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사쓰카와 노리히로(薩川 了洋사쓰카와 노리히로일본어, 1972년 4월 18일 ~ )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지도자이다. 현역 시절에는 주로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요코하마 플뤼겔스와 가시와 레이솔에서 뛰었다. 특히 요코하마 플뤼겔스 시절에는 천황배와 아시안 컵위너스컵, 아시안 슈퍼컵 우승을 경험하며 팀의 주요 수비수로 활약했다. 가시와 레이솔에서는 J리그컵 우승에 기여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의 길을 걸어 AC 나가노 파르세이루, FC 류큐, SC 사가미하라, 나라 클럽, 반디온세 카코가와 등 여러 팀의 감독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사카이 트리니타스의 감독을 맡고 있다.
2. 초기 생애 및 교육
사쓰카와 노리히로는 1972년 4월 18일 일본 시즈오카현 시미즈시(현 시즈오카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시즈오카시립 오키쓰 초등학교와 시즈오카시립 오키쓰 중학교를 거쳐 시즈오카 시립 시미즈 상업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축구 선수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그의 신장은 175 cm이며, 체중은 72 kg이다.
3. 선수 경력
사쓰카와 노리히로는 프로 축구 선수로서 1991년부터 2005년까지 활약했다. 그는 주로 중앙 수비수와 측면 수비수로 뛰었으며, 뛰어난 수비력과 꾸준함으로 팀의 핵심 선수로 인정받았다.
3.1. 요코하마 플뤼겔스
사쓰카와는 1991년 고등학교 졸업 후 전일본공수 축구단(이후 요코하마 플뤼겔스로 변경)에 입단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첫 시즌부터 주로 중앙 수비수로 많은 경기에 출전했다. 요코하마 플뤼겔스는 1993년 천황배에서 우승하며 첫 주요 타이틀을 획득했고, 1994-95 시즌에는 아시아 무대에서 아시안 컵위너스컵 우승을 차지하며 구단 역사상 첫 아시아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이어 1995년에는 아시안 슈퍼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국내 리그에서는 1996년 J1리그에서 3위를 기록했으며, J리그컵에서는 1993년과 1997년에 4강에 진출했다. 천황배에서는 1997년에 준우승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구단은 재정난으로 인해 1998년 시즌을 끝으로 해체되었다. 사쓰카와는 구단의 마지막 대회였던 1998년 천황배에서 준결승까지 4경기에 모두 출전했으나, 경고 누적으로 인해 1998년 천황배 결승전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팀은 그가 없는 상황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3.2. 가시와 레이솔
1999년, 사쓰카와는 가시와 레이솔로 이적했다. 그는 2001년까지 홍명보, 와타나베 다케시와 함께 스리백 수비의 왼쪽 수비수로 활약했다. 가시와 레이솔은 1999년 J리그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1999년과 2000년 J1리그에서 3위를 기록했다. 또한 1999년 천황배에서는 4강에 진출했다.
이후 팀의 성적은 다소 부진했지만, 그는 중앙 수비수로서 오랫동안 주전 선수로 활약했다。2003년 10월 26일, J1 세컨드 스테이지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의 경기에서 상대 공격수 에메르송과 충돌하여 오른쪽 다리 하퇴부 골절상을 입었다. 진단 결과 회복에 8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고, 그는 재활에 힘썼다. 실전 훈련 재개 직후 연습 경기에서 눈썹 부근을 다치는 부상도 있었지만, 이듬해인 2004년 8월 29일 산프레체 히로시마와의 경기에서 복귀하여 풀타임을 소화했다. 2005년 8월 28일에는 J1 통산 3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2004년 시즌에 팀은 최하위를 기록했고, 2005년 시즌 종료 후 J2리그로 강등되자 그는 현역에서 은퇴했다.
4.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후 사쓰카와는 지도자로 전향하여 여러 팀에서 감독 및 코치직을 수행하며 경험을 쌓았다.
