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아니타 모엔(Anita Moen노르웨이어, 1967년 8월 31일 ~ )은 노르웨이의 전직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1987년부터 2003년까지 활약하며 국제 무대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동계 올림픽에서 은메달 3개와 동메달 2개를 포함해 총 5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은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를 포함해 총 4개의 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녀는 월드컵에서도 3번의 개인전 우승과 5번의 팀전 우승을 포함하여 총 49번의 포디움에 오르는 등 꾸준히 최정상급 기량을 유지했다. 모엔은 뛰어난 기량과 스포츠 정신으로 크로스컨트리 스키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은퇴 후에도 스키 아카데미를 운영하며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
2. 생애
아니타 모엔은 1967년 노르웨이 헤드마르크주 엘베룸에서 태어나 성장했으며, 어린 시절부터 크로스컨트리 스키에 두각을 나타냈다.
2.1. 출생 및 성장 배경
아니타 모엔은 1967년 8월 31일 노르웨이 헤드마르크주 엘베룸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노르웨이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트뤼실구텐 IL(Trysilgutten IL노르웨이어) 소속으로 선수 생활을 했다.
2.2. 선수 경력 개요
모엔은 1987년 크로스컨트리 스키 월드컵에 데뷔하며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1989년까지 활동한 뒤 잠시 공백기를 가졌고, 1992년부터 2003년 시즌까지 꾸준히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활약했다. 그녀는 총 15시즌 동안 선수로 활동했으며, 2002-2003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주요 활동 및 성과
아니타 모엔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월드컵에서도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며 세계적인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인정받았다.
3.1. 올림픽 메달
모엔은 동계 올림픽에 총 세 차례 참가하여 3개의 은메달과 2개의 동메달을 획득하며 총 5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여자 4 × 5 k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개인전에서는 5km 클래식에서 4위, 15km 프리스타일에서 10위, 10km 추적에서 8위, 30km 클래식에서 10위를 기록했다.
-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여자 4 × 5 k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15km 클래식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5km 클래식에서 7위, 10km 추적에서 8위를 기록했다.
-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 여자 4 × 5 k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개인 스프린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0km 클래식에서 9위, 30km 클래식에서 4위를 기록했다.
아래는 아니타 모엔의 올림픽 세부 성적이다.
연도 | 나이 | 5km | 10km | 15km | 추적 | 30km | 스프린트 | 4 × 5km 계주 |
---|---|---|---|---|---|---|---|---|
1994 | 26 | 4 | - | 10 | 8 | 10 | - | 은메달 |
1998 | 30 | 7 | - | 동메달 | 8 | - | - | 은메달 |
2002 | 34 | - | 9 | - | - | 4 | 동메달 | 은메달 |
3.2. 세계 선수권 메달
모엔은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3개의 은메달과 1개의 동메달을 획득하며 총 4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모든 메달은 4 × 5km 계주에서 획득한 것이다. 개인전 최고 성적은 1997년 30km 종목에서 기록한 5위이다.
- 1993 팔룬: 4 × 5 km 계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개인전에서는 5km에서 9위, 15km에서 9위, 추적에서 8위를 기록했다.
- 1995 썬더베이: 4 × 5 k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5km에서 21위, 추적에서 11위를 기록했다.
- 1997 트론헤임: 30km에서 5위를 기록하며 개인전 최고 성적을 냈다. 5km에서 16위, 추적에서 11위를 기록했다.
- 1999 람자우: 5km에서 32위, 계주에서 4위를 기록했다.
- 2001 라흐티: 4 × 5 k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스프린트에서 7위, 15km에서 12위를 기록했다. 30km 종목은 극심한 한파로 인해 취소되었다.
- 2003 발 디 피엠메: 4 × 5 k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추적에서 29위, 스프린트에서 8위를 기록했다.
아래는 아니타 모엔의 세계 선수권 대회 세부 성적이다.
