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마츠모토 레이지(松本 零士마츠모토 레이지일본어, 1938년 1월 25일 ~ 2023년 2월 13일)는 일본의 저명한 만화가이자 애니메이션 작가이다. 본명은 마츠모토 아키라(松本晟마츠모토 아키라일본어)이며, 후쿠오카현 구루메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특히 《우주전함 야마토》, 《은하철도 999》, 《우주해적 캡틴 하록》 등 우주를 배경으로 한 스페이스 오페라 작품들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이들 작품은 일본 애니메이션 붐을 주도하며 대중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마츠모토 레이지의 작품 세계는 신화적이고 종종 비극적인 서사, 강한 도덕적 주제, 고결한 영웅, 매혹적인 여성 히로인, 그리고 기묘한 세계와 멜랑콜리한 분위기를 특징으로 한다. 그의 작품 다수가 공유하는 독특한 세계관은 '레이지버스'라는 개념으로 불리며, 여러 작품의 캐릭터와 설정이 서로 연결되는 스타 시스템을 구축했다. SF 장르 외에도 소녀 만화, 전쟁물, 동물물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폭넓은 창작 활동을 펼쳤다.
그는 다프트 펑크의 뮤직 비디오 제작에 참여하고, 수상버스와 철도 차량을 디자인하는 등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넘어선 다양한 분야에서 재능을 발휘했다. 또한 일본 만화가협회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저작권 협회 등에서 중요한 직책을 맡으며 저작권 보호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피력하기도 했다. 말년에는 건강 문제로 활동이 줄었으나, 2023년 2월 13일 급성 심부전으로 85세의 나이로 사망하며 일본 만화 및 애니메이션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그의 공로를 인정받아 사후 일본 정부로부터 정육위와 욱일소수장 등이 추서되었다.
2. 생애 및 배경
마츠모토 레이지는 제2차 세계대전 시기의 유년 시절 경험과 가족 관계가 그의 작품 세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2.1. 출생 및 유년 시절
마츠모토 레이지는 1938년 1월 25일 후쿠오카현 구루메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7형제 중 중간 아이였다. 유년기 한때(1940년경) 육군 가카미가하라 비행장이 있던 현재의 기후현 가카미가하라시에 거주했으며, 4세부터 6세까지는 효고현 아카시시의 가와사키 중공업 항공우주 컴퍼니 사택에 살았다. 이후 어머니의 친가가 있는 에히메현 기타군 신야촌(현재의 오즈시 신야정)으로 소개했다. 이때 미국군의 전투기와 마쓰야마시로 공습을 향하는 B-29 등 다수의 군용기를 목격했으며, 이 경험이 훗날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당시 10인 가족으로, 판잣집 같은 연립 주택에서 가난하게 살았지만, 그는 6세 무렵부터 그림을 좋아하게 되어 집에서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그의 아버지 마츠모토 츠요시(松本強마츠모토 츠요시일본어, 1904년 ~ 1980년)는 대일본제국 육군에 일병으로 입대하여 엄격한 선발을 거쳐 장교로 발탁된 인물로, 최종 계급은 육군 소좌였다. 또한 육군 항공대의 베테랑 공중 근무자(조종사)였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는 2식 복좌 전투기 '도류'에 탑승하여 종전의 날까지 연합군과 싸웠다. 전후 많은 전직 군인 조종사들이 자위대에 입대했지만, 그의 아버지는 "적의 전투기는 탈 수 없다"며 단호히 거부하고, 고향 마을에서 숯을 굽거나 고쿠라시에서 채소 행상을 하며 가난한 삶을 자처했다. 이러한 '진정한 사무라이로서의 아버지의 이미지'는 훗날 캡틴 하록과 오키타 주조의 모델이 되어 마츠모토의 작품 속에 살아 숨 쉬게 된다. 마츠모토 자신도 진주군 병사들이 뿌리는 사탕을 "너무 먹고 싶었지만 모두 나막신으로 밟아 뭉개버렸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2.2. 교육
마츠모토는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후쿠오카현 고쿠라시(현 기타큐슈시)로 이주했다. 고쿠라 시립 요네마치 초등학교(현 기타큐슈 시립 고쿠라 중앙 초등학교) 시절부터 만화 소년이었으며, 다카이 겐이치로 등과 함께 동인 그룹 '규슈 만화 연구회'를 결성하고 동인지 '규슈 만화전'을 주재했다. 그가 만화가를 지망하게 된 계기는 초등학교 2~3학년 때 학급 문고에 있던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신 보물섬》, 《킹콩》, 《화성 박사》, 《월세계 신사》 등이었다. 이후 고쿠라 시립 기쿠료 중학교(현 기타큐슈 시립 기쿠료 중학교)에 진학했다.
