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1.1. 출생 및 유년기
곤살레스는 1989년 3월 14일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주 시우다드과야나 푸에르토 오르다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2005년 11월 23일, 16세의 나이로 시카고 컵스와 국제 자유 계약 선수로 계약하며 프로 야구 경력을 시작했다.
2. 프로 경력
곤살레스는 시카고 컵스 마이너 리그에서 시작하여 휴스턴 애스트로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한 후 여러 팀을 거치며 메이저 리그의 대표적인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했으며, 이후 일본 프로 야구에서도 활약했다.
2.1. 시카고 컵스 마이너 리그 시절
2005년 11월 23일 시카고 컵스와 계약한 후, 곤살레스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컵스의 팜 시스템에서 활동했으며, 2011년에는 트리플 A 수준의 아이오와 컵스에 도달했다. 2008년까지는 주로 내야수로 뛰었으나, 2009년부터는 외야수로도 뛰기 시작하며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의 기량을 키웠다.
2.2. 메이저 리그
2011년 룰 5 드래프트를 통해 메이저 리그 팀으로 이적한 후, 곤살레스는 여러 팀을 거치며 뛰어난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활약했다.
2.2.1. 휴스턴 애스트로스 (첫 번째 시기)
2011년 12월 8일, 보스턴 레드삭스는 룰 5 드래프트에서 곤살레스를 지명한 후, 그를 마르코 두아르테 투수와 교환하여 휴스턴 애스트로스로 트레이드했다.
2012년, 곤살레스는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개막전 로스터에 포함되며 메이저 리그에 입성했다. 애스트로스에서 80경기, 트리플 A 오클라호마시티 레드혹스에서 13경기를 뛰었다. 그는 타율 .234, 2 홈런, 12 타점을 기록했다. 2013년에는 다시 메이저 리그 (72경기)와 트리플 A (44경기)를 오갔다. 4월 2일,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경기에서 9회 투아웃 상황에서 다르빗슈 유의 퍼펙트 게임을 안타로 저지하는 중요한 활약을 펼쳤다. 그 해 애스트로스 소속으로 타율 .221, 4 홈런, 14 타점을 기록했다.
곤살레스는 이후 5시즌 동안 줄곧 애스트로스 소속으로 메이저 리그에서 뛰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364경기에서 타율 .268, 31 홈런, 108 타점을 기록했다. 2015년 8월 18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경기에서 10회 말 브래드 박스버거를 상대로 개인 첫 끝내기 홈런을 터뜨려 팀의 3-2 승리를 이끌었다. 그는 메이저 리그 기록으로 개인 첫 25개의 홈런이 모두 솔로 홈런이었다. 이 기록은 2016년 5월 6일 에번 개티스가 2루에 있는 상황에서 홈런을 치면서 깨졌다.


2.2.2. 2017년 월드 시리즈와 사인 훔치기 스캔들
2017년 시즌, 곤살레스는 슬래시 라인 .303/.377/.530의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으며, 메이저 리그 타자들 중 가장 낮은 비율(45.7%)의 패스트볼을 보았다. 그는 아메리칸 리그 MVP 투표에서 6표를 받아 19위에 올랐다. 2017년 월드 시리즈 2차전에서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마무리 투수 켄리 잰슨을 상대로 9회에 3-3 동점 홈런을 쳐 팀의 11회 연장 7-6 승리에 기여했다. 애스트로스는 7차전 끝에 창단 이래 처음으로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2020년,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사인 훔치기 스캔들 과정에서 2017년 시즌 동안 팀이 메이저 리그 규정을 위반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영상 분석 결과, 곤살레스는 팀 내에서 가장 많은 "뱅" 소리(오프스피드 또는 브레이킹 피치 신호)를 받았으며, 전체 투구 중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의 투구에서 "뱅" 소리를 받았다. 이는 그가 패스트볼을 적게 보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어느 정도 예상되는 결과였지만, 일본 소스에서는 그가 사인 훔치기 문제의 "주범" 중 한 명으로 지목될 정도로 가장 큰 수혜를 입은 선수 중 한 명이었다고 비판적으로 언급되었다. 곤살레스는 이후 스캔들에서의 자신의 역할에 대해 사과했다.
