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Education
윌리엄 찰스 피치는 유년 시절부터 농구에 두각을 나타냈으며, 대학에서는 학업과 함께 농구 및 야구 선수로 활약하며 전인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1.1. Early Life
윌리엄 찰스 피치는 1932년 5월 19일 아이오와주 대븐포트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이오와주 시더 래피즈에 위치한 윌슨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으며, 특히 농구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1.2. College Years
피치는 1950년부터 1954년까지 코 컬리지에 재학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농구와 야구 선수로 활약했으며, 1954년에는 체육 교육학 학위를 취득하며 졸업했다.
2. Coaching Career
빌 피치는 대학 코치로서의 초기 경험을 통해 지도력을 키웠으며, 이후 NBA에 진출하여 여러 팀의 헤드 코치를 맡아 팀의 성장을 이끌었다. 그의 경력은 도전과 성공의 연속이었다.
2.1. College Coaching
피치는 1956년부터 1958년까지 크레이튼 대학교의 보조 코치로 재직하며 코칭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자신의 모교인 코 컬리지를 지도했다. 1962년부터 1967년까지 노스다코타 대학교를 맡아 팀을 세 차례 NCAA 디비전 II 남자 농구 토너먼트로 이끌었고, 1966년에는 NCAA 컬리지 디비전 농구 토너먼트에서 파이널 포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967년부터 1968년까지는 볼링 그린 주립 대학교 팰컨스의 감독을 맡았다. 이 한 시즌 동안 팰컨스는 18승 7패(컨퍼런스 10승 2패)의 기록으로 미드-아메리칸 컨퍼런스 우승을 차지하고 1968년 NCAA 유니버시티 디비전 농구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1968년부터 1970년까지는 미네소타 대학교의 골든 고퍼스를 두 시즌 동안 지도하며 각각 12승 12패와 13승 11패의 기록을 남겼다.
2.2. NBA Coaching
피치는 NBA에서 여러 팀의 헤드 코치로 활약하며 팀의 성공과 재건에 크게 기여했다.
2.2.1. Cleveland Cavaliers
피치는 1970년 3월 19일, 신생팀인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의 초대 헤드 코치로 부임하여 1970-71 시즌부터 팀을 이끌었다. 첫 시즌에는 15승 67패를 기록하며 어려운 시작을 보였으나, 다음 두 시즌 동안 점차 승수를 늘려 세 번째 시즌에는 32승을 기록했다. 비록 첫 네 시즌 동안 중앙 디비전 최하위에 머물렀지만, 1974-75 시즌에는 40승을 거두며 팀 역사상 처음으로 최하위를 면하고 디비전 3위에 올랐다. 이 시기에는 1971년 1라운드 지명자인 오스틴 카가 팀의 주 득점원 역할을 했다.
1975-76 시즌은 클리블랜드에서의 그의 경력 중 정점을 찍은 시기였다. 이 팀은 "리치필드의 기적"으로 불리며, 카, 캠피 러셀, 빙고 스미스 등의 주축 선수들과 짐 초네스, 네이트 서먼드 같은 선수들의 활약에 힘입어 49승을 기록하며 중앙 디비전 우승을 차지했다. 워싱턴 불리츠를 7경기 만에 꺾고 컨퍼런스 파이널에 진출했으나, 보스턴 셀틱스에 6경기 만에 패하며 아쉽게 우승의 문턱에서 좌절했다. 이 시즌을 마친 후 피치는 NBA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했다. 그는 캐벌리어스를 이끌고 두 번의 플레이오프에 더 진출했지만, 시리즈 승리에는 실패했다. 1978-79 시즌에 30승 52패를 기록한 후, 1979년 5월 21일 캐벌리어스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2.2.2. Boston Celtics
1979년 5월 23일, 피치는 보스턴 셀틱스의 헤드 코치로 임명되었다. 그는 전 시즌 29승 53패를 기록한 데이브 코웬스의 뒤를 이어 팀을 맡았다. 그의 첫 시즌인 1979-80 시즌은 래리 버드의 데뷔 시즌이기도 했다. 전 미합중국 해병대 훈련 교관 출신인 피치는 버드로부터 강도 높은 훈련과 규율을 강조하는 코치로 찬사를 받았다. 그는 셀틱스를 61승과 함께 애틀랜틱 디비전 우승으로 이끌었다. 그러나 플레이오프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에 5경기 만에 패배했다. 이 시즌 후 피치는 두 번째 NBA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했다.
