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밸 매더미드는 스코틀랜드 파이프(Fife)의 커크컬디(Kirkcaldy)에서 노동계급 가정에서 태어났다.
1.1. 어린 시절과 교육
그녀는 커크컬디의 지역 공립 학교인 커크컬디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의 세인트 힐다 칼리지(St Hilda's College)에서 영문학을 공부했다. 특히 그녀는 스코틀랜드의 공립 학교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옥스퍼드 대학교에 입학한 학생이었다.
2. 저널리즘 및 초기 작가 경력
매더미드는 대학 졸업 후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이 시기에 그녀는 극작가로서도 문학 활동을 이어갔다.
2.1. 소설 작가로의 전환
저널리즘 활동을 병행하던 중, 1987년에 첫 소설이자 린제이 고든 시리즈의 첫 작품인 《살인을 위한 보고서(Report for Murder: The First Lindsay Gordon Mystery)》를 출간하며 소설가로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3. 문학 경력 및 작품
밸 매더미드의 작품 세계는 주로 범죄 소설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여러 시리즈를 통해 다양한 인물들을 창조했다. 그녀의 소설은 폭력 묘사와 페미니즘적 요소로 특징지어지며, 여러 작품이 텔레비전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3.1. 주요 시리즈 및 소설
매더미드의 작품은 크게 다섯 가지 시리즈로 나뉜다.
- 린제이 고든 시리즈 (저널리스트)
- 《살인을 위한 보고서(Report for Murder)》 (1987)
- 《평범한 살인(Common Murder)》 (1989)
- 《최종판(Final Edition)》 (1991), 미국판 제목: 《Open and Shut》, 《Deadline for Murder》
- 《유니언 잭(Union Jack)》 (1993), 미국판 제목: 《Conferences Are Murder》
- 《살인을 위한 예약(Booked for Murder)》 (1996)
- 《살인의 인질(Hostage to Murder)》 (2003)
- 케이트 브래니건 시리즈 (사립 탐정)
- 《데드 비트(Dead Beat)》 (1992)
- 《킥백(Kick Back)》 (1993)
- 《크랙다운(Crack Down)》 (1994)
- 《클린 브레이크(Clean Break)》 (1995)
- 《블루 유전자(Blue Genes)》 (1996)
- 《스타 스트럭(Star Struck)》 (1998) (1998년 프랑스 범죄 소설 대상 수상)
- 토니 힐 & 캐롤 조던 시리즈 (임상 심리학자 토니 힐과 DCI 캐롤 조던)
- 《인어들의 노래(The Mermaids Singing)》 (1995) (1995년 추리작가협회(CWA) 골드 대거상 수상)
- 《피 속의 전선(The Wire in the Blood)》 (1997)
- 《마지막 유혹(The Last Temptation)》 (2002)
- 《다른 이들의 고통(The Torment of Others)》 (2004)
- 《출혈 아래(Beneath the Bleeding)》 (2007)
- 《뼈의 열병(Fever of the Bone)》 (2009)
- 《응보(The Retribution)》 (2011)
- 《교차와 불타오름(Cross and Burn)》 (2013)
- 《침묵을 쪼개다(Splinter the Silence)》 (2015)
- 《교활한 의도(Insidious Intent)》 (2017)
- 《죽은 자들은 어떻게 말하는가(How the Dead Speak)》 (2019)
- 카렌 피리 경감 시리즈
- 《아득한 메아리(The Distant Echo)》 (2003)
- 《더 어두운 영역(A Darker Domain)》 (2008)
- 《해골 길(The Skeleton Road)》 (2014)
- 《출입 금지(Out of Bounds)》 (2016)
- 《부서진 땅(Broken Ground)》 (2018)
- 《정물(Still Life)》 (2020)
- 《과거의 거짓말(Past Lying)》 (2023)
- 앨리 번스 시리즈 (탐사 보도 기자)
- 《1979(1979)》 (2021)
- 《1989(1989)》 (2022)
- 《1999(1999)》 (미정)
- 《2009(2009)》 (미정)
- 《2019(2019)》 (미정)
기타 작품으로는 제인 오스틴의 소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The Austen Project영어의 《노생거 사원(Northanger Abbey)》 (2014)가 있다.
