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경력
시몽 아브카리앙은 프랑스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레바논에서 보내고 미국에서 연기 경험을 쌓은 후 프랑스로 돌아와 연극, 영화, 텔레비전을 넘나들며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1. 어린 시절과 교육
시몽 아브카리앙은 1962년 3월 5일 프랑스 발두아즈주고네스에서 아르메니아계 혈통으로 태어났다. 그는 9살까지 프랑스에서 성장한 후, 부모님과 함께 레바논으로 이주하여 6년간 그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에서 춤과 원조 활동을 배웠으며, 로스앤젤레스로 옮겨 제럴드 파파지안이 이끄는 아르메니아 연극단에 합류하여 무대 경험을 쌓기 시작했다. 1985년 프랑스로 돌아와 파리에 정착한 그는 '액팅 인터내셔널(Acting International)' 학교에서 연기 수업을 받으며 전문 배우의 길을 준비했다.
1.2. 연극 경력
프랑스로 돌아온 시몽 아브카리앙은 아리안 므누슈킨이 이끄는 유명한 태양 극단(Théâtre du Soleil)에 합류하여 연극 배우로서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는 이 극단에서 엘렌 식수의 '캄보디아의 왕 노로돔 시아누크의 끔찍하지만 미완성된 이야기(L'Histoire terrible mais inachevée de Norodom Sihanouk, roi du Cambodge프랑스어)'와 아이스킬로스의 4부작 '아트레우스가'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하며 연기력을 다졌다. 1993년 태양 극단을 떠난 후, 2001년에는 리처드 칼리노스키의 연극 '달빛 아래의 야수(Beast on the Moon영어)'에서 아르메니아 대학살 생존자의 삶을 다루는 역할을 맡아 이리나 브룩의 연출 아래 깊이 있는 연기를 선보였다. 이 역할은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으며, 그에게 몰리에르상 최우수 배우상이라는 영예를 안겨주었다.
1.3. 영화 및 방송 활동
시몽 아브카리앙은 연극 무대에서의 성공을 발판 삼아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매체로 활동 영역을 넓히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입증했다.
1.3.1. 초기 경력
그의 첫 영화 출연은 프랑스의 영화감독 세드릭 클라피슈의 제안으로 이루어졌다. 아브카리앙은 클라피슈 감독의 여러 영화에 출연하며 초기 영화 경력을 쌓았는데, 특히 1996년작 '각자의 고양이를 찾아서(Chacun cherche son chat)'와 2003년작 '니 푸르 니 콩트르 (비앙 오 콩트레르)(Ni pour ni contre (bien au contraire)프랑스어)'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다. 이 시기 출연작으로는 1992년의 '백화점 대백과(Riens du tout프랑스어)', 1994년의 '아나 엘 아완(Ana El Awan프랑스어)', 1996년의 '마지막 펠리컨(Le dernier des pélicans프랑스어)', 1997년의 '락의 침묵(Le silence de Rak프랑스어)', '지옥이 여기 있으니 나는 천국에 갈 것이다(J'irai au paradis car l'enfer est ici프랑스어)', '컵 속의 폭풍(Tempête dans un verre d'eau프랑스어)', 1999년의 '릴라 릴리(Lila Lili프랑스어)' 등이 있다.
1.3.2. 주요 영화
시몽 아브카리앙은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다양한 영화에서 주요 역할을 맡으며 배우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그는 샐리 포터 감독의 2004년작 '예스'에서 주연을 맡았고, 세르주 르 페롱 감독의 스릴러 '벤 바르카가 살해당하는 것을 보았다(J'ai vu tuer Ben Barka프랑스어)'에서는 모로코 야당 지도자 메흐디 벤 바르카 역을 맡아 그의 납치 및 살해 사건을 다루는 데 기여했다. 또한 로닛 엘카베츠 감독의 '아내를 얻다(Prendre Femme프랑스어)'로 여러 연기상을 수상하며 비평적 찬사를 받았다.
