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미스티 업햄은 1982년 7월 6일 몬태나주 칼리스펠에서 태어나 워싱턴주 오번에서 성장했다. 그녀는 미국 원주민 중 하나인 블랙피트족의 일원이었다.
1.1. 어린 시절과 교육
업햄은 네 남매 중 막내로 태어나 워싱턴주 오번에서 자랐다. 13세에 지역 아마추어 극단 '레드 이글 소어링'에 참여하며 연극 활동을 시작했다. 14세에는 짧은 연극의 각본과 연출을 맡으며 재능을 보였다. 고등학교 재학 중에는 시애틀을 기반으로 하는 극단에 참여하며 배우의 길을 계속 걸었다.
1.2. 개인적인 어려움과 트라우마
업햄은 어린 시절부터 성인기 초기에 걸쳐 성폭행, 폭행, 집단 성폭행을 당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와인스틴 컴퍼니의 한 임원에게 할리우드에서 유망주로 떠오르던 시기에 성폭행을 당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업햄 본인과 가족들은 그녀가 이러한 트라우마의 심각한 후유증으로 우울증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앓고 있었다고 밝혔다.
2. 연기 경력
미스티 업햄은 2002년부터 2014년까지 활발하게 활동하며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다양한 역할을 소화했다.
2.1. 영화 데뷔 및 초기 역할
업햄은 2002년 크리스 에어 감독의 영화 《스킨스》에 미세스 블루 클라우드 역으로 출연하며 영화계에 데뷔했다. 같은 해 TV 시리즈 《아우프 비더제헨, 펫》과 TV 영화 《스킨워커스》에도 출연하며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2003년에는 TV 영화 《드림키퍼》와 《엣지 오브 아메리카》에 출연했으며, 2006년에는 《엑스퍼레이션 데이트》에 출연했다.
2.2. 주요 작품 및 연기
2008년, 업햄은 코트니 헌트 감독의 드라마 영화 《프로즌 리버》에서 모호크족 여성 라일라 리틀울프 역을 맡아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으며 큰 주목을 받았다. 이 작품은 선댄스 영화제와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에서 수상했으며, 업햄 또한 아메리칸 인디언 영화제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하고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여우조연상 후보에 오르는 등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이후에도 그녀는 여러 주요 작품에 출연했다. 2012년에는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영화 《장고: 분노의 추적자》에 미니 역으로 출연했다 (노크레딧). 2013년에는 아르노 데스플레샹 감독의 《지미 P: 평원 인디언의 심리치료》에서 제인 역으로 출연했으며, 이 영화는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경쟁 부문에 선정되었다. 같은 해, 그녀는 존 웰스 감독의 《어거스트: 오세이지 카운티》에서 존나 모네바타 역을 맡아 자기중심적인 가족을 모시는 가정부 역을 훌륭히 소화했다. 이 작품은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업햄은 다른 출연진들과 함께 할리우드 영화제의 '올해의 앙상블' 상과 카프리 앙상블 캐스트 상을 수상했고, 미국 배우 조합상 영화 부문 캐스팅상 후보에도 올랐다. 2014년에는 《케이크》에서 리즈 역을 맡았으며, 2015년에 사후 개봉된 《위딘》에서는 티나 월시 역으로 출연했다.
2.3. 텔레비전 출연
업햄은 영화 외에도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하며 활동 영역을 넓혔다. 2010년에는 HBO의 인기 드라마 《빅 러브》에서 레일라 스틸웰 역으로 두 편의 에피소드에 출연했다.
3. 사망 및 사후
미스티 업햄은 2014년 10월 5일 실종되었고, 며칠 뒤 유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죽음을 둘러싸고 가족과 경찰 간의 갈등, 그리고 과거의 성폭행 의혹이 불거지며 사회적 논란이 일었다.