그의 두 번째 시즌에는 셀틱스가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케빈 맥헤일을 드래프트하고 로버트 패리시를 영입했다. 피치의 팀은 62승을 거두며 두 번째 애틀랜틱 디비전 우승을 차지했다. 이들은 1981년 NBA 파이널에서 휴스턴 로케츠를 6경기 만에 꺾고 우승하며, 셀틱스에게 1976년 이후 첫 NBA 챔피언십 트로피를 안겨주었다.
피치는 1981-82 시즌에도 63승을 기록하며 세 번째 연속 애틀랜틱 디비전 우승을 이끌었지만,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다시 세븐티식서스에 7경기 만에 패했다. 1982-83 시즌에는 승수가 56승으로 줄어들었고, 애틀랜틱 디비전 2위를 기록했으며, 플레이오프 컨퍼런스 세미파이널에서 밀워키 벅스에 4경기 만에 패배했다. 1983년 5월 27일, 그는 셀틱스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피치는 해리 T. 망구리안 주니어가 보스턴 가든 소유주인 델라웨어 노스와의 문제로 팀을 매각하겠다고 발표한 것이 남아있던 3년 계약에도 불구하고 사임한 결정적인 이유였다고 밝혔다.
2.2.3. Houston Rockets
1983년 6월 1일, 피치는 휴스턴 로케츠의 감독으로 고용되었다. 그는 전 시즌 14승을 기록한 델 해리스의 뒤를 이어 팀을 맡았다. 1983-84 시즌은 랄프 샘슨이 팀에 합류한 첫 시즌이었고, 팀은 29승을 기록했다. 다음 시즌에는 로케츠가 하킴 올라주원을 드래프트했고, 팀은 48승을 거두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유타 재즈에 5경기 만에 패하며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그의 세 번째 시즌은 로케츠에서 가장 성공적인 시기였다. 팀은 미드웨스트 디비전 우승을 차지했으며,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를 5경기 만에 꺾고 서부 컨퍼런스 우승을 차지하며 1986년 NBA 파이널에 진출했다. 파이널에서는 피치의 옛 팀인 보스턴 셀틱스를 만났으나, 6경기 만에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피치가 로케츠를 이끈 다음 두 시즌 동안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컨퍼런스 세미파이널을 넘어서지 못했다. 1988년 6월 6일, 피치는 로케츠 감독직에서 해고되었다.
2.2.4. New Jersey Nets
1989년 8월 21일, 피치는 뉴저지 네츠 (현 브루클린 네츠)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전 시즌 26승 56패를 기록한 윌리스 리드의 후임이었다. 팀은 샘 보위를 드래프트하여 재건을 시도했으나, 그 시즌에는 17승 65패를 기록하며 NBA 합류 이후 네츠의 최저 승수를 기록했다.
피치는 점진적으로 팀을 개선시켰다. 데릭 콜먼, 드라젠 페트로비치, 테리 밀스와 같은 선수들을 영입하며 팀을 강화했고, 1991-92 뉴저지 네츠 시즌에는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 이 팀은 40승 42패의 패배 기록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동부 컨퍼런스 14팀 중 6번째로 좋은 기록이었다. 그들은 1라운드에서 피치의 옛 팀인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에 4경기 만에 패배했다. 1992년 5월 12일, 피치는 네츠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2.2.5. Los Angeles Clippers
1994년 7월 28일, 피치는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의 감독으로 고용되었다. 그는 전 시즌 27승 55패를 기록한 밥 와이스의 후임이었다. 클리퍼스에서 네 시즌을 보내는 동안, 그는 1992년과 1993년 연속 플레이오프 진출 이후 하락세를 겪던 팀의 흐름을 되돌리지 못했다.