2.3. 가족 관계
마츠모토 레이지는 상경 후 만화가 마키 미야코와 만나 1962년에 결혼했다. 두 사람은 이듬해 도쿄도 네리마구로 이주하여 사망할 때까지 함께 살았다. 그의 남동생인 마츠모토 스스무(松本將마츠모토 스스무일본어)는 와세다 대학 대학원 명예교수이자 전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연구소 주관이었다. 마츠모토는 고교 시절 만화가로 데뷔한 후 대학 진학의 꿈을 접고, 대신 동생들이 경제적 어려움 없이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결심을 했다고 한다.
3. 경력
마츠모토 레이지는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일본 만화와 애니메이션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
3.1. 데뷔 및 초기 활동
마츠모토 레이지는 후쿠오카현립 고쿠라 미나미 고등학교 1학년이던 1954년, 본명인 마츠모토 아키라 명의로 투고한 작품 《꿀벌의 모험》이 잡지 《만화 소년》 2월호에 게재되며 만화가로 데뷔했다. 당시 그는 이미 중앙에서도 알려진 존재였으며, 데즈카 오사무가 규슈에서 원고를 그릴 때 다카이 겐이치로 등 '규슈 만화 연구회' 회원들에게 어시스턴트를 부탁했다는 일화도 있다. 1957년까지 《마이니치 초등학생 신문》에 다수의 만화가 게재되었는데, 주로 곤충을 주인공으로 한 단편 작품들이었다.
고교 졸업 후인 1957년, 월간 소녀 잡지 《소녀》의 연재가 결정되어 도쿄로 상경했다. 분쿄구 혼고 3초메의 다다미 넉 장 반 하숙방에서 작업을 시작했으며, 한동안 가난한 생활이 이어졌지만 이러한 굶주림이 만화를 그리는 에너지원이 되었다고 한다. 《소녀》와 《소녀 클럽》에 부정기적으로 소녀 만화를 그리는 작가로 활동하다가 슬럼프에 빠진 시기에는 작가로서 탤런트 취재 등을 담당하기도 했다. 1960년 전후부터는 소년지, 청년지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3.2. 주요 작품 및 성과
마츠모토 레이지는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수많은 명작을 탄생시키며 일본 대중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3.2.1. 《사나이 오이동》과 초기 성공
마츠모토 레이지의 출세작은 1971년부터 《주간 소년 매거진》에 연재된 《사나이 오이동》이다. 이 작품은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재수생의 삶을 다루며 큰 인기를 얻었고, 1972년 고단샤 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이 작품을 통해 마츠모토는 '사조반물(四畳半もの요조한모노일본어)'이라는 독자적인 장르를 개척했으며, 이는 다다미 넉 장 반 방을 배경으로 한 청춘 이야기를 의미한다. 《사나이 오이동》 외에도 《원조 대사조반 이야기》, 《성범인전》 등 유사한 '사조반물' 작품들을 선보였다. 특히 《사나이 오이동》의 최종화 '우주편'은 훗날 《우주전함 야마토》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다.
3.2.2. 《우주전함 야마토》와 애니메이션 붐
1974년 가을부터 방영된 TV 애니메이션 《우주전함 야마토》는 마츠모토 레이지 경력의 전환점이 되었다. 그는 기획 단계부터 참여하여 처음에는 메카닉 디자인을 담당했지만, 평소 애니메이션 제작을 열망했던 그는 작품 전반에 걸쳐 깊이 관여했다. 본방송 당시에는 시청률이 저조했으나, 재방송을 통해 점차 인기를 얻었고, 1977년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공개되면서 사회 현상을 일으킬 정도로 대히트했다.
이러한 성공은 일본 애니메이션 붐의 시초가 되었고, 마츠모토는 애니메이션 제작사 도에이 애니메이션에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기용되어 TV 애니메이션 《혹성로보 당가드 A》와 《SF서유기 스타징가》의 디자인을 제공했다. 또한 그가 오랫동안 구상해왔던 《은하철도 999》와 《우주해적 캡틴 하록》이 《야마토》의 인기에 힘입어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었다. 특히 《은하철도 999》는 큰 성공을 거두며 '마츠모토 레이지 붐'을 일으켰고, 이후 수많은 '마츠모토 애니메이션'이 제작되었다. 1977년부터 1982년까지 약 5년간이 마츠모토 애니메이션의 절정기였다.
3.2.3. 주요 SF 작품 시리즈
마츠모토 레이지는 그의 독자적인 세계관을 공유하는 여러 SF 시리즈를 통해 큰 인기를 얻었다.
