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브루노 준케이라(Bruno Junqueira브루노 준케이라포르투갈어, 1976년 11월 4일 벨루오리존치 출생)는 브라질의 레이싱 드라이버이다. 그는 국제 포뮬러 3000 챔피언 출신이며, 챔프 카 월드 시리즈에서 세 차례 준우승을 차지하며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준케이라는 포뮬러 원 팀의 테스트 드라이버로 활동하며 잠재력을 입증했으며, 이후 미국 오픈휠 레이싱의 주요 무대인 카트 및 챔프 카 월드 시리즈와 인디카 시리즈에서 활약했다. 특히 인디애나폴리스 500에서는 폴 포지션을 차지하는 등 인상 깊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의 경력은 부상으로 인한 어려움과 팀 변경의 도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레이싱 시리즈에서 꾸준히 상위권에 오르며 국제 모터스포츠계에 이름을 알렸다.
2. 초기 삶과 경력 시작
브루노 준케이라는 레이싱 경력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두각을 나타내며 미래의 성공적인 드라이버로서의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2.1. 개인 배경
브루노 준케이라는 1976년 11월 4일 브라질의 벨루오리존치에서 태어났다. 그는 브라질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어린 시절부터 모터스포츠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다.
2.2. 주니어 포뮬러 경력
준케이라는 브라질에서 카트 레이싱으로 레이싱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카트에서 뛰어난 실력을 선보이며 곧바로 포뮬러 3 수다메리카나로 단계를 밟았다. 1997년 포뮬러 3 수다메리카나 시즌에서 챔피언십을 차지하며 해당 시리즈를 지배했다. 이후 그는 유럽으로 진출하여 국제 포뮬러 3000으로 이적했다. 2000년 시즌에는 챔피언십을 획득하며 주니어 포뮬러 경력의 정점을 찍었다.
2.3. 포뮬러 원 테스트 드라이버
준케이라는 국제 포뮬러 3000에서 활약하던 시기에 윌리엄스 포뮬러 원 팀의 테스트 드라이버로 수년간 활동했다. 그는 2000년 시즌에는 정식 레이스 드라이버 자리를 거의 확보할 뻔했으나, 최종적으로 젠슨 버튼에게 밀려 아쉽게 기회를 놓쳤다. 이로 인해 좌절감을 겪었지만, 그는 이를 극복하고 2000년 국제 포뮬러 3000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자신의 능력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3. 주요 전문 레이싱 경력
브루노 준케이라의 커리어 동안 여러 주요 레이싱 시리즈에서 눈에 띄는 활약을 펼쳤다.
3.1. 챔프 카 월드 시리즈
2001년, 브루노 준케이라는 칩 가나시 레이싱 소속으로 CART 챔피언십 카 시리즈에 데뷔하여 빠르게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데뷔 시즌 14번째 레이스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듬해인 2002년에는 두 번의 우승을 기록하며 시즌 종합 2위를 달성했다.
2003년, 팀 가나시가 경쟁 시리즈인 IRL로 전환하면서 준케이라는 당시 챔프 카 월드 시리즈의 최고 팀 중 하나였던 뉴먼/하스 레이싱으로 이적했다. 그는 2003년과 2004년 연속으로 시리즈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각 시즌마다 두 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또한, 그는 가나시와 뉴먼/하스 소속으로 인디애나폴리스 500에 네 차례 단발성으로 출전했다. 2002년에는 폴 포지션을 획득했으며, 2001년과 2004년에는 두 번이나 5위로 레이스를 마쳤다.