그는 다양한 장르의 영화에 출연하며 연기 스펙트럼을 넓혔다. 부를렘 게르주 감독의 모험 영화 '아틀라스의 자이나 기수(Zaïna, cavalière de l'Atlas프랑스어)'와 마리-파스칼 오스터리트 감독의 코미디 '정오의 악마(Le Démon de midi프랑스어)'에 출연했다. 특히 아르메니아 역사와 인권 문제를 다룬 작품들에서 그의 연기는 깊은 의미를 지닌다. 아톰 에고얀 감독의 2002년작 '아라라트'에서는 화가 아르실 고르키 역을 맡아 아르메니아 대학살의 비극을 스크린에 담아냈다. 2010년에는 아르메니아계 프랑스 영화감독 로베르 게디기앙의 '아미 오브 크라임'에서 아르메니아 시인 미사크 마누치앙 역을 맡아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영웅적인 면모를 그렸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역할 중 하나는 제임스 본드 영화 '007 카지노 로얄'(2006)에서 악역 무기상 알렉스 디미트리오스를 연기한 것이다. 이 외에도 미셸 드빌 감독의 '거의 평화롭게(Almost Peaceful영어)'(2004)에서 알베르 역, 데니스 티보 감독의 '당신의 꿈(Your Dreams영어)'(2005)에 출연했으며, 프레데릭 발렉지앙 감독의 스릴러 '도박꾼들(Les Mauvais Joueurs프랑스어)'(2005)에서는 사하크 역을 맡았다. 2012년에는 '제로 다크 서티'에서 수감자 역으로 출연했다. 아르메니아 대학살을 다룬 2014년 영화 '더 컷'에서는 크리코르 역을, 2015년 영화 '1915'에서는 시몽 역을, 그리고 '그 소년이 미쳤다고 말하지 마(Don't Tell Me the Boy Was Mad영어)'(2015)에서는 호반네스 알렉산드리안 역을 맡아 아르메니아 역사 관련 작품에 꾸준히 참여했다.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촬영된 샤를 드 골의 2부작 전기 영화에서 주연을 맡았다.
1.3.3. 주요 TV 프로그램
텔레비전 분야에서도 시몽 아브카리앙은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그는 BBC 드라마 '스푹스(MI-5)'에서 이란 특수 영사 다리우시 바크시 역을 맡아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또한 카날플뤼스의 시리즈 '카불 키친(Kaboul Kitchen)'(2012년~2017년)에서는 마약 거래를 하는 아프가니스탄 육군 대령 아만눌라 역을 맡아 코믹하면서도 개성 있는 연기를 선보였다.
1.3.4. 성우 역할
시몽 아브카리앙은 애니메이션 영화에서도 목소리 연기를 통해 자신의 재능을 발휘했다. 그는 2007년 애니메이션 영화 '페르세폴리스'의 프랑스어 버전에서 에비(마르잔의 아버지)의 목소리를 연기했으며, 2012년 애니메이션 영화 '아기기린 자라파(Zarafa)'에서는 하산의 목소리를 맡았다.

2. 필모그래피
시몽 아브카리앙이 출연하거나 참여한 주요 영화 및 텔레비전 시리즈는 다음과 같다.
2.1. 영화
연도 | 원제 | 한국어 제목 | 역할 | 비고 |
---|---|---|---|---|
1992 | Riens du tout | 백화점 대백과 | 그리스 댄서 | |
1994 | Ana El Awan | 카미유 | ||
1996 | Chacun cherche son chat | 각자의 고양이를 찾아서 | 카를로스 | |
1996 | Le dernier des pélicans | |||
1997 | Le silence de Rak | 두 번째 고객 | ||
1997 | J'irai au paradis car l'enfer est ici | 시몽 | ||
1997 | Tempête dans un verre d'eau | |||
1999 | Lila Lili | 시몽 | ||
2002 | Ararat | 아라라트 | 아르실 고르키 | |
2002 | Almost Peaceful | 알베르 | ||
2002 | The Truth About Charlie | 찰리의 진실 | 데살린 중위 | |
2002 | Aram | 아람 | 아람 | |
2003 | La légende de Parva | 스와미 | 목소리 | |
2003 | Ni pour, ni contre (bien au contraire) | 스나치 어웨이 | 프레디 카파리앙 (르카르프) | |
2004 | To Take a Wife | 엘리야후 | ||
2004 | Yes | 예스 | 그 | |
2005 | Gamblers | 사하크 | ||
2005 | Dans tes rêves | 윌슨 | ||
2005 | The Demon Stirs | 줄리앙 세스타크 | ||
2005 | Zaïna, cavalière de l'Atlas | 오마르 | ||
2005 | J'ai vu tuer Ben Barka | 메흐디 벤 바르카 | ||
2006 | Petites révélations | |||
2006 | Le Voyage en Arménie | 사르키스 아라비앙 | ||
2006 | Hier encore | 시몽 타베트 | ||
2006 | The Serpent | 뱀 남자 | 샘 | |
2006 | Casino Royale | 007 카지노 로얄 | 알렉스 디미트리오스 | |
2007 | New délire | 군터 | 목소리 | |
2007 | Persepolis | 페르세폴리스 | 사트라피 씨 (마르잔의 아버지) | 목소리 |
2007 | Trivial | 소피 마르소의 과거에서 온 여자 | 피에르 | |
2007 | Rendition | 렌디션 | 사이드 압델 아지즈 | |
2008 | Shiva | 엘리아우 | ||
2008 | Un monde à nous | 노아의 삼촌 | 목소리 | |
2008 | Khamsa | 아버지 | ||
2009 | Secret défense | 웨폰스 | 알 바라드 | |
2008 | Musée haut, musée bas | 질 폴린 | ||
2008 | Le Chant des mariées | 라울 | ||
2009 | Rage | 멀린 | ||