- 《우주해적 캡틴 하록》(1977): 자유와 이상을 추구하는 우주 해적 캡틴 하록의 모험을 그린 작품으로, 그의 대표적인 SF 시리즈 중 하나이다.
- 《은하철도 999》(1977): 기계 인간이 되기 위해 은하철도 999에 탑승한 소년 호시노 테츠로와 신비로운 여인 메텔의 여정을 그린 작품으로,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이다.
- 《퀸 에메랄다스》(1978): 우주를 떠도는 신비로운 여해적 퀸 에메랄다스의 이야기를 다루며, 《캡틴 하록》 및 《은하철도 999》와 세계관을 공유한다.
- 《신 타케토리 이야기 1000년 여왕》(1980): 지구를 침략하려는 라 메탈 행성의 여왕과 그에 맞서는 인류의 이야기를 그린다.
이 외에도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1982), 《코스모 워리어 제로》(2001), 《은하철도 이야기》(2003), 《오즈마》(2012), 《캡틴 하록: 디멘셔널 보야지》(2014) 등 다수의 SF 작품을 선보였다.
3.2.4. 다른 장르 작품
마츠모토 레이지는 SF 장르 외에도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
- 소녀 만화**: 데뷔 초 《소녀》, 《소녀 클럽》 등 소녀 잡지에 부정기적으로 연재하며 소녀 만화가로 활동했다. 대표작으로는 아내 마키 미야코와 공동 작업한 《나의 엘》 등이 있다.
- 전쟁물**: 아버지의 전쟁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더 콕핏 시리즈》, 《HARD METAL》 등 제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을 그렸다.
- 동물물**: 《줄무늬의 미메》, 《곤충 황제》 등 동물을 소재로 한 작품들도 창작했다.
- 일상물/청춘물**: 《사나이 오이동》으로 대표되는 '사조반물'은 그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청년들의 일상과 고뇌를 다루는 독특한 장르였다.
3.2.5. 영상 매체와의 협업
마츠모토 레이지는 만화 및 애니메이션 제작 외에도 다양한 영상 및 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했다.
- 다프트 펑크 뮤직 비디오**: 2003년 프랑스 하우스 그룹 다프트 펑크의 앨범 《디스커버리》 수록곡들의 뮤직 비디오 제작을 총괄했다. 이 뮤직 비디오들은 하나의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인 《인터스텔라 5555》로 통합되어 DVD로 출시되었다.
- 선박 디자인**: 도쿄도 관광기선의 수상버스 '히미코(ヒミコ히미코일본어)', '호타루나(ホタルナ호타루나일본어)', '에메랄다스'의 디자인을 담당했다. 이들 선박은 모두 우주선을 모티브로 디자인되었으며, '히미코'는 2004년 3월 26일부터 운항을 시작했다.
- 철도 차량 디자인**: 긴테쓰 이가선의 '닌자 열차'(1997년, 2003년 재디자인),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의 3000계 전차(2009년~2014년), 기타큐슈 모노레일의 1000형 전차(2010년~2016년, 2017년 '신 은하철도 999호'로 재디자인) 등 다양한 철도 차량의 랩핑 디자인을 제공했다.
- 기타 디자인**: 와쿠나가 제약의 무좀 치료제 '마세트 로션T' 패키지 디자인, 도쿄도 기타구 타키노가와 상점가의 심볼 캐릭터 및 간판 디자인, 고쿠라 경륜장의 마스코트 캐릭터 '스페이스 나이트' 디자인, 기타큐슈 박람제 2001 공식 포스터 일러스트 등을 담당했다.
3.3. 작품 세계관 및 스타일
마츠모토 레이지의 작품 세계는 독특한 미학과 일관된 주제 의식을 특징으로 한다.
- 레이지버스**: 그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캡틴 하록, 토치로, 퀸 에메랄다스와 같은 캐릭터들은 여러 작품에 걸쳐 등장하며, 단순히 이름만 같은 경우도 있지만 때로는 작품 간의 크로스오버를 통해 하나의 거대한 세계관을 형성한다. 이를 팬들은 '레이지버스(Leijiverse레이지버스영어)'라고 부르며, 마츠모토 자신은 이를 "같은 배우가 연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주요 테마**: 그의 작품은 생명의 소중함, 시간의 유한성, 자유, 이상, 그리고 죽음의 그림자 등 철학적인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룬다. 특히 '밤의 색조'와 같은 부조리성이 내포되어 있다.
- 미학적 특징**: 그의 그림 스타일은 신화적이고 멜랑콜리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고결한 영웅과 매혹적인 여성 히로인(특히 긴 금발과 늘씬한 체형의 여성 캐릭터)이 자주 등장한다.
