차녀를 아라마키와 결혼시키기도 했다. 결국 아라마키는 마이니치 오리온스에 입단했다. 마쓰키는 아라마키가 존경했던 와카바야시가 프로 야구 재편 문제로 한신에서 마이니치로 이적한 것과 호시노구미 선수들을 주축으로 마이니치가 창단된 것이 아라마키가 마이니치에 입단한 이유라고 보았다.
1950년, 아라마키는 신인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26승 8패, 평균 자책점 2.06의 놀라운 성적을 기록하며 다승왕, 최우수 평균 자책점, 신인왕 타이틀을 모두 석권했다. 이는 그 해 마이니치 오리온스가 퍼시픽 리그 초대 우승을 차지하고 제1회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그러나 1년차의 과도한 혹사가 화근이 되어, 2년차부터는 그의 주 무기였던 속구의 위력이 점차 약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2.4. 전성기 및 주요 활약
1951년에는 10승을 기록했고, 1952년에는 7승으로 잠시 성적이 하락했으나, 커브의 위력을 갈고 닦으며 기량을 회복했다. 1953년에는 17승을 거두며 리그 4위의 평균 자책점 2.14를 기록하며 부활에 성공했다. 같은 해 미일 야구에서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서 최초로 미국 올스타팀을 상대로 완투 승리를 따내는 역사적인 순간을 만들었다. 이후 1959년까지 7년 연속으로 15승 이상을 기록하며 1954년에는 22승, 1956년에는 24승을 달성하는 등 두 차례나 20승을 넘기며 일본 프로 야구를 대표하는 투수로 자리매김했다. 1959년부터는 주장을 맡음과 동시에 구원 등판도 겸하여 17승을 거두는 등 다재다능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1960년에는 소속팀이 10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라마키는 단 1승도 기록하지 못했다.
2.5. 말년 및 은퇴
1961년 시즌 종료 후, 호시노구미 시절 동료이자 전 마이니치 감독이었던 니시모토 유키오가 한큐의 코치로 부임하자, 아라마키는 역시 호시노구미의 동료였던 니시테쓰의 세키구치 기요하루와 함께 한큐로 이적했다. 1962년에는 코치를 겸하며 단 2경기에만 등판했으며, 그 해를 끝으로 13년간의 프로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은퇴했다. 그의 통산 508경기 등판 중 339경기가 구원 등판이었고, 구원승 횟수(98승)는 가네다 마사이치(132승)와 이나오 가즈히사(108승)에 이어 일본 프로 야구 역대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3. 선수로서의 특징
아라마키 아쓰시는 온몸이 스프링과 같았다고 묘사되며, 발랄하게 뛰어오르는 듯한 독특한 투구 폼에서 빠른 템포로 공을 던지는 강속구 투수로 유명했다. 그의 빠른 공은 당시 메이저 리그의 '불덩어리 투수'로 불렸던 밥 펠러에 비견되어 '일본제 불덩어리 투수'(和製火の玉投手일본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그의 강속구는 매우 정확하게 낮게 깔려 들어갔으나, 때로는 솟아 오르는 듯한 궤적으로 타자들이 지면 근처로 보고 놓쳤던 공이 높은 스트라이크가 되었다는 전설적인 이야기도 전해진다.
그는 뛰어난 제구력을 바탕으로 강속구와 낙차가 큰 커브를 코너 깊숙이 꽂아 넣었으며, 일본에서 최초로 체인지업을 능숙하게 구사했던 국제적인 감각의 투수였다. 개인적으로는 항상 손톱깎이를 가지고 다니며 손가락 끝을 1시간 동안이나 꼼꼼하게 관리하는 습관이 있었다. 그는 연약한 체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렇게 가는 몸으로 어떻게 13년이나 투수를 할 수 있었을까"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발이 빨랐기 때문에 때때로 대주자로 기용되기도 했다.
4. 은퇴 후 활동
아라마키 아쓰시는 프로 선수 은퇴 후에도 야구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지도자와 해설가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4.1.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직후인 1962년부터 1965년까지 한큐 브레이브스의 1군 투수 코치를 역임했다. 1965년에는 흉부 질환으로 인해 한큐를 퇴단했다. 이후 1970년부터 사망 전까지 야쿠르트 아톰스의 1군 투수 코치로 활동했다.