2018년 시즌, 곤살레스는 타율 .247/.324/.409를 기록했으며, 메이저 리그 타자들 중 가장 높은 비율(14.9%)의 커브볼을 보았다. 시즌 후 그는 애스트로스와 재계약하지 않고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휴스턴에서 보낸 총 7시즌 동안, 곤살레스는 795경기에서 타율 .264, 76 홈런, 292 타점을 기록했다. 수비 면에서는 2012년과 2013년에는 내야수로 뛰었으며, 이후 내야수와 외야수를 겸했다. 2016년 시즌 말까지 그는 투수와 포수를 제외한 휴스턴의 모든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그는 2016년에 1루수로 개인 최고인 92경기에 출전했다.
2.2.3. 미네소타 트윈스

2019년 2월 25일, 곤살레스는 미네소타 트윈스와 2100.00 만 USD의 2년 계약을 맺었다. 2019년 시즌 동안 그는 114경기에서 타율 .264, 15 홈런, 55 타점을 기록했다.
단축된 2020년 시즌에는 53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11/.286/.320, 5 홈런, 22 타점의 성적을 남겼다. 2020년 10월 말, 그는 다시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2.2.4. 보스턴 레드삭스
2021년 2월 24일, 곤살레스는 보스턴 레드삭스와 300.00 만 USD의 1년 계약을 맺었다. 이 계약에는 타석 수에 따라 최대 110.00 만 USD의 성과급이 포함되었다. 그의 등번호는 기존에 사용하던 9번이 테드 윌리엄스의 영구 결번이므로 12번을 선택했다. 그는 현대 메이저 리그 역사상 팀의 시즌 첫 4경기 동안 네 가지 다른 포지션에서 선발 출전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개막전에는 좌익수로, 이후 2루수, 3루수, 1루수로 각각 출전했다.
6월 13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경기에서 투수로 첫 등판하여 8회에 무실점으로 경기를 마쳤다. 7월 16일에는 오른쪽 햄스트링 염좌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가 8월 2일 복귀했다. 8월 13일 레드삭스에서 양도 지명되었고, 3일 후인 8월 16일에 팀에서 방출되었다. 레드삭스 소속으로 2021년 타율 .202/.281/.285를 기록했다.
2.2.5. 휴스턴 애스트로스 (두 번째 시기)
2021년 8월 27일, 곤살레스는 휴스턴 애스트로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 9월 5일, 그는 메이저 리그 로스터에 추가되었다. 2021년 애스트로스에서 34번의 정규 시즌 타석에서 타율 .176/.222/.441를 기록했다. 또한 2021년 월드 시리즈에서 네 번의 대타로 출전하여 1개의 안타를 기록했다. 2021년 11월 3일, 그는 자유 계약 선수로 선언되었다.
2.2.6. 뉴욕 양키스
2022년 3월 20일, 곤살레스는 뉴욕 양키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고, 메이저 리그로 승격될 경우 115.00 만 USD의 급여를 받게 된다. 2022년 시즌 개막전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2022년에는 184타석에서 타율 .185/.255/.321, 6 홈런, 8 타점을 기록했다. 특히 시즌 후반기에는 타율 .110/.185/.233로 부진했으며, 파워 피처를 상대로는 타율 .094/.186/.170을 기록했다. 2022년 11월 6일, 그는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2.3. 일본 프로 야구
메이저 리그에서의 오랜 경력을 뒤로 하고, 곤살레스는 일본 프로 야구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2.3.1. 오릭스 버펄로스
2022년 12월 29일, 곤살레스는 일본 프로 야구의 오릭스 버펄로스와 계약했다. 2023년 2월 15일에 입단이 공식 발표되었으며, 1년 계약에 추정 연봉 1.80 억 JPY를 받았다. 등번호는 8번을 달았다.