- 레이지 미터**: 그의 SF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원형 또는 톱니바퀴 모양의 복잡한 계기판 디자인은 '레이지 미터(零士メーター레이지 미터일본어)' 또는 '마츠모토 미터(松本メーター마츠모토 미터일본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이는 실제 존재했던 병기의 설계도를 입수하여 최대한 정확하게 그리는 그의 고집과, 전국 박물관을 다니며 취재하여 정밀한 계기류 묘사에 활용한 노력의 결과이다.
3.4. 필명 '마츠모토 레이지'
마츠모토 레이지는 데뷔부터 1968년까지는 본명인 마츠모토 아키라(松本あきら마츠모토 아키라일본어)를 필명으로 사용했다. '마츠모토 레이지'라는 필명은 1965년부터 마츠모토 아키라 명의와 병행하여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1968년에 '마츠모토 레이지'로 필명을 일원화했다.
필명의 '레이지(零士레이지일본어)'는 "갓난아기(零歳児레이사이시일본어)의 감성을 언제까지나 잊지 않는다"는 모토, 그리고 한밤중(午前 영시(午前零時고젠 레이지일본어)가 지나야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경우가 많았던 경험에서 영감을 얻었다. 또한 "매일 밤 영시까지 일하는 선비(士)"라는 의미도 담겨 있다. 2008년 5월 기타큐슈에서 열린 '마이니치 포럼'에서는 "레이지의 '영(零레이일본어)'은 무한대의 '영'이며, '사(士시일본어)'는 '사무라이'를 의미하고, 또한 본명인 '아키라'로도 읽힌다"고 설명했다.
'레이지'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는 'Reiji'가 아닌 'Leiji'를 사용하는데, 이는 그가 소년 시절 애독했던 야마카와 소지의 그림 이야기 《소년 왕자》에 등장하는 강하고 늠름한 악역 사자 '라이온 L'에서 영감을 얻었기 때문이다.
4. 개인 생활
마츠모토 레이지는 공개된 개인적인 삶의 측면에서도 독특한 면모를 보였다.
4.1. 결혼 및 가족
마츠모토 레이지는 상경 후 만화가 마키 미야코와 만나 1962년에 결혼했다. 두 사람은 이듬해 도쿄도 네리마구로 이주하여 사망할 때까지 함께 살았다. 그는 결혼 후에도 밤 8시부터 다음 날 새벽 6시까지 작업하는 등 밤샘 작업을 지속하며 창작에 몰두했다. 바쁜 시기에는 동시에 10편의 연재를 맡기도 했다.
그는 우주에 대한 강한 동경을 가지고 있었으며, "편도라도 좋으니 나를 우주로 보내달라"는 말을 자주 했다. 민간 우주비행의 첫 번째 주인공이 되는 꿈을 꾸기도 했으나 이루지 못했다. 2018년에는 우주 장례 전용 초소형 위성에 자신의 손톱을 실어 우주로 보내는 것을 '생전 장례식'이라고 칭하기도 했다. 우주비행사 야마자키 나오코가 우주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마츠모토의 작품이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만화 고서, 특히 데즈카 오사무의 초기 희귀 만화책을 다수 소장한 컬렉터였다. 또한 골동품 총기류와 브라이틀링 같은 항공 시계를 수집하는 취미도 있었다. 자택에서는 줄무늬 고양이 '미군(ミーくん미군일본어)'을 대대로 키웠으며, 이 고양이는 그의 작품에도 자주 등장하는 캐릭터의 모델이 되었다.
5. 건강 및 사망
마츠모토 레이지는 말년에 건강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2023년 2월 13일 사망했다.
5.1. 건강 문제 및 사망
2019년 11월 15일, 마츠모토 레이지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캡틴 하록》 애니메이션 40주년 기념 투어 행사 중 심각한 호흡기 질환으로 쓰러져 현지 병원으로 긴급 이송되었다. 당시 위독한 상태로 호흡 튜브를 삽입했으나, 이틀 후 위기를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12월 4일 퇴원하여 다음 날 일본으로 귀국했다.
그는 2023년 2월 13일, 도쿄도 내 병원에서 급성 심부전으로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사망 소식은 2월 20일 도에이를 통해 공식 발표되었다. 그의 사망 후, 야스히로 나이토, 노조무 타마키 등 여러 만화가들과 그의 아내 마키 미야코, 《은하철도 999》의 메텔 성우 노자와 마사코 등이 애도를 표했다. 2023년 6월 2일, 일본 정부는 그의 생전 공적을 기려 사망 일자로 정육위를 추서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해 6월 3일 도쿄 국제 포럼에서 그의 영결식이 거행되었다.
6. 평가 및 영향
마츠모토 레이지는 일본 만화와 애니메이션 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은 여러 상을 통해 인정받았다.
