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제이컵 헨리 "버디" 베어(Jacob Henry "Buddy" Baer영어, 1915년 6월 11일 ~ 1986년 7월 18일)는 미국의 권투 선수이자 배우였다. 그는 17편의 영화와 1950년대 및 1960년대 다수의 텔레비전 시리즈에 출연했다. 1941년, 워싱턴의 그리피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타이틀 매치에서 조 루이스가 6라운드 종료 후 버디 베어에게 반칙성 가격을 가하면서 버디 베어가 세계 헤비급 챔피언이 될 기회를 아쉽게 놓쳤다. 이듬해 타이틀 리매치에서도 루이스에게 패했지만, 1940년대 초반 내내 상위 헤비급 선수로 굳건히 자리매김했다. 2003년, 버디 베어는 The Ring영어 잡지 선정 '역대 가장 위대한 펀처 100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헤비급 챔피언이자 배우였던 맥스 베어의 남동생이며, 배우 맥스 베어 주니어의 삼촌이다.
2. Early life and background
버디 베어는 1915년 6월 11일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정육점 주인 제이컵 베어와 도라 베일즈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러나 그의 형 맥스 베어와 같은 일부 자료에서는 그의 출생지를 네브래스카주 오마하로 기록하고 있다. 그는 1928년 가족과 함께 캘리포니아로 이주하여 1926년 리버모어에 잠시 거주한 후 헤이워드로 옮겼으며, 1930년대 초반에는 새크라멘토에 정착하여 은퇴 후에도 그곳에서 지냈다. 버디와 그의 형 맥스 베어는 아버지 쪽 혈통이 유대인이라고 주장하며 종종 권투 트렁크에 다윗의 별을 달고 경기에 임하여 많은 유대인 지지자들을 얻었다. 그러나 두 형제 모두 종교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공개적으로 신앙심을 드러내지는 않았으며, 그들의 유대인 혈통 주장은 트레이너 레이 아르셀에 의해 의문을 제기되기도 했다.
3. Boxing career
버디 베어는 1.99 m의 키로 1934년부터 1942년까지 활동했다. 그의 권투 경력 대부분 동안 매니저는 안실 호프만이었다. 호프만은 한동안 맥스 베어의 매니저도 맡았다.
3.1. Early professional career
버디 베어는 1934년 9월 23일 캘리포니아주 유레카에서 열린 프로 데뷔전에서 타이니 애벗을 1라운드 1분 54초 만에 KO로 꺾었다. 키가 2.03 m에 달하는 애벗은 명성이 있는 복서였으며, 버디 베어의 형 맥스와도 두 차례 대결한 바 있었다. 버디 베어의 첫 경기였지만, 경험 많은 애벗은 선수 경력의 막바지에 있었다.
버디 베어는 데뷔전 이후 긴 연승을 이어갔으나, 1935년 1월 10일 보스턴의 리카드 레크리에이션 센터에서 베이브 헌트에게 4라운드 판정패를 당하며 첫 패배를 기록했다. 이는 버디 베어의 13번의 경기 중 첫 패배였으며, 그 중 12번은 KO 승리였다. 헌트는 2라운드에 고전했지만, 3라운드와 4라운드에서 강하게 반격하며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1935년 1월 4일 디트로이트의 올림피아 스타디움에서 열린 잭 오도드와의 경기에서는 2라운드 2분 10초 만에 TKO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는 조 루이스의 경기를 포함한 흥행 매치였으며, 총 15,853명의 관중이 모였다. 관중들은 버디 베어가 상대 선수보다 13 kg 더 무거운 체중으로 경기를 펼쳤는데, 이는 그의 일반적인 체중 우위보다 적은 것이었다. 이 특이한 승리에서 오도드는 1라운드에 다섯 번 다운되었는데, 일부는 실제로 맞지 않고도 쓰러지는 모습을 보였다. 오도드는 전년도에 조 루이스와 대결했었음에도 불구하고 버디 베어와 싸우려는 의지가 없어 보였고, 완전히 압도당하는 모습이었다.
전직 골든 글러브 챔피언이었던 프랭크 코널리는 1935년 3월 20일 오클랜드 오디토리움에서 버디 베어에게 1라운드 KO로 패배했다. 9,500명이라는 초기 경력으로서는 상당한 관중 앞에서 열린 이 경기에서 버디 베어는 강력한 라이트 훅으로 코널리를 쓰러뜨렸다. 코널리는 버디 베어보다 0.5 kg 가량 무거운 111 kg의 체중이었다.
버디 베어는 1935년 7월 18일 버펄로의 오퍼만 스타디움에서 열린 앨 딜레이니와의 경기에서 4라운드 34초 만에 KO 승리를 거두었다. 버디 베어는 딜레이니를 다섯 번 쓰러뜨린 후, 심판이 카운트 아웃을 선언하며 완벽한 승리를 챙겼다. 1라운드에서 버디 베어는 강한 레프트 훅에 무릎을 꿇었지만, 회복하여 경기 내내 우위를 점했다.
3.2. Path to the world title
1935년 9월 24일 뉴욕 양키 스타디움에서 열린 맥스 베어와 조 루이스의 경기 전 이벤트로 열린 포드 스미스와의 6라운드 경기에서 패배하며 가장 많은 수입을 올린 경기 중 하나를 치렀다. 당시 9만 명의 엄청난 관중이 모였다. 버디 베어는 초반 라운드에서 펀치력으로 스미스를 압도하려 했지만, 스미스는 움직이고 방어하며 공격을 견뎌냈다. 후반 라운드에서 버디 베어는 간헐적인 펀치만 성공시켰고, 스미스는 날카롭고 짧은 바디 펀치로 반격했다. 버디 베어는 마지막 라운드에서 지쳐 보였고, 리치와 체중에서 우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공세에서 속도와 정확성이 떨어져 큰 피해를 주지 못했다. 경험 많은 스미스는 6라운드 중 4라운드를 가져갔다. 한 소식통에 따르면, 뉴욕 역사상 가장 많은 관중이 모인 이 경기에서 버디 베어는 4.20 만 USD의 대전료를 받았고, 형 맥스와의 타이틀 매치에서 승리한 루이스는 20.00 만 USD의 대전료를 받았다.