- 기타 소설
- 《벽에 쓰인 글(The Writing on the Wall)》 (1997); 단편 소설집, 200부 한정판
- 《처형의 장소(A Place of Execution)》 (1999)
- 《그림자 살해(Killing the Shadows)》 (2000)
- 《좌초(Stranded)》 (2005); 단편 소설집
- 《깨끗한 피부(Cleanskin)》 (2006)
- 《무덤 문신(The Grave Tattoo)》 (2006)
- 《어둠의 속임수(Trick of the Dark)》 (2010)
- 《사라지는 지점(The Vanishing Point)》 (2012)
- 《저항: 그래픽 노블(Resistance: A Graphic Novel)》 (2021)
- 《교구 목사관에서의 두 번째 살인(The Second Murder at the Vicarage)》 (2022) (《마플, 열두 가지 새로운 미스터리》 수록)
어린이 책으로는 《우리 할머니는 해적(My Granny is a Pirate)》 (2012)와 《하이 헤이드 인의 새 옷(The High Heid Yin's New Claes)》 (2020)이 있다.
비소설 작품으로는 《여자에게 적합한 직업(A Suitable Job for a Woman)》 (1994), 《법의학 - 범죄의 해부(Forensics - The Anatomy of Crime)》 (2014), 《나의 스코틀랜드(My Scotland)》 (2019), 《나라를 상상하라(Imagine a Country)》 (2020) 등이 있다.
3.2. 장르와 스타일
매더미드는 자신의 작품이 스코틀랜드 범죄 소설 장르인 Tartan Noir타탄 누아르영어의 일부라고 여긴다. 그녀의 소설, 특히 토니 힐 시리즈는 폭력과 고문에 대한 생생한 묘사로 잘 알려져 있다. 매더미드는 자신의 소설에 페미니즘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통합해왔으며, 이는 그녀의 급진적 페미니스트 신념을 반영한다.
그녀는 《피 속의 전선》과 이후 두 권의 책에 등장하는 캐릭터인 잭코 밴스(Jacko Vance)를 자신이 직접 인터뷰했던 지미 새빌(Jimmy Savile)을 바탕으로 창조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잭코 밴스는 고문, 살인, 미성년자 소녀들에 대한 은밀한 욕정을 가진 TV 유명인으로 묘사된다.
3.3. 텔레비전 각색
매더미드의 토니 힐 & 캐롤 조던 시리즈는 롭슨 그린 주연의 TV 드라마 《와이어 인 더 블러드(Wire in the Blood)》로 각색되어 2002년부터 2008년까지 방영되었다. 또한 카렌 피리 캐릭터가 등장하는 그녀의 책들을 바탕으로 한 또 다른 시리즈인 《카렌 피리 (TV 시리즈)(Karen Pirie)》도 TV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4. 수상 및 영예
밸 매더미드는 작가로서 수많은 문학상과 학계 및 직업 분야에서 명예로운 인정을 받았다.
4.1. 주요 문학상
그녀의 첫 토니 힐 & 캐롤 조던 시리즈 소설인 《인어들의 노래》는 1995년 추리작가협회(CWA)의 골드 대거상(Gold Dagger)을 수상하며 그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2010년에는 그녀의 영어 범죄 소설 분야에 대한 평생 공헌을 인정받아 CWA 다이아몬드 대거상(Diamond Dagger)을 수상했다.
다른 주요 수상 및 노미네이션 내역은 다음과 같다:
- 1994년: 《크랙다운》으로 CWA 골드 대거상 노미네이트
- 1998년: 《스타 스트럭》으로 프랑스 범죄 소설 대상(Grand Prix des Romans d'Aventure) 수상
- 1999년: 《처형의 장소》로 골드 대거상 노미네이트
- 2000년: 《처형의 장소》로 배리상(Barry Award) 영국 미스터리상 수상
- 2001년: 《처형의 장소》로 마카비티상(Macavity Award) 장편상 수상, 앤서니상(Anthony Award) 장편상 수상, 딜리스상(Dilys Award) 수상, 에드거상(Edgar Award) 장편상 노미네이트
- 2002년: 《그림자 살해》로 배리상 영국 미스터리상 노미네이트
- 2004년: 《아득한 메아리》로 배리상 영국 미스터리상 수상, 《다른 이들의 고통》으로 골드 대거상 노미네이트
- 2011년: 《뼈의 열병》으로 배리상 페이퍼백상 노미네이트
4.2. 학문적 및 직업적 인정
2011년에는 선덜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Sunderland)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2000년에는 권위 있는 디텍션 클럽(Detection Club)에 회원으로 가입되었다.
