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창 시절 및 아마추어 경력
마쓰야마 히데아키는 프로 야구 선수로 데뷔하기 전 학창 시절과 아마추어 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이며 야구계에 이름을 알렸다.
1.1. PL가쿠엔 고등학교 시절
마쓰야마는 PL가쿠엔 고등학교 재학 시절, 일본 고교 야구의 전설적인 'KK 콤비'로 불리는 기요하라 가즈히로와 구와타 마스미의 동기였다. 그는 3학년 때 팀의 주장을 맡아, 이들과 함께 PL가쿠엔 고등학교의 야구 황금기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1985년 봄 선발 대회에 3루수로 출전했으나, 준결승에서 와타나베 사토시가 이끄는 고치현립 이노 상업고등학교에 패배했다. 그러나 같은 해 여름 고시엔 대회에서는 2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하여 출전했다. PL가쿠엔 고등학교는 이 대회에서 순조롭게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고, 결승전에서 야마구치현립 우베 상업고등학교를 상대로 끝내기 안타를 터뜨려 팀의 우승을 이끌며 큰 주목을 받았다. 고교 시절부터 그는 뛰어난 리더십을 발휘했고, 후보 야수로서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당시 동기 중에서는 이마쿠루스 시게오와 다쿠미 마사히로도 프로에 입단했다.
1.2. 아오야마가쿠인대학 시절
고교 졸업 후 마쓰야마는 아오야마가쿠인대학으로 진학하여 야구 경력을 이어갔다. 도토 대학 야구 리그에서 그는 동기 요시다 나오키를 에이스로 내세운 팀의 일원으로서 1988년 가을 리그에서 창단 106년 만에 첫 리그 우승을 경험했다. 이듬해인 1989년에는 1년 후배인 나라하라 히로시와 함께 더블 플레이 콤비를 이루어 활약했으며, 같은 해 가을 리그에서는 2년 후배인 투수 이와사키 미쓰히로의 호투에 힘입어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대학 리그 통산 기록은 102경기에 출전하여 369타수 87안타, 타율 .236을 기록했으며, 7개의 홈런과 40개의 타점을 올렸다. 또한 베스트 나인 (2루수 부문)에 두 차례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2. 프로 선수 경력
마쓰야마 히데아키는 프로야구에 입단하여 오릭스 브레이브스/오릭스 블루웨이브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주로 수비 전문 내야수로 활약했다.
2.1. 오릭스 브레이브스 / 블루웨이브 시절
마쓰야마는 1989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오릭스 브레이브스로부터 5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그의 등번호는 현역 은퇴 시까지 '4'번으로 한 번도 변경되지 않았다. 그는 오릭스 블루웨이브에서 8시즌 동안 활동했지만, 1군에 완전히 정착하지는 못했다. 1991년에는 1군 출장이 없었으며, 1992년에는 시즌 막판 8경기에서 2루수와 3루수로 선발 출장했다. 1995년에는 후쿠라 준이치의 부상 결장으로 인해 14경기에 선발 출장하기도 했으나, 주전 선수로는 자리 잡지 못했다.
그는 주로 수비 전문 선수로 평가받았으며, 통산 126경기에 출전하여 99타수 25안타, 2개의 홈런, 7개의 타점을 기록하며 타율 .253을 기록했다. 이러한 낮은 타격 성적에도 불구하고, 후보 야수로서의 풍부한 경험과 상대 선수의 습관을 간파하는 능력이 뛰어나 코치로서의 높은 평가를 받는 계기가 되었다. 마쓰야마는 1998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3. 지도자 경력

(2011년 8월 6일, QVC 마린 필드)
선수 은퇴 후 마쓰야마 히데아키는 다양한 프로야구 팀과 KBO 리그에서 코치 및 감독으로 활동하며 지속적으로 야구계에 공헌하고 있다. 그의 열정적인 지도 방식은 여러 팀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현역 은퇴 이후 단 한 번도 현장을 떠나지 않고 지도자의 길을 걷고 있다.
3.1. 오릭스 블루웨이브 및 한신 타이거스
선수 은퇴 후 마쓰야마는 곧바로 친정팀인 오릭스 블루웨이브로 돌아와 1999년부터 2001년까지 1군 내야 수비·주루 코치를 맡았다.
이후 2002년에는 한신 타이거스의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로 자리를 옮겼고, 2003년부터 2004년까지는 한신 타이거스의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로 활동했다.
2005년에는 다시 오릭스 버펄로스로 복귀하여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를 역임했으며, 2011년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 2011년 9월 16일 이후에는 3루 베이스 코치 역할에서 제외되었으며, 10월 29일에는 오릭스 구단으로부터 다음 시즌 계약을 갱신하지 않는다는 통보를 받았다.
3.2. KIA 타이거즈
오릭스와의 계약 종료 후 마쓰야마는 2012년 KBO 리그의 KIA 타이거즈에 합류하여 1군 수비·주루 코치로 활동했다. 당시 선동열 감독이 이끄는 KIA 타이거즈의 요청으로 발탁되었으나, 팀의 수비에서 문제점이 계속 드러나면서 시즌이 종료되기 전 재계약 불가를 통보받고 일본으로 돌아갔다.
3.3. 지바 롯데 마린스
KIA 타이거즈와의 계약 종료 후 마쓰야마는 2013년 지바 롯데 마린스의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를 담당하며 팀의 수비와 주루를 지도했다. 그러나 2017년 10월 11일, 구단으로부터 다음 시즌 코치 계약을 갱신하지 않는다는 통보를 받았다.