2005년 인디애나폴리스 500에서는 백마커 A. J. 포이트 4세를 추월하는 과정에서 턴 2 벽에 정면으로 충돌하는 사고를 겪었다. 포이트 4세가 준케이라의 차량을 보지 못하고 그의 오른쪽 후미를 들이받은 것이 원인이었다. 이 사고로 준케이라는 뇌진탕과 척추 골절을 입어 2005년 챔프 카 시즌의 남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 당시 그는 몬테레이에서 시즌 두 번째 레이스 우승을 차지하며 챔프 카 포인트 선두를 달리고 있었다. 그의 공석은 베테랑 드라이버 오리올 세르비아가 대체했으며, 세르비아는 최종적으로 시즌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준케이라는 뉴먼/하스 팀으로 복귀했지만, 그의 경력에서 처음으로 우승을 기록하지 못하고 챔피언십 5위에 머물렀다. 반면 팀 동료인 세바스티앙 부르데는 세 번째 연속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7년에는 뉴먼/하스 팀의 두 번째 차량 시트를 루키 그레이엄 레이홀에게 내주게 되었고, 준케이라는 경험이 부족한 캐서린 레그와 함께 데일 코인 레이싱에 합류했다. 그는 시즌 후반에 세 번 연속 포디움에 오르는 등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챔피언십 7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3.2. 인디카 시리즈
2008년 인디카 시리즈 시즌을 앞두고 챔프 카와 경쟁 시리즈인 IRL이 통합되었다. 준케이라는 통합된 새로운 시리즈에서 데일 코인 팀의 18번 차량을 몰고 출전했으며, 브라질 루키 팀 동료인 마리오 모라에스와 함께 했다. 그 해 인디애나폴리스 500에서는 백미러가 떨어져 나가 수리를 위해 세 랩을 손해 보는 불운을 겪으며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그의 시즌은 전반적으로 성공적이지 못했고, 로드 코스에서 두 번의 탑 10 진입에 그치며 종합 20위로 시즌을 마쳤다.
2009년에는 정규 드라이버 자리를 잃었으나, 콘퀘스트 레이싱과 계약하여 인디애나폴리스 500에 출전했다. 그는 예선 마지막 날인 '범프 데이'에 차량을 예선 통과시켰으나, 팀의 정규 드라이버였던 알렉스 태글리아니가 기술적인 문제로 예선 탈락하자, 태글리아니를 위해 자신의 출전권을 양보해야 했다.
2011년, A. J. 포이트 팀 소속으로 인디애나폴리스 500에 출전하여 19번째 그리드에 예선 통과했으나, 이번에도 실제 레이스에 참가할 기회를 포기해야 했다. 포이트 팀은 스폰서가 없는 차량의 출전권을 안드레티 오토스포츠에 판매했고, 그 팀의 드라이버인 라이언 헌터-레이가 최종적으로 필드에서 제외되었던 터라 준케이라 대신 레이스에 출전하게 되었다. 2012년에는 부상당한 요제프 뉴가든을 대신하여 첫 볼티모어 그랑프리에 출전했다.
연도 | 팀 | 레이스 수 | 폴 포지션 수 | 우승 수 | 포디움 (승리 외) | 탑 10 (포디움 외) | 인디애나폴리스 500 우승 수 | 챔피언십 |
---|---|---|---|---|---|---|---|---|
9 | 7 | 26 | 1 | 0 | 0 | 4 | 0 | 0 |
3.3. 기타 레이싱 활동
준케이라는 챔프 카 및 인디카 시리즈 외에도 다양한 국제 레이싱 시리즈에 참가하며 경력을 이어갔다.
- A1 그랑프리**: 2006-07 시즌과 2007-08 시즌에 A1 팀 브라질 소속으로 출전했다.
-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여러 시즌에 걸쳐 참가했으며, 특히 2012년 시즌에는 PC 클래스에서 3위를 차지하는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 시리즈에서 2012년 한 차례, 2013년 두 차례 우승을 기록했다.
- 스톡 카 브라질**: 2010년에는 포뮬러 트럭 시즌에도 출전한 바 있으며, 2011년, 2012년, 2014년에는 브라질 국내 스톡 카 시리즈에 참가했다.
- 웨더테크 스포츠카 챔피언십**: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참가했으며, 2015년 시즌에는 PC 클래스에서 두 번의 우승을 포함하여 시즌 종합 3위를 달성했다.