2023년 4월 11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와의 경기에서 노리모토 다카히로를 상대로 3회와 6회에 두 타석 연속 홈런을 터뜨렸다. 5월 19일에는 오른쪽 둘째 발가락 골절로 인해 다음 날인 20일 출장 선수 등록에서 말소되었다. 6월 1일 다시 등록되었고, 같은 달 18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와의 경기에서 곤노 류타를 상대로 개인 일본 진출 첫 만루 홈런을 기록했다. 7월 12일에는 오른쪽 장딴지근 손상으로 다시 출장 선수 등록에서 말소되었다. 8월 17일에 1군에 복귀했고, 9월 17일 라쿠텐과의 경기에서 쇼지 코세이를 상대로 시즌 10호 홈런을 기록하며, 2020년 아담 존스 이후 3년 만에 오릭스 외국인 선수로는 시즌 두 자릿수 홈런을 달성했다. 2023년에는 84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17, 12 홈런, 38 타점을 기록했으며, 수비에서는 내야 모든 포지션을 소화했다.
한신 타이거스와의 2023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2차전에서 7회 투아웃 만루 상황에 대타로 출전하여 시마모토 히로야로부터 대타 3점 2루타를 쳤고, 5차전에서는 오타케 고타로로부터 홈런을 기록했다. 이 홈런으로 곤살레스는 조니 로건, 로이 화이트, 마쓰이 히데키, 앤드루 존스에 이어 월드 시리즈와 일본 시리즈에서 모두 홈런을 기록한 역사상 5번째 선수가 되었다. 하지만 팀은 3승 4패로 일본 시리즈 우승에는 실패했다.
2024년 1월 9일, 오릭스와 추정 연봉 1.80 억 JPY의 1년 재계약을 발표했다. 2024년 시즌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었으나, 5월 22일 허리 통증으로 출장 선수 등록에서 말소되었다. 8월 7일 다시 1군에 복귀했으나, 같은 달 15일 오른쪽 종아리 통증으로 재차 말소되었고, 오른쪽 가자미근 손상 진단을 받았다. 2024년 시즌은 23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131, 1 홈런, 2 타점에 그쳤다.
3. 선수 특징
마윈 곤살레스는 스위치 히터로서 좌타석과 우타석 모두에서 장타력을 겸비한 타격 능력과 내야와 외야 전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는 뛰어난 유틸리티 능력이 강점이다. 그는 1루수용, 2루수/유격수용, 3루수용, 외야수용, 연습용 등 총 5개의 글러브를 항상 휴대한다. 그의 애칭은 "마고"(MarGo영어)이다.
4. 개인 생활
곤살레스는 2010년에 아내 노엘과 결혼했다. 부부 사이에는 엘리아나, 브룩스, 댈러스, 이사벨라 등 네 명의 자녀가 있으며, 비시즌에는 휴스턴에 거주한다.
5. 은퇴
2024년 9월 25일, 오릭스 버펄로스 구단은 곤살레스가 해당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은퇴 발표를 통해 "추억과 우정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가득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마지막 시즌인 2024년에는 23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131, 1 홈런, 2 타점을 기록하며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6. 경력 통계
6.1. 타격 성적
연 도 | 시 합 | 타 석 | 타 수 | 득 점 | 안 타 | 2 루 타 | 3 루 타 | 홈 런 | 루 타 | 타 점 | 도 루 | 도 루 실 | 희 타 | 희 비 | 사 구 | 고 의 사 구 | 사 구 | 삼 진 | 병 살 타 | 타 율 | 출 루 율 | 장 타 율 | O P S | |
---|---|---|---|---|---|---|---|---|---|---|---|---|---|---|---|---|---|---|---|---|---|---|---|---|
2012 | 휴스턴 애스트로스 | 80 | 219 | 205 | 21 | 48 | 13 | 0 | 2 | 67 | 12 | 3 | 3 | 1 | 0 | 13 | 0 | 0 | 29 | 9 | .234 | .280 | .327 | .607 |