6.1. 수상 및 영예
마츠모토 레이지는 그의 예술적 업적을 인정받아 수많은 상과 영예를 얻었다.
- 1954년: 《꿀벌의 모험》으로 《만화 소년》 제1회 장편 만화 신인상 수상.
- 1972년: 《사나이 오이동》으로 제3회 고단샤 출판문화상 아동 만화 부문상 수상.
- 1975년: 《우주전함 야마토》로 제6회 성운상 영화 연극 부문 수상.
- 1978년: 《은하철도 999》와 《전장 만화 시리즈》로 제23회 쇼가쿠칸 만화상 수상.
- 1978년: 일련의 SF 시리즈로 제7회 일본 만화가협회상 특별상 수상.
- 1979년: 제24회 영화의 날 특별 공로상 수상.
- 2001년: 자수포장 수훈.
- 2003년: 제8회 애니메이션 고베 특별상 수상.
- 2008년: 도쿄도 네리마구 명예 구민으로 선정.
- 2010년: 욱일소수장 수훈.
- 2012년: 프랑스 예술문화훈장 슈발리에 수훈.
- 2024년: 일본 SF 대상 공적상 수상.
6.2. 예술 및 문화에 미친 영향
마츠모토 레이지의 작품은 만화, 애니메이션, 디자인 등 다양한 예술 및 대중문화 분야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 애니메이션 붐의 주역**: 《우주전함 야마토》와 《은하철도 999》의 대성공은 1970년대 후반 일본의 애니메이션 붐을 촉발시켰으며, 이는 이후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독자적인 세계관 구축**: '레이지버스'로 불리는 그의 독특한 스타 시스템과 세계관은 후대 창작자들에게도 영향을 주어, 여러 작품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시도의 선구자가 되었다.
- SF 장르의 확장**: 그의 스페이스 오페라 작품들은 일본 SF 만화 및 애니메이션의 지평을 넓혔으며, 우주에 대한 동경과 철학적 사유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데 기여했다.
- 디자인적 영향**: '레이지 미터'와 같은 그의 독특한 메카닉 디자인은 많은 팬과 후대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실제 선박 및 철도 차량 디자인에도 적용되었다.
- 문화적 상징**: 그의 작품 속 캐릭터들은 일본 내외에서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후쿠이현 쓰루가시에는 《우주전함 야마토》와 《은하철도 999》의 캐릭터 동상 28개가 세워져 도시의 상징이 되었다.
6.3. 저작권 관련 입장 및 논란
마츠모토 레이지는 일본 만화가협회 저작권부 책임자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 저작권 협회 이사 등의 직책을 맡으며 저작권 보호에 대해 매우 민감하고 강경한 입장을 보여왔다. 그는 "손자 시대까지 자신의 저작권을 지키고 싶다"고 발언했으며, 자신이 창작한 "창작 조어"와 유사한 표현을 타인이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했다. 그의 이러한 강경한 입장은 자신의 작품이 의도와 다르게 사용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는 신념에서 비롯되었다. 예를 들어, 2002년에는 자신이 원작을 맡은 TV 애니메이션 《SPACE PIRATE CAPTAIN HERLOCK》에서 다윗의 별이 적 디자인에 사용되자, 유대인 감정을 고려하여 일시적으로 제작 중단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는 무단 사용이 아니라면 다른 만화가나 뮤직 비디오, 광고 등에서 자신의 캐릭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관대한 편이었지만, 자신이 "재미없다"고 느낀 패러디나 인용에는 매우 엄격하여 직접 비난하거나 담당 편집자나 해당 만화가를 불러 설교하기도 했다. 인기 만화 《카멜레온》의 작가 가세 아쓰시는 작품에 메텔 코스프레 패러디를 그렸다가 마츠모토에게 밤새도록 설교를 듣고, 다음 주 《주간 소년 매거진》에 사과문을 게재해야 했다. 이 에피소드는 단행본에 수록될 때 해당 장면의 원고가 모두 교체되기도 했다.
마츠모토는 《스타워즈》의 기획서에 등장하는 레아 공주의 초기 설정이 《우주해적 캡틴 하록》의 유키 케이와 유사하며, 자신의 작품이 《스타워즈》의 초기 기획에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가 "자신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작품 중에는 실제 영향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은하철도 999》 극장판 제2작 《안녕 은하철도 999: 안드로메다 종착역》의 호시노 테츠로의 아버지 흑기사 파우스트와 《스타워즈》의 다스 베이더 사이에 유사점이 지적되기도 하지만, 시기적으로 《스타워즈》의 제작 및 공개가 더 빨랐다.