3.1. 실종 및 수색 과정
2014년 10월 5일, 업햄은 워싱턴주 오번에 위치한 머클슛 인디언 보호구역에 있는 언니의 아파트를 걸어서 나간 뒤 소식이 끊겼다. 다음 주말, 그녀의 가족은 페이스북과 다른 언론 매체를 통해 그녀와의 연락이 두절되었음을 알리고, 과거 정신 건강 문제 이력을 언급하며 그녀의 안위를 걱정했다. 가족들은 경찰에 실종 신고를 했으나, 오번 경찰서 대변인은 당시 업햄을 실종자로 간주하고 수사를 시작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경찰은 과거에도 업햄이 여러 차례 실종 신고되었다가 며칠 내에 안전하게 발견된 적이 있다고 언급했다.
가족들은 경찰의 소극적인 태도에 우려를 표하며, 머클슛 부족의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자체적으로 수색대를 조직했다.
3.2. 유해 발견 및 사망 원인
2014년 10월 16일, 미스티 업햄의 유해는 가족과 머클슛 부족원들이 조직한 소규모 수색대에 의해 발견되었다. 유해는 숲이 우거진 지역의 절벽 아래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가족들이 이전에 수색했던 장소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이었다. 수색대원들은 그녀의 죽음이 사고이며, 어둠 속에서 절벽에서 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그들은 신속하고 철저한 수색이 이루어졌다면 그녀의 생명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2014년 12월 3일, 킹 카운티 검시관은 미스티 업햄이 실종 당일인 2014년 10월 5일 둔기 손상으로 사망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검시관은 그러나 "그녀의 사망 방식, 즉 타살, 자살 또는 사고 여부는 결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3.3. 가족의 우려와 경찰 대응 비판
업햄의 가족은 오번 경찰의 미흡한 대응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그들은 경찰이 미스티를 찾는 데 도움을 주지 않았으며, 워싱턴주 위험 실종자 계획의 기준에 미스티가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수색에 비협조적이었다고 주장했다. 가족들은 성명에서 "진정한 비극은 이 모든 것이 여러 단계에서 예방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우리는 오번 경찰에 미스티를 찾는 것을 도와달라고 간청했지만, 스토커 사령관은 미스티가 워싱턴주 위험 실종자 계획의 기준에 맞지 않는다는 결정을 내렸다. 이것이 우리와 오번 경찰서 사이의 논쟁점이 되었다. 그가 언론에 발표한 성명에서 그는 오번 경찰서가 미스티가 실제로 실종되었다는 어떤 증거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미스티가 짐을 싸서 아파트를 떠났다고 덧붙였다. 이것은 부정확한 진술이었다. 우리는 스토커 사령관이 이전의 만남 때문에 미스티에게 적대감을 가지고 있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또한 "이제 언론 보도에서는 오번 경찰서가 미스티를 찾았다고 말하고 있다. 진실은 원주민 공동체가 수색대를 조직하여 오번 경찰서의 도움 없이 며칠간의 수색 끝에 그녀를 찾았다는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가족들은 과거 오번 경찰서 소속 경찰관들이 미스티 업햄을 부적절하게 대우한 적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3.4. 성폭행 의혹
2017년 10월 15일, 하비 와인스틴 성추문 사건이 불거진 후, 업햄의 아버지 찰스 업햄은 딸이 생전에 겪었던 성폭행 피해에 대해 공개적으로 밝혔다. 그는 딸이 2013년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와인스틴의 제작팀 일원에게 성폭행을 당했으며, 와인스틴 팀의 다른 구성원들이 이를 목격하고 오히려 성폭행범을 응원했다고 주장했다. 미스티 업햄과 가족들은 그녀가 당시 입었던 찢어진 녹색 드레스에 DNA 증거가 남아있다고 언급하며 고소를 촉구했지만, 그녀는 결국 고소하지 못했다고 전해진다.