경력 초반인 1936년 4월 22일, 버디 베어는 오클랜드 시립 오디토리움에서 프랑스 복서 앙드레 렝글레에게 6라운드 판정패를 당하며 드물게 패배를 기록했다. 버디 베어는 1라운드에서 강한 모습을 보였고 5라운드에서 잠시 반격했지만, 렝글레의 방어에 막히며 기회를 놓쳤다. 한 기자는 렝글레가 각 라운드를 큰 차이로 승리했다고 보도하며, 버디 베어가 경기 내내 결정적인 펀치를 성공시키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렝글레는 얼굴에 날카로운 레프트 잽을 성공시키고 바디 공격을 이어갔으며, 빈번한 페이스 변화로 버디 베어의 강한 라이트 펀치 활용 능력을 혼란스럽게 했다.
1937년 5월 24일 스완지(웨일스)에서 열린 중요한 경기에서 버디 베어는 훗날 1944년부터 1945년까지 영연방 권투 평의회 헤비급 타이틀을 보유했던 잭 런던을 상대로 10라운드 판정승을 거두었다. 버디 베어는 런던보다 키가 거의 20.3 cm나 컸지만, 체중은 9 kg 정도만 더 나갔다. 2주 전, 버디 베어는 해링게이 아레나에서 짐 와일드를 4라운드 TKO로 꺾었다. 그는 지배적인 모습과 강력한 펀치력으로 와일드를 1라운드에 세 번, 3라운드에 여덟 카운트 다운시켰다. 4라운드 시작과 동시에 다섯 카운트 다운된 후, 심판은 경기를 중단시켰다. 영국 권투 규칙은 다섯 번의 다운이 발생하면 경기를 종료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1937년 8월 30일 양키 스타디움에서 열린 정상급 유대인 헤비급 선수 에이브 사이먼과의 경기에서 버디 베어는 25,000명의 관중 앞에서 3라운드 2분 38초 만에 TKO 승리를 거두며 경기를 마쳤다. 사이먼은 1라운드에서 버디 베어를 심하게 몰아붙이며 양손 공격으로 로프에 매달리게 했지만, 버디 베어는 2라운드에서 날카로운 레프트 잽과 통렬한 라이트 크로스로 반격했고, 3라운드에서 사이먼을 쓰러뜨린 후 휘청거리게 만들자 심판이 경기를 중단시켰다. 두 선수 모두 뛰어난 체중과 리치를 가지고 있었고, 버디 베어가 키에서 5.1 cm 우위가 있었지만, 거구였던 사이먼은 실제로는 버디 베어보다 3 kg 더 무거웠다.
버디 베어는 1938년 3월 4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핀란드 출신의 뛰어난 복서 군나르 바를룬드와의 경기에서 7라운드 TKO 패배를 당했다. 8,565명의 관중 앞에서 열린 이 경기에서 버디 베어는 바를룬드보다 18 kg 더 무거웠고 키도 14 cm 더 컸지만, 경기가 진행될수록 체력과 투지가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버디 베어는 1라운드에서 바를룬드의 이마와 코를 날카로운 레프트 잽과 간헐적인 라이트 펀치로 가격하며 잘 싸웠고, 바를룬드는 로블로로 감점을 당했다. 그러나 2라운드부터 군나르 바를룬드는 버디 베어에게 몇 차례 펀치를 성공시키며 사정거리를 잡았고, 2, 3, 4라운드를 가져갔다. 버디 베어는 5라운드에서 우위를 유지했지만, 두 선수 모두 피로를 보였고, 군나르 바를룬드는 6라운드에서 최소 열 번의 연속적인 라이트 및 레프트 펀치를 성공시키며 우위를 점했다. 7라운드에서 바를룬드는 맹렬한 공격으로 버디 베어를 로프로 몰아붙였다. 버디 베어가 물러나자 그는 링을 가로질러 쫓아가 공격을 이어갔고, 버디 베어는 싸움을 포기한 듯 공격 중에 손을 옆으로 내리며 클린치에서 벗어난 후 심판에게 경기를 중단시켜달라는 신호를 보냈다. 심판은 명백히 부상을 입은 버디 베어에게 계속 싸울 것인지 물었고, 7라운드 1분 36초 만에 경기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버디 베어는 자신의 경기력에 대해 변명하지 않았지만, 오랜 공백이 자신의 타이밍과 펀치 연결 능력, 특히 라이트 펀치에 영향을 미쳤다고 믿었다. 바를룬드는 버디 베어의 강력한 오버핸드 라이트 펀치를 성공적으로 피하며 돌아다녔다.
1939년 10월 30일 아이오와주 디모인에서 열린 중요한 경기에서 버디 베어는 리 새볼드를 8라운드 신문 판정으로 꺾었다. 3,500명의 관중 앞에서 열린 이 경기에서 버디 베어는 짧은 공방 끝에 1라운드에서 라이트 어퍼컷으로 상대를 여덟 카운트 다운시켰다. 새볼드는 남은 라운드에서 강하게 싸웠지만, 험난했던 1라운드 이후로는 펀치를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대부분의 기자들은 이 치열한 경기에서 버디 베어에게 5라운드, 새볼드에게는 2라운드를 주었다.
그는 1940년 5월 3일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네이선 만을 7라운드 1분 36초 만에 TKO로 꺾었다. 5,000명의 관중 앞에서 열린 이 경기에서 버디 베어는 처음 네 라운드를 가져갔지만, 만은 다음 네 라운드를 머리와 몸통에 날카로운 훅을 성공시키며 가져갔다. 7라운드 초반에 강력한 라이트 훅이 만의 눈에 심한 부상을 입히면서 그의 코치진이 경기를 중단시켰다.
1940년 12월 17일 오클랜드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버디 베어는 뛰어난 복서 해럴드 블랙시어를 3라운드 2분 45초 만에 TKO로 꺾었다. 4,000명의 관중 앞에서 열린 이 자선 경기에서 블랙시어는 승리 기록을 유지하고 KO 승률이 50%에 달했지만, 버디 베어는 리치에서 약 12.7 cm, 키에서 14 cm, 체중에서 22 kg의 우위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월등한 펀치력을 선보였다. 버디 베어는 첫 2라운드 반 동안 블랙시어를 가지고 놀다가 3라운드에서 강렬하고 잔인한 공격을 퍼부어 경기를 끝냈다. 링사이드의 많은 이들은 이 경기를 실력 차이가 심한 매치로 보았다. 버디 베어는 이 경기로 2500 USD를 벌었지만, 블랙시어는 최근 두 경기에서 패배하고 강력한 KO를 당하는 등 이전에는 더 강한 상대를 만났었다.
