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스퍼드 웹(Anthony Jerome Webb, 1963년 7월 13일 ~ )은 미국의 전 농구 선수이자 NBA 역사상 가장 작은 선수 중 한 명으로 기록된 포인트 가드이다. 공식 신장 170 cm에도 불구하고, 그는 엄청난 수직 점프 능력과 뛰어난 운동 신경을 바탕으로 1986년 NBA 슬램덩크 콘테스트에서 우승하며 전 세계에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이는 작은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고 최고 수준의 무대에서 성공할 수 있음을 증명하며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1985년부터 1998년까지 NBA에서 12시즌 동안 활약했으며, 은퇴 후에는 댈러스 매버릭스 산하 NBA G 리그 팀인 텍사스 레전즈의 농구 운영 사장직을 맡는 등 농구계에 꾸준히 기여하고 있다.
2. 어린 시절과 배경
2.1. 출생과 어린 시절
스퍼드 웹은 1963년 7월 13일 텍사스주 댈러스의 빈곤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별명인 '스퍼드'는 그가 갓 태어난 아기였을 때, 병원을 방문한 사람이 그의 둥근 머리가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위성과 닮았다고 말한 데서 유래했다. 이후 '스푸트니크'가 줄어들어 '스퍼드'가 되었다. 웹은 두 침실짜리 작은 집에서 자랐으며, 농구를 인생의 영감으로 삼았다.
2.2. 교육과 초기 농구 경력
웹은 신장이 작았음에도 불구하고 빠른 몸놀림과 뛰어난 점프 능력을 활용하여 자신보다 큰 아이들을 능가하는 실력을 보여주었다. 그는 7학년 때부터 농구를 하기에는 키가 너무 작다는 이야기를 끊임없이 들었다. 주니어 하이 팀에서 뛸 기회도 두 명의 선수가 첫 경기 전까지 신체검사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서 겨우 얻을 수 있었는데, 그는 그 첫 경기에서 22득점을 기록하며 모두를 놀라게 했다. 웹은 키가 약 160cm였을 때 이미 덩크슛을 할 수 있었다. 윌머-헛친스 고등학교(Wilmer-Hutchins High School)에서 그는 주니어 바시티 팀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했으며, 시니어 시즌에는 경기당 평균 26득점을 기록하며 주전 팀에 합류했다.
3. 대학 경력
3.1. 미들랜드 칼리지
인상적인 고등학교 기록에도 불구하고, 스퍼드 웹은 대학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노스텍사스 대학교 농구 코치 빌 블레이클리(Bill Blakeley, 후에 그의 NBA 에이전트가 됨)의 영입 제안을 받았다. 웹은 텍사스주 미들랜드에 위치한 미들랜드 칼리지(Midland College)에서 대학 농구 선수로서 첫 기회를 잡았다. 그는 1982년 미들랜드 칼리지의 채퍼럴스(Chaparrals) 팀을 주니어 칼리지 전국 타이틀로 이끌었다. 특히 챔피언십 경기에서는 당시 무패 행진을 달리던 플로리다의 마이애미-데이드 노스(Miami-Dade North)를 상대로 더블 오버타임 접전 끝에 93-88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웹은 필드골 15개 중 10개 성공, 자유투 18개 중 16개 성공으로 36득점을 기록하며 양 팀 선수 중 최다 득점을 올렸다. 이 뛰어난 활약으로 웹은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에 소개되며 전국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며, 1983년에는 전미 주니어 칼리지 체육 협회(National Junior College Athletic Association)로부터 NJCAA 올아메리칸에 선정되었다.
3.2.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미들랜드 칼리지에서 성공적인 시즌을 보낸 후, 스퍼드 웹은 빌 블레이클리 코치를 따라 노스텍사스 대학교로 전학 갈 계획이었다. 하지만 블레이클리 코치가 1983년 5월 해고되면서 웹은 댈러스 페어 파크 근처에 있는 아버지의 '웹스 소울 마트'(Webb's Soul Mart)에서 일할 준비를 해야 했다. 이에 블레이클리 코치는 그의 친구이자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의 보조 코치였던 톰 아바테마르코(Tom Abatemarco)에게 연락했고, 아바테마르코는 MLK 레크리에이션 센터에서 열린 여름 리그 경기에 웹을 보러 왔다. 아바테마르코는 웹의 플레이에 깊은 인상을 받아 그를 짐 발바노(Jim Valvano) 헤드 코치에게 소개했고, 발바노 감독은 웹에게 장학금을 제안했다.