3.5. 다큐멘터리 및 MMIW 관련 맥락
2016년 10월, 미스티 업햄의 실종과 죽음을 다룬 독립 다큐멘터리 《11 Days - The Search for Misty Upham》의 개봉이 발표되었다. 이 다큐멘터리는 경찰의 수색이나 수사 지원이 없는 상황에서 그녀의 가족이 주도한 수색 과정을 조사한다. 이 작품은 원주민 영화제에서 상영될 예정이며, 실종 및 살해된 원주민 여성(MMIW) 문제라는 더 넓은 사회적 맥락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MMIW는 북아메리카 전역에서 원주민 여성들이 disproportionately하게 실종되거나 살해당하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업햄의 죽음은 이러한 문제의 한 비극적인 사례로 인식되고 있다.
4. 유산
미스티 업햄의 죽음 이후, 그녀의 업적과 정신을 기리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4.1. 미스티 업햄 상
2021년, 예일 대학교 원주민 공연 예술 프로그램은 '젊은 원주민 배우를 위한 미스티 업햄 상'(The Misty Upham Award for Young Native Actors영어)을 제정했다. 이 상은 미스티 업햄의 유산을 기리고 더 많은 젊은 원주민 배우들을 격려하고 지원하려는 그녀의 희망을 실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매년 25세 미만의 원주민 배우 한 명에게 상패, 500 USD의 상금, 그리고 공연 기회를 제공한다. 이 상은 젊은 배우들이 원주민 연극의 독백을 연기하여 제출하면 심사를 통해 수상자를 선정한다. 미스티 업햄은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그녀의 재능과 예술성, 그리고 경력은 많은 장벽을 허물었다. 이 상은 그녀의 유산의 중요한 부분을 기념하고 기억하는 역할을 한다.
5. 출연 작품 목록
미스티 업햄이 출연한 주요 영화 및 텔레비전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제목 | 역할 | 감독 | 비고 |
---|---|---|---|---|
2002 | 《스킨스》 | 미세스 블루 클라우드 | 크리스 에어 | |
2002 | 《아우프 비더제헨, 펫》 | 던 | 폴 시드 | TV 시리즈 (2개 에피소드) |
2002 | 《스킨워커스》 | 니나 | 크리스 에어 | TV 영화 |
2003 | 《드림키퍼》 | 추장의 딸 | 스티브 배런 | TV 영화 |
2003 | 《엣지 오브 아메리카》 | 셜린 | 크리스 에어 | TV 영화 |
2006 | 《엑스퍼레이션 데이트》 | 찰리의 어머니 | 릭 스티븐슨 | |
2008 | 《프로즌 리버》 | 라일라 리틀울프 | 코트니 헌트 | 아메리칸 인디언 영화제 여우조연상 수상, 여성 영화 기자 연합 최우수 신인상 수상,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여우조연상 후보, 센트럴 오하이오 영화 비평가 협회 여우조연상 후보, 유타 영화 비평가 협회 여우조연상 후보 |
2010 | 《더 드라이 랜드》 | 글로리아 | 라이언 피어스 윌리엄스 | |
2010 | 《빅 러브》 | 레일라 스틸웰 | 아담 데이비드슨, 데이비드 페트라르카 | TV 시리즈 (2개 에피소드) |
2011 | 《마스코트》 | 캐런 | 스콧 애런 하트만 | 단편 영화 |
2012 | 《장고: 분노의 추적자》 | 미니 | 쿠엔틴 타란티노 | 노크레딧 |
2012 | 《에브리 아더 세컨드》 | 간호사 켈리 | 해리슨 샌본 | 단편 영화 |
2013 | 《지미 P: 평원 인디언의 심리치료》 | 제인 | 아르노 데스플레샹 | |
2013 | 《어거스트: 오세이지 카운티》 | 존나 모네바타 | 존 웰스 | 할리우드 영화제 올해의 앙상블 수상, 카프리 앙상블 캐스트 상 수상, 미국 배우 조합상 영화 부문 캐스팅상 후보, 피닉스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캐스팅상 후보 |
2013 | 《위드아웃 파이어》 | 메이 | 엘리자 맥닛 | 단편 영화 |
2014 | 《케이크》 | 리즈 | 대니얼 반즈 | |
2015 | 《위딘》 | 티나 월시 | 필 클레이든 | 사후 개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