4. 레이싱 기록 및 통계
브루노 준케이라의 레이싱 경력 통계는 그가 다양한 시리즈에서 일궈낸 성과를 보여준다.
4.1. 경력 요약
시즌 | 시리즈 | 팀명 | 레이스 수 | 폴 포지션 수 | 우승 수 | 포인트 | 최종 순위 |
---|---|---|---|---|---|---|---|
1997 | 포뮬러 3 수다메리카나 | PropCar Racing | 12 | 4 | 7 | 171 | 1위 |
1998 | 국제 포뮬러 3000 | Draco Engineering | 12 | 0 | 0 | 3 | 14위 |
1999 | 국제 포뮬러 3000 | Den Blå Avis / Petrobras Junior Team | 10 | 1 | 1 | 20 | 5위 |
포뮬러 원 | Williams-Supertec | 테스트 드라이버 | |||||
2000 | 국제 포뮬러 3000 | Petrobras Junior Team | 10 | 2 | 4 | 48 | 1위 |
2001 | CART 월드 시리즈 | Ganassi | 20 | 1 | 1 | 68 | 16위 |
인디카 시리즈 | 1 | 0 | 0 | 30 | 37위 | ||
2002 | CART 월드 시리즈 | Ganassi | 19 | 4 | 2 | 164 | 2위 |
인디카 시리즈 | 1 | 1 | 0 | 1 | 51위 | ||
2003 | CART 월드 시리즈 | Newman/Haas | 18 | 2 | 2 | 199 | 2위 |
2004 | 챔프 카 월드 시리즈 | Newman/Haas | 14 | 1 | 2 | 341 | 2위 |
인디카 시리즈 | 1 | 0 | 0 | 30 | 28위 | ||
2005 | 챔프 카 월드 시리즈 | Newman/Haas | 2 | 0 | 1 | 59 | 19위 |
인디카 시리즈 | 1 | 0 | 0 | 10 | 36위 | ||
2006 | 챔프 카 월드 시리즈 | Newman/Haas | 14 | 1 | 0 | 219 | 5위 |
2006-07 | A1 그랑프리 | Brazil | 6 | 0 | 0 | 9 | 18위 |
2007 | 챔프 카 월드 시리즈 | Dale Coyne | 14 | 0 | 0 | 233 | 7위 |
2007-08 | A1 그랑프리 | Brazil | 4 | 0 | 0 | 44 | 11위 |
2008 | 인디카 시리즈 | Dale Coyne | 17 | 0 | 0 | 256 | 20위 |
2010 | 인디카 시리즈 | FAZZT Race Team | 1 | 0 | 0 | 13 | 39위 |
포뮬러 트럭 | DF Motorsport | 10 | 0 | 0 | 22 | 17위 | |
2011 |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 | RSR Racing | 1 | 0 | 0 | 6 | 26위 |
스톡 카 브라질 | Bassani | 2 | 0 | 0 | 2 | 29위 | |
2012 |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 | RSR Racing | 10 | 0 | 1 | 118 | 3위 |
스톡 카 브라질 | Bassani | 1 | 0 | 0 | 2 | 34위 | |
2013 |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 | RSR Racing | 9 | 0 | 1 | 95 | 7위 |
2014 |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 RSR Racing | 10 | 0 | 0 | 201 | 10위 |
스톡 카 브라질 | Full Time Sports | 1 | 0 | 0 | 0 | NC | |
2015 |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 RSR Racing | 10 | 1 | 2 | 301 | 3위 |
2016 |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 BAR1 Motorsports | 2 | 0 | 0 | 56 | 21위 |
2017 |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 BAR1 Motorsports | 1 | 0 | 0 | 32 | 18위 |
2018 |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 3GT Racing | 1 | 0 | 0 | 16 | 59위 |
4.2. 국제 포뮬러 3000 결과
국제 포뮬러 3000에서 브루노 준케이라의 완벽한 레이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참가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DC | 포인트 |
---|---|---|---|---|---|---|---|---|---|---|---|---|---|---|---|
1998 | Draco Engineering | OSC Ret | IMO 16 | CAT 16 | SIL 9 | MON Ret | PAU Ret | A1R 6 | HOC 5 | HUN Ret | SPA Ret | PER 18 | NÜR Ret | 18위 | 3 |
1999 | Den Blå Avis / Petrobras Junior Team | IMO Ret | MON 6 | CAT 4 | MAG Ret | SIL 2 | A1R DNQ | HOC 1 | HUN 15 | SPA Ret | NÜR 16 | 5위 | 20 | ||
2000 | Petrobras Junior Team | IMO 2 | SIL 5 | CAT 1 | NÜR 1 | MON 1 | MAG 13 | A1R 7 | HOC Ret | HUN 1 | SPA 9 | 1위 | 48 |
4.3. 아메리칸 오픈휠 레이싱 결과
미국 오픈휠 레이싱(CART, 챔프 카, 인디카 시리즈)에서 브루노 준케이라의 상세한 경기 결과이다.
