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background
신광훈은 경상북도 점촌시(현 문경시)에서 태어나 성장기를 보냈다. 그의 학창 시절은 축구 선수로서의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시기였으며, 여러 특징적인 별명을 얻기도 했다.
1.1. Childhood and education
그는 포항제철동초등학교, 포항제철중학교,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며 학창 시절을 보냈다. 이 시기에 축구 선수로서의 기량을 갈고닦으며 프로의 꿈을 키웠다.
1.2. Nicknames
신광훈은 외모가 축구 지도자 강철과 닮았다는 이유로 '리틀 강철'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또한, 그라운드에서 거칠고 상대를 향해 저돌적으로 돌진하는 플레이 스타일이 들소를 연상시킨다 하여 '들소'라는 별명도 얻었다.
2. Club career
신광훈은 2006년 포항 스틸러스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한 이래로 한국 축구의 주요 수비수로 꾸준히 활약해왔으며, 다양한 클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1. Early career and Pohang Steelers debut (2006-2008)
신광훈은 2006년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하여 프로 무대에 데뷔하였다. 초기 3년 동안 그는 K리그와 하우젠 컵을 포함하여 총 19경기에 출전하며 프로 선수로서의 경험을 쌓았다.
2.2. Jeonbuk Hyundai Motors (2008-2010)
2008년 7월, 신광훈은 스테보와의 맞임대 트레이드를 통해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였다. 전북에서 그는 그 해 리그에서 15경기에 출전하며 이전보다 더 많은 경기 출전 기회를 얻었고, 기량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2.3. Return to Pohang Steelers (2010-2014)
2010년 7월, 신광훈은 친정팀 포항 스틸러스로 복귀하여 팀의 핵심 오른쪽 풀백으로 빠르게 자리매김했다. 그는 복귀 후 팀의 굳건한 주전으로 활약하며 K리그 2011 통합 3위, K리그 2012 3위 달성에 기여했다. 특히 FA컵 2012와 FA컵 2013에서 팀의 우승을 이끌었으며, 2013년에는 K리그 클래식 2013 우승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더블을 달성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
2.4. Military service (2015-2016)
2014 시즌 종료 후, 신광훈은 군 복무를 해결하기 위해 경찰청에 입대하여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안산 무궁화 FC에서 활동했다. 2016 시즌에는 팀의 부주장을 맡아 팀의 상위권 도약에 기여하는 등 군 복무 기간 중에도 꾸준히 활약했다. 그는 2016년 9월 3일 전역하여 포항 스틸러스로 복귀하였다.
2.5. FC Seoul (2017-2018)
2017년 1월 3일, 신광훈은 FC 서울로의 이적이 공식 발표되었다. 그는 FC 서울에서도 꾸준히 활약하며 팀의 수비진에 기여하며 경험 많은 베테랑으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냈다.
2.6. Gangwon FC (2019-2020)
2019 시즌을 앞두고 신광훈은 강원 FC에 입단하여 2년간 팀의 수비진을 강화하는 데 일조했다. 그는 강원에서도 주전급으로 활약하며 팀의 경기력 유지에 기여했다.
2.7. Second return to Pohang Steelers (2021-present)
2021년 1월 4일, 신광훈은 선수 생활의 시작을 알렸던 포항 스틸러스로 두 번째 이적을 확정하며 다시 팀의 일원이 되었다. 그는 현재까지 포항 스틸러스에서 베테랑으로서 안정적인 활약을 펼치고 있다.
2.8. Loan return controversy
2008년 7월, 신광훈과 스테보 간의 맞임대 트레이드는 2년 6개월의 계약 기간으로 성사되었다. 그러나 2010년 초, 포항 스틸러스는 주전 오른쪽 풀백이었던 최효진이 FC 서울로 이적하면서 발생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전북 현대 모터스에서 급성장한 신광훈의 조기 복귀를 강하게 원했다. 당시 신광훈의 임대 기간이 남아있었으나, 마침 스테보가 파리아스 당시 포항 감독의 기용 방식에 불만을 품고 2009년 플레이오프 경기가 끝난 후 팀을 무단 이탈하여 우즈베키스탄 리그의 FC 부뇨드코르로 이적하면서 사실상 임대 계약이 파기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스테보가 먼저 계약을 위반했기 때문에 포항 스틸러스는 신광훈을 언제든지 복귀시킬 수 있는 명분을 얻었다. 그러나 전북 현대 모터스는 그 해 말까지였던 임대 계약 기간을 주장하며 신광훈의 복귀를 반대하여 양 구단 간에 마찰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신광훈의 복귀는 지연되었고, 결국 2010년 7월이 되어서야 그는 마침내 포항 스틸러스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 과정은 당시 K리그 내에서 큰 관심과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3. International career
신광훈은 청소년 및 성인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국제 무대에서의 귀중한 경험을 쌓았고, 여러 중요한 대회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명예를 드높였다.