4.1. AC 나가노 파르세이루
2007년, 사쓰카와는 친정팀인 가시와 레이솔의 보급부 코치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2008년에는 가시와 레이솔에서 파견되는 형태로 지역 리그 소속의 AC 나가노 파르세이루의 코치로 부임했다. 2010년 시즌부터는 나가노의 감독으로 승격했으며, 최소 2011년 시즌까지는 가시와 레이솔에서 파견된 신분으로 감독직을 수행했다. 그는 2010년 시즌 팀을 JFL로 승격시키는 데 성공했다. 2011년과 2012년 시즌에는 지역 리그 시절 선수들을 크게 교체하지 않고도 강한 체력과 수비력을 바탕으로 팀을 구성하여 JFL에서 2년 연속 2위를 차지하는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2012년 시즌 종료 후, 구단 측의 "미래 구단과 지역 발전을 위한 큰 전환점"이라는 판단에 따라 나가노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4.2. FC 류큐
2013년, 사쓰카와는 당시 JFL 소속이던 FC 류큐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3시즌 동안 팀을 이끌었으며, 2014년 시즌부터 새롭게 출범한 J3리그로 팀을 승격시키는 데 성공했다. 2015년 시즌 종료 후 FC 류큐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4.3. SC 사가미하라
2016년, 사쓰카와는 J3리그 소속의 SC 사가미하라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러나 가나가와현 축구 선수권 대회(천황배 가나가와현 예선)에서 패배한 직후 사임 의사를 밝혔고, 8월 18일 감독직에서 물러나 강화부로 이동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이후 그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다시 SC 사가미하라에서 여러 직책을 맡았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는 1군 팀의 수석 코치로 활동했으며, 2021년 9월부터 2022년 5월까지는 U-18 팀의 감독을 역임했다. 2022년 5월에는 다시 1군 팀의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같은 해 11월에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023년에는 다시 U-18 팀의 감독을 맡았다.
4.4. 나라 클럽
2017년, 사쓰카와는 JFL 소속의 나라 클럽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2시즌 동안 나라 클럽을 이끌었으며, 2018년 11월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났다.
4.5. 반디온세 카코가와 및 현직
2019년, 사쓰카와는 지역 리그 소속의 반디온세 카코가와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22일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024년부터는 간토 축구 리그 2부 소속의 사카이 트리니타스의 감독을 맡고 있다.
5. 에피소드 및 개인사
- 별명 : 사쓰카와는 현역 시절 '반팔 작업꾼'(半袖仕事人한소데 시고토닌일본어) 또는 '반팔 대장'(半袖隊長한소데 다이초일본어)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는 그가 추운 날씨에도 항상 반팔 유니폼을 입고 경기에 임했기 때문이다. 그는 한 토크쇼에서 "반팔이라 춥지 않냐"는 질문에 "춥다"고 답하면서도 "내가 긴팔을 입으면 '긴팔 부대'가 되어버리니까"라며 반팔을 고수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요코하마 플뤼겔스와 가시와 레이솔 서포터들 사이에서는 '반팔대'라는 사쓰카와 서포터 그룹이 생겨나기도 했다.
- 특기 : 그의 특기는 '빠른 옷 갈아입기'였다. 샤워 후 옷을 갈아입는 속도는 누구도 따라올 수 없었다고 한다. 요코하마 플뤼겔스에서 함께 뛰었던 지뉴는 일본을 떠날 때 "사쓰카와보다 빨리 샤워실을 나올 수 없었던 것이 아쉽다"는 말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 천황배 결승전 출전 정지 : 요코하마 플뤼겔스가 요코하마 F. 마리노스와의 합병을 발표하고 마지막 공식 경기가 된 제78회 천황배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에 참가했다. 그는 준결승전인 가시마 앤틀러스전까지 4경기 모두 출전했지만, 이 경기에서 퇴장을 당해 결승전인 시미즈 에스펄스전에는 출전 정지로 나설 수 없었다. 팀은 그가 없는 상황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 국가대표 미발탁 : 그는 JSL을 포함한 14시즌 중 12시즌에서 리그 경기 절반 이상을 출전하며 팀에서 두터운 신뢰를 받았지만, 일본 국가대표팀에는 단 한 번도 소집되지 못했다.