3.4.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7년 11월 9일, 마쓰야마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로 임명되었으며, 2018년 시즌부터 이 직책을 수행했다.
그의 역할은 다음과 같이 변동되었다.
- 2018년: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 2021년: 3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 2022년: 다시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 2023년: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2023년 12월 2일, 그는 2024년부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군 감독으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그는 2024년 시즌 웨스턴 리그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며 지도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마쓰야마는 프로 입단 이후 현재까지 단 한 번도 야구 현장을 떠나지 않고 열정적인 지도자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각 구단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4. 인물
마쓰야마 히데아키는 야구 경력 외에도 그의 인간적인 면모와 야구계에서의 특별한 관계들로 주목받아왔다.
4.1. 에피소드
1985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지명을 받지 못해 망연자실해 있던 PL가쿠엔 고등학교 동기 기요하라 가즈히로에게 가장 먼저 다가가 말을 건넨 사람이 바로 마쓰야마였다. 그는 기요하라의 기분 전환을 위해 함께 캐치볼을 했다고 전해진다. 흥미롭게도, 이 두 사람은 2006년부터 3년 동안 프로 팀에서 선수와 코치라는 특별한 관계의 팀 동료로 다시 만나게 되었다.
4.2. 가족 관계
마쓰야마 히데아키의 장남도 PL가쿠엔 고등학교 야구부에 소속되어 있었다. 2012년에는 팀의 주장을 맡아 PL가쿠엔 고등학교 역사상 최초의 '부자(父子) 주장'이라는 기록을 세웠으나, 아쉽게도 고시엔 대회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5. 상세 정보
마쓰야마 히데아키의 야구 경력에 대한 상세 데이터와 기록은 다음과 같다.
5.1. 출신 학교 및 소속팀
마쓰야마 히데아키가 거쳐온 교육 기관과 소속 야구팀은 다음과 같다.
- PL가쿠엔 고등학교
- 아오야마가쿠인대학
선수 경력
- 오릭스 브레이브스·오릭스 블루웨이브 (1990년 ~ 1998년)
지도자 경력
- 오릭스 블루웨이브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1999년 ~ 2001년)
- 한신 타이거스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2002년)
- 한신 타이거스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2003년 ~ 2004년)
- 오릭스 버펄로스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2005년 ~ 2011년)
- KIA 타이거즈 1군 수비 주루 코치 (2012년)
- 지바 롯데 마린스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2013년 ~ 2014년)
- 지바 롯데 마린스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2015년 ~ 2017년)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2018년 ~ 2020년)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2021년)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2022년)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 (2023년)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군 감독 (2024년 ~ )
5.2. 주요 기록
마쓰야마 히데아키의 프로 선수 시절 주요 개인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첫 출장: 1990년 6월 21일, 대 롯데 오리온스 12차전(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8회초에 마쓰나가 히로미를 대신해 3루수로서 출전
- 첫 선발 출장: 1992년 9월 27일, 대 세이부 라이온스 26차전(그린 스타디움 고베), 8번·3루수로서 선발 출장
- 첫 안타: 상동, 3회말에 와타나베 히사노부로부터 2루타
- 첫 타점: 1992년 9월 29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22차전(지바 마린 스타디움), 2회초에 우시지마 가즈히코로부터
- 첫 홈런: 1992년 10월 1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24차전(지바 마린 스타디움), 4회초에 마에다 유키나가로부터 솔로 홈런
5.3. 등번호
마쓰야마 히데아키가 선수 및 코치 시절 사용했던 등번호와 그 기간은 다음과 같다.
- 4 (1990년 ~ 1998년)
- 74 (1999년 ~ 2011년, 2018년 ~ )
- 72 (2012년 ~ 2017년)
5.4.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90년 | 오릭스 | 7 | 2 | 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000 |
1992년 | 9 | 24 | 20 | 5 | 6 | 2 | 1 | 1 | 13 | 2 | 0 | 0 | 1 | 0 | 3 | 0 | 0 | 3 | 1 | .300 | .391 | .650 | 1.041 | |
1993년 | 5 | 3 | 2 | 0 | 0 | 0 | 0 | 0 | 0 | 0 | 1 | 0 | 1 | 0 | 0 | 0 | 0 | 0 | 1 | .000 | .000 | .000 | .000 | |
1994년 | 20 | 25 | 22 | 3 | 6 | 1 | 0 | 0 | 7 | 1 | 3 | 0 | 2 | 0 | 1 | 0 | 0 | 4 | 0 | .273 | .304 | .318 | .623 | |
1995년 | 46 | 42 | 38 | 16 | 9 | 1 | 0 | 1 | 13 | 4 | 4 | 2 | 1 | 0 | 2 | 0 | 1 | 5 | 1 | .237 | .293 | .342 | .635 | |
1996년 | 6 | 2 | 2 | 2 | 1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500 | .500 | .500 | 1.000 | |
1997년 | 15 | 7 | 7 | 4 | 2 | 1 | 0 | 0 | 3 | 0 | 2 | 1 | 0 | 0 | 0 | 0 | 0 | 2 | 0 | .286 | .286 | .429 | .714 | |
1998년 | 18 | 6 | 6 | 7 | 1 | 0 | 0 | 0 | 1 | 0 | 2 | 0 | 0 | 0 | 0 | 0 | 0 | 1 | 0 | .167 | .167 | .167 | .333 | |
통산 : 8년 | 126 | 111 | 99 | 37 | 25 | 5 | 0 | 2 | 38 | 7 | 12 | 3 | 5 | 0 | 6 | 0 | 1 | 15 | 3 | .253 | .302 | .384 | .686 |
- 1991년은 1군 출장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