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박주성(박주성한국어, 朴柱成, 1984년 2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 주로 수비수와 왼쪽 풀백으로 활약했다. 경상남도 진해시 (현 창원시 진해구)에서 태어나 마산공업고등학교와 광운대학교를 졸업했다. 프로 경력 동안 수원 삼성 블루윙즈, 광주 상무 불사조, 베갈타 센다이, 경남 FC, 구이저우 런허, 대전 하나 시티즌 등 여러 클럽에서 뛰었다. 또한 U-20, U-23 및 성인 국가대표팀에서도 활동했다. 비슷한 목소리와 주걱턱 때문에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인 '가가멜'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2018년 현역에서 은퇴한 뒤 동국대학교 축구부의 코치로 부임하며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2. 유년 시절 및 학력
박주성은 어린 시절부터 축구에 대한 열정을 키웠으며,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통해 선수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2.1. 출생 및 성장 과정
박주성은 1984년 2월 20일 경상남도 진해시에서 태어났다. 진해시는 현재 창원시 진해구로 통합되었다. 그는 진해덕산초등학교와 거제중학교를 거치며 성장했다.
2.2. 학력
그는 마산공업고등학교에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축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이후 광운대학교에 진학하여 학업과 축구를 병행했다.
3. 선수 경력
박주성은 2003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한 후, 대한민국, 일본, 중국 리그를 거치며 다양한 팀에서 활약했다. 주로 수비수로 뛰었으며, 특히 왼쪽 풀백 포지션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3.1. 프로 데뷔 및 초기 경력
2003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 입단하며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데뷔 시즌 K리그에서 11경기에 출전했으나, 2004년에는 하우젠 컵을 포함하여 총 7경기에 출전하는 데 그쳤다.
2005년부터 2006년까지 광주 상무 불사조 (현 김천 상무 FC)에서 군 복무를 수행했다. 2005년 리그 3경기, 2006년 리그 15경기에 출전했다. 2006년 11월 17일 군 복무를 마치고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복귀하여, 같은 해 11월 25일 K리그 플레이오프 성남 일화 천마 (현 성남 FC)와의 경기에 출전했다. 그러나 이후 3년 동안 하우젠 컵을 포함하여 총 7경기를 뛰는 데 그쳤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으로 총 26경기에 출전했다.
3.2. 일본 리그 활약
2009년 J리그의 베갈타 센다이로 완전 이적하며 일본 무대에 진출했다. 입단 첫 시즌인 2009년 J2리그에서 34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하며 팀의 J1리그 승격을 이끌었다. 특히 2009년 11월 21일 유어텍 스타디움 센다이에서 열린 J2리그 49라운드 세레소 오사카와의 경기에서는 후반 추가 시간에 자신이 "가장 피하고 싶은 것 중 하나"라고 말했던 헤딩으로 결승골을 터뜨려 팀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J1리그에서 베갈타 센다이의 주전 왼쪽 풀백으로 활약하며 팀이 리그 상위권에 진출하는 데 공헌했다. 2012년 12월 6일 계약 만료가 발표되었다. 그는 외국인 선수로는 당시 구단 최장기인 4시즌 동안 재적했으며, 리그 통산 출전 경기 수 153경기로 구단 외국인 선수 역대 1위를 기록했다.
3.3. 중국 리그 및 국내 복귀
2013년 경남 FC에 입단하며 국내 무대로 복귀했다. 2014 시즌에는 팀의 주장으로 선임되어 활약했다.
2014년 12월 15일 중국 슈퍼리그의 구이저우 런허(贵州人和구이저우 런허중국어)로 이적했다. 그러나 팀의 강등을 막지 못한 채 1년 만인 2016년 다시 경남 FC로 복귀했다.
2017년 6월, 팀 동료 전상훈과 함께 트레이드를 통해 K리그 챌린지의 대전 시티즌 (현 대전 하나 시티즌)에 입단했다.
3.4. 경기 중 사건 및 특징
2010년 8월 7일 요코하마 F. 마리노스와의 홈 경기에 선발 출전했다가 전반 36분경 갑자기 피치 위에서 쓰러져 교체되었다. 진단 결과 열사병으로 밝혀졌으며, 무더위로 인한 불면증이 원인이었다. 당시 베갈타 센다이의 테구라모리 마코토(手倉森誠테구라모리 마코토일본어) 감독은 "독신인 박주성이 일상생활에서 영양에 얼마나 신경 쓰지 않는지 알 수 있었다. 김치를 더 많이 먹었으면 좋겠다", "프로 선수가 열사병에 걸리다니 J리그 시작 이래 처음일 것이다. 한심하다. 반복된다면 프로 실격이다"라고 강하게 질책했다. 이 사건 이후 박주성은 생활 습관 개선에 힘써 불면증을 극복했다.
주 포지션은 수비수이며, 특히 왼쪽 풀백으로 활약했다. 그는 왼발잡이 선수이며, 키는 185 cm, 몸무게는 78 kg이다.
3.5. 등번호
박주성은 선수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등번호를 사용했다.
- K리그
- 23 (2003년 ~ 2004년, 2008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 3 (2006년 ~ 2007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 30 (2005년 ~ 2006년, 광주 상무)
- 27 (2013년 ~ 2014년, 2016년 ~ 2017년, 경남 FC)
- 27 (2017년, 대전 시티즌)
- J리그
- 27 (2009년 ~ 2012년, 베갈타 센다이)
- 중국 슈퍼리그
- 27 (2015년, 구이저우 런허)
4. 국가대표 경력
박주성은 대한민국 연령별 대표팀과 성인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02년부터 2003년까지 18경기에 출전했으며, 2003년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그는 이 대회에서 김영광, 오범석, 김치우, 이호, 정조국 등과 함께 활약했다. 2003년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경기에 출전했다.
