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메우드 안헬리카 벤(Maud Angelica Behn)은 2003년 4월 29일 태어난 노르웨이 왕실의 일원이다. 그녀는 노르웨이 공주 메르타 루이세와 그녀의 전 남편 아리 벤의 장녀이자, 하랄 5세 국왕과 소냐 왕비의 가장 나이가 많은 손녀이다.
메우드 안헬리카 벤은 왕실 가족의 구성원임에도 불구하고, 왕실 직함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적인 시민이다. 그녀는 아버지 아리 벤의 장례식에서 행한 감동적인 연설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으며, 이를 계기로 정신 건강 및 자살 예방 분야의 중요한 옹호자로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0년에는 급성 정신의학상(Acute Psychiatry Prize)을 수상하기도 했다. 또한, 2021년에는 첫 저서를 출판하는 등 예술적 재능을 선보였으며, 2022년에는 노르웨이판 복면가왕인 마스크라마에 출연하며 대중과의 접점을 넓혔다. 그녀는 현재 노르웨이 왕위 계승 순위에서 5위, 영국 왕위 계승 순위에서는 72위에 위치해 있다.
2. Early life
메우드 안헬리카 벤의 초기 생애는 그녀의 출생과 세례, 유년 시절의 환경과 교육 과정을 포함한다.
2.1. Birth and baptism
메우드 안헬리카 벤은 2003년 4월 29일 노르웨이 오슬로의 국립병원(Rikshospitalet), 즉 대학 병원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어머니 노르웨이 공주 메르타 루이세 또한 이 병원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고조할머니는 영국 에드워드 7세 국왕의 막내딸인 모드였다. 그녀의 이름은 이러한 혈통적 연관성을 반영하여 모드 왕비에게서 따왔다.
벤은 2003년 7월 2일 노르웨이 오슬로의 노르웨이 왕궁 내 슬로츠카펠레트(Slottskapellet)에서 세례를 받았다. 이 날은 그녀의 증조할아버지인 올라프 5세 국왕의 100번째 생일이었다. 그녀의 대부모는 할아버지 하랄 5세, 삼촌 호콘 왕세자, 알렉산드라 공주, 이모 아냐 사브리나 비외르숄(Anja Sabrina Bjørshol), 어머니의 사촌 마리안네 울리크센(Marianne Ulrichsen), 배우 코레 콘라디(Kåre Conradi), 그리고 정치인 트론드 기스케이다.
2.2. Childhood and education
벤 가족은 처음에는 런던 이즐링턴에 거주했으며, 이후 뉴욕으로 이사했다가 최종적으로 오슬로 외곽의 롬메달렌(Lommedalen) 계곡에 정착했다. 베트남어 자료에 따르면, 2004년에 뉴욕으로 이주했으며, 2005년 4월 둘째 동생 레아 이사도라 벤의 출산 준비를 위해 다시 노르웨이로 돌아왔다. 이후 2008년 9월 셋째 동생 엠마 탈룰라 벤을 맞이했으며, 2012년 9월에는 가족이 다시 런던 이즐링턴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2009년 가을, 메우드 안헬리카 벤은 오슬로 서쪽 교외의 베룸에 위치한 사립 슈타이너 학교인 베룸 발도르프 학교(Steinerskolen i Bærum슈타이너스콜렌 이 베룸노르웨이어)에 입학했다.
3. Family and personal life
메우드 안헬리카 벤의 가족 관계와 그녀의 삶에 영향을 미친 주요 개인적 사건들을 설명한다.
3.1. Parents' divorce and father's death
2016년 8월 5일, 그녀의 부모인 메르타 루이세 공주와 아리 벤은 이혼 절차를 시작했으며, 이는 2017년에 최종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이혼은 노르웨이 왕실에 있어서 "고통스럽고 슬픈" 일로 보도되었다.
아리 벤은 2019년 크리스마스에 자살로 사망했으며, 오슬로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메우드 안헬리카 벤은 아버지의 장례식에서 추모 연설을 했고, 이후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했다. 특히, 노르웨이 언론 아프텐포스텐은 그녀의 연설에 대해 "이보다 더 강력할 수는 없다"고 평가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녀는 아버지가 많은 질병으로 고통받았다고 믿고 있다.
3.2. Siblings
메우드 안헬리카 벤에게는 두 명의 여동생이 있다. 첫째 여동생은 2005년 4월 8일에 태어난 레아 이사도라 벤이며, 둘째 여동생은 2008년 9월 29일에 태어난 엠마 탈룰라 벤이다.
4. Public activities and contributions
메우드 안헬리카 벤은 다양한 공적 활동과 예술적 시도를 통해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4.1. Funeral speech and mental health advocacy
메우드 안헬리카 벤은 아버지 아리 벤의 장례식에서 행한 연설을 통해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녀는 이후 정신 질환과 자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공개적으로 밝히며 관련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그녀는 2020년 급성 정신의학상(Acute Psychiatry Prize)을 수상했다. 이는 그녀가 사회적 금기시되는 주제를 공론화하고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옹호 활동을 펼친 노력을 인정받은 것이다.