버디 베어는 1941년 1월 15일 오클랜드 오디토리움에서 에디 블런트에게 10라운드 판정패를 당했다. 초기 베팅에서 3대1의 압도적인 우세가 예상되었지만, 블런트는 10라운드 중 8라운드를 가져갔다. 블런트는 11 kg의 체중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경기 내내 긴 레프트 펀치와 날카로운 어퍼컷으로 버디 베어의 균형을 무너뜨렸고, 5라운드에는 버디 베어의 눈을 가격하여 출혈을 유발했다. 5라운드부터 7라운드까지는 양측이 치열하게 맞섰다. 버디 베어는 10라운드에 반격을 시도했지만, 점수 차이를 만회하기에는 너무 늦었고, 비록 해당 라운드를 따냈지만 한 기자는 "버디 베어는 그의 변덕스러운 경력에서 가장 아름다운 패배 중 하나를 당했다"고 평했다. 버디 베어는 양쪽 눈 위에 꿰매는 치료를 받아야 했으며, 다음 경기 전에 휴식이 필요할 것이 분명했다.
헤비급 타이틀 매치를 앞두고, 1941년 4월 8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경기에서 버디 베어는 개성 넘치는 도전자 토니 갈렌토를 상대로 7라운드 TKO 승리를 거두었다. 8,500명의 관중 앞에서 열린 이 경기에서 갈렌토는 손 골절로 경기를 중단해야 했다. 갈렌토는 1라운드에서 버디 베어를 로프로 몰아붙이며 몇 차례 강한 라이트 펀치를 성공시켰지만, 2라운드는 동등했고 버디 베어가 남은 라운드를 가져갔다. 버디 베어는 남은 라운드에서 자신의 우월한 리치를 활용해 갈렌토가 접근하는 것을 막았고, 4라운드에서는 강력한 라이트 펀치를 갈렌토의 입에 적중시켜 휘청거리게 만들었다. 6라운드에서 또 다른 강력한 펀치가 갈렌토의 마우스피스를 떨어뜨렸고 몇 차례 강한 펀치가 오갔지만, 이 경기에서는 다운이 없었다. 이 승리는 버디 베어에게 확실한 승리였다. 버디 베어는 갈렌토의 머리에 강력한 레프트 펀치를, 몸통에는 레프트와 라이트 펀치를 모두 성공시켰다.
3.3. World Heavyweight Championship Fights
버디 베어 복싱 경력의 정점은 조 루이스로부터 헤비급 복싱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하기 위한 두 차례의 시도에서 나타났다.

- 첫 번째 경기**: 1941년 5월 23일 워싱턴 D.C.의 그리피스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버디 베어는 1라운드에서 강력한 레프트 훅으로 루이스를 링 밖으로 날려버렸다. 그러나 루이스는 부상당했지만 동요하지 않고 카운트 10 이전에 링으로 다시 올라왔다. 많은 링사이드 관계자들은 루이스가 긴 카운트의 이점을 얻었다고 믿었다. 루이스는 결국 6라운드에서 버디 베어를 세 번 다운시킨 후 실격승을 거두었다. 버디 베어는 자신의 세 번째 다운이 6라운드 종료를 알리는 공이 울린 직후에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7라운드에 버디 베어의 코치진이 6라운드의 늦은 타격이라고 주장하며 링을 떠나기를 거부하자, 심판 아서 도노반은 경기를 재개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버디 베어에게 TKO 실격패를 선언했다. 논란이 많은 이 결정에서 심판은 마지막 타격이 종이 울리기 전 또는 동시에 발생했다고 믿었지만, 공식 타임키퍼, 다운 타임키퍼, 양쪽 심판을 포함한 대부분의 링사이드 관계자들은 마지막 타격이 종이 울린 후에 발생했으며, 이는 루이스의 실격으로 이어졌어야 한다고 믿었다. 복싱 위원회의 최종 결정은 심판의 손을 들어주었고, 루이스는 타이틀을 유지했다. 결정에 관계없이, 많은 링사이드 관계자들은 루이스가 6라운드에서 버디 베어를 거듭 공격하며 1라운드의 다운에서 완전히 회복했기 때문에 결국 승리했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디 베어는 에자드 찰스에게 패하기 전까지 조 루이스를 상대로 타이틀 획득에 가장 근접했던 선수였다.
- 두 번째 경기(리매치)**: 1942년 1월 9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렸으며, 약 19,000명의 관중이 모였다. 루이스는 버디 베어를 두 번 다운시킨 후 1라운드에서 KO로 꺾었다. 두 번째 다운은 맹렬한 공격과 천둥 같은 레프트 훅 이후 아홉 카운트로 이어졌다. 다시 일어선 버디 베어는 링 주위를 이리저리 맞았고, 머리에 곧게 날아온 라이트 펀치에 마지막으로 쓰러져 일곱 카운트를 당했다. 더 이상 일어설 수 없게 되자 카운트가 완료되었고 경기는 끝났다. 버디 베어는 나중에 "그날 밤 루이스를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야구 방망이를 들고 싸우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1년 후 그는 "그만둬야 했다. 경기 전에 자동차 사고로 목을 다쳤다"고 말했다.