연도 | 나이 | 5km | 10km | 15km | 추적 | 30km | 스프린트 | 4 × 5km 계주 |
---|---|---|---|---|---|---|---|---|
1993 | 25 | 9 | - | 9 | 8 | DNF | - | 동메달 |
1995 | 27 | 21 | - | - | 11 | - | - | 은메달 |
1997 | 29 | 16 | - | - | 11 | 5 | - | - |
1999 | 31 | 32 | - | - | DNF | - | - | 4 |
2001 | 33 | - | - | 12 | - | 취소 | 7 | 은메달 |
2003 | 35 | - | - | DNF | 29 | - | 8 | 은메달 |
3.3. 월드컵 성적
아니타 모엔은 크로스컨트리 월드컵에서 총 3번의 개인전 우승과 5번의 팀전 우승을 기록했다. 개인전에서는 총 20번, 팀전에서는 총 29번 포디움에 올랐다. 월드컵 종합 순위에서 최고 성적은 1998년에 기록한 4위이다. 1999년 세계 선수권 대회와 1994년 올림픽까지는 세계 선수권 및 올림픽 경기가 월드컵 득점 시스템에 포함되었다.
아래는 아니타 모엔의 월드컵 시즌별 종합 순위이다.
시즌 | 나이 | ||||
---|---|---|---|---|---|
종합 | 장거리 | 중거리 | 스프린트 | ||
1987 | 19 | 49 | - | - | - |
1988 | 20 | 45 | - | - | - |
1989 | 21 | 미분류 | - | - | - |
1992 | 24 | 47 | - | - | - |
1993 | 25 | 10 | - | - | - |
1994 | 26 | 13 | - | - | - |
1995 | 27 | 9 | - | - | - |
1996 | 28 | 10 | - | - | - |
1997 | 29 | 11 | 12 | - | 11 |
1998 | 30 | 4 | 7 | - | 4 |
1999 | 31 | 20 | 미분류 | - | 10 |
2000 | 32 | 9 | 10 | 10 | - |
2001 | 33 | 17 | - | - | 4 |
2002 | 34 | 9 | - | - | - |
2003 | 35 | 10 | - | - | 5 |
아래는 아니타 모엔의 월드컵 개인전 포디움 기록이다.
번호 | 시즌 | 날짜 | 장소 | 종목 | 레벨 | 순위 |
---|---|---|---|---|---|---|
1 | 1994-95 | 1995년 2월 11일 | 오슬로, 노르웨이 | 30km 개인전 C | 월드컵 | 2위 |
2 | 1995-96 | 1996년 2월 4일 | 라이트 임 빙클, 독일 | 1 km 스프린트 F | 월드컵 | 2위 |
3 | 1996-97 | 1996년 2월 4일 | 오버스트도르프, 독일 | 10km 개인전 C | 월드컵 | 3위 |
4 | 1997-98 | 1997년 12월 10일 | 밀라노, 이탈리아 | 1 km 스프린트 F | 월드컵 | 3위 |
5 | 1997년 12월 13일 | 발 디 피엠메, 이탈리아 | 5km 개인전 C | 월드컵 | 2위 | |
6 | 1997년 12월 20일 | 다보스, 스위스 | 15km 개인전 C | 월드컵 | 3위 | |
7 | 1998년 3월 14일 | 오슬로, 노르웨이 | 30km 개인전 C | 월드컵 | 3위 | |
8 | 1998-99 | 1998년 12월 10일 | 밀라노, 이탈리아 | 0.6 km 스프린트 F | 월드컵 | 1위 |
9 | 1999-00 | 1999년 11월 27일 | 키루나, 스웨덴 | 5km 개인전 C | 월드컵 | 2위 |
10 | 1999년 12월 27일 | 엥겔베르크, 스위스 | 1 km 스프린트 C | 월드컵 | 2위 | |
11 | 1999년 12월 29일 | 키츠뷔헬, 오스트리아 | 1.5 km 스프린트 F | 월드컵 | 3위 | |
12 | 2000년 3월 5일 | 라흐티, 핀란드 | 15km 매스 스타트 C | 월드컵 | 3위 | |
13 | 2000년 3월 8일 | 오슬로, 노르웨이 | 1.5 km 스프린트 C | 월드컵 | 3위 | |
14 | 2000-01 | 2001년 2월 1일 | 아시아고, 이탈리아 | 1.5 km 스프린트 F | 월드컵 | 2위 |
15 | 2001년 2월 14일 | 노베 므네스토 나 모라베, 체코 | 1 km 스프린트 F | 월드컵 | 2위 | |
16 | 2001-02 | 2001년 12월 29일 | 잘츠부르크, 오스트리아 | 1.5 km 스프린트 C | 월드컵 | 1위 |
17 | 2002년 3월 5일 | 스톡홀름, 스웨덴 | 1.5 km 스프린트 C | 월드컵 | 3위 | |
18 | 2002년 3월 23일 | 비르케베이네르렌네트, 노르웨이 | 58 km 매스 스타트 C | 월드컵 | 1위 | |
19 | 2002-03 | 2002년 10월 26일 | 뒤셀도르프, 독일 | 1.3 km 스프린트 F | 월드컵 | 3위 |
20 | 2002년 12월 14일 | 코녜, 이탈리아 | 15km 매스 스타트 C | 월드컵 | 3위 |
아래는 아니타 모엔의 월드컵 팀전 포디움 기록이다.