4.3.1. CART/챔프 카 시리즈
연도 | 팀 | No. | 섀시 | 엔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순위 | 포인트 |
---|---|---|---|---|---|---|---|---|---|---|---|---|---|---|---|---|---|---|---|---|---|---|---|---|---|---|---|
2001 | 칩 가나시 레이싱 | 4 | 롤라 B01/00 | 도요타 RV8E | MTY 22 | LBH 9 | TXS NH | NZR 7 | MOT 24 | MIL 4 | DET 19 | POR 23 | CLE 23 | TOR 13 | MIS 9 | CHI 17 | MDO 13 | ROA 1 | VAN 12 | LAU 11 | ROC 25 | HOU 23 | LS 7 | SRF 21 | FON 4 | 16위 | 68 |
2002 | 타겟 칩 가나시 레이싱 | 롤라 B02/00 | 도요타 | MTY 11 | LBH 17 | MOT 1 | MIL 10 | LS 4 | POR 2 | CHI 2 | TOR 14 | CLE 13 | VAN 9 | MDO 4 | ROA 3 | MTL 13 | DEN 1 | ROC 5 | MIA 5 | SRF 14 | FON 9 | MXC 3 | 2위 | 164 | |||
2003 | 뉴먼/하스 레이싱 | 1 | 롤라 B02/00 | 포드 XFE | STP 3 | MTY 5 | LBH 3 | BRH 2 | LAU 4 | MIL 17 | LS 2 | POR 4 | CLE 3 | TOR 3 | VAN 2 | ROA 1 | MDO 13 | MTL 13 | DEN 1 | MIA 9 | MXC 7 | SRF 15 | FON NH | 2위 | 199 | ||
2004 | 6 | LBH 2 | MTY 2 | MIL 6 | POR 2 | CLE 2 | TOR 18 | VAN 4 | ROA 15 | DEN 3 | MTL 1 | LS 2 | LSV 2 | SRF 1 | MXC 2 | 2위 | 341 | ||||||||||
2005 | 2 | LBH 3 | MTY 1 | MIL | POR | CLE | TOR | EDM | SJO | DEN | MTL | LSV | SRF | MXC | 19위 | 59 | |||||||||||
2006 | LBH 15 | HOU 10 | MTY 10 | MIL 15 | POR 4 | CLE 2 | TOR 8 | EDM 15 | SJO 17 | DEN 2 | MTL 12 | ROA 2 | SRF 6 | MXC 4 | 5위 | 219 | |||||||||||
2007 | 데일 코인 레이싱 | 19 | 파노스 DP01 | 코스워스 XFE | LSV 7 | LBH 6 | HOU 7 | POR 13 | CLE 16 | MTL 17 | TOR 5 | EDM 7 | SJO 7 | ROA 9 | ZOL 2 | ASN 3 | SRF 3 | MXC 7 | 7위 | 233 |
4.3.2. 인디카 시리즈
연도 | 팀 | 섀시 | No. | 엔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순위 | 포인트 |
---|---|---|---|---|---|---|---|---|---|---|---|---|---|---|---|---|---|---|---|---|---|---|---|---|---|
2001 | 칩 가나시 레이싱 | G-포스 | 50 | 올즈모빌 | PHX | HMS | ATL | INDY 5 | TXS | PPIR | RIR | KAN | NSH | KTY | STL | CHI | TX2 | 37위 | 30 | ||||||
2002 | 33 | 쉐보레 | HMS | PHX | FON | NZR | INDY 31 | TXS | PPIR | RIR | KAN | NSH | MIS | KTY | STL | CHI | TX2 | 51위 | 1 | ||||||