그녀는 해러게이트 국제 축제(Harrogate International Festivals)의 일부인 해러게이트 범죄 문학 축제와 티악스턴스 올드 페큘리어 범죄 소설 올해의 상(Theakston's Old Peculier Crime Novel of the Year Award)의 공동 설립자이기도 하다. 2016년에는 세인트 힐다 칼리지 동문 팀의 주장을 맡아 TV 퀴즈 쇼 《크리스마스 유니버시티 챌린지(Christmas University Challenge)》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2017년에는 에든버러 왕립 학회(Royal Society of Edinburgh) 회원과 왕립 문학 학회(Royal Society of Literature)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5. 공적 생활 및 소속
매더미드는 작가로서의 활동 외에도 여러 공적 영역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다양한 단체에 소속되어 있다.
5.1. 레이스 로버스(Raith Rovers) 관련 활동
매더미드는 평생 동안 레이스 로버스(Raith Rovers) 축구 클럽의 팬이었다. 그녀의 아버지는 이 클럽의 스카우트로 일하기도 했다. 2010년, 그녀는 아버지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커크컬디에 있는 클럽의 홈 경기장인 스타크스 파크(Stark's Park)의 매더미드 스탠드를 후원했다. 스탠드를 후원한 지 1년 후, 그녀는 클럽의 이사회 멤버가 되었고, 2014년부터는 그녀의 웹사이트가 레이스 로버스의 유니폼 스폰서가 되었다.
그러나 2022년 2월, 레이스 로버스 클럽이 2017년 민사 소송에서 여성을 강간한 것으로 판결받아 손해 배상금을 지급해야 했던 스트라이커 데이비드 굿윌리(David Goodwillie)를 영입하자, 매더미드는 클럽에 대한 지지와 후원을 철회하겠다고 발표했다. 굿윌리 영입 이후, 레이스 로버스 여성 팀은 메인 클럽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매더미드 레이디스(McDermid Ladies)로 이름을 바꾸었다. 매더미드는 새로 생긴 여성 팀에 대한 후원을 시작했다.
5.2. 기타 소속
매더미드는 디텍션 클럽(Detection Club)의 멤버이며, 해러게이트 국제 축제(Harrogate International Festivals)의 일부인 해러게이트 범죄 문학 축제와 티악스턴스 올드 페큘리어 범죄 소설 올해의 상(Theakston's Old Peculier Crime Novel of the Year Award)의 공동 설립자이기도 하다. 소설 외에도 여러 영국 신문에 기고하고 BBC 라디오 4(BBC Radio 4)와 BBC 라디오 스코틀랜드(BBC Radio Scotland)에서 자주 방송에 출연한다.
6. 개인적인 삶
매더미드의 개인적인 삶은 그녀의 직업 경력만큼이나 다양하고 흥미롭다. 그녀는 가족 관계와 더불어, 자신의 작품에 반영된 급진적 페미니스트 및 사회주의적 신념을 통해 사회적 가치관을 드러냈다.
6.1. 관계 및 가족
매더미드는 레즈비언이다. 2006년에는 출판업자인 켈리 스미스(Kelly Smith)와 시민 결합을 맺었다가 2010년에 헤어졌다. 그녀는 전 파트너와 함께 인공 수정을 통해 얻은 아들 카메론(Cameron)의 후견인이다. 2016년 10월 23일, 매더미드는 2년간 교제했던 조 샤프(Jo Sharp)와 결혼했다. 조 샤프는 글래스고 대학교(University of Glasgow)의 지리학 교수이다.
이전에는 스톡포트(Stockport)와 노섬벌랜드(Northumberland)의 알른머스(Alnmouth) 근처에 살았으며, 고양이 세 마리와 보더 테리어 개 한 마리를 키웠다. 2014년 초부터는 스톡포트와 에든버러(Edinburgh)에서 거주하고 있다.
6.2. 정치적 및 사회적 견해
매더미드는 급진적 페미니즘과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인물이다. 그녀는 이러한 신념을 일부 소설에 통합하여 작품 내에서 페미니즘적 관점을 탐구하고 사회적 비판을 제기했다. 그녀는 《앵무새 죽이기》를 좋아하는 소설 중 하나로 꼽기도 했다.
7. 주목할 만한 사건 및 논란
매더미드의 경력과 공적인 삶에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사건과 논란이 있었다.