2009 | The Army of Crime | 아미 오브 크라임 | 미사크 마누치앙 | |
2010 | Suite parlée | '가면' | ||
2010 | Turk's Head | 홀아비 | ||
2011 | De Force | 더 포스 | 지미 바이스 | |
2012 | Zarafa | 아기기린 자라파 | 하산 | 목소리 |
2012 | Zero Dark Thirty | 제로 다크 서티 | 모니터 속 수감자 | |
2012 | Recon: A Filmmaker's Quest | |||
2013 | Les invincibles | 니노 로시 | ||
2013 | The Marchers | 파리드의 아버지 | ||
2013 | Angélique | 앙젤리크 | 변호사 프랑수아 데그레즈 | |
2014 | Gett - The Trial of Viviane Amsallem | 겟, 더 트라이얼 오브 비비안 암살렘 | 엘리샤 암살렘 | |
2014 | Colt 45 | 콜트 45 고독한 천재 스나이퍼 | 뤽 드나르 사령관 | |
2014 | The Cut | 더 컷 | 크리코르 | |
2014 | Pseudonym | 무슈 | ||
2015 | 1915 | 1915 | 시몽 | |
2015 | Don't Tell Me the Boy Was Mad | 호반네스 알렉산드리안 | ||
2016 | Chouf | 레바논인 | ||
2016 | La Mécanique de l'ombre | 게르포 | ||
2017 | Djam | 잼 | 카쿠르고스 | |
2017 | Overdrive | 오버드라이브 | 자코모 모리어 | |
2018 | The Sonata | 데빌스 소나타 | 찰스 베르네 | |
2019 | Rebelles | |||
2019 | The Swallows of Kabul | |||
2019 | The Audition | |||
2019 | Someone, Somewhere |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에 만나고 싶다! | 앙주 플뢰리 | |
2022 | Restless | 레스틀리스 |
2.2. TV 시리즈
연도 | 원제 | 한국어 제목 | 역할 | 비고 |
---|---|---|---|---|
2007 | Spooks | MI-5 | 다리우시 바크시 | 8 에피소드 |
2012-2017 | Kaboul Kitchen | 카불 키친 | 아만눌라 대령 |
3. 개인 생활
시몽 아브카리앙의 개인 생활에 대한 공개된 정보는 많지 않다. 그는 프랑스에서 태어났지만 아르메니아계 혈통을 가지고 있으며, 어린 시절을 레바논과 미국에서 보내는 등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배경은 그의 연기 활동과 작품 선택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4. 평가 및 영향
시몽 아브카리앙은 독특한 연기 스타일과 폭넓은 역할 소화력으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아왔으며, 특히 그의 아르메니아계 정체성은 작품 선택과 문화적 영향력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4.1. 비평적 평가
시몽 아브카리앙은 연극과 영화를 넘나들며 뛰어난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특히 2001년 연극 '달빛 아래의 야수'에서 아르메니아 대학살 생존자 역을 맡아 보여준 깊이 있는 연기는 비평가들의 찬사를 이끌어냈고, 그에게 프랑스 연극계 최고 권위의 상인 몰리에르상 최우수 배우상을 안겨주었다. 또한 영화 '아내를 얻다'에서의 연기로도 여러 연기상을 수상하며 그의 연기적 재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그는 '007 카지노 로얄'과 같은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악역을 맡아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는 동시에, 독립 영화와 예술 영화에서도 주연을 맡으며 연기 스펙트럼의 폭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4.2. 문화적 영향
시몽 아브카리앙은 아르메니아계 프랑스 배우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작품 활동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중요한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그는 '달빛 아래의 야수', '아라라트', '아미 오브 크라임', '더 컷', '1915', '그 소년이 미쳤다고 말하지 마' 등 아르메니아 대학살과 아르메니아인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다룬 여러 작품에 출연했다. 이러한 역할들은 단순한 연기를 넘어, 잊혀질 수 있는 역사적 기억을 상기시키고, 사회 정의와 인권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의 작품들은 프랑스뿐만 아니라 국제 영화계에서도 아르메니아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역사적 비극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키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그는 프랑스 영화계에 다양성을 더하고, 국제적인 협업을 통해 유럽과 할리우드를 오가며 활동하는 아르메니아계 배우의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5. 관련 항목
- 아르메니아인
- 아르메니아 대학살
- 아리안 므누슈킨
- 세드릭 클라피슈
- 아톰 에고얀
- 제임스 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