하지만 1996-97 시즌에 팀을 플레이오프로 이끌었다. 이는 2006년까지 클리퍼스의 마지막 플레이오프 진출이었다. 당시 팀은 36승 46패로 패배 기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단 2경기 차이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1라운드에서 유타 재즈에 스윕당했다. 다음 시즌인 1997-98 시즌은 17승 65패로 비참한 결과를 낳았으며, 이는 1994-95 시즌과 동일한 최악의 기록이었다. 시즌 종료 이틀 후인 1998년 4월 20일, 피치는 해고되었다. 그는 1,106패로 당시 NBA 역사상 가장 많은 패배를 기록한 코치였다. 이 기록은 5년 후인 2002-03 시즌 토론토 랩터스의 감독을 맡고 있던 레니 윌킨스에 의해 깨졌다. 윌킨스는 2005년 1월 22일 코치직 은퇴를 발표할 때까지 1,155패를 기록했다.
3. Achievements and Honors
빌 피치는 NBA 코칭 경력 동안 수많은 영예를 안으며 농구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그는 NBA 챔피언십 우승을 경험하고 올해의 감독상을 두 차례 수상하는 등 탁월한 리더십을 인정받았다.
- NBA 챔피언십 우승: 1981년 (보스턴 셀틱스)
- NBA 올해의 감독상: 2회 (1976년, 1980년)
-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 헌액: 2019년
- 척 데일리 공로상: 2013년
- NBA 역대 위대한 코치 10인 선정: 1996년
- 명예의 전당 명예의 벤치 헌정: 2016년, 릭 칼라일의 기부로 제임스 네이스미스 동상 주변에 다른 위대한 코치들과 함께 화강암 벤치가 헌정되었다.
4. Death
빌 피치는 2022년 2월 2일 텍사스주 콘로 호수에서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5. Legacy and Evaluation
빌 피치는 NBA에서 오랫동안 활동하며 여러 팀을 재건하고 성공으로 이끈 중요한 인물로 기억된다. 그의 코칭 철학은 선수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비록 많은 패배를 기록했지만 그의 업적은 높이 평가받고 있다.
5.1. Influence and Positive Evaluation
피치는 종종 부진한 팀을 개선하기 위해 고용되었으며, 실제로 여러 팀을 플레이오프 진출권으로 발전시켰다. 그는 NBA 감독 중 통산 승수에서 944승으로 역대 10위에 랭크되어 있다. 래리 버드와 같은 핵심 선수들은 그의 강도 높은 훈련과 규율을 높이 평가했다. 그의 지도력은 보스턴 셀틱스를 챔피언십으로 이끌었고,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의 "리치필드의 기적"을 만들어내는 등 여러 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 미쳤다. 2019년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고 1996년 "NBA 역대 위대한 코치 10인"에 선정된 것은 그의 업적과 농구계에 미친 영향이 얼마나 컸는지 보여주는 증거이다.
5.2. Criticism and Controversies
빌 피치는 25년간의 프로 코치 경력 동안 944승을 기록했지만, 1,106패를 기록하며 역대 최다 패배 2위 코치로도 기록되어 있다. 그는 한때 NBA 역사상 가장 많은 패배를 기록한 코치였으나, 이 기록은 2002-03 시즌 레니 윌킨스에 의해 경신되었다. 이러한 높은 패배 수는 그가 종종 재건이 필요한 어려운 팀들을 맡았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동시에 그의 코칭 기록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공하기도 한다.