대학 시절 웹의 수직 점프는 107 cm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그의 탁월한 운동 능력을 입증하는 수치였다. 그는 1983-84 시즌과 1984-85 시즌 동안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에서 활약하며 평균 10.4득점과 5.7어시스트를 기록했다.
4. 프로 경력
4.1. NBA 드래프트와 초기 경력
대부분의 스카우트들은 스퍼드 웹의 작은 키(약 168 cm) 때문에 그가 유럽이나 할렘 글로브트로터스에서 선수 생활을 마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웹은 1985년 NBA 드래프트 4라운드에서 전체 87순위로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에 지명되었다. 당시 유명한 일화로는 그가 드래프트 신청 시 자신의 신장을 10 cm 과장하여 178 cm로 기재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피스톤스는 가드진이 많아 프리시즌이 시작되기도 전에 웹을 방출했다. 이에 그의 에이전트 빌 블레이클리는 애틀랜타 호크스와 트라이아웃을 주선했고, 웹은 이 트라이아웃에서 여러 베테랑 가드들을 제치고 개막 로스터에 합류하며 NBA에 입성했다.
4.2. 애틀랜타 호크스 (1985-1991)
스퍼드 웹은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애틀랜타 호크스 소속으로 뛰었다. 그는 호크스에서 뛰는 동안 팀의 중요한 백코트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1991년 3월 5일, 그는 덴버 너기츠와의 경기에서 당시 개인 최고 득점인 32득점을 기록하며 호크스의 139-127 승리를 이끌었다.
4.2.1. 1986 NBA 슬램덩크 콘테스트 우승
스퍼드 웹은 1986년 댈러스의 리유니온 아레나에서 열린 NBA 슬램덩크 콘테스트에 참가하여 우승을 차지하며, 이 대회 역사상 가장 작은 우승자로 기록되었다. 그의 참여는 팀 동료이자 당시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도미니크 윌킨스를 포함한 많은 언론과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웹은 "아무도 제가 덩크하는 것을 본 적이 없었다"고 말하며 대회에 참가했다.
그는 당시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인상적인 덩크 기술들을 선보였다.
- 엘리베이터 투핸드 더블 펌프 덩크 (Elevator two-handed double pump dunk)
- 백보드를 이용한 원핸드 잼 (Off-the-backboard one-handed jam)
- 360도 헬리콥터 원핸드 덩크 (360-degree helicopter one-handed dunk)
- 리버스 더블 펌프 슬램 (Reverse double-pump slam)
- 코트 바닥에서 띄운 공을 이용한 리버스 투핸드 스트로베리 잼 (Reverse two-handed strawberry jam from a lob bounce off the floor)
결승 라운드에서 웹은 윌킨스를 상대로 두 차례나 50점 만점을 받으며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애틀랜타 호크스의 감독 마이크 프라텔로(Mike Fratello)는 "스퍼드가 윌킨스를 속였다. 그는 윌킨스에게 아무것도 준비하지 않았고 연습도 하지 않았다고 말해서 윌킨스가 평소 덩크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하게 만들었다"고 언급했다.
이 슬램덩크 콘테스트 우승은 그의 신인 시즌 활약과 함께 팬들의 엄청난 사랑을 받으며, 포니(Pony Shoes), 코카콜라(Coca-Cola), 처치스 프라이드 치킨(Church's Fried Chicken), 바덴 농구(Baden Basketball), 하디스(Hardee's Hamburgers), 선키스트 오렌지(Sunkist Oranges), 사우스랜드 코퍼레이션(Southland Corp), 칩스 아호이!(Chips Ahoy!) 등 수많은 국내 광고 계약으로 이어졌다.
4.3. 새크라멘토 킹스 (1991-1995)
애틀랜타 호크스에서 6시즌을 보낸 후, 스퍼드 웹은 트래비스 메이스(Travis Mays)와 트레이드되어 새크라멘토 킹스로 이적했다. 킹스에서 그는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주전 선수로 활약하며 통계적으로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킹스에서의 첫 시즌에 그는 경기당 평균 16.0득점과 7.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자신의 커리어 하이를 달성했다. 또한 새크라멘토에서의 마지막 시즌인 1994-95시즌에는 자유투 성공률 93.4%를 기록하며 NBA 전체 1위에 올랐는데, 이는 전 시즌의 81.3%에서 크게 향상된 수치였다.
4.4. 이후 NBA 팀 경력 (1995-1998)
스퍼드 웹은 새크라멘토 킹스 이후 여러 팀을 거치며 선수 경력의 후반을 보냈다.
