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미즈이 히사코(水井 妃佐子, 水井 妃佐子미즈이 히사코일본어)는 1972년 3월 29일 일본 나라현 야마토 다카다 시에서 태어난 일본의 전직 배드민턴 선수이다. 그녀는 1990년대 일본 배드민턴계를 대표하는 선수 중 한 명으로, 바르셀로나 올림픽과 애틀랜타 올림픽에 출전하며 국제 무대에서 활약했다. 특히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에서는 여자 단식 은메달을 획득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현역 은퇴 후에는 결혼과 이혼을 겪었으며, 현재는 요넥스의 자문이자 배드민턴 코치로 활동하며 후진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그녀의 여동생 미즈이 야스코 또한 일본 국가대표 배드민턴 선수로 활동한 바 있다.
2. 선수 경력
미즈이 히사코는 프로 입문 후 국내외 주요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으며, 두 차례의 올림픽에 참가하는 등 일본 배드민턴의 간판 선수로 활약했다.
2.1. 프로 데뷔 및 국내에서의 성공
미즈이 히사코는 1972년 3월 29일 일본 나라현 야마토 다카다 시에서 태어났다. 신장 165 cm, 체중 55 kg으로 오른손잡이 선수였다. 그녀는 시조나와테 학원 고등학교 재학 시절인 1989년 11월, 전국 고등학교 종합 체육 대회 여자 단식에서 당시 구마모토 중앙 고등학교 소속이었던 미야무라 아이코를 꺾고 우승하며 일찍이 재능을 드러냈다.
시조나와테 학원 여자 단기대학에 진학한 후, 1990년 전일본 종합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92년 4월 단기대학 졸업 후에는 후지츄(이후 MMG 애로우스로 변경)에 입사하여 본격적인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녀는 1993년부터 전일본 종합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여자 단식에서 3년 연속 우승을 달성하며 국내 최강자임을 입증했다. 1995년에는 다시 한번 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총 4회의 우승 기록을 세웠다.
2.2. 올림픽 참가
미즈이 히사코는 두 차례의 올림픽에 일본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국제적인 경험을 쌓았다.
-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여자 단식과 여자 복식 두 종목에 출전했다. 단식에서는 16강에 진출했으며, 고하라 하루미와 조를 이룬 복식에서도 16강에 올랐다.
-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여자 단식에 출전하여 다시 한번 16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3. 국제 대회 및 업적
미즈이 히사코는 올림픽 외에도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일본 배드민턴의 위상을 높였다.
-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 여자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1993년 상하이 동아시아 경기 대회**: 미야무라 아이코와 함께 여자 복식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여자 단체전에서도 동메달을 추가했다.
-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여자 단식 준결승에서 당시 세계 챔피언이었던 수시 수산티를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한국의 방수현에게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여자 단체전에서도 동메달을 추가했다.
- 1996년 수라바야 아시아 선수권 대회**: 여동생인 미즈이 야스코와 조를 이룬 여자 복식에서 동메달을 차지했다.
- 1992년 캐나다 오픈**: 여자 단식에서 우승하며 IBF 월드 그랑프리 타이틀을 획득했다.
또한 주니어 시절인 1988년 독일 주니어 토너먼트에서는 여자 단식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미야무라 아이코와 함께 여자 복식에서 우승을 거두며 어린 나이부터 국제적인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2.4. 경쟁 플레이에서 은퇴
미즈이 히사코는 1996년 11월 전일본 종합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를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그녀는 화려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며 일본 배드민턴 역사에 자신의 이름을 남겼다.
3. 은퇴 후 활동 및 개인 생활
선수 생활 은퇴 후 미즈이 히사코는 개인적인 변화와 더불어 배드민턴계에 대한 지속적인 기여를 이어갔다.
은퇴 후, 그녀는 전 NTT 도쿄(현 NTT 동일본) 소속 선수이자 현 이와테 현립 하나키타 세이운 고등학교 배드민턴부 감독인 와타나베 세이이치와 결혼했다. 이들 부부 사이에는 딸이 태어났다. 그러나 2009년에 이혼했으며, 이후 그녀는 고향인 야마토 다카다 시로 돌아와 야마토 다카다 시 상공회의소에 취직했다.
이후 2010년에는 요넥스로 이적하여 자문 역할을 맡게 되었으며, 배드민턴 교실의 강사로 활동하는 등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 또한 그녀는 자신의 주니어 팀을 창단하여 젊은 선수들의 성장을 돕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녀의 딸인 히라리 역시 어머니의 뒤를 이어 배드민턴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히라리는 야마토 다카다 시와 미에현 이세시의 초등학교, 그리고 후쿠시마현 도미오카시의 중학교에 월경 입학하며 배드민턴 훈련을 이어갔으며, 2018년 4월 기준으로 후타바 미래 학원 고등학교에 소속되어 배드민턴 일본 대표팀 B 대표로 활동하는 등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고 있다.
4. 주요 대회 결과
다음은 미즈이 히사코가 선수 경력 동안 참여한 주요 배드민턴 토너먼트에서의 상세한 결과와 성과를 종합하여 제시한다.
4.1. 아시안 게임
연도 | 개최지 | 종목 | 상대 | 점수 | 결과 |
---|---|---|---|---|---|
1990 | 베이징 | 여자 단체전 | 동메달 | ||
1994 | 히로시마 | 여자 단식 | 방수현 (대한민국) | 4-11, 6-11 | 은메달 |
1994 | 히로시마 | 여자 단체전 | 동메달 |
4.2. 아시아 선수권 대회
연도 | 개최지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1996 | 수라바야 | 미즈이 야스코 (일본) | 인다르티 이솔리나 (인도네시아) | 9-15, 9-15 | 동메달 |
4.3. 동아시아 경기 대회
연도 | 개최지 | 종목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1993 | 상하이 | 여자 복식 | 미야무라 아이코 (일본) | 김신영 (대한민국) | 18-13, 7-15, 5-15 | 동메달 |
1993 | 상하이 | 여자 단체전 | 동메달 |
4.4. IBF 월드 그랑프리
연도 | 대회 | 종목 | 상대 | 점수 | 결과 |
---|---|---|---|---|---|
1992 | 캐나다 오픈 | 여자 단식 | 드니즈 줄리앙 (캐나다) | 11-5, 7-11, 12-10 | 우승 |
4.5. IBF 주니어 토너먼트
연도 | 대회 | 종목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1988 | 독일 주니어 | 여자 단식 | 미야무라 아이코 (일본) | 준우승 | ||
1988 | 독일 주니어 | 여자 복식 | 미야무라 아이코 (일본) | 나카하라 가이코 (일본) | 우승 |
4.6. 전일본 종합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연도 | 종목 | 성적 | 비고 |
---|---|---|---|
1990 | 여자 단식 | 우승 | |
1993 | 여자 단식 | 우승 | |
1994 | 여자 단식 | 우승 | |
1995 | 여자 단식 | 우승 |
5. 대중 활동
미즈이 히사코는 선수 은퇴 후에도 대중 매체를 통해 모습을 드러냈다. 2014년 4월 19일에는 NHK 종합의 프로그램 '돌격! 앗토 홈'(突撃!アッとホーム)에 출연하여 대중에게 근황을 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