2013 | 72 | 222 | 204 | 22 | 45 | 8 | 0 | 4 | 65 | 14 | 6 | 2 | 8 | 1 | 9 | 0 | 0 | 37 | 5 | .221 | .252 | .319 | .571 | |
2014 | 103 | 310 | 285 | 33 | 79 | 15 | 1 | 6 | 114 | 23 | 2 | 4 | 4 | 0 | 17 | 0 | 4 | 58 | 6 | .277 | .327 | .400 | .727 | |
2015 | 120 | 370 | 344 | 44 | 96 | 18 | 1 | 12 | 152 | 34 | 4 | 5 | 7 | 0 | 16 | 0 | 3 | 74 | 9 | .279 | .317 | .442 | .759 | |
2016 | 141 | 518 | 484 | 55 | 123 | 26 | 3 | 13 | 194 | 51 | 12 | 6 | 6 | 1 | 22 | 1 | 5 | 118 | 16 | .254 | .293 | .401 | .694 | |
2017 | 134 | 515 | 455 | 67 | 138 | 34 | 0 | 23 | 241 | 90 | 8 | 3 | 3 | 2 | 49 | 4 | 6 | 99 | 8 | .303 | .377 | .530 | .907 | |
2018 | 145 | 552 | 489 | 61 | 121 | 25 | 3 | 16 | 200 | 68 | 2 | 3 | 5 | 2 | 53 | 3 | 3 | 126 | 14 | .247 | .324 | .409 | .733 | |
2019 | 미네소타 트윈스 | 114 | 463 | 425 | 52 | 112 | 19 | 0 | 15 | 176 | 55 | 1 | 0 | 0 | 1 | 31 | 2 | 6 | 98 | 7 | .264 | .322 | .414 | .736 |
2020 | 53 | 199 | 175 | 15 | 37 | 4 | 0 | 5 | 56 | 22 | 0 | 0 | 0 | 4 | 17 | 0 | 3 | 41 | 1 | .211 | .286 | .320 | .606 | |
2021 | 보스턴 레드삭스 | 77 | 271 | 242 | 25 | 49 | 14 | 0 | 2 | 69 | 20 | 3 | 2 | 1 | 1 | 19 | 0 | 8 | 70 | 5 | .202 | .281 | .285 | .567 |
휴스턴 애스트로스 | 14 | 36 | 34 | 5 | 6 | 0 | 0 | 3 | 15 | 8 | 0 | 0 | 0 | 0 | 1 | 0 | 1 | 8 | 3 | .176 | .222 | .441 | .663 | |
'21 합계 | 91 | 307 | 276 | 30 | 55 | 14 | 0 | 5 | 84 | 28 | 3 | 2 | 1 | 1 | 20 | 0 | 9 | 78 | 8 | .199 | .275 | .304 | .579 | |
2022 | 뉴욕 양키스 | 86 | 207 | 184 | 20 | 34 | 7 | 0 | 6 | 59 | 18 | 3 | 0 | 3 | 2 | 14 | 0 | 4 | 54 | 8 | .185 | .255 | .321 | .576 |
2023 | 오릭스 버펄로스 | 84 | 321 | 299 | 28 | 65 | 14 | 0 | 12 | 115 | 38 | 2 | 0 | 1 | 1 | 15 | 0 | 5 | 85 | 3 | .217 | .266 | .385 | .650 |
2024 | 23 | 65 | 61 | 3 | 8 | 0 | 0 | 1 | 11 | 2 | 0 | 0 | 0 | 0 | 4 | 1 | 0 | 13 | 0 | .131 | .185 | .180 | .365 | |
MLB: 11년 | 1139 | 3882 | 3526 | 420 | 888 | 183 | 8 | 107 | 1408 | 415 | 44 | 28 | 38 | 14 | 261 | 10 | 43 | 812 | 91 | .252 | .310 | .399 | .709 | |
NPB: 2년 | 107 | 386 | 360 | 31 | 73 | 14 | 0 | 13 | 126 | 40 | 2 | 0 | 1 | 1 | 19 | 1 | 5 | 98 | 3 | .203 | .252 | .350 | .602 |
- 2024 시즌 종료 기준
6.2. 투구 성적
연 도 | 등 판 | 선 발 | 완 투 | 완 봉 | 무 사 구 | 승 리 | 패 전 | 세 이 브 | 홀 드 | 승 률 | 타 자 | 투 구 회 | 피 안 타 | 피 홈 런 | 볼 넷 | 고 의 사 구 | 몸 에 맞 는 볼 | 탈 삼 진 | 폭 투 | 보 크 | 실 점 | 자 책 점 | 방 어 율 | W H I P | |
