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초기 및 학업
브라니슬라브 레식은 1955년 8월 25일 세르비아 샤바츠에서 태어났다. 그는 1978년 베오그라드 대학교 드라마 예술 학부를 졸업하고 배우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2. 연기 경력
레식은 영화, 텔레비전, 연극, 성우 등 다양한 미디어를 아우르며 광범위한 연기 경력을 쌓아왔다. 그의 연기는 비평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수많은 수상 경력을 통해 그의 예술적 재능을 입증했다. 그는 정서적으로 취약하면서도 강한 도덕적 정의감을 가진 캐릭터를 다재다능하게 묘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2.1. 초기 활동 및 명성 획득
레식은 1977년 영화 《특별 교육》(Specijalno vaspitanje)에서 반항적인 바냐 역을 맡아 주연으로 데뷔했으며, 그의 연기는 슬라벤 이바노비치, 가브릴로 밀리보예비치, 사보 밀로살레비치, 드라간 바예티치, 고란 요바노비치 등 당대 비평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특히 요바노비치는 레식이 젊고 자유로운 반항아 역할로 고정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1980년 《하이둑》(Hajduk), 1981년 《약속하는 소년》(Dečko koji obećava)에서 조연을 맡았고, 1982년 《직접 중계》(Direktan prenos)에서 주연을 맡아 성숙하고 감성적인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그의 대중적 명성은 1986년 12부작 미니시리즈 《회색의 집》(Sivi dom)에서 상징적인 '츠르니' 역을 맡으며 절정에 달했다. 바타 지보이노비치와 드라간 니콜리치와 같은 연기 거장들과 함께 출연한 이 드라마에서 레식은 전국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고, 이 역할은 오늘날 발칸 반도에서 전설적인 배역으로 여겨진다.
2.2. 주요 영화 및 텔레비전 역할
《회색의 집》과 영화 《삼촌의 유산》(My Uncle's Legacy)에 파비안 쇼바고비치 및 필립 쇼바고비치와 함께 출연한 후, 그는 영화 《침묵의 화약》(Silent Gunpowder, 1990)에서 유고슬라비아 왕립군 장교 라데 라데키치 역으로 유럽 전역에 이름을 알렸다. 이 역할로 그는 골든 아레나 남우주연상과 제17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은성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91년에는 전기 텔레비전 드라마 《나의 형제 알렉사》(Moj brat Aleksa)에서 시인 알렉사 샨티치 역을 맡아 유럽의 낭만주의 운동, 특히 보스니아 지역의 낭만주의에 대한 깊은 공감을 보여주었다.
2002년에는 영화 《미궁》(Labyrinth)에 출연하여 노비사드 문화 및 연극 페스티벌에서 영화 부문 뛰어난 업적으로 아폴로상을 받았다. 2003년에는 영화 《전문가》(The Professional)에서 세르비아어 및 문학 교수 테오도르 "테야" 크라이 역으로 주연을 맡아 야스미나 아흐메타기치와 무하렘 페르비치를 포함한 보편적인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또한 2008년 영화 《세인트 조지 슈츠 더 드래곤》(St. George Shoots the Dragon)에서 라자르 리스토프스키, 조란 츠비야노비치, 보라 토도로비치와 함께 타시치 대위 역을 연기했다.
2.3. 연극 및 연출 활동
레식은 연극 분야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여러 상을 수상했다. 그는 구 유고슬라비아 연극에 영향을 미친 여러 중요한 연극 그룹의 설립자 중 한 명이다. 베오그라드 국립극장과 유고슬라비아 드라마 극장의 드라마 챔피언으로서 그는 아텔리에 212 극장,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국립극장, 두브로브니크 총독 관저 등에서 코미디와 드라마를 아우르는 다양한 역할로 공연했다. 그는 안톤 체호프의 《바냐 아저씨》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 같은 고전 연극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그는 자신이 설립한 렉아트 극장에서 연극을 연출하며, 베오그라드 드라마 예술 학부에서 연기와 발음을 가르치고 있다.
2.4. 성우 및 기타 공연
레식은 보리스 말라구르스키의 다큐멘터리 영화 《쇠사슬의 무게》(The Weight of Chains, 2011)에도 출연했다. 또한 시 낭독, 오디오북 내레이션, 라디오 드라마 녹음 활동을 했으며, 수많은 세르비아어 더빙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주요 역할로는 《인사이드 아웃》의 버럭,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의 스파이더맨 누아르 등이 있다. 몬테네그로의 싱어송라이터 크네즈와 함께 녹음한 세르비아어 발라드 '부바마라'에 보컬과 극적인 연기로 참여하기도 했다.

3. 정치 경력
레식은 연기 활동 외에도 활발한 정치 생활에 참여했다. 그의 정치 경력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대통령 재임 기간 중 '플러시 혁명'의 지도자로 활동하면서 시작되었다.
3.1. 정치 운동
레식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통치 시기 '플러시 혁명'(Plišana revolucija플리샤나 레볼루치야세르비아어)의 지도자로서 적극적으로 정치 운동에 참여했다. 이 운동은 밀로셰비치 정권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하며 세르비아의 민주화를 지향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3.2. 공직 및 당직
2000년 대선에서 세르비아 민주야당의 승리 후, 레식은 조란 진지치 정부에서 문화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재직했다. 이후 체도미르 요바노비치가 세르비아 민주당을 떠나자 레식도 그를 따라 자유민주당의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러나 곧 자유민주당을 떠나 '나의 세르비아'(Moja Srbija) 운동을 창설하고 2008년 세르비아 총선에 참여했다. 2010년 초에는 자신의 당을 세르비아 기독교민주당에 통합시켰다. 이 당의 설립자이자 오랜 리더였던 블라단 바티치가 암으로 사망한 후, 레식은 세르비아 기독교민주당의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4. 학술 및 인도주의 활동
브라니슬라브 레식은 학계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베오그라드 드라마 예술 학부에서 연기와 발음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그는 적극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인도주의자로서, 동료이자 친구인 마르코 지비치를 비롯한 여러 자선 단체들과 협력하여 활동해왔다.