4.2. 야구 해설가 활동
한큐 브레이브스 코치 퇴단 후인 1966년부터 1967년까지 닛폰 TV의 야구 프로그램 '○曜ナイター일본어'의 해설가로 활동하며 팬들에게 그의 야구 지식을 전달했다.
5. 사망
아라마키 아쓰시는 야쿠르트 아톰스 투수 코치로 재임 중이던 1971년 오픈전 순회 도중 갑작스럽게 쓰러져 병원에 입원했다. 이후 같은 해 5월 12일, 간경변 증세로 교토부립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향년 4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6. 평가 및 유산
아라마키 아쓰시는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일본 프로 야구 역사에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그의 업적은 후세에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6.1. 수상 및 타이틀
아라마키 아쓰시는 현역 선수 시절 다음과 같은 주요 타이틀과 상을 획득했다.
- 타이틀
- 다승왕: 1회 (1950년)
- 최우수 평균 자책점: 1회 (1950년)
- 수상
- 신인왕: 1회 (1950년)
- 베스트 나인: 1회 (투수 부문, 1950년)
-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1985년)
6.2. 주요 기록
- 첫 등판·첫 승리: 1950년 3월 15일, 대 난카이 호크스 1차전(오스 구장)에서 4회 2사 후 두 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하여 5회 1/3을 4실점으로 막고 완료 승리.
- 첫 선발 등판·첫 선발 승리·첫 완투: 1950년 3월 20일, 대 니시테쓰 클리퍼스 2차전(고라쿠엔 구장)에서 9회 3실점으로 승리.
- 첫 완봉: 1950년 4월 14일, 대 니시테쓰 클리퍼스 3차전(고라쿠엔 구장).
- 통산 100승: 1955년 10월 8일, 대 톰보우 유니온스 20차전(가와사키 구장)
- 통산 150승: 1958년 8월 10일, 대 난카이 호크스 21차전(고라쿠엔 구장)
- 리그 최다 무사구 경기 없음으로 통산 25 무사구 경기: 역대 최다 기록
- 올스타전 출장: 5회 (1953년 ~ 1957년)
6.3.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
아라마키 아쓰시는 사망 14년 후인 1985년에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이는 그의 뛰어난 선수로서의 업적과 일본 프로 야구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이다.
7. 상세 정보
아라마키 아쓰시의 출신 학교, 소속팀, 등번호, 연도별 투수 성적 등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7.1. 출신 학교 및 소속팀
- 출신 학교
- 오이타 현립 오이타 상업학교 (현재의 오이타 현립 오이타 상업고등학교)
- 오이타 경제전문학교
- 선수 경력
- 사회인 시대
- 호시노구미
- 프로팀 경력
- 마이니치 오리온스·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 (1950년 ~ 1961년)
- 한큐 브레이브스 (1962년)
- 사회인 시대
- 지도자 경력
- 한큐 브레이브스 투수 코치 (1962년 ~ 1965년)
- 야쿠르트 아톰스 투수 코치 (1970년 ~ 1971년)
7.2. 등번호
- 11 (1950년 ~ 1961년) - 선수
- 31 (1962년) - 선수
- 30 (1963년 ~ 1965년) - 한큐 브레이브스 투수 코치
- 50 (1970년) - 야쿠르트 아톰스 투수 코치
- 61 (1971년) - 야쿠르트 아톰스 투수 코치
7.3.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소속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4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4구 | 몸맞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자책 | WHIP |
---|---|---|---|---|---|---|---|---|---|---|---|---|---|---|---|---|---|---|---|---|---|---|---|---|---|