---|---|---|---|---|---|---|---|---|---|---|---|---|---|---|---|---|---|---|---|---|---|---|---|---|---|
2021 | 보스턴 레드삭스 | 1 | 0 | 0 | 0 | 0 | 0 | 0 | 0 | 0 | ---- | 3 | 1.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2022 | 뉴욕 양키스 | 1 | 0 | 0 | 0 | 0 | 0 | 0 | 0 | 0 | ---- | 1 | 0.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MLB: 2년 | 2 | 0 | 0 | 0 | 0 | 0 | 0 | 0 | 0 | ---- | 4 | 1.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 2024 시즌 종료 기준
6.3. 수비 성적
; 투수 수비
연 도 | 구 단 | 투수 (P) | |||||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
2021 | 보스턴 레드삭스 | 1 | 0 | 0 | 0 | 0 | ---- |
2022 | 뉴욕 양키스 | 1 | 0 | 1 | 0 | 0 | 1.000 |
MLB | 2 | 0 | 1 | 0 | 0 | 1.000 |
; 내야 수비
연 도 | 구 단 | 1루 (1B) | 2루 (2B) | 3루 (3B) | 유격 (SS) | ||||||||||||||||||||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
2012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6 | 5 | 15 | 0 | 1 | 1.000 | 14 | 2 | 16 | 0 | 0 | 1.000 | 47 | 55 | 112 | 5 | 19 | .971 | |||||
2013 | - | 10 | 17 | 38 | 0 | 6 | 1.000 | 4 | 3 | 1 | 0 | 0 | 1.000 | 53 | 75 | 143 | 10 | 38 | .956 | ||||||
2014 | 1 | 2 | 0 | 0 | 0 | 1.000 | 11 | 12 | 21 | 0 | 4 | 1.000 | 10 | 2 | 12 | 2 | 1 | .875 | 71 | 76 | 200 | 6 | 36 | .979 | |
2015 | 43 | 203 | 14 | 1 | 14 | .995 | 15 | 17 | 38 | 1 | 7 | .982 | 21 | 7 | 22 | 2 | 1 | .935 | 32 | 34 | 81 | 3 | 15 | .975 | |
2016 | 92 | 640 | 69 | 6 | 57 | .992 | 14 | 14 | 20 | 1 | 6 | .971 | 22 | 12 | 42 | 1 | 2 | .982 | 11 | 9 | 18 | 0 | 3 | 1.000 | |
2017 | 31 | 151 | 14 | 2 | 16 | .988 | 22 | 24 | 45 | 1 | 17 | .986 | 19 | 12 | 29 | 3 | 2 | .932 | 38 | 39 | 88 | 2 | 23 | .984 | |
2018 | 24 | 128 | 11 | 0 | 14 | 1.000 | 32 | 33 | 45 | 1 | 9 | .987 | 3 | 2 | 3 | 1 | 1 | .833 | 39 | 27 | 65 | 6 | 14 | .939 | |
2019 | 미네소타 트윈스 | 21 | 134 | 10 | 1 | 10 | .993 | 2 | 8 | 3 | 0 | 0 | 1.000 | 40 | 25 | 74 | 1 | 6 | .990 | 1 | 0 | 5 | 0 | 0 | 1.000 |
2020 | 14 | 59 | 2 | 0 | 5 | 1.000 | 21 | 24 | 36 | 1 | 5 | .984 | 23 | 14 | 31 | 0 | 2 | 1.000 | - | ||||||
2021 | 보스턴 레드삭스 | 15 | 83 | 6 | 2 | 9 | .978 | 37 | 49 | 77 | 4 | 27 | .969 | 6 | 3 | 11 | 1 | 1 | .933 | 12 | 8 | 29 | 2 | 3 | .949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 | 21 | 0 | 0 | 1 | 1.000 | 2 | 3 | 7 | 2 | 2 | .833 | 5 | 2 | 8 | 0 | 1 | 1.000 | - | ||||||