6.3.1. 《우주전함 야마토》 저작권 분쟁
마츠모토 레이지는 1999년 《우주전함 야마토》의 저작권을 두고 프로듀서 니시자키 요시노부와 법적 분쟁을 벌였다. 마츠모토는 자신이 원작자이며 니시자키는 애니메이션화 사용 허락권을 얻은 프로듀서에 불과하며 그 허락권도 상실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작품 《전광 오즈마》의 '우주전함 야마토의 장'이 《우주전함 야마토》의 원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2002년 도쿄 지방재판소는 《전광 오즈마》, 《광속 에스퍼》, 《야마토》의 '창작 노트', 그리고 《모험왕》 연재 만화 《우주전함 야마토》 모두 원작이 아니라고 판단했으며, 마츠모토가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 부분적으로만 관여했다고 보아 니시자키를 저작자로 인정하며 마츠모토 측에 전면 패소 판결을 내렸다.
항소심이 진행 중이던 2003년, 양측은 법정 외 합의에 도달했다. 이 합의에 따라 마츠모토와 니시자키 양측 모두가 저작자임을 인정하되, 니시자키가 필두 저작자이자 대표로 저작인격권을 가지게 되었다. 이로써 마츠모토는 니시자키의 동의 없이 《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의 신작을 만들 수 없게 되었고, 니시자키 측이 허락한 《야마토》 신작에 대해서는 자신의 권리를 행사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니시자키 측의 《야마토》 신작에서 마츠모토의 이름이 크레딧될 경우, 기존에 주장했던 '원작'이 아닌 '설정·디자인'으로 표기해야 함을 마츠모토는 이 합의서에서 인정했다. 이 합의는 소송상 화해가 아닌 재판 외 화해였으므로, 그 구속력은 당사자에게만 미치며, 저작권자인 도호쿠신샤는 이 합의에 구속되지 않는다는 견해를 발표했다. 재판 패소 후, 마츠모토는 일부 언론에 "내가 없었다면 작품의 한 컷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등의 코멘트를 보도하기도 했다.
이후 제작된 시리즈 속편 《우주전함 야마토 부활편》에는 마츠모토가 스태프로 참여하지 않았고 이름도 크레딧되지 않았다. 《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의 번안작인 실사 영화 《스페이스 배틀쉽 야마토》나 제1작의 리메이크인 《우주전함 야마토 2199》, 《우주전함 야마토 2202》, 《우주전함 야마토 2205》에서도 니시자키가 원작자로 크레딧되고 마츠모토의 이름은 표시되지 않았다.
6.3.2. 《은하철도 999》 가사 표절 논란
2006년 10월, 마츠모토 레이지는 마키하라 노리유키가 CHEMISTRY에게 제공한 곡 《약속의 장소》의 가사 일부가 1996년부터 연재가 재개된 《은하철도 999》의 신전개편에 등장하는 대사를 도용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여성 주간지와 와이드 쇼에 출연하여 마키하라 노리유키를 비난했다. 마츠모토는 문제의 대사가 자신의 "좌우명"이며, 10년간 강연 등에서 여러 번 사용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마키하라는 기자회견에서 이를 부정하고, 같은 해 11월 7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은하철도 999》는 개인적인 취미로도 읽은 적이 없고 가사도 모두 오리지널이며, 진정 도작이라고 의심된다면 재판으로 결착하고 싶다"는 취지의 코멘트를 발표했다. 마츠모토는 마키하라에게 전화했을 때 "미안하다고 했다면 문제 삼지 않을 생각이었다"고 말했지만, 마키하라는 "도작하지 않은 것에 용서를 구하는 것은 (도작을) 인정하는 행위"라며 거부했다.
2007년 3월 22일, 마키하라는 《스ッキリ!!》에서의 마츠모토의 발언을 문제 삼아 마츠모토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부존재 확인 등 청구를 도쿄 지방재판소에 제기했다. 재판에서 마츠모토 측이 도작의 증거를 제시하지 못할 경우, 광고 음악 중단 등으로 발생한 2200.00 만 JPY의 손해배상 청구도 함께 진행되었다. 2008년 7월 7일, 도쿄 지방재판소에서 열린 구두 변론에서 양측이 처음으로 대면했다. 마키하라는 "도둑 취급을 당했지만 하지 않은 것은 하지 않았다"고 변론했으며, 마츠모토는 "이 대사는 나의 좌우명이며 오랫동안 사용해왔다. 우연이라고 해도 그렇게까지 닮은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
같은 해 12월 26일, 도쿄 지방재판소는 "원고(마키하라)의 표현이 피고(마츠모토)의 표현에 의거했다고 단정할 수 없다"며 저작권 침해의 구성 요건인 의거성과 유사성을 인정하지 않고, 마키하라에 대한 명예훼손을 인정하여 마츠모토에게 220.00 만 JPY의 손해배상 지급을 명령하는 판결을 내렸다. 이후 양측 모두 항소했으나, 2009년 11월 26일 도쿄 고등재판소에서 열린 항소심에서 마츠모토가 "마키하라 씨의 사회적 평가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고 사과하는 내용으로 화해가 성립되었다(금전 지급 없음). 그러나 마츠모토는 2011년 한 잡지 인터뷰에서 "한마디 '미안하다'고 말해줬으면 그걸로 좋았을 것"이라며 여전히 마키하라 측의 사과가 필요했다는 주장을 되풀이하기도 했다.