2004 | 뉴먼/하스 레이싱 | 혼다 | HMS | PHX | MOT | INDY 5 | TXS | RIR | KAN | NSH | MIL | MIS | KTY | PPIR | NZR | CHI | FON | TX2 | 28위 | 30 | |||||
2005 | 파노스 | HMS | PHX | STP | MOT | INDY 30 | TXS | RIR | KAN | NSH | MIL | MIS | KTY | PPIR | SNM | CHI | WGL | FON | 36위 | 10 | |||||
2008 | 데일 코인 레이싱 | 달라라 | 18 | HMS 23 | STP 24 | MOT DNP | KAN 15 | INDY 20 | MIL 18 | TXS 15 | IOW DNS | RIR 23 | WGL 6 | NSH 15 | MDO 13 | EDM 14 | KTY 14 | SNM 17 | DET 7 | CHI 20 | SRF 15 | 20위 | 256 | ||
파노스 DP01 | 코스워스 XFE | LBH 12 | |||||||||||||||||||||||
2009 | 콘퀘스트 레이싱 | 달라라 | 36 | 혼다 | STP | LBH | KAN | INDY Rpl | MIL | TXS | IOW | RIR | WGL | TOR | EDM | KTY | MDO | SNM | CHI | MOT | HMS | NC | - | ||
2010 | FAZZT Race Team | 33 | SAO | STP | ALA | LBH | KAN | INDY 32 | TXS | IOW | WGL | TOR | EDM | MDO | SNM | CHI | KTY | MOT | HMS | 39위 | 13 | ||||
2011 | A. J. 포이트 엔터프라이즈 | 41 | STP | ALA | LBH | SAO | INDY Rpl | TXS1 | TXS2 | MIL | IOW | TOR | EDM | MDO | NHM | SNM | BAL | MOT | KTY | LVS | 47위 | 4 | |||
2012 | 사라 피셔 하트먼 레이싱 | 달라라 DW12 | 67 | STP | ALA | LBH | SAO | INDY | DET | TXS | MIL | IOW | TOR | EDM | MDO | SNM | BAL 19 | FON | 35위 | 12 |
4.3.3. 인디애나폴리스 500
연도 | 섀시 | 엔진 | 출발 | 완료 | 팀 |
---|---|---|---|---|---|
2001 | G-포스 | 올즈모빌 | 20 | 5 | 칩 가나시 레이싱 |
2002 | G-포스 | 쉐보레 | 1 | 31 | 칩 가나시 레이싱 |
2004 | G-포스 | 혼다 | 4 | 5 | 뉴먼/하스 레이싱 |
2005 | 파노스 | 혼다 | 12 | 30 | 뉴먼/하스 레이싱 |
2008 | 달라라 | 혼다 | 15 | 20 | 데일 코인 레이싱 |
2009 | 달라라 | 혼다 | 알렉스 태글리아니로 교체 | 콘퀘스트 레이싱 | |
2010 | 달라라 | 혼다 | 25 | 32 | FAZZT Race Team |
2011 | 달라라 | 혼다 | 라이언 헌터-레이로 교체 | A. J. 포이트 엔터프라이즈 |
4.4.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 결과
연도 | 참가 팀 | 클래스 | 섀시 | 엔진 | 타이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순위 | 포인트 |
---|---|---|---|---|---|---|---|---|---|---|---|---|---|---|---|---|---|
2006 | Multimatic Motorsports Team Panoz | GT2 | 파노스 에스페란테 GT-LM | 포드 5.0L V8 | 피렐리 | SEB ovr:Ret cls:Ret | TEX | MID | LIM | UTA | POR | AME | MOS | PET | MON | NC | - |