4. Professional boxing record
공식 기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결과 | 전적 | 상대 | 유형 | 라운드, 시간 | 날짜 | 나이 | 장소 | 비고 |
---|---|---|---|---|---|---|---|---|---|
66 | |||||||||
57-7 | 조 루이스 | KO | 1 (15), 2:56 | 1942년 1월 9일 | 26세 212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NYSAC, NBA, The Ring영어 헤비급 타이틀전 | ||
65 | |||||||||
57-6 | 조 루이스 | DQ | 7 (15), 3:00 | 1941년 5월 23일 | 25세 346일 | 그리피스 스타디움, 워싱턴 D.C., 미국 | NYSAC, NBA, The Ring영어 헤비급 타이틀전; 매니저가 링을 떠나기를 거부하여 실격 | ||
64 | |||||||||
57-5 | 토니 갈렌토 | TKO | 7 (10) | 1941년 4월 8일 | 25세 301일 | 율린 아레나, 워싱턴 D.C., 미국 | |||
63 | |||||||||
56-5 | 에디 블런트 | PTS | 10 | 1941년 1월 15일 | 25세 218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62 | |||||||||
56-4 | 해럴드 블랙시어 | TKO | 3 (10), 2:45 | 1940년 12월 17일 | 25세 189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61 | |||||||||
55-4 | 발렌틴 캄폴로 | KO | 1 (12), 1:53 | 1940년 6월 6일 | 24세 361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
60 | |||||||||
54-4 | 네이선 만 | TKO | 7 (12), 1:36 | 1940년 5월 3일 | 24세 326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
59 | 승 | 53-4 | 리 새볼드 | NWS | 8 | 1938년 10월 30일 | 23세 141일 | 콜리세움, 디모인, 아이오와, 미국 | |
58 | |||||||||
53-4 | 찰리 니브스 | KO | 2 (10) | 1938년 10월 13일 | 23세 124일 | 시립 오디토리움, 캔자스시티, 미주리, 미국 | |||
57 | |||||||||
52-4 | 맥시 도일 | TKO | 3 (10) | 1938년 10월 12일 | 23세 123일 | 리틀 록, 와이오밍, 미국 | |||
56 | |||||||||
51-4 | 샌디 맥도널드 | KO | 2 (10) | 1938년 10월 5일 | 23세 116일 | 허버 파크, 루복, 텍사스, 미국 | |||
55 | |||||||||
50-4 | 빅 보이 브래키 | TKO | 2 (10), 1:10 | 1938년 4월 4일 | 22세 297일 | 올림픽 오디토리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
54 | |||||||||
49-4 | 척 크로웰 | KO | 1 (10), 0:54 | 1938년 3월 10일 | 22세 272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
53 | |||||||||
48-4 | 군나르 바를룬드 | TKO | 7 (10) | 1938년 3월 4일 | 22세 267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
52 | |||||||||
48-3 | 에디 호건 | TKO | 3 (10), 2:21 | 1937년 12월 17일 | 22세 189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
51 | |||||||||
47-3 | 에이브 사이먼 | TKO | 3 (6), 2:38 | 1937년 8월 30일 | 22세 80일 | 양키 스타디움, 뉴욕, 미국 | |||
50 | |||||||||
46-3 | 잭 런던 | PTS | 10 | 1937년 5월 24일 | 21세 347일 | 베치 필드, 스완지, 웨일스 | |||
49 | |||||||||
45-3 | 짐 와일드 | TKO | 4 (10) | 1937년 5월 6일 | 21세 329일 | 해링게이 아레나, 해링게이, 런던, 잉글랜드 | |||
48 | |||||||||
44-3 | 패트릭 마이클 배리 | KO | 1 (10), 2:46 | 1936년 12월 9일 | 21세 181일 | 시카고 스타디움,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 |||
47 | |||||||||
43-3 | 살바토레 루지에로 | KO | 2 (10) | 1936년 10월 19일 | 21세 130일 | 메이플 리프 가든, 토론토, 온타리오, 캐나다 | |||
46 | |||||||||
42-3 | 아트 올리버 | KO | 4 (6) | 1936년 10월 8일 | 21세 119일 | 플래트빌, 위스콘신, 미국 | |||
45 | |||||||||
41-3 | 베이브 데이비스 | KO | 6 (6) | 1936년 10월 6일 | 21세 117일 | 콜리세움, 에번스빌, 인디애나, 미국 | |||
44 | |||||||||
40-3 | 번 트릭클 | KO | 5 (6) | 1936년 9월 21일 | 21세 102일 | 셸든, 아이오와, 미국 | |||
43 | 승 | 39-3 | 프렛 페라 | NWS | 6 | 1936년 9월 14일 | 21세 95일 | 콜리세움, 디모인, 아이오와, 미국 | |
42 | |||||||||
39-3 | 프레드 슐츠 | KO | 1 (4), 1:28 | 1936년 9월 7일 | 21세 88일 | 록 스프링스, 와이오밍, 미국 | |||
41 | |||||||||
38-3 | 베이브 헌트 | KO | 1 (6) | 1936년 9월 4일 | 21세 85일 | 록 스프링스, 와이오밍, 미국 | |||
40 | |||||||||
37-3 | 잭 콘로이 | KO | 1 (10) | 1936년 9월 2일 | 21세 83일 | 링컨 필드, 트윈 폴스, 아이다호, 미국 | |||
39 | |||||||||
36-3 | 제임스 J. 러셀 | KO | 1 (6) | 1936년 8월 31일 | 21세 81일 | 메모리얼 볼 파크, 코어덜린, 아이다호, 미국 | |||
38 | |||||||||
35-3 | 돈 백스터 | PTS | 6 | 1936년 8월 29일 | 21세 79일 | 레크리에이션 파크, 루이스턴, 아이다호, 미국 | |||
37 | |||||||||
34-3 | 빌 데버 | KO | 2 (6), 0:07 | 1936년 8월 25일 | 21세 75일 | 멀트노마 스타디움, 포틀랜드, 오리건, 미국 | |||
36 | |||||||||
33-3 | 미키 심슨 | KO | 2 (6) | 1936년 8월 24일 | 21세 74일 | 병기고, 마시필드, 오리건, 미국 | |||
35 | |||||||||
32-3 | 레이 자레키 | KO | 1 (6), 0:34 | 1936년 7월 24일 | 21세 43일 | 오그던 스타디움, 오그던, 유타, 미국 | |||
34 | |||||||||
31-3 | 랙스 우드 | KO | 1 (4) | 1936년 7월 17일 | 21세 36일 | 컨벤션 홀, 에이다, 오클라호마, 미국 | |||