번호 | 시즌 | 날짜 | 장소 | 종목 | 레벨 | 순위 | 팀원 |
---|---|---|---|---|---|---|---|
1 | 1992-93 | 1993년 2월 26일 | 팔룬, 스웨덴 | 4 × 5 km 계주 C/F | 세계 선수권 | 3위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잉게르 헬레네 뉘브로텐 / 엘린 닐센 |
2 | 1993-94 | 1994년 2월 22일 | 릴레함메르, 노르웨이 | 4 × 5 km 계주 C/F | 올림픽 | 2위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잉게르 헬레네 뉘브로텐 / 엘린 닐센 |
3 | 1994년 3월 4일 | 라흐티, 핀란드 | 4 × 5 km 계주 C | 월드컵 | 1위 | 잉게르 헬레네 뉘브로텐 / 마리트 미켈스플라스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
4 | 1994년 3월 13일 | 팔룬, 스웨덴 | 4 × 5 km 계주 F | 월드컵 | 2위 | 잉게르 헬레네 뉘브로텐 / 마리트 미켈스플라스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
5 | 1994-95 | 1995년 1월 29일 | 라흐티, 핀란드 | 4 × 5 km 계주 F | 월드컵 | 3위 | 엘린 닐센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벤테 스카리 |
6 | 1995년 2월 7일 | 하마르, 노르웨이 | 4 × 3 km 계주 F | 월드컵 | 2위 | 엘린 닐센 / 벤테 스카리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
7 | 1995년 2월 12일 | 오슬로, 노르웨이 | 4 × 5 km 계주 C/F | 월드컵 | 2위 | 마리트 미켈스플라스 / 잉게르 헬레네 뉘브로텐 / 엘린 닐센 | |
8 | 1995년 3월 17일 | 썬더베이, 캐나다 | 4 × 5 km 계주 C/F | 세계 선수권 | 2위 | 마리트 미켈스플라스 / 잉게르 헬레네 뉘브로텐 / 엘린 닐센 | |
9 | 1995-96 | 1996년 1월 14일 | 노베 므네스토 나 모라베, 체코 | 4 × 5 km 계주 C | 월드컵 | 2위 | 벤테 스카리 / 마리트 미켈스플라스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10 | 1996년 2월 3일 | 제펠트 인 티롤, 오스트리아 | 6 × 1.5 km 팀 스프린트 F | 월드컵 | 2위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
11 | 1996년 3월 10일 | 팔룬, 스웨덴 | 4 × 5 km 계주 C/F | 월드컵 | 2위 | 벤테 스카리 / 마리트 미켈스플라스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
12 | 1996년 3월 17일 | 오슬로, 노르웨이 | 4 × 5 km 계주 C/F | 월드컵 | 3위 | 벤테 스카리 / 마리트 미켈스플라스 / 마이 헬렌 소르크모 | |
13 | 1996-97 | 1996년 11월 23일 | 키루나, 스웨덴 | 4 × 5 km 계주 C | 월드컵 | 2위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마리트 미켈스플라스 / 벤테 스카리 |
14 | 1996년 12월 8일 | 다보스, 스위스 | 4 × 5 km 계주 C | 월드컵 | 1위 | 벤테 스카리 / 마리트 미켈스플라스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
15 | 1997년 1월 19일 | 라흐티, 핀란드 | 8 × 1.5 km 팀 스프린트 F | 월드컵 | 3위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
16 | 1997년 3월 16일 | 오슬로, 노르웨이 | 4 × 5 km 계주 F | 월드컵 | 2위 | 엘린 닐센 / 마리트 미켈스플라스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
17 | 1997-98 | 1997년 11월 23일 | 베이토스톨렌, 노르웨이 | 4 × 5 km 계주 C | 월드컵 | 2위 | 마리트 미켈스플라스 / 트루데 디벤달-하르츠 / 벤테 스카리 |
18 | 1998-99 | 1998년 11월 29일 | 무오니오, 핀란드 | 4 × 5 km 계주 F | 월드컵 | 3위 | 벤테 스카리 / 엘린 닐센 / 마이 헬렌 소르크모 |
19 | 1999년 1월 10일 | 노베 므네스토 나 모라베, 체코 | 4 × 5 km 계주 C/F | 월드컵 | 2위 | 마이 헬렌 소르크모 / 엘린 닐센 / 벤테 스카리 | |