- 애틀랜타 호크스 복귀 (1995-1996)**: 1995년, 웹은 타이론 코빈(Tyrone Corbin)과 트레이드되어 다시 애틀랜타 호크스로 돌아왔다.
-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1996)**: 1995-96 시즌의 절반을 호크스에서 보낸 후, 그는 앤드루 랭(Andrew Lang)과 함께 크리스천 레이트너(Christian Laettner)와 션 룩스(Sean Rooks)를 상대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로 트레이드되었다.
- 이탈리아 스칼리게라 (1996-1997)**: 잠시 이탈리아 리그의 스칼리게라 팀에서 활약하기도 했다.
- 올랜도 매직 (1998)**: 웹은 1998년 올랜도 매직에서 한 시즌을 보낸 후 프로 농구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은퇴했다.
- 아이다호 스탬피드 (1998)**: 은퇴 전 CBA의 아이다호 스탬피드(Idaho Stampede)에서 잠시 뛰기도 했다.
4.5. 경력 요약 및 기록
스퍼드 웹은 12년의 NBA 경력 동안 총 814경기에 출전했다. 그는 경기당 평균 9.9득점을 기록하며 총 8,072득점과 4,342어시스트를 올렸다. 20득점 이상을 기록한 경기가 50회 이상이며, 1993년 4월 21일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와의 경기에서 개인 최고 34득점을 기록했다. 또한 1986년 4월 19일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와의 경기에서는 개인 최고 18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21년 기준으로 스퍼드 웹은 멜 허쉬(Mel Hirsch)와 함께 NBA 역사상 세 번째로 키가 작은 선수이다. 그보다 키가 작은 선수는 먹시 보그스(Muggsy Bogues, 160cm)와 얼 보인스(Earl Boykins, 165cm) 단 두 명뿐이다.
5. 은퇴 이후 활동
5.1. 슬램덩크 콘테스트 관련 활동
스퍼드 웹은 1986년 NBA 슬램덩크 콘테스트 우승 이후에도 이 대회와 인연을 이어갔다. 자신의 우승 20년 후인 2006년, 그는 뉴욕 닉스의 포인트 가드 네이트 로빈슨(Nate Robinson, 175cm 키)을 훈련시켜 이 대회에서 우승하도록 도왔다. 당시 웹이 공을 로빈슨에게 던졌고, 로빈슨은 웹을 뛰어넘어 덩크를 성공시키며 심사위원들로부터 50점 만점을 받았다. 이로써 로빈슨과 웹은 NBA 역사상 183cm 미만의 선수로서 슬램덩크 콘테스트에서 우승한 유일한 두 명의 선수가 되었다. 또한 웹은 2010년 댈러스의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에서 열린 덩크 콘테스트의 심사위원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 2010년 대회는 1986년 웹의 우승 이후 처음으로 댈러스에서 열린 덩크 콘테스트였다.
5.2. 농구 행정가 경력
2010년 2월, 댈러스 모닝 뉴스는 스퍼드 웹이 텍사스주 프리스코에 기반을 둔 새로운 NBA 개발 리그(현재 NBA G 리그) 팀의 농구 운영 사장으로 고용되었다고 보도했다. 이 팀은 나중에 텍사스 레전즈(Texas Legends)로 알려지게 되었다. 2023년 12월 기준으로 스퍼드 웹은 댈러스 매버릭스 산하 NBA G 리그 팀인 텍사스 레전즈의 농구 운영 사장직을 계속해서 맡고 있다.