5. 개인 생활
브라니슬라브 레식은 첫 번째 결혼에서 이바나 부야디노비치와의 사이에 아들 이반과 딸 아나를 두었다. 이후 그는 텔레비전 진행자 니나 라둘로비치와 결혼하여 아들 라브를 두었다. 두 사람은 2016년에 별거를 시작했으며, 2017년에 공식적으로 이혼했다.
6. 논란
2021년 3월 22일, 배우 다니옐라 슈타인펠트는 레식을 2012년 자신을 성폭행했다고 비난하는 사실이 밝혀졌다. 같은 날, 레식과 슈타인펠트가 해당 성폭행 의혹에 대해 논의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전화 통화 녹음 파일이 대중에 유출되었다. 그러나 2021년 7월 13일, 세르비아 검찰청은 슈타인펠트의 형사 고소를 기각했다.
7. 작품 목록
브라니슬라브 레식의 주요 출연작은 다음과 같다.
7.1. 영화
연도 | 제목 | 역할 |
---|---|---|
1978 | 《하이둑》 | 카페탄 토폴락 |
1987 | 《옥토버페스트》 | 레피 |
1988 | 《삼촌의 유산》 | 빈코 마글리차 |
1989 | 《코소보 전투》 | 바예지드 1세 |
1990 | 《침묵의 화약》 | 밀로시 라데키치 |
1991 | 《차루가》 | 츠르베니 보조 |
1993 | 《할리우드행 세 장의 티켓》 | 가브릴로 |
1995 | 《언더그라운드》 | 무스타파 |
2002 | 《미궁》 | 밀란 악센티예비치 |
2003 | 《전문가》 | 테오도르 테야 크라이 |
2008 | 《세인트 조지 슈츠 더 드래곤》 | 카페탄 타시치 |
2009 | 《인간 동물원》 |
7.2. 텔레비전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85 | 《공장 이야기》 | 이반 자코비치 | |
1986 | 《회색의 집》 | 츠르니 | 7개 에피소드 |
1987 | 《부크 카라지치》 | 하이둑 벨코 | 4개 에피소드 |
1998-2005 | 《가족의 보물》 | 류보미르 스타르체비치 - 류바 리스 | |
2007-2008 | 《황새가 돌아올 거야》 | 페라 | |
2013-2015 | 《즈베즈다라》 | 스톨레 '스탠리' | |
2018-2019 | 《잘못된 남자》 | 디미트리예 츠른코비치 | |
2021 | 《유고슬라비아의 알렉산더》 | 니콜라 파시치 |
7.3. 세르비아어 더빙
연도 | 영화 | 역할 |
---|---|---|
2002 | 《알라딘과 도둑의 왕》 | 살룩 |
2003 | 《몬스터 주식회사》 | 헨리 J. 워터누스 |
2003 | 《니모를 찾아서》 | 첨 |
2004 | 《레이디와 트램프》 | 짐 디어 |
2005 | 《카우 삼총사》 | 오리 래리 |
2007 | 《서핑 업》 | 레지 벨라폰테 |
2007 | 《심슨 가족 더 무비》 | 네드 플랜더스 바니 검블 줄리어스 히버트 박사 |
2008 | 《쿵푸 팬더》 | 타이렁 |
2009 | 《아이스 에이지 3: 공룡시대》 | 벅 |
2013 | 《슈퍼배드 2》 | 에두아르도 "엘 마초" 페레즈 |
2015 | 《인사이드 아웃》 | 버럭 |
2016 | 《아이스 에이지: 지구 대충돌》 | 벅 |
2018 |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 스파이더맨 누아르 |
8. 수상 및 인정
브라니슬라브 레식은 그의 예술적 업적에 대해 경력 전반에 걸쳐 다음과 같은 중요한 상과 영예를 받았다.
- 1990년: 영화 《침묵의 화약》으로 골든 아레나 남우주연상 수상.
- 1990년: 영화 《침묵의 화약》으로 제17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은성 남우주연상 수상.
- 2002년: 영화 《미궁》으로 노비사드 문화 및 연극 페스티벌에서 영화 부문 뛰어난 업적으로 아폴로상 수상.
9. 유산 및 평가
브라니슬라브 레식은 세르비아 영화와 연극계에서 가장 다작하고 영향력 있는 배우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연기 경력은 197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며, 다양한 장르와 캐릭터를 소화하는 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특히 《회색의 집》에서의 '츠르니' 역은 발칸 반도 문화에서 전설적인 배역으로 남아 있으며, 그의 연기력은 수많은 상을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그의 영향력은 예술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그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에 대항한 '플러시 혁명'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이었으며, 이후 문화부 장관을 역임하며 세르비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처럼 그는 대중문화의 아이콘이자 동시에 사회 변혁을 위한 중요한 목소리를 내는 인물로서, 세르비아의 근현대사에 깊은 족적을 남겼다. 그의 학술 및 인도주의 활동 또한 그의 사회적 책임감을 보여주는 부분으로, 그는 예술과 사회 양면에서 지속적인 유산을 남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