'21 합계 | 17 | 104 | 6 | 2 | 10 | .982 | 39 | 52 | 84 | 6 | 29 | .958 | 11 | 5 | 19 | 1 | 2 | .960 | 12 | 8 | 29 | 2 | 3 | .949 | |
2022 | 뉴욕 양키스 | 14 | 71 | 9 | 2 | 7 | .976 | 3 | 0 | 1 | 0 | 0 | 1.000 | 12 | 4 | 23 | 0 | 0 | 1.000 | 20 | 14 | 33 | 0 | 4 | 1.000 |
2023 | 오릭스 버펄로스 | 25 | 169 | 13 | 0 | 13 | 1.000 | 48 | 72 | 122 | 1 | 18 | .995 | 13 | 8 | 10 | 1 | 1 | .947 | 5 | 7 | 9 | 0 | 0 | 1.000 |
2024 | 6 | 17 | 1 | 0 | 0 | 1.000 | 20 | 30 | 52 | 3 | 10 | .965 | 1 | 1 | 0 | 0 | 0 | 1.000 | 1 | 0 | 0 | 0 | 0 | - | |
MLB | 257 | 1492 | 135 | 14 | 133 | .991 | 175 | 206 | 346 | 11 | 84 | .980 | 179 | 88 | 272 | 11 | 17 | .970 | 324 | 337 | 774 | 34 | 155 | .970 | |
NPB | 31 | 186 | 14 | 0 | 13 | 1.000 | 68 | 102 | 174 | 4 | 28 | .986 | 14 | 9 | 10 | 1 | 1 | .950 | 6 | 7 | 9 | 0 | 0 | 1.000 |
; 외야 수비
연 도 | 구 단 | 좌익 (LF) | 중견 (CF) | 우익 (RF) | |||||||||||||||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
2014 | 휴스턴 애스트로스 | 4 | 3 | 0 | 0 | 0 | 1.000 | - | 1 | 0 | 0 | 0 | 0 | ---- | |||||
2015 | 15 | 21 | 1 | 1 | 0 | .957 | - | - | |||||||||||
2016 | 18 | 26 | 1 | 0 | 0 | 1.000 | 1 | 0 | 0 | 0 | 0 | ---- | - | ||||||
2017 | 47 | 48 | 2 | 0 | 0 | 1.000 | - | 2 | 0 | 0 | 0 | 0 | ---- | ||||||
2018 | 73 | 98 | 4 | 1 | 1 | .990 | 2 | 2 | 0 | 0 | 0 | 1.000 | 1 | 2 | 0 | 0 | 0 | 1.000 | |
2019 | 미네소타 트윈스 | 18 | 28 | 4 | 0 | 0 | 1.000 | - | 44 | 60 | 4 | 2 | 0 | .970 | |||||
2020 | - | - | 8 | 9 | 0 | 1 | 0 | .900 | |||||||||||
2021 | 보스턴 레드삭스 | 12 | 16 | 0 | 0 | 0 | 1.000 | - | 2 | 6 | 0 | 0 | 0 | 1.000 | |||||
2022 | 뉴욕 양키스 | 16 | 18 | 0 | 0 | 0 | 1.000 | - | 20 | 23 | 1 | 0 | 1 | 1.000 | |||||
MLB | 203 | 258 | 12 | 2 | 1 | .993 | 3 | 2 | 0 | 0 | 0 | 1.000 | 78 | 100 | 5 | 3 | 1 | .972 |
- 2024 시즌 종료 기준
6.4. 주요 기록
- 메이저 리그에서 개인 첫 25개의 홈런이 모두 솔로 홈런
- 월드 시리즈와 일본 시리즈에서 모두 홈런을 기록한 역사상 5번째 선수
- 일본 프로 야구 첫 출장·첫 선발 출장: 2023년 3월 31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전
- 일본 프로 야구 첫 타석: 2023년 3월 31일, 다카하시 코나를 상대로 루킹 삼진
- 일본 프로 야구 첫 안타·첫 타점: 2023년 4월 1일, 디트릭 엔스로부터 우월 적시 2루타
- 일본 프로 야구 첫 홈런: 2023년 4월 2일, 다이라 카이마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
- 일본 프로 야구 첫 도루: 2023년 5월 18일, 지바 롯데 마린스전에서 5회 초 2루 도루 (투수: 도즈마 유스케, 포수: 다무라 다쓰히로)
6.5. 등번호
- 9 (2012년 ~ 2020년, 2021년 중간 ~ 2021년 종료)
- 12 (2021년 ~ 2021년 중간)
- 14 (2022년)
- 8 (2023년 ~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