33 | |||||||||
30-3 | 제임스 메리엇 | KO | 1 (?) | 1936년 7월 16일 | 21세 35일 | 콜리세움, 털사, 오클라호마, 미국 | |||
32 | |||||||||
29-3 | 찰스 몽고메리 | KO | 1 (4) | 1936년 7월 13일 | 21세 32일 | 에이비의 야외 경기장, 오클라호마시티, 오클라호마, 미국 | |||
31 | |||||||||
28-3 | 앙드레 렝글레 | PTS | 6 | 1936년 4월 22일 | 20세 316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30 | |||||||||
28-2 | 잭 페트릭 | KO | 1 (4) | 1936년 3월 25일 | 20세 288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29 | |||||||||
27-2 | 해럴드 머피 | PTS | 4 | 1936년 3월 2일 | 20세 265일 | 시빅 오디토리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
28 | |||||||||
26-2 | 윌리 헌트 | KO | 1 (4), 1:36 | 1936년 2월 19일 | 20세 254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27 | |||||||||
25-2 | 포드 스미스 | PTS | 6 | 1935년 9월 24일 | 20세 105일 | 양키 스타디움, 뉴욕, 미국 | |||
26 | |||||||||
25-1 | 잭 도일 | KO | 1 (6), 2:38 | 1935년 8월 29일 | 20세 79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
25 | |||||||||
24-1 | 아티 슈스 | TKO | 4 (6) | 1935년 7월 26일 | 20세 45일 | 보드워크 아레나, 롱 브랜치, 뉴저지, 미국 | |||
24 | |||||||||
23-1 | 앨 딜레이니 | KO | 4 (4), 0:34 | 1935년 7월 18일 | 20세 37일 | 오퍼만 스타디움, 버펄로, 뉴욕, 미국 | |||
23 | |||||||||
22-1 | 프랭크 워탄스키 | KO | 1 (4), 0:54 | 1935년 6월 25일 | 20세 14일 | 양키 스타디움, 뉴욕, 미국 | |||
22 | |||||||||
21-1 | 빅 보이 브래키 | KO | 1 (4), 1:42 | 1935년 5월 23일 | 19세 346일 | 브로드웨이 오디토리움, 버펄로, 뉴욕, 미국 | |||
21 | |||||||||
20-1 | 에드 앤더슨 | PTS | 4 | 1935년 4월 18일 | 19세 311일 | 방위군 무기고, 캘러머주, 미시간, 미국 | |||
20 | |||||||||
19-1 | 토미 데이븐포트 | KO | 1 (6) | 1935년 4월 17일 | 19세 310일 | I.M.A. 오디토리움, 플린트, 미시간, 미국 | |||
19 | |||||||||
18-1 | 존 "콘" 그리핀 | KO | 2 (4) | 1935년 4월 12일 | 19세 305일 | 시카고 스타디움,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 |||
18 | |||||||||
17-1 | 해리 넬슨 | TKO | 3 (10) | 1935년 4월 10일 | 19세 303일 | 시빅 오디토리움, 그랜드 래피즈, 미시간, 미국 | |||
17 | |||||||||
16-1 | 프랭크 코널리 | KO | 1 (6) | 1935년 3월 20일 | 19세 282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16 | |||||||||
15-1 | 토미 데이븐포트 | KO | 1 (10) | 1935년 1월 28일 | 19세 231일 | 시립 스타디움, 마이애미, 플로리다, 미국 | |||
15 | |||||||||
14-1 | 몬티 호건 | KO | 1 (4), 0:31 | 1935년 1월 21일 | 19세 224일 | 리카드 레크리에이션 센터, 보스턴, 매사추세츠, 미국 | |||
14 | |||||||||
13-1 | 베이브 헌트 | PTS | 4 | 1935년 1월 10일 | 19세 213일 | 리카드 레크리에이션 센터, 보스턴, 매사추세츠, 미국 | |||
13 | |||||||||
13-0 | 잭 오도드 | TKO | 1 (6), 2:10 | 1935년 1월 4일 | 19세 207일 | 올림피아 스타디움, 디트로이트, 미시간, 미국 | |||
12 | |||||||||
12-0 | 진 스탠턴 | TKO | 1 (6) | 1934년 12월 28일 | 19세 200일 | 시카고 스타디움,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 |||
11 | |||||||||
11-0 | 헨리 서렛 | KO | 1 (4), 2:47 | 1934년 12월 21일 | 19세 193일 | 보스턴 가든, 보스턴, 매사추세츠, 미국 | |||
10 | |||||||||
10-0 | 범보 마이어스 | KO | 2 (4), 2:00 | 1934년 12월 19일 | 19세 191일 | 휠링, 웨스트버지니아, 미국 | |||
9 | |||||||||
9-0 | 밥 쿡 | KO | 1 (6) | 1934년 12월 14일 | 19세 186일 | 컨벤션 홀, 캔자스시티, 미주리, 미국 | |||
8 | |||||||||
8-0 | 미키 맥고티 | TKO | 1 (6), 1:22 | 1934년 12월 10일 | 19세 182일 | 퍼블릭 홀, 클리블랜드, 오하이오, 미국 | |||
7 | |||||||||
7-0 | 레드 필즈 | TKO | 1 (6), 0:50 | 1934년 12월 6일 | 19세 178일 | 콜리세움, 디모인, 아이오와, 미국 | |||
6 | |||||||||
6-0 | 조니 베이커 | KO | 2 (6), 0:35 | 1934년 12월 4일 | 19세 176일 | 워털루 시어터, 워털루, 아이오와, 미국 | |||
5 | |||||||||
5-0 | 프랭크 케터 | KO | 1 (4), 0:25 | 1934년 11월 23일 | 19세 165일 | 시카고 스타디움,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 |||
4 | |||||||||
4-0 | 진 가너 | KO | 1 (6), 1:31 | 1934년 11월 13일 | 19세 155일 | 올림픽 오디토리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
3 | |||||||||
3-0 | 잭 페트릭 | KO | 5 (6) | 1934년 10월 24일 | 19세 135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2 | |||||||||
2-0 | 맥스 브라운 | KO | 1 (4), 1:30 | 1934년 10월 10일 | 19세 121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1 | |||||||||
1-0 | 타이니 애벗 | KO | 1 (8), 1:54 | 1934년 9월 23일 | 19세 104일 | 유레카, 캘리포니아, 미국 |
신문 판정을 포함한 비공식 기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결과 | 전적 | 상대 | 유형 | 라운드, 시간 | 날짜 | 나이 | 장소 | 비고 |
