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학력

박길성 교수는 개인적인 배경과 학문적 기반을 형성한 교육적 여정을 통해 사회학자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1.1. 출생 및 성장 과정
박길성은 1957년 5월 9일, 대한민국 강원도 명주군 (현 강릉시)에서 태어났다.
1.2. 학력
그는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며 학문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학술 활동 및 경력
박길성 교수는 사회학자로서 다양한 학술 활동과 대학에서의 교수 및 행정 경력을 쌓았으며, 국내외 학회에서 중요한 리더십 역할을 수행했다.
2.1. 고려대학교 교수 및 행정 경력
박길성 교수는 1992년부터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에서 조교수와 부교수를 역임했으며, 2000년에는 정교수로 임용되었다. 그는 고려대학교에서 교육부총장, 문과대학장, 대학원장, 사회연구소장 등 주요 행정 보직을 수행하며 대학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미국 유타 주립 대학교 사회학과 겸임교수를 지냈으며, 하버드 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방문학자,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방문교수로서 해외 학술 교류에도 활발히 참여했다.
2.2. 학회 및 위원회 활동
박길성 교수는 국내외 주요 학술 단체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학계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2019년부터 한국사회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사회학회 부회장과 학회지 《한국사회학》의 편집장도 지냈다. 또한 한국비교사회학회 회장, 세계한류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각 분야의 학술적 발전을 이끌었다. 학술 활동 외에도 대통령 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 위원회 전문위원, 삼성 호암상 위원, 서울평화상 심사위원, 그리고 대한민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 등 다양한 국가 및 사회 자문 위원회에 참여했다.
2.3. 편집 및 출판 활동
그는 한국사회학회의 대표 학회지인 《한국사회학》의 편집장을 역임하며 학술지의 질적 향상에 기여했다. 또한, Global Policy글로벌 폴리시영어와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Sociology국제 비교사회학 저널영어을 포함한 여러 국내외 학술 저널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특히 《국제 비교사회학 저널》의 특별호 기획 편집을 맡기도 했다.
3. 연구 분야 및 저술 활동
박길성 교수는 사회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하며 수많은 저서와 논문을 통해 그 성과를 발표했다. 그의 연구는 한국 사회의 구조와 변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3.1. 주요 연구 분야
박길성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경제사회학: 경제 현상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 정보사회학: 정보 기술과 사회 변화의 관계를 탐구한다.
- 비교사회학: 다양한 사회의 구조와 현상을 비교 분석한다.
- 발전사회학: 사회 발전의 과정과 동력을 연구한다.
- 세계사회학: 세계 시스템과 글로벌 현상을 사회학적으로 조명한다.
- 한국 사회 구조 및 변동: 한국 사회의 계층 구조, 권력 이동, 그리고 사회적 재구조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 한국인의 갈등 의식: 한국 사회 내 다양한 갈등의 원인과 양상, 그리고 그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연구한다.
- 세계화: 자본과 문화의 글로벌 이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 한국의 문화 현상 (한류): 한류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함의를 한국적 맥락과 국제적 맥락에서 모두 연구한다.
3.2. 주요 저서 및 논문
박길성 교수의 주요 저서 및 논문은 다음과 같다.
- 《한 사회학자의 어떤 처음》, 나남, 2020.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2475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in South Korea: From Financial Crisis to K-pop한국의 발전과 세계화: 금융 위기에서 K-pop까지영어], 고려대학교 출판부, 2022.
- 《전염의 상상력》, 나남 (공저), 2017.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B9780081006900000099 Political Economy of Business Ethics in East Asia동아시아 기업 윤리의 정치경제학영어], Elsevier, 2017. (공저, 151-157쪽)
- [https://kupress.com/books/3706/ Society makes conflict, conflict makes society사회는 갈등을 만들고, 갈등은 사회를 만든다영어],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3.
- 《페어 소사이어티: 기회가 균등한 사회》, 한국경제신문사 (공저), 2011.
- 《한국인의 갈등의식 : 2007년 한국인의 갈등의식 조사 결과 분석》, 고려대학교 출판부 (공저), 2009.
- 《IMF 10년, 한국 사회 다시 보다》, 나남출판, 2008.
- Global and Local Interplay: Korea's Globalization Revisited글로벌과 로컬의 상호작용: 한국의 세계화 재고영어,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Sociology 48(4): 337-353, 2007. (공저)
- 《21세기 한국의 기업과 시민사회》, 굿인포메이션 (공저), 2007.
- Understanding Theories in Economic Sociology경제사회학 이론의 이해영어, 나남출판, 2007. (공저)
- 《한국사회 권력이동》, 굿인포메이션 (공저), 2006.
- 《한국사회 어디로가나》, 굿인포메이션 (공저), 2005.
- 《현대한국인의 세대경험과 문화》, 집문당 (공저), 2005.
- 《경제사회구조와 복지》, 소화 (공저), 2004.
-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 강요된 조정, 갈등적 조율》, 고려대학교출판부, 2003.
- 《불평등한 세계를 바라보는 123가지 방법》, 문화디자인 (윤상우 공역), 2003.
- 《현대사회학》(제4판), A. Giddens. Sociology, 을유문화사 (공역), 2003.
-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 서울대학교출판부 (공저), 2002.
- 《현대 한국사회의 계층구조》, 집문당 (공저), 2001.
- 《한국사회의 계급연구》, 아르케 (공저), 1999.
- 《정보정책론》, 나남 (공저), 1997.
- 《세계화: 자본과 문화의 구조변동》, 사회비평사, 1996.
- 《현대사회의 구조와 변동》, 사회비평사 (공저), 1996.
- 《동남아시아의 사회계층: 5개국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출판부 (공저), 1996.
- 《중국조선족의 사회발전과 한중관계의 위상》,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공저), 1995.
- 《신경제사회학의 이해》, 역사비평사 (공편), 1994.
- 《Sociology(현대사회학)》, 을유문화사 (공역), 1994.
- 《오늘의 한국사회》, 나남 (공편), 1993.
4. 사회 공헌 및 기타 활동
박길성 교수는 학술 연구 외에도 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했다.
4.1. 재단 이사장 활동
박길성 교수는 블루트리 재단의 이사장으로서 사회적 약자, 특히 청소년의 권익 보호와 건강한 사회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 재단은 청소년의 정신 건강 증진 및 학교폭력 예방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5. 평가 및 영향
박길성 교수는 대한민국 사회학계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연구는 경제사회학, 정보사회학, 비교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사회의 복잡한 구조와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학술적 기반을 제공했다. 특히 한국 사회의 갈등, 세계화, 그리고 한류 현상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은 학계와 대중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고려대학교에서의 오랜 교수 및 행정 경력과 더불어 한국사회학회 회장 등 주요 학술 단체에서의 리더십을 통해 한국 사회학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블루트리 재단 이사장으로서의 활동은 학자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모범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6. 외부 링크
- [https://web.archive.org/web/20051120221045/http://www.korea.ac.kr/~gspark/ 박길성 교수 홈페이지]
- [http://socio.korea.ac.kr/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박길성 교수 소개 (영문)]
- [http://www.isrku.org/ 고려대학교 사회연구소]
- [http://eng.btf.or.kr 블루트리 재단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