7. 작품 목록
마츠모토 레이지의 방대한 작품 세계는 만화, 영상화된 작품, 그리고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7.1. 만화 작품
그가 창작한 만화 작품들은 초기작부터 장기 연재작, 단편, 그리고 미분류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7.1.1. 초기 작품
대부분 '마츠모토 아키라' 명의로 발표되었다.
- 《은의 계곡의 마리아》 (銀の谷のマリア긴노 타니노 마리아일본어, 《소녀 클럽》 1958년 4월호 부록)
- 《황금의 기사》 (黄金の騎士오곤노 키시일본어, 《여학생의 친구》 1959년 1월호 ~ 3월호)
- 《라라미 목장》 (ララミー牧場라라미 보쿠조일본어, 《히노마루》 1960년 12월호 ~ 1962년 10월호 부록) - 해외 드라마의 만화화.
- 《전광 오즈마》 (電光オズマ덴코 오즈마일본어, 《우리들》 1961년 2월호 ~ 1962년 12월호) - 수수께끼의 전투기 부대를 이끄는 남자, 전광 오즈마가 세계 정복을 꾀하는 신국가 노바 제국의 간모스 수상이나 고대 거대 원반, 괴유성으로 지구에 다가오는 외계인과 싸운다. 로켓 전함 '우주전함 야마토'도 등장한다.
- 《불타라 남십자성》 (燃えろ南十字星모에로 미나미주지세이일본어, 《히노마루》 1963년 1월호 ~ 2월호, 《소년 북》 1963년 3월호 ~ 5월호 부록) - 라바울의 제로센 조종사 츠치우라 조장이 주인공인 전기 만화. 미완 작품이지만 《전광 오즈마》 단행본 3권에 수록될 때 2페이지 분량의 결말이 추가되었다.
- 《블랙 0》 (ブラック0블랙 제로일본어, 《모험왕》 1964년 1월 15일 설날 증간호) - 전기물. 검은 제로센 부대의 야간 전투.
- 《인법 십번 승부 삼번 승부》 (忍法十番勝負 三番勝負닌포 주방 쇼부 산방 쇼부일본어, 《모험왕》 1964년 3월호)
- 《나의 엘》 (わたしのエル와타시노 에루일본어, 《주간 마가렛》 1964년 9월 6일호 ~ 11월 15일호) - 아내이자 만화가인 마키 미야코와의 합작.
- 《잠수함 슈퍼 99》 (スーパー99스파 99일본어, 《모험왕》 1964년 11월호 ~ 1965년 12월호) - 초잠수함 슈퍼 99와 헬멧 당의 싸움을 그린다.
- 《다이너모 7》 (ダイナモ7다이너모 7일본어, 《만화왕》 1966년 11월호) - 카 레이서물.
- 《마음이여 바다를 가라》 (心よ海をゆけ코코로요 우미오 유케일본어, 《별책 소녀 프렌드》 1967년 5월호) - 마키 미야코와의 합작. 소녀 만화이지만 해적물.
7.1.2. 연재 작품
- 《섹사로이드》 (セクサロイド세쿠사로이도일본어, 《만화 고라쿠 dokuhon》 1968년 4월 9일호 ~ 1970년 11월 3일호)
- 《동물 시리즈 (그림 이야기)》 (動物シリーズ(絵物語)도부쓰 시리즈 (에모노가타리)일본어, 《나카요시》 1968년 4월호 ~ 1969년 2월호)
- 《광속 에스퍼》 (光速エスパー코소쿠 에스파일본어, 《소년 북》 1968년 6월호 ~ 1969년 4월호)
- 《표류 삼천만 광년》 (漂流三千万光年효류 산젠만 코넨일본어, 《소년 소녀 신문》 1969년 3월 7일 ~ ?) - 세계관적으로 《잠수함 슈퍼 99》의 속편적 작품.