---|---|---|---|---|---|---|---|---|---|
66 | |||||||||
59-7 | 조 루이스 | KO | 1 (15), 2:56 | 1942년 1월 9일 | 26세 212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NYSAC, NBA, The Ring영어 헤비급 타이틀전 | ||
65 | |||||||||
59-6 | 조 루이스 | DQ | 7 (15), 3:00 | 1941년 5월 23일 | 25세 346일 | 그리피스 스타디움, 워싱턴 D.C., 미국 | NYSAC, NBA, The Ring영어 헤비급 타이틀전; 매니저가 링을 떠나기를 거부하여 실격 | ||
64 | |||||||||
59-5 | 토니 갈렌토 | TKO | 7 (10) | 1941년 4월 8일 | 25세 301일 | 율린 아레나, 워싱턴 D.C., 미국 | |||
63 | |||||||||
58-5 | 에디 블런트 | PTS | 10 | 1941년 1월 15일 | 25세 218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62 | |||||||||
58-4 | 해럴드 블랙시어 | TKO | 3 (10), 2:45 | 1940년 12월 17일 | 25세 189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61 | |||||||||
57-4 | 발렌틴 캄폴로 | KO | 1 (12), 1:53 | 1940년 6월 6일 | 24세 361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
60 | |||||||||
56-4 | 네이선 만 | TKO | 7 (12), 1:36 | 1940년 5월 3일 | 24세 326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
59 | |||||||||
55-4 | 리 새볼드 | NWS | 8 | 1938년 10월 30일 | 23세 141일 | 콜리세움, 디모인, 아이오와, 미국 | |||
58 | |||||||||
54-4 | 찰리 니브스 | KO | 2 (10) | 1938년 10월 13일 | 23세 124일 | 시립 오디토리움, 캔자스시티, 미주리, 미국 | |||
57 | |||||||||
53-4 | 맥시 도일 | TKO | 3 (10) | 1938년 10월 12일 | 23세 123일 | 리틀 록, 와이오밍, 미국 | |||
56 | |||||||||
52-4 | 샌디 맥도널드 | KO | 2 (10) | 1938년 10월 5일 | 23세 116일 | 허버 파크, 루복, 텍사스, 미국 | |||
55 | |||||||||
51-4 | 빅 보이 브래키 | TKO | 2 (10), 1:10 | 1938년 4월 4일 | 22세 297일 | 올림픽 오디토리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
54 | |||||||||
50-4 | 척 크로웰 | KO | 1 (10), 0:54 | 1938년 3월 10일 | 22세 272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
53 | |||||||||
49-4 | 군나르 바를룬드 | TKO | 7 (10) | 1938년 3월 4일 | 22세 267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
52 | |||||||||
49-3 | 에디 호건 | TKO | 3 (10), 2:21 | 1937년 12월 17일 | 22세 189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
51 | |||||||||
48-3 | 에이브 사이먼 | TKO | 3 (6), 2:38 | 1937년 8월 30일 | 22세 80일 | 양키 스타디움, 뉴욕, 미국 | |||
50 | |||||||||
47-3 | 잭 런던 | PTS | 10 | 1937년 5월 24일 | 21세 347일 | 베치 필드, 스완지, 웨일스 | |||
49 | |||||||||
46-3 | 짐 와일드 | TKO | 4 (10) | 1937년 5월 6일 | 21세 329일 | 해링게이 아레나, 해링게이, 런던, 잉글랜드 | |||
48 | |||||||||
45-3 | 패트릭 마이클 배리 | KO | 1 (10), 2:46 | 1936년 12월 9일 | 21세 181일 | 시카고 스타디움,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 |||
47 | |||||||||
44-3 | 살바토레 루지에로 | KO | 2 (10) | 1936년 10월 19일 | 21세 130일 | 메이플 리프 가든, 토론토, 온타리오, 캐나다 | |||
46 | |||||||||
43-3 | 아트 올리버 | KO | 4 (6) | 1936년 10월 8일 | 21세 119일 | 플래트빌, 위스콘신, 미국 | |||
45 | |||||||||
42-3 | 베이브 데이비스 | KO | 6 (6) | 1936년 10월 6일 | 21세 117일 | 콜리세움, 에번스빌, 인디애나, 미국 | |||
44 | |||||||||
41-3 | 번 트릭클 | KO | 5 (6) | 1936년 9월 21일 | 21세 102일 | 셸든, 아이오와, 미국 | |||
43 | |||||||||
40-3 | 프렛 페라 | NWS | 6 | 1936년 9월 14일 | 21세 95일 | 콜리세움, 디모인, 아이오와, 미국 | |||
42 | |||||||||
39-3 | 프레드 슐츠 | KO | 1 (4), 1:28 | 1936년 9월 7일 | 21세 88일 | 록 스프링스, 와이오밍, 미국 | |||
41 | |||||||||
38-3 | 베이브 헌트 | KO | 1 (6) | 1936년 9월 4일 | 21세 85일 | 록 스프링스, 와이오밍, 미국 | |||
40 | |||||||||
37-3 | 잭 콘로이 | KO | 1 (10) | 1936년 9월 2일 | 21세 83일 | 링컨 필드, 트윈 폴스, 아이다호, 미국 | |||
39 | |||||||||
36-3 | 제임스 J. 러셀 | KO | 1 (6) | 1936년 8월 31일 | 21세 81일 | 메모리얼 볼 파크, 코어덜린, 아이다호, 미국 | |||
38 | |||||||||
35-3 | 돈 백스터 | PTS | 6 | 1936년 8월 29일 | 21세 79일 | 레크리에이션 파크, 루이스턴, 아이다호, 미국 | |||
37 | |||||||||
34-3 | 빌 데버 | KO | 2 (6), 0:07 | 1936년 8월 25일 | 21세 75일 | 멀트노마 스타디움, 포틀랜드, 오리건, 미국 | |||
36 | |||||||||
33-3 | 미키 심슨 | KO | 2 (6) | 1936년 8월 24일 | 21세 74일 | 병기고, 마시필드, 오리건, 미국 | |||
35 | |||||||||
32-3 | 레이 자레키 | KO | 1 (6), 0:34 | 1936년 7월 24일 | 21세 43일 | 오그던 스타디움, 오그던, 유타, 미국 | |||
34 | |||||||||
31-3 | 랙스 우드 | KO | 1 (4) | 1936년 7월 17일 | 21세 36일 | 컨벤션 홀, 에이다, 오클라호마, 미국 | |||
33 | |||||||||
30-3 | 제임스 메리엇 | KO | 1 (?) | 1936년 7월 16일 | 21세 35일 | 콜리세움, 털사, 오클라호마, 미국 | |||