3.1. Youth national teams
신광훈은 2006년 AFC U-19 챔피언십과 이듬해인 2007년 FIFA U-20 월드컵에 대한민국 대표로 참가했다. 특히 2007년 FIFA U-20 월드컵 브라질과의 조별 리그 2차전에서는 전반 12분 마르셀로의 공을 빼앗은 뒤 환상적인 마르세유 턴으로 브라질의 수비수 리마를 따돌리는 인상적인 기술을 선보여 당시 축구 팬들과 전문가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또한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축구 종목에도 참가하여 올림픽 무대를 밟았다.
3.2. Olympic and senior national teams
2007년 9월 3일 카타르와의 친선 경기에서 첫 U-23 대표팀 경기를 치렀다. 이후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도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동메달 획득에 기여하였다. 2012년 8월 15일 잠비아와의 평가전에서는 첫 A매치 데뷔전을 치러 45분간 그라운드를 누볐다. 이어서 11월 14일 오스트레일리아와의 평가전에서는 선취골의 시발점이 된 로빙 패스를 성공시키며 강한 인상을 남겼다.
4. Playing style
신광훈은 저돌적인 돌파를 바탕으로 한 폭발적인 측면 오버래핑이 특징인 선수이다. 이러한 플레이 스타일을 통해 팀의 공격에 한 축을 담당하며 전술적으로 다양한 기여를 한다. 그는 주로 오른쪽 풀백으로서 수비에서는 강력한 대인 방어와 빠른 발을 활용한 커버 능력을 보여주며, 공격 시에는 적극적인 오버래핑으로 측면 공격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수비와 공격 모두에서 강점을 보이는 균형 잡힌 플레이가 그의 가장 큰 장점이다.
5. Honors
신광훈은 선수 경력 동안 소속 클럽 및 국가대표팀에서 다수의 우승과 영예를 얻으며 뛰어난 성과를 남겼다.
5.1. Club honors
신광훈은 소속 클럽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우승 기록을 달성했다.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 우승: 2회 (2007년, 2013년)
- 코리아컵 우승: 4회 (2012년, 2013년, 2023년, 2024년)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 우승: 1회 (2009년)
6. Career statistics
신광훈의 프로 경력 동안의 출전 경기 수, 득점 등 주요 통계 자료는 다음과 같다.
클럽 성적 | 리그 | FA컵 | 리그컵 | 아시아 | 기타 | 합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대한민국 | 리그 | FA컵 | 리그컵 | 아시아 | 승강 플레이오프 | 합계 | ||||||||
2006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 1 | 5 | 0 | 1 | 0 | 5 | 1 | - | - | 11 | 1 | ||
2007 | 2 | 0 | 2 | 0 | 3 | 1 | - | - | 7 | 1 | ||||
2008 | 4 | 0 | 0 | 0 | 0 | 0 | 2 | 0 | - | 6 | 0 | |||
2008 | 전북 현대 모터스 | 15 | 0 | 1 | 0 | 4 | 1 | - | - | 20 | 1 | |||
2009 | 11 | 0 | 1 | 0 | 3 | 0 | - | - | 15 | 0 | ||||
2010 | 7 | 0 | 1 | 0 | 5 | 0 | 6 | 0 | - | 19 | 0 | |||
포항 스틸러스 | 8 | 0 | 0 | 0 | 0 | 0 | 1 | 0 | - | 9 | 0 | |||
2011 | 25 | 1 | 3 | 0 | 1 | 0 | - | - | 29 | 1 | ||||
2012 | 37 | 0 | 5 | 0 | - | 5 | 0 | - | 47 | 0 | ||||
2013 | 33 | 0 | 5 | 0 | - | 5 | 0 | - | 43 | 0 | ||||
2014 | 33 | 3 | 2 | 0 | - | 8 | 0 | - | 43 | 3 | ||||
2015 | 안산 무궁화 FC | K리그 2 | 28 | 1 | 0 | 0 | - | - | - | 28 | 1 | |||
2016 | 15 | 0 | 1 | 0 | - | - | - | 16 | 0 | |||||
2016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 1 | 8 | 0 | 0 | 0 | - | - | - | 8 | 0 | |||
2017 | FC 서울 | 21 | 0 | 0 | 0 | - | 3 | 0 | - | 24 | 0 | |||
2018 | 18 | 0 | 0 | 0 | - | - | 0 | 0 | 18 | 0 | ||||
2019 | 강원 FC | 36 | 2 | 0 | 0 | - | - | - | 36 | 2 | ||||
2020 | 21 | 0 | 0 | 0 | - | - | - | 21 | 0 | |||||
2021 | 포항 스틸러스 | 33 | 1 | 1 | 0 | - | 9 | 0 | - | 43 | 1 | |||
2022 | 33 | 0 | 3 | 0 | - | - | - | 36 | 0 | |||||
총계 | 대한민국 | 393 | 8 | 26 | 0 | 21 | 3 | 39 | 0 | 0 | 0 | 479 | 11 | |
경력 총계 | 393 | 8 | 26 | 0 | 21 | 3 | 39 | 0 | 0 | 0 | 479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