20 | 1999년 3월 21일 | 오슬로, 노르웨이 | 4 × 5 km 계주 C | 월드컵 | 3위 | 벤테 스카리 / 힐데 글롬소스 / 엘린 닐센 | |
21 | 1999-00 | 1999년 11월 28일 | 키루나, 스웨덴 | 4 × 5 km 계주 F | 월드컵 | 3위 | 벤테 스카리 / 엘린 닐센 / 힐데 예르문드샤우그 페데르센 |
22 | 1999년 12월 8일 | 아시아고, 이탈리아 | 팀 스프린트 F | 월드컵 | 1위 | 벤테 스카리 | |
23 | 1999년 12월 19일 | 다보스, 스위스 | 4 × 5 km 계주 C | 월드컵 | 2위 | 힐데 글롬소스 / 엘린 닐센 / 벤테 스카리 | |
24 | 2000년 1월 13일 | 노베 므네스토 나 모라베, 체코 | 4 × 5 km 계주 C/F | 월드컵 | 3위 | 벤테 스카리 / 엘린 닐센 / 마이 헬렌 소르크모 | |
25 | 2001-02 | 2002년 3월 10일 | 팔룬, 스웨덴 | 4 × 5 km 계주 C/F | 월드컵 | 2위 | 마리트 비에르겐 / 힐데 예르문드샤우그 페데르센 /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
26 | 2002-03 | 2002년 11월 24일 | 키루나, 스웨덴 | 4 × 5 km 계주 C/F | 월드컵 | 1위 | 벤테 스카리 / 마이 헬렌 소르크모 /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
27 | 2003년 1월 19일 | 노베 므네스토 나 모라베, 체코 | 4 × 5 km 계주 C/F | 월드컵 | 2위 | 마리트 비에르겐 / 크리스틴 스퇴르메르 스테이라 / 힐데 예르문드샤우그 페데르센 | |
28 | 2003년 1월 26일 | 오버호프, 독일 | 6 × 1.5 km 팀 스프린트 F | 월드컵 | 1위 | 힐데 예르문드샤우그 페데르센 | |
29 | 2003년 3월 23일 | 팔룬, 스웨덴 | 4 × 5 km 계주 C/F | 월드컵 | 2위 | 힐데 예르문드샤우그 페데르센 / 크리스틴 스퇴르메르 스테이라 / 벤테 스카리 |
3.4. 기타 주요 대회 성과
모엔은 월드컵 외에도 다양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1년에는 스웨덴의 장거리 크로스컨트리 스키 대회인 티예이바산(Tjejvasan스웨덴어)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그녀는 1992년부터 2002년까지 선수 생활 동안 모든 레벨의 대회에서 총 18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4. 개인사
아니타 모엔은 스위스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인 기아헴 귀돈(Giachem Guidon영어)과 결혼하여 한때 아니타 모엔-귀돈(Anita Moen-Guidon영어)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후 2009년 1월에는 헬게 본덴(Helge Bonden노르웨이어)과 재혼했다. 또한, 2006년에는 노르웨이의 TV 채널 TV2의 댄스 경연 프로그램인 '스칼 비 단세?'(Skal vi danse?노르웨이어) 시즌 1에 출연하여 대중에게 또 다른 모습을 선보이기도 했다.
5. 은퇴 후 활동
2003년 선수 생활에서 은퇴한 아니타 모엔은 현재 스키 아카데미를 운영하며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 그녀는 자신의 풍부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의 스키 선수들을 가르치고 있다.
6. 평가 및 영향
아니타 모엔은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노르웨이 크로스컨트리 스키의 황금기를 이끈 주요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꾸준히 메달을 획득하며 노르웨이 여자 크로스컨트리 스키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단체전에서의 활약은 팀워크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후배 선수들에게 모범이 되었다. 그녀의 꾸준한 기량과 스포츠에 대한 열정은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은퇴 후에도 스키 아카데미를 통해 크로스컨트리 스키의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