6. 선수 경력 통산 기록
| 클럽 성적 | 리그 | 컵 | 리그컵 | 총합 |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일본 | 리그 | 천황배 | 리그컵 | 총합 | ||||||
| 1991-92 | 전일본공수 | JSL 1부 | 12 | 0 | 0 | 0 | 0 | 0 | 12 | 0 |
| 1992 | 요코하마 플뤼겔스 | J1리그 | - | 1 | 0 | 1 | 0 | 2 | 0 | |
| 1993 | 20 | 0 | 4 | 0 | 5 | 0 | 29 | 0 | ||
| 1994 | 35 | 0 | 2 | 0 | 2 | 0 | 39 | 0 | ||
| 1995 | 14 | 0 | 0 | 0 | - | 14 | 0 | |||
| 1996 | 22 | 1 | 2 | 0 | 14 | 2 | 38 | 3 | ||
| 1997 | 27 | 0 | 5 | 0 | 10 | 0 | 42 | 0 | ||
| 1998 | 32 | 0 | 4 | 0 | 4 | 0 | 40 | 0 | ||
| 1999 | 가시와 레이솔 | J1리그 | 28 | 0 | 4 | 0 | 8 | 0 | 40 | 0 |
| 2000 | 28 | 0 | 2 | 0 | 2 | 0 | 32 | 0 | ||
| 2001 | 26 | 1 | 1 | 0 | 4 | 0 | 31 | 1 | ||
| 2002 | 28 | 0 | 1 | 0 | 5 | 0 | 34 | 0 | ||
| 2003 | 24 | 0 | 0 | 0 | 1 | 0 | 25 | 0 | ||
| 2004 | 8 | 0 | 1 | 0 | 0 | 0 | 9 | 0 | ||
| 2005 | 19 | 0 | 1 | 0 | 3 | 0 | 23 | 0 | ||
| 경력 총합 | 323 | 2 | 27 | 0 | 59 | 2 | 409 | 4 | ||
- J리그 첫 출전: 1993년 5월 16일 대 시미즈 에스펄스전 (미쓰자와 공원 구기장)
- J리그 첫 득점: 1996년 5월 1일 대 주빌로 이와타전 (야마하 스타디움)
- JSL(1부) 첫 출전: 1991년 12월 1일 대 도요타 자동차 축구단전 (가고시마현립 가모이케 육상 경기장)
7. 지도자 경력 통산 기록
| 연도 | 클럽 | 소속 | 리그전 | 컵대회 | ||||||
|---|---|---|---|---|---|---|---|---|---|---|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리그컵 | 천황배 | |||
| 2010 | 나가노 | 호쿠신에쓰 1부 | 우승 | 38 | 14 | 12 | 2 | 0 | - | 현 예선 탈락 |
| 2011 | JFL | 2위 | 63 | 33 | 19 | 6 | 8 | - | 현 예선 탈락 | |
| 2012 | 2위 | 58 | 32 | 17 | 7 | 8 | - | 3회전 | ||
| 2013 | FC 류큐 | 11위 | 46 | 34 | 12 | 10 | 12 | - | 2회전 | |
| 2014 | J3리그 | 9위 | 34 | 33 | 8 | 10 | 15 | - | 2회전 | |
| 2015 | 9위 | 45 | 36 | 12 | 9 | 15 | - | 2회전 | ||
| 2016 | 사가미하라 | 7위 | 30 | 20 | 8 | 6 | 6 | - | 현 예선 탈락 | |
| 2017 | 나라 클럽 | JFL | 7위 | 51 | 30 | 10 | 10 | 10 | - | 1회전 |
| 2018 | 8위 | 42 | 30 | 12 | 6 | 12 | - | 2회전 | ||
| 2019 | 반디온세 카코가와 | 간사이 1부 | 5위 | 20 | 14 | 6 | 2 | 6 | - | 현 예선 탈락 |
| 2022 | 사가미하라 | J3리그 | 18위 | 18 | 26 | 4 | 6 | 16 | - | 현 예선 탈락 |
- 2016년 기록은 사임 시점의 성적이다.
- 2022년 기록은 5월 부임 이후의 성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