32 | |||||||||
29-3 | 찰스 몽고메리 | KO | 1 (4) | 1936년 7월 13일 | 21세 32일 | 에이비의 야외 경기장, 오클라호마시티, 오클라호마, 미국 | |||
31 | |||||||||
28-3 | 앙드레 렝글레 | PTS | 6 | 1936년 4월 22일 | 20세 316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30 | |||||||||
28-2 | 잭 페트릭 | KO | 1 (4) | 1936년 3월 25일 | 20세 288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29 | |||||||||
27-2 | 해럴드 머피 | PTS | 4 | 1936년 3월 2일 | 20세 265일 | 시빅 오디토리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 |||
28 | |||||||||
26-2 | 윌리 헌트 | KO | 1 (4), 1:36 | 1936년 2월 19일 | 20세 254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27 | |||||||||
25-2 | 포드 스미스 | PTS | 6 | 1935년 9월 24일 | 20세 105일 | 양키 스타디움, 뉴욕, 미국 | |||
26 | |||||||||
25-1 | 잭 도일 | KO | 1 (6), 2:38 | 1935년 8월 29일 | 20세 79일 |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미국 | |||
25 | |||||||||
24-1 | 아티 슈스 | TKO | 4 (6) | 1935년 7월 26일 | 20세 45일 | 보드워크 아레나, 롱 브랜치, 뉴저지, 미국 | |||
24 | |||||||||
23-1 | 앨 딜레이니 | KO | 4 (4), 0:34 | 1935년 7월 18일 | 20세 37일 | 오퍼만 스타디움, 버펄로, 뉴욕, 미국 | |||
23 | |||||||||
22-1 | 프랭크 워탄스키 | KO | 1 (4), 0:54 | 1935년 6월 25일 | 20세 14일 | 양키 스타디움, 뉴욕, 미국 | |||
22 | |||||||||
21-1 | 빅 보이 브래키 | KO | 1 (4), 1:42 | 1935년 5월 23일 | 19세 346일 | 브로드웨이 오디토리움, 버펄로, 뉴욕, 미국 | |||
21 | |||||||||
20-1 | 에드 앤더슨 | PTS | 4 | 1935년 4월 18일 | 19세 311일 | 방위군 무기고, 캘러머주, 미시간, 미국 | |||
20 | |||||||||
19-1 | 토미 데이븐포트 | KO | 1 (6) | 1935년 4월 17일 | 19세 310일 | I.M.A. 오디토리움, 플린트, 미시간, 미국 | |||
19 | |||||||||
18-1 | 존 "콘" 그리핀 | KO | 2 (4) | 1935년 4월 12일 | 19세 305일 | 시카고 스타디움,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 |||
18 | |||||||||
17-1 | 해리 넬슨 | TKO | 3 (10) | 1935년 4월 10일 | 19세 303일 | 시빅 오디토리움, 그랜드 래피즈, 미시간, 미국 | |||
17 | |||||||||
16-1 | 프랭크 코널리 | KO | 1 (6) | 1935년 3월 20일 | 19세 282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16 | |||||||||
15-1 | 토미 데이븐포트 | KO | 1 (10) | 1935년 1월 28일 | 19세 231일 | 시립 스타디움, 마이애미, 플로리다, 미국 | |||
15 | |||||||||
14-1 | 몬티 호건 | KO | 1 (4), 0:31 | 1935년 1월 21일 | 19세 224일 | 리카드 레크리에이션 센터, 보스턴, 매사추세츠, 미국 | |||
14 | |||||||||
13-1 | 베이브 헌트 | PTS | 4 | 1935년 1월 10일 | 19세 213일 | 리카드 레크리에이션 센터, 보스턴, 매사추세츠, 미국 | |||
13 | |||||||||
13-0 | 잭 오도드 | TKO | 1 (6), 2:10 | 1935년 1월 4일 | 19세 207일 | 올림피아 스타디움, 디트로이트, 미시간, 미국 | |||
12 | |||||||||
12-0 | 진 스탠턴 | TKO | 1 (6) | 1934년 12월 28일 | 19세 200일 | 시카고 스타디움,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 |||
11 | |||||||||
11-0 | 헨리 서렛 | KO | 1 (4), 2:47 | 1934년 12월 21일 | 19세 193일 | 보스턴 가든, 보스턴, 매사추세츠, 미국 | |||
10 | |||||||||
10-0 | 범보 마이어스 | KO | 2 (4), 2:00 | 1934년 12월 19일 | 19세 191일 | 휠링, 웨스트버지니아, 미국 | |||
9 | |||||||||
9-0 | 밥 쿡 | KO | 1 (6) | 1934년 12월 14일 | 19세 186일 | 컨벤션 홀, 캔자스시티, 미주리, 미국 | |||
8 | |||||||||
8-0 | 미키 맥고티 | TKO | 1 (6), 1:22 | 1934년 12월 10일 | 19세 182일 | 퍼블릭 홀, 클리블랜드, 오하이오, 미국 | |||
7 | |||||||||
7-0 | 레드 필즈 | TKO | 1 (6), 0:50 | 1934년 12월 6일 | 19세 178일 | 콜리세움, 디모인, 아이오와, 미국 | |||
6 | |||||||||
6-0 | 조니 베이커 | KO | 2 (6), 0:35 | 1934년 12월 4일 | 19세 176일 | 워털루 시어터, 워털루, 아이오와, 미국 | |||
5 | |||||||||
5-0 | 프랭크 케터 | KO | 1 (4), 0:25 | 1934년 11월 23일 | 19세 165일 | 시카고 스타디움,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 |||
4 | |||||||||
4-0 | 진 가너 | KO | 1 (6), 1:31 | 1934년 11월 13일 | 19세 155일 | 올림픽 오디토리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
3 | |||||||||
3-0 | 잭 페트릭 | KO | 5 (6) | 1934년 10월 24일 | 19세 135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2 | |||||||||
2-0 | 맥스 브라운 | KO | 1 (4), 1:30 | 1934년 10월 10일 | 19세 121일 | 오디토리움, 오클랜드, 캘리포니아, 미국 | |||
1 | |||||||||
1-0 | 타이니 애벗 | KO | 1 (8), 1:54 | 1934년 9월 23일 | 19세 104일 | 유레카, 캘리포니아, 미국 |
5. Post-boxing career and later life
버디 베어는 두 번째 조 루이스와의 경기 후 복싱에서 은퇴하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초기 미국 참전 기간인 1942년 매클렐런 공군 기지에서 미국 육군 항공대에 입대했다.