7.1. 잉크 투척 사건
2012년 12월 6일, 선덜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Sunderland)에서 열린 북 사인회 도중 한 여성이 매더미드에게 잉크를 뿌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매더미드가 책에 사인을 하던 중, 한 여성이 그녀에게 불명예스러운 텔레비전 진행자 지미 새빌(Jimmy Savile)의 사진이 실린 《톱 오브 더 팝스(Top of the Pops)》 연감을 싸인해 달라고 요청했다. 매더미드가 마지못해 동의하자, 그 여성은 잉크를 뿌리고 도망쳤다. 매더미드는 이 사건이 사인회 활동을 멈추게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섬브리아 경찰(Northumbria Police)은 이 사건에 대해 선덜랜드의 헨든(Hendon) 지역에 사는 64세 여성 산드라 보텀(Sandra Botham)을 폭행 혐의로 체포했다. 보텀은 2013년 7월 10일 단순 폭행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12개월간의 지역 사회 봉사 명령과 함께 50 GBP의 배상금과 60 GBP의 피해자 부담금을 지불해야 했다. 또한 그녀는 매더미드에게 무기한 접근 금지 명령을 받았다. 지역 언론인 《노던 에코(The Northern Echo)》는 보텀의 행동이 매더미드의 1994년 비소설 책 《여자에게 적합한 직업》에 실린 한 구절이 자신과 가족을 비난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7.2. 레이스 로버스(Raith Rovers) 후원 분쟁
2022년 2월, 매더미드는 자신이 평생 팬이었고 적극적으로 후원하던 축구 클럽 레이스 로버스에 대한 후원을 철회했다. 이는 클럽이 2017년 민사 소송에서 여성을 강간한 것으로 판결받아 손해 배상금을 지급해야 했던 스트라이커 데이비드 굿윌리(David Goodwillie)를 영입했기 때문이었다. 매더미드는 이 영입이 클럽의 가치를 배신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자신의 웹사이트를 통한 유니폼 스폰서십과 기타 지원을 모두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이 사건은 영국 스포츠계와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클럽 내외부에서 많은 비판과 변화를 촉발했다. 굿윌리 영입 이후, 레이스 로버스 여성 팀은 메인 클럽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작가의 이름을 따 '매더미드 레이디스'로 이름을 바꾸었다. 매더미드는 즉시 이 새로운 여성 팀에 대한 후원을 시작하며, 자신의 신념을 행동으로 보여주었다.
7.3. 애거서 크리스티 재단 분쟁
2022년 8월, 매더미드는 애거서 크리스티의 저작권 관리 재단이 그녀의 출판사에게 '범죄 소설의 여왕'이라는 표현을 매더미드에게 사용하면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위협했다고 밝혔다. 재단은 이 용어가 크리스티 재단의 저작권이 있는 용어라고 주장했다. 이 사건은 문학계에서 특정 별칭의 소유권과 사용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8. 유산 및 영향력
밸 매더미드는 스코틀랜드 범죄 소설 장르인 Tartan Noir타탄 누아르영어의 중요한 개척자이자 대표 작가로 평가받는다. 그녀는 전통적인 범죄 소설의 틀을 넘어 사회 문제, 특히 여성에 대한 폭력과 페미니즘적 관점을 작품에 깊이 있게 녹여내며 장르의 지평을 넓혔다. 그녀의 소설은 생생하고 때로는 잔혹한 폭력 묘사를 통해 독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면서도, 복잡한 심리 묘사와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
매더미드는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하며 그 문학적 업적을 인정받았으며, 여러 작품이 TV 드라마로 각색되어 대중적 인기를 얻는 데도 성공했다. 이는 그녀의 이야기가 시대를 초월하는 보편적인 매력을 지니고 있음을 증명한다. 또한, 그녀는 단순한 작가를 넘어 사회적 참여자로서 자신의 신념을 적극적으로 표명해왔다. 특히 레이스 로버스 축구 클럽 스캔들에서 보여준 원칙적인 행동은 스포츠계의 윤리적 문제와 여성에 대한 폭력에 반대하는 분명한 메시지를 던지며, 문학계 외부에서도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공인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녀는 BBC 라디오 프로그램 출연과 여러 신문 기고를 통해 대중과의 소통을 이어가며, 문학적 지식과 사회적 통찰을 공유하고 있다. 밸 매더미드의 작품과 공적 활동은 후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고 독자들에게 깊은 질문을 던지며, 스코틀랜드 문학뿐만 아니라 세계 범죄 문학계에 지속적인 유산과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