2003년 4월 16일 서울에서 열린 일본과의 친선경기에서 박충균과 교체 투입되며 성인 국가대표팀에 데뷔했다. 2006년 7월, 부상당한 양상민을 대신하여 국가대표팀에 합류했으나, 본인도 발목 부상으로 하차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부상당한 장학영을 대신하여 다시 국가대표팀에 합류했으나, 10월 8일 가나와의 친선경기에서 부상을 입어 또다시 중도 하차했다. 그는 총 2번의 국제 A매치에 출전했다.
5. 지도자 경력
2018년 현역 은퇴를 선언한 후, 동국대학교 축구부의 코치로 부임하며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6. 개인사 및 에피소드
박주성은 선수 생활 외적으로도 몇 가지 흥미로운 일화와 별명을 가지고 있다.
6.1. 별명
박주성은 비슷한 목소리와 주걱턱 때문에 스머프의 캐릭터인 '가가멜'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 기타 에피소드**
- 가장 좋아하는 음료는 콜라이다.
- J2리그 시절 팬들로부터 "힘내세요", "다리 괜찮아요?", "90분 뛰어라"와 같은 말을 자주 들었다고 한다.
- 일본 진출 4년차에는 기자들과 일본어로 어느 정도 소통할 수 있을 정도로 일본어 실력이 향상되었다.
7. 통계
박주성은 선수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공식 경기 출전 및 득점 기록을 남겼다.
클럽 | 시즌 | 리그 | 컵 | 리그컵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03 | K리그 | 11 | 0 | 0 | 0 | - | - | 11 | 0 | ||
2004 | 6 | 0 | 0 | 0 | 1 | 0 | - | 7 | 0 | |||
2006 | 1 | 0 | 0 | 0 | 0 | 0 | - | 1 | 0 | |||
2007 | 3 | 0 | 0 | 0 | 3 | 0 | - | 6 | 0 | |||
2008 | 1 | 0 | 0 | 0 | 0 | 0 | - | 1 | 0 | |||
합계 | 22 | 0 | 0 | 0 | 4 | 0 | - | 26 | 0 | |||
광주 상무 (군복무) | 2005 | K리그 | 3 | 0 | 1 | 1 | 0 | 0 | - | 4 | 1 | |
2006 | 15 | 0 | 1 | 0 | 10 | 0 | - | 26 | 0 | |||
합계 | 18 | 0 | 2 | 1 | 10 | 0 | - | 30 | 1 | |||
베갈타 센다이 | 2009 | J2리그 | 34 | 2 | 3 | 0 | - | - | 37 | 2 | ||
2010 | J1리그 | 29 | 0 | 1 | 0 | 8 | 1 | - | 38 | 1 | ||
2011 | 27 | 0 | 1 | 0 | 3 | 0 | - | 31 | 0 | |||
2012 | 23 | 0 | 0 | 0 | 2 | 0 | - | 25 | 0 | |||
합계 | 113 | 2 | 5 | 0 | 13 | 1 | - | 131 | 3 | |||
경남 FC | 2013 | K리그 클래식 | 17 | 0 | 2 | 0 | - | - | 19 | 0 | ||
2014 | 35 | 1 | 0 | 0 | - | 1 | 0 | 36 | 1 | |||
합계 | 52 | 1 | 2 | 0 | - | 1 | 0 | 55 | 1 | |||
구이저우 런허 | 2015 | 중국 슈퍼리그 | 26 | 0 | 0 | 0 | - | - | 26 | 0 | ||
경남 FC | 2016 | K리그 챌린지 | 8 | 0 | 1 | 0 | - | - | 9 | 0 | ||
2017 | 0 | 0 | 1 | 0 | - | - | 1 | 0 | ||||
합계 | 8 | 0 | 2 | 0 | - | - | 10 | 0 | ||||
대전 시티즌 | 2017 | K리그 챌린지 | 8 | 0 | - | - | - | 8 | 0 | |||
2018 | K리그2 | 0 | 0 | - | - | - | 0 | 0 | ||||
합계 | 8 | 0 | - | - | - | 8 | 0 | |||||
경력 총합 | 247 | 3 | 12 | 1 | 27 | 1 | 1 | 0 | 287 | 5 |
연도 | 출전 | 득점 |
---|---|---|
2003 | 1 | 0 |
2004 | 0 | 0 |
2005 | 0 | 0 |
2006 | 1 | 0 |
총합 | 2 | 0 |
8. 수상 경력
박주성은 선수 경력 동안 소속 클럽에서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경험했다.
8.1. 클럽 수상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K리그 우승: 2회 (2004년, 2008년)
- K리그 준우승: 1회 (2006년)
- FA컵 준우승: 1회 (2006년)
- K리그컵 우승: 1회 (2008년)
9. 외부 링크
- [https://int.soccerway.com/players/park-ju-sung/75177/ 박주성 프로필 (Soccerway)]
- [http://www.kleague.com/player/20030116 박주성 K리그 기록]
- [http://www.kfa.or.kr/koreateam/fb_amatch_contents.asp?p_unique=200714205016 국가대표팀 선수 기록 (대한축구협회)]
- [https://web.archive.org/web/20100621040003/http://www.fifa.com/worldfootball/statisticsandrecords/players/player=197967/index.html FIFA 선수 통계 (보존된 문서)]
- [https://www.national-football-teams.com/player/21447.html 박주성 프로필 (National-Football-Teams.com)]
- [https://data.j-league.or.jp/SFIX04/?player_id=10000000 박주성 J리그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