5.1. Military service and business ventures
전쟁이 끝나고 1945년 9월 육군 전역을 마친 버디 베어는 새크라멘토로 돌아와 프레드 컬리신치와 함께 11번가 1411번지에 Buddy Baer's Bar of Music영어이라는 가장 성공적인 사업장을 열었다. 그는 건강 식품점, 의류 가게, 중장비 판매 및 부동산 등 다양한 다른 사업에도 손을 댔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5.2. Public service and philanthropy
1959년 형 맥스 베어가 심장 질환으로 사망한 후, 그는 프래터널 오더 오브 이글스의 맥스 베어 심장 기금의 전국 회장으로 활동했다. 그는 1970년대에 캘리포니아주 의회에서 의전관 또는 의사관으로 일하기도 했다.
5.3. Entertainment and performance activities
수년 동안 그는 뉴욕의 Leon and Eddie's영어, 볼티모어의 Charles Club영어 등에서 나이트클럽 가수로 활동하며 자신의 베이스 바리톤 목소리를 활용했다. 그는 1952년 뉴욕의 파라마운트 극장에서 펄 베일리와 함께 공연했다. 또한 그는 17편의 영화에 출연했으며 1950년대와 1960년대 여러 텔레비전 시리즈에서도 연기 활동을 펼쳤다.
6. Filmography
버디 베어가 출연한 영화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테이크 잇 프롬 미 (1937) - 키드 브로디
- 다이아몬드 쟁탈전 (1949) - 부츠 윌슨
- 쿼바디스 (1951) - 우르수스 (리기아의 보디가드)
- 브로드웨이로 가는 두 장의 티켓 (1951) - 버스 안의 선원
- 아라비아의 불꽃 (1951) - 하킴 바르바로사
- 잭과 콩나무 (1952) - 라일리 병장 / 거인
- 빅 스카이 (1952) - 로메인
- 자바의 순풍 (1953) - 킹
- 드림 와이프 (1953) - 비지어
- 원수의 딸 (1953) - 버디 베어 (포커 게임 플레이어)
- 주빌리 트레일 (1954) - 니콜라이 그레고로비치 카라코제프 '핸섬 브루트'
- 슬라이틀리 스칼렛 (1956) - 렌하트
- 헬 캐니언 무법자 (1957) - 헨치맨 스탠
- 미지의 거인 (1958) - 바르가스 더 자이언트
- 원스 어폰 어 호스 (1958) - 뷰라의 오빠
- 백설 공주와 삼총사 (1961) - 호드레드
- The Magic Fountain영어 (1961) - 빅 벤자민 (목소리)
- 더 배시풀 엘리펀트 (1962) - 술집 주인
- 라이드 비욘드 벤전스 (1966) - 크라츠 씨 (마지막 영화 역할)
7. Television appearances
버디 베어는 1957년 텔레비전 드라마 Gunsmoke영어의 "네버 페스터 체스터" 에피소드에 출연했다. 1958년에는 신디케이트 TV 시리즈 Adventures of Superman영어에 출연하여 아틀라스 역을 맡았다. 아틀라스는 서커스 강자로, 동료들에게 속아 물건을 훔친다. 그들은 그에게 슈퍼맨이 악당이며 아틀라스가 그렇게 함으로써 슈퍼맨의 잘못을 바로잡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1958년, 버디 베어는 Wagon Train영어 시즌 1 에피소드 33 "대니얼 호건 이야기"에 출연하여 "틴스미스"라는 별명을 가진 복서 역을 맡았다.
버디 베어의 다른 텔레비전 출연작으로는 다음이 있다:
- 애벗과 코스텔로 쇼
- 슈퍼맨의 모험
- 캡틴 미드나이트
- 샤이엔
- 서커스 보이
- 클라이맥스!
- 해브 건 - 윌 트래블
- 피터 건
- 로하이드
- 스카이 킹
- 웨건 트레인
- 바이킹 이야기
- Toast of the Town영어 (에드 설리번 쇼)
- 어드벤처 시리즈 정글의 여왕 쉬나
버디 베어의 가장 기억에 남는 캐릭터 역할은 아마도 위에서 언급된 Gunsmoke영어 에피소드에 출연한 스토보 역일 것이다.
8. Personal life and death
버디 베어의 말년은 당뇨병, 고혈압,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질병들과의 싸움으로 보내졌다. 서터 메모리얼 병원에서 이송된 후, 그는 사망하기 일주일 전 마르티네스 재향군인 병원에 입원했으며, 1986년 7월 18일 캘리포니아주 마르티네스에서 사망했다. 그는 1964년에 결혼한 아내 비키 패럴 브럼블로, 딸 쉴라, 그리고 세 명의 손주를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버디 베어는 이전에 세 번 결혼한 경력이 있다. 그의 시신은 새크라멘토의 이스트 론 시에라 힐스 메모리얼 파크에 안장되었다. 버디 베어와 그의 형 맥스 베어는 모두 "전문적인 선한 사람" 또는 "온화한 거인"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들이 사망한 후, 새크라멘토 스포츠 기자 빌리 콘린은 "그들이 죽었을 때, '달콤한 과학(복싱)'은 가장 달콤한 두 명을 잃었다!"고 썼다.
9. Legacy and evaluation
버디 베어는 복서로서의 경력에서 세계 헤비급 타이틀에 근접했던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조 루이스와의 두 차례 경기는 복싱 역사에 중요한 논란을 남겼으며, 그가 루이스를 상대로 가장 위협적인 상대 중 한 명이었음을 증명했다. 그는 2003년 The Ring영어 잡지 선정 '역대 가장 위대한 펀처 100인'에 이름을 올리며 그의 강력한 펀치력을 인정받았다.
그는 복싱 선수 은퇴 후에도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다양한 사업 활동, 캘리포니아주 의회 공무 활동 등 사회에 기여했으며, 특히 형 맥스 베어를 기념하는 심장 기금의 전국 회장으로 활동하며 자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또한 버디 베어는 배우로서 17편의 영화와 여러 텔레비전 시리즈에 출연하며 다양한 재능을 선보였다. 그는 강력한 복싱 실력과 함께 대중에게 친숙한 배우이자 가수로 활동하며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의 별명인 "온화한 거인"처럼, 버디 베어는 경기장 안팎에서 보여준 인상적인 모습과 함께 대중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는 형 맥스 베어와 함께 "전문적인 선한 사람" 또는 "온화한 거인"으로 기억되며, 후대에 복싱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