2011 | 재규어 RSR | GT | 재규어 XKR GT2 | 재규어 5.0 L V8 | 던롭 타이어 | SEB ovr:Ret cls:Ret | LNB ovr:12 cls:6 | LIM ovr:Ret cls:Ret | MOS ovr:29 cls:15 | MID ovr:21 cls:12 | AME ovr:Ret cls:Ret | BAL ovr:DNS cls:DNS | MON ovr:Ret cls:Ret | PET ovr:Ret cls:Ret | 26위 | 6 | |
2012 | RSR Racing | PC | 오레카 FLM09 | 쉐보레 LS3 6.2 L V8 | 미쉐린 | SEB ovr:51 cls:7 | LNB ovr:30 cls:7 | MON ovr:4 cls:2 | LIM ovr:27 cls:5 | MOS ovr:6 cls:1 | MID ovr:10 cls:4 | AME ovr:8 cls:4 | BAL ovr:10 cls:2 | VIR ovr:12 cls:4 | PET ovr:8 cls:2 | 3위 | 118 |
2013 | RSR Racing | PC | 오레카 FLM09 | 쉐보레 LS3 6.2 L V8 | 콘티넨탈 AG | SEB ovr:12 cls:4 | LNB ovr:5 cls:3 | MON ovr:29 cls:7 | LIM ovr:5 cls:1 | MOS ovr:21 cls:5 | AME ovr:3 cls:1 | BAL ovr:Ret cls:Ret | COTA ovr:12 cls:6 | VIR | PET ovr:Ret cls:Ret | 7위 | 95 |
4.5. A1 그랑프리 결과
연도 | 참가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순위 | 포인트 |
---|---|---|---|---|---|---|---|---|---|---|---|---|---|---|---|---|---|---|---|---|---|---|---|---|---|
2006-07 | A1 팀 브라질 | NED SPR | NED FEA | CZE SPR | CZE FEA | BEI SPR | BEI FEA | MYS SPR | MYS FEA | IDN SPR | IDN FEA | NZL SPR | NZL FEA | AUS SPR | AUS FEA | RSA SPR 17 | RSA FEA 7 | MEX SPR Ret | MEX FEA 13 | SHA SPR | SHA FEA | GBR SPR 12 | GBR SPR Ret | 18위 | 9 |
2007-08 | NED SPR | NED FEA | CZE SPR | CZE FEA | MYS SPR | MYS FEA | ZHU SPR | ZHU FEA | NZL SPR | NZL FEA | AUS SPR | AUS FEA | RSA SPR Ret | RSA FEA 9 | MEX SPR 10 | MEX FEA 8 | SHA SPR | SHA FEA | GBR SPR | GBR SPR | 11위 | 44 |
4.6. 스톡 카 브라질 결과
연도 | 팀 | 차량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순위 | 포인트 |
---|---|---|---|---|---|---|---|---|---|---|---|---|---|---|---|---|---|---|---|---|---|---|---|---|---|
2011 | RC3 Bassani | 푸조 408 | CTB | INT | RBP | VEL | CGD | RIO | INT | SAL | SCZ | LON | BSB 14 | VEL 22 | 30위 | 2 | |||||||||
2012 | RC3 Bassani | 푸조 408 | INT | CTB | VEL | RBP | LON | RIO | SAL 19 | CAS | TAR | CTB | BSB | INT | 34위 | 2 | |||||||||
2014 | Full Time Sports | 쉐보레 소닉 | INT 1 Ret | SCZ 1 | SCZ 2 | BRA 1 | BRA 2 | GOI 1 | GOI 2 | GOI 1 | CAS 1 | CAS 2 | CUR 1 | CUR 2 | VEL 1 | VEL 2 | SCZ 1 | SCZ 2 | TAR 1 | TAR 2 | SAL 1 | SAL 2 | CUR 1 | NC | 0 |