6. Head Coaching Record
6.1. NBA
팀 | 연도 | 경기 | 승 | 패 | 승률 | 최종 순위 | 플레이오프 경기 | 플레이오프 승 | 플레이오프 패 | 플레이오프 승률 | 결과 |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1970 | 82 | 15 | 67 | .183 | 중앙 4위 | - | - | - | - | 플레이오프 탈락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1971 | 82 | 23 | 59 | .280 | 중앙 4위 | - | - | - | - | 플레이오프 탈락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1972 | 82 | 32 | 50 | .390 | 중앙 4위 | - | - | - | - | 플레이오프 탈락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1973 | 82 | 29 | 53 | .354 | 중앙 4위 | - | - | - | - | 플레이오프 탈락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1974 | 82 | 40 | 42 | .488 | 중앙 3위 | - | - | - | - | 플레이오프 탈락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1975 | 82 | 49 | 33 | .598 | 중앙 1위 | 13 | 6 | 7 | .462 | 컨퍼런스 파이널 패배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1976 | 82 | 43 | 39 | .524 | 중앙 4위 | 3 | 1 | 2 | .333 | 1라운드 패배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1977 | 82 | 43 | 39 | .524 | 중앙 3위 | 2 | 0 | 2 | .000 | 1라운드 패배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1978 | 82 | 30 | 52 | .366 | 중앙 4위 | - | - | - | - | 플레이오프 탈락 |
보스턴 셀틱스 | 1979 | 82 | 61 | 21 | .744 | 애틀랜틱 1위 | 9 | 5 | 4 | .556 | 컨퍼런스 파이널 패배 |
보스턴 셀틱스 | 1980 | 82 | 62 | 20 | .756 | 애틀랜틱 1위 | 17 | 12 | 5 | .706 | NBA 챔피언십 우승 |
보스턴 셀틱스 | 1981 | 82 | 63 | 19 | .768 | 애틀랜틱 1위 | 12 | 7 | 5 | .583 | 컨퍼런스 파이널 패배 |
보스턴 셀틱스 | 1982 | 82 | 56 | 26 | .683 | 애틀랜틱 2위 | 7 | 2 | 5 | .286 | 컨퍼런스 세미파이널 패배 |
휴스턴 로케츠 | 1983 | 82 | 29 | 53 | .354 | 미드웨스트 6위 | - | - | - | - | 플레이오프 탈락 |
휴스턴 로케츠 | 1984 | 82 | 48 | 34 | .585 | 미드웨스트 2위 | 5 | 2 | 3 | .400 | 1라운드 패배 |
휴스턴 로케츠 | 1985 | 82 | 51 | 31 | .622 | 미드웨스트 1위 | 20 | 13 | 7 | .650 | NBA 파이널 패배 |
휴스턴 로케츠 | 1986 | 82 | 42 | 40 | .512 | 미드웨스트 3위 | 10 | 5 | 5 | .500 | 컨퍼런스 세미파이널 패배 |
휴스턴 로케츠 | 1987 | 82 | 46 | 36 | .561 | 미드웨스트 4위 | 4 | 1 | 3 | .250 | 1라운드 패배 |
뉴저지 네츠 | 1989 | 82 | 17 | 65 | .207 | 애틀랜틱 6위 | - | - | - | - | 플레이오프 탈락 |
뉴저지 네츠 | 1990 | 82 | 26 | 56 | .317 | 애틀랜틱 5위 | - | - | - | - | 플레이오프 탈락 |
뉴저지 네츠 | 1991 | 82 | 40 | 42 | .488 | 애틀랜틱 3위 | 4 | 1 | 3 | .250 | 1라운드 패배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 1994 | 82 | 17 | 65 | .207 | 퍼시픽 7위 | - | - | - | - | 플레이오프 탈락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 1995 | 82 | 29 | 53 | .354 | 퍼시픽 7위 | - | - | - | - | 플레이오프 탈락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 1996 | 82 | 36 | 46 | .439 | 퍼시픽 5위 | 3 | 0 | 3 | .000 | 1라운드 패배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 1997 | 82 | 17 | 65 | .207 | 퍼시픽 7위 | - | - | - | - | 플레이오프 탈락 |
통산 | 2,050 | 944 | 1,106 | .460 | 109 | 55 | 54 | .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