1950 | 毎日마이니치일본어 大毎다이마이일본어 | 48 | 19 | 16 | 3 | 4 | 26 | 8 | -- | -- | .765 | 1098 | 274.2 | 240 | 11 | 55 | -- | 1 | 150 | 1 | 0 | 86 | 63 | 2.06 | 1.07 |
1951 | 31 | 11 | 7 | 1 | 3 | 10 | 8 | -- | -- | .556 | 586 | 144.1 | 139 | 6 | 29 | -- | 0 | 55 | 1 | 0 | 55 | 39 | 2.42 | 1.16 | |
1952 | 26 | 11 | 4 | 1 | 1 | 7 | 6 | -- | -- | .538 | 439 | 110.1 | 94 | 7 | 22 | -- | 0 | 55 | 2 | 0 | 35 | 23 | 1.86 | 1.05 | |
1953 | 50 | 16 | 8 | 1 | 3 | 17 | 14 | -- | -- | .548 | 962 | 248.0 | 198 | 8 | 49 | -- | 1 | 122 | 5 | 0 | 75 | 59 | 2.14 | 1.00 | |
1954 | 49 | 24 | 15 | 5 | 3 | 22 | 12 | -- | -- | .647 | 1068 | 271.0 | 234 | 13 | 43 | -- | 3 | 130 | 0 | 0 | 78 | 70 | 2.32 | 1.02 | |
1955 | 49 | 19 | 11 | 1 | 2 | 18 | 12 | -- | -- | .600 | 972 | 245.0 | 203 | 13 | 59 | 6 | 0 | 130 | 3 | 0 | 70 | 64 | 2.35 | 1.07 | |
1956 | 56 | 20 | 11 | 2 | 5 | 24 | 16 | -- | -- | .600 | 1028 | 263.0 | 202 | 7 | 46 | 5 | 3 | 123 | 2 | 0 | 72 | 62 | 2.12 | 0.94 | |
1957 | 46 | 21 | 6 | 2 | 3 | 15 | 11 | -- | -- | .577 | 707 | 175.2 | 142 | 8 | 41 | 0 | 1 | 87 | 1 | 0 | 64 | 42 | 2.15 | 1.04 | |
1958 | 52 | 24 | 6 | 0 | 1 | 17 | 10 | -- | -- | .630 | 960 | 244.2 | 183 | 11 | 58 | 3 | 3 | 109 | 2 | 0 | 74 | 58 | 2.13 | 0.99 | |
1959 | 55 | 4 | 1 | 0 | 0 | 17 | 8 | -- | -- | .680 | 632 | 159.1 | 136 | 12 | 36 | 1 | 0 | 72 | 1 | 0 | 55 | 40 | 2.25 | 1.08 | |
1960 | 21 | 0 | 0 | 0 | 0 | 0 | 2 | -- | -- | .000 | 165 | 38.2 | 38 | 3 | 10 | 1 | 0 | 24 | 0 | 0 | 23 | 18 | 4.15 | 1.24 | |
1961 | 23 | 0 | 0 | 0 | 0 | 0 | 0 | -- | -- | ---- | 107 | 26.0 | 24 | 1 | 8 | 0 | 1 | 10 | 1 | 0 | 7 | 7 | 2.42 | 1.23 | |
1962 | 한큐 | 2 | 0 | 0 | 0 | 0 | 0 | 0 | -- | -- | ---- | 9 | 2.0 | 1 | 0 | 2 | 0 | 0 | 2 | 0 | 0 | 1 | 1 | 4.50 | 1.50 |
통산: 13년 | 508 | 169 | 85 | 16 | 25 | 173 | 107 | -- | -- | .618 | 8733 | 2202.2 | 1834 | 100 | 458 | 16 | 13 | 1069 | 19 | 0 | 695 | 546 | 2.23 | 1.04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성적.
- 毎日마이니치일본어(毎日オリオンズ마이니치 오리온스일본어)는 1958년에 大毎다이마이일본어(毎日大映オリオンズ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스일본어)로 구단명을 변경.
8. 외부 링크
- [https://baseball-museum.or.jp/hall-of-famers/hof-079/ 공익재단법인 야구 전당 박물관 - 아라마키 아쓰시]
- [https://npb.jp/bis/yearly/pacificleague_1950.html 일본 야구 기구 - 1950년 퍼시픽 리그 연도별 성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