4.2. Literary and artistic works
2021년 10월, 메우드 안헬리카 벤은 그녀의 첫 번째 책인 눈물의 실타래(Threads of Tears)를 출판했다. 이 책은 시인이자 삽화가로서의 그녀의 데뷔작으로, 어두운 삶을 살지만 눈물을 실타래처럼 엮어내는 법을 배우는 소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초판으로 1만 부가 인쇄되었으며, 출간과 동시에 노르웨이 서점 협회 베스트셀러 목록 1위를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그녀는 자신의 그림을 인스타그램에 꾸준히 게시하며 예술적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4.3. Other public appearances
2022년, 메우드 안헬리카 벤은 노르웨이 버전 복면가왕인 마스크라마(Maskorama)에 출연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더욱 높였다. 이러한 방송 출연은 그녀의 다양한 면모를 대중에게 선보이는 계기가 되었다.
5. Status within the royal family
메우드 안헬리카 벤은 노르웨이 왕실의 구성원이지만, 사적인 시민으로서 왕실 직함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노르웨이 왕실 웹사이트에 따르면, 왕실 구성원에는 하랄 국왕과 소냐 왕비, 호콘 왕세자, 메테마리트 왕세자빈, 잉리드 알렉산드라 공주, 스베레 망누스 왕자, 메르타 루이세 공주, 그리고 그녀의 세 딸(메우드 안헬리카 벤, 레아 이사도라 벤, 엠마 탈룰라 벤) 및 아스트리드 공주가 포함된다.
메르타 루이세 공주의 자녀들은 일반 시민임에도 불구하고, 하랄 5세 국왕의 직계 혈통을 통해 왕위 계승 순위에 포함되며, 왕실 구성원으로서의 직무를 수행할 권리도 가지고 있다.
5.1. Line of succession
메우드 안헬리카 벤은 노르웨이 하랄 국왕과 소냐 왕비의 가장 나이가 많은 손녀이다.
1990년, 노르웨이 헌법이 개정되어 완전한 동성 장자 상속제가 노르웨이 왕위에 도입되었다.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가장 나이가 많은 자녀가 왕위 계승 순위에서 우선권을 갖는다는 원칙이다. 그러나 이 변경 사항은 1989년 이후에 태어난 사람들에게만 적용되므로 호콘 왕세자의 계승 순위는 변경되지 않았다. 논란의 여지가 있었던 것은 1971년에서 1989년 사이에 태어난 여성들(실제로는 벤의 어머니 메르타 루이세 공주뿐)에게 계승권이 부여되었지만, 장자 상속 원칙은 적용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현재 그녀는 노르웨이 왕위 계승 순위에서 5위이다. 또한, 그녀는 영국 왕위 계승 순위에서도 72위에 위치해 있다. 이는 영국 에드워드 7세의 막내딸인 웨일스의 모드 공주로부터 계승된 혈통에 따른 것이다.
6. Ancestry
메우드 안헬리카 벤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 1. 메우드 안헬리카 벤
- 2. 아리 미카엘 비외르숄
- 3. 노르웨이 공주 메르타 루이세
- 4. 올라프 비외르숄(Olav Bjørshol)
- 5. 마리안네 솔베르그(Marianne Solberg)
- 6. 하랄 5세
- 7. 소냐 하랄드센
- 8. 비아르네 니콜라이 비외르숄(Bjarne Nikolai Bjørshol)
- 9. 할디스 페트리네 한센(Haldis Petrine Hansen)
- 10. 안드레아스 솔베르그(Andreas Solberg)
- 11. 안네 마리 벤(Anne Marie Behn)
- 12. 올라프 5세
- 13. 스웨덴 메르타 공주
- 14. 칼 아우구스트 하랄드센(Karl August Haraldsen)
- 15. 다그니 울리크센(Dagny Ulrichsen)
- 16. 올라프 비외르숄(Olav Bjørshol)
- 17. 크리스티네(Kristine)
- 18. 할브단 한센(Halvdan Hansen)
- 19. 페트리네 안드레아 페데르센(Petrine Andrea Pedersen)
- 20. 알프 마르티누스 솔베르그(Alf Martinus Solberg)
- 21. 카렌 프레드릭케 한센(Karen Fredrikke Hansen)
- 22. 시구르 벤(Sigurd Behn)
- 23. 효르디스 마리 요한센(Hjørdis Marie Johansen)
- 24. 호콘 7세
- 25. 웨일스의 모드 공주
- 26. 칼 왕자
- 27. 잉에보르 공주
- 28. 할보르 하랄드센(Halvor Haraldsen)
- 29. 카레테 요세핀 닐센(Carethe Josephine Nielsen)
- 30. 요한 크리스티안 울리크센(Johan Christian Ulrichsen)
- 31. 베른티네 마리 한센(Berntine Marie Hans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