6. NBA 경력 통계
6.1. 정규 시즌
연도 | 팀 | 경기 출전 수 | 선발 출전 수 | 경기당 출전 시간 (분) | 필드골 성공률 | 3점 필드골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경기당 리바운드 수 | 경기당 어시스트 수 | 경기당 스틸 수 | 경기당 블록 수 | 경기당 득점 |
---|---|---|---|---|---|---|---|---|---|---|---|---|
1985 | 애틀랜타 | 79 | 8 | 15.6 | 0.483 | 0.182 | 0.785 | 1.6 | 4.3 | 1.0 | 0.1 | 7.8 |
1986 | 애틀랜타 | 33 | 0 | 16.1 | 0.438 | 0.167 | 0.762 | 1.8 | 5.1 | 1.0 | 0.1 | 6.8 |
1987 | 애틀랜타 | 82 | 1 | 16.4 | 0.475 | 0.053 | 0.817 | 1.8 | 4.1 | 0.8 | 0.1 | 6.0 |
1988 | 애틀랜타 | 81 | 6 | 15.0 | 0.459 | 0.045 | 0.867 | 1.5 | 3.5 | 0.9 | 0.1 | 3.9 |
1989 | 애틀랜타 | 82 | 46 | 26.6 | 0.477 | 0.053 | 0.871 | 2.5 | 5.8 | 1.3 | 0.1 | 9.2 |
1990 | 애틀랜타 | 75 | 64 | 29.3 | 0.447 | 0.321 | 0.868 | 2.3 | 5.6 | 1.6 | 0.1 | 13.4 |
1991 | 새크라멘토 | 77 | 77 | 35.4 | 0.445 | 0.367 | 0.859 | 2.9 | 7.1 | 1.6 | 0.3 | 16.0 |
1992 | 새크라멘토 | 69 | 68 | 33.8 | 0.433 | 0.274 | 0.851 | 2.8 | 7.0 | 1.5 | 0.1 | 14.5 |
1993 | 새크라멘토 | 79 | 62 | 32.5 | 0.460 | 0.335 | 0.813 | 2.3 | 6.7 | 1.2 | 0.3 | 12.7 |
1994 | 새크라멘토 | 76 | 76 | 32.3 | 0.438 | 0.331 | 0.934 | 2.3 | 6.2 | 1.0 | 0.1 | 11.6 |
1995 | 애틀랜타 | 51 | 0 | 16.0 | 0.468 | 0.316 | 0.851 | 1.2 | 2.7 | 0.5 | 0.0 | 5.9 |
1995 | 미네소타 | 26 | 21 | 24.8 | 0.394 | 0.403 | 0.879 | 1.5 | 5.9 | 1.0 | 0.2 | 9.4 |
1997 | 올랜도 | 4 | 0 | 8.5 | 0.417 | 0.000 | 1.000 | 0.8 | 1.3 | 0.3 | 0.0 | 3.0 |
경력 | 814 | 429 | 24.9 | 0.452 | 0.314 | 0.848 | 2.1 | 5.3 | 1.1 | 0.1 | 9.9 |
6.2. 플레이오프
연도 | 팀 | 경기 출전 수 | 선발 출전 수 | 경기당 출전 시간 (분) | 필드골 성공률 | 3점 필드골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경기당 리바운드 수 | 경기당 어시스트 수 | 경기당 스틸 수 | 경기당 블록 수 | 경기당 득점 |
---|---|---|---|---|---|---|---|---|---|---|---|---|
1986 | 애틀랜타 | 9 | 0 | 20.3 | 0.519 | 0.000 | 0.738 | 3.4 | 7.2 | 0.4 | 0.1 | 12.2 |
1987 | 애틀랜타 | 8 | 1 | 15.3 | 0.474 | 0.000 | 0.765 | 1.0 | 4.8 | 0.8 | 0.0 | 3.9 |
1988 | 애틀랜타 | 12 | 0 | 17.6 | 0.432 | 0.250 | 0.919 | 1.7 | 4.7 | 0.8 | 0.0 | 8.8 |
1989 | 애틀랜타 | 5 | 0 | 11.0 | 0.273 | - | 1.000 | 0.8 | 3.0 | 0.8 | 0.0 | 1.6 |
1991 | 애틀랜타 | 5 | 5 | 30.8 | 0.439 | 0.417 | 0.688 | 4.4 | 4.8 | 1.4 | 0.2 | 13.2 |
경력 | 39 | 6 | 18.6 | 0.458 | 0.304 | 0.819 | 2.2 | 5.1 | 0.8 | 0.1 | 8.2 |
7. 평가 및 영향
7.1. 키 작은 선수로서의 상징성
스퍼드 웹은 NBA 역사상 가장 작은 선수 중 한 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그의 성공은 신체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투지와 노력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는 다른 작은 신장의 농구 선수들은 물론, 꿈을 가진 많은 대중에게 깊은 영감과 희망의 상징이 되었다. 그는 단순히 농구 선수를 넘어 불굴의 정신을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7.2. 광고 및 대중 문화적 영향
스퍼드 웹의 인지도는 농구 코트 밖으로도 확대되어 다양한 대중문화 현상으로 이어졌다. 특히 1986년 슬램덩크 콘테스트 우승은 당시 NBA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던 일본에서도 큰 화제가 되었다. 그는 미즈노 (ミズノ미즈노일본어)와 신발 계약을 맺고 일본의 텔레비전 광고에 출연했으며, 당시의 캐치프레이즈는 일본어로 "小さかったら高く跳べ" (작다면 높이 뛰어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