4.7. 웨더테크 스포츠카 챔피언십 결과
연도 | 팀 | 클래스 | 섀시 | 엔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순위 | 포인트 |
---|---|---|---|---|---|---|---|---|---|---|---|---|---|---|---|---|---|
2014 | RSR Racing | PC | 오레카 FLM09 | 쉐보레 LS3 6.2 L V8 | DAY 9 | SEB 2 | LGA 3 | KAN 6 | WGL 9 | IMS 2 | ELK 9 | VIR 4 | AUS 11 | ATL 9 | 10위 | 201 | |
2015 | RSR Racing | PC | 오레카 FLM09 | 쉐보레 LS3 6.2 L V8 | DAY 4 | SEB 6 | LGA 1 | BEL 5 | WGL 6 | MOS 4 | LIM 2 | ELK 1 | AUS 2 | ATL 6 | 3위 | 301 | |
2016 | BAR1 Motorsports | PC | 오레카 FLM09 | 쉐보레 LS3 6.2 L V8 | DAY | SEB | LBH | LGA | BEL | WGL | MOS | LIM | ELK 5 | AUS 4 | ATL | 21위 | 56 |
2017 | BAR1 Motorsports | PC | 오레카 FLM09 | 쉐보레 LS3 6.2 L V8 | DAY | SEB | AUS | BEL 2 | WGL | MOS | ELK | ATL | 18위 | 32 | |||
2018 | 3GT Racing | GTD | 렉서스 RC F GT3 | 렉서스 5.0 L V8 | DAY 15 | SEB | MOH | BEL | WGL | MOS | LIM | ELK | VIR | LGA | ATL | 59위 | 16 |
5. 전반적인 업적 및 평가
브루노 준케이라는 주니어 포뮬러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내며 1997년 포뮬러 3 수다메리카나 챔피언과 2000년 국제 포뮬러 3000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특히 포뮬러 원 드라이버 자리를 놓치는 좌절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챔피언에 오른 것은 그의 강한 회복력과 실력을 보여준다.
그의 가장 큰 업적은 챔프 카 월드 시리즈에서 세 차례(2002, 2003, 2004) 연속으로 시즌 준우승을 차지했다는 점이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총 5번의 우승을 기록하며 당시 세계 최고 수준의 오픈휠 레이싱 시리즈에서 꾸준히 정상급 기량을 유지했음을 입증한다. 또한 인디애나폴리스 500에서 2002년에 폴 포지션을 획득하고 두 차례 5위로 완주한 기록은 그의 오벌 레이스 실력 또한 뛰어났음을 보여준다.
2005년 인디애나폴리스 500에서의 심각한 부상에도 불구하고 그는 레이싱에 복귀하여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와 웨더테크 스포츠카 챔피언십 등 다른 스포츠카 레이싱 분야에서도 포디움과 우승을 기록하며 다재다능함을 과시했다. 준케이라는 탁월한 속도와 투지를 겸비한 드라이버로 평가받으며, 그의 경력은 모터스포츠계에서 인상적인 족적을 남겼다.
6. 관련 항목
- 모터스포츠
- 레이싱 드라이버 목록
7. 외부 링크
- [http://www.brunojunqueira.com 브루노 준케이라 공식 웹사이트]
- [http://www.indycar.com/drivers/show/55-izod-indycar-series/3647-bruno-junqueira/ 인디카 드라이버 프로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