- 《사차원 세계 시리즈》 (四次元世界シリーズ요지겐 세카이 시리즈일본어, 《COM》 1969년 4월호 ~ 12월호)
- 《광속 에스퍼》 (光速エスパー코소쿠 에스파일본어, 《소년 점프》 1969년 5월 8일호 ~ 1970년 2월 16일호)
- 《머시너 시리즈》 (マシンナー・シリーズ마시나 시리즈일본어, 《별책 만화 액션》 1969년 11월 15일호 ~ 1970년 6월 13일호)
- 《무한 세계 시리즈》 (無限世界シリーズ무겐 세카이 시리즈일본어, 《COM》 1970년 1월호 ~ 9월호)
- 《대사조반 시리즈》 (大四畳半シリーズ다이요조한 시리즈일본어, 《별책 만화 액션》 1970년 6월 27일호 ~ 1974년 2월 9일호) - 시골에서 상경한 아다치 후토시가 하숙방 다다미 넉 장 반을 중심으로 펼치는 청춘 이야기. '사조반물'의 원조 작품.
- 《성 살마타 전》 (聖サルマタ伝세이 사루마타 덴일본어, 《소년 매거진》 1970년 11월 15일호 ~ 11월 22일호)
- 《미스터리 이브》 (ミステリー・イヴ미스터리 이브일본어, 《만화 고라쿠 dokuhon》 1970년 11월 17일호 ~ 1971년 8월 5일호) - 행성 이타스에서 날아온 여성 이브와 조우한 주인공 오구치 마모루. 그리고 지구를 노리는 헤드족과의 싸움을 그리는 SF 만화.
- 《패닉 월드》 (パニックワールド패닉 월드일본어, 《소년 킹》 1971년 2월 28일호 ~ 3월 21일호) - '제3차 세계대전이 도쿄에서...' 패닉 상태의 도쿄를 그리는 근미래 서스펜스.
- 《사나이 오이동》 (男おいどん오토코 오이동일본어, 《소년 매거진》 1971년 5월 9일호 ~ 1973년 8월 5일호) - 사조반물 중 하나. 청년지에 게재된 《원조 대사조반 이야기》에서 성적 요소를 뺀 후발 작품이지만, 마츠모토에게는 소년지에서 첫 대히트작이 되었다.
- 《성범인전》 (聖凡人伝세이 본진덴일본어, 《만화 고라쿠》 1971년 8월 19일호 ~ 1973년 11월 15일호) - 목 매달림이 빈번한 소문난 아파트가 무대인 사조반물.
- 《사춘기 백만년》 (思春期100万年시슌키 햐쿠만넨일본어, 《고1 시대》 1972년 4월호 ~ 1973년 3월호)
- 《대불륜전》 (大不倫伝다이후린덴일본어, 《헤이본 펀치》 1972년 5월 15일호 ~ 7월 17일호) - 여성을 안고 이혼을 성립시키는 불륜 청부업자의 유랑 이야기.
- 《비본 화가 무예》 (秘本絵師 無芸히혼 에시 무게이일본어, 《빅 코믹》 1972년 8월 25일호 ~ 9월 10일호)
- 《건 프론티어》 (ガンフロンティア간 프론티어일본어, 《플레이 코믹》 1972년 11월 11일호 ~ 1974년 12월 14일호)
- 《히루안돈》 (ひるあんどん히루안돈일본어, 《별책 만화 스토리》 1973년 4월 14일호 ~ 《만화 스토리》 12월 1일호) - 샐러리맨 사조반물.
- 《스페이스 개척자 와다치》 (スペース開拓者 ワダチ스페이스 카이타쿠샤 와다치일본어, 《소년 매거진》 1973년 11월 4일호 ~ 1974년 4월 14일호) - 사조반물 + SF. 후반은 미지의 행성에서의 개척 모험 만화.
- 《돌아온 사원전》 (出戻社員伝데모도리 샤인덴일본어, 《주간 대중》 1974년 1월 3일호 ~ 3월 28일호) - 평범한 샐러리맨 생활을 그린 인생 철학적 작품.
- 《반딧불의 숙소 시리즈》 (螢の宿シリーズ호타루노 야도 시리즈일본어, 《별책 만화 액션》 1974년 2월 23일호 ~ 12월 28일호) - 대사조반물 중 하나. 시대 설정은 메이지 유신 전후.
- 《우주전함 야마토》 (宇宙戦艦ヤマト우주전함 야마토일본어, 《모험왕》 1974년 11월호 ~ 1975년 4월호)
- 《우주전함 야마토 2》 (宇宙戦艦ヤマト2우주전함 야마토 2일본어, 《모험왕》 1978년 7월호 ~ 1980년 1월호)
- 《신 우주전함 야마토》 (新宇宙戦艦ヤマト신 우주전함 야마토일본어, 《월간 코믹 GOTTA》 2000년 4월호 ~ 2001년 7월호)
- 《인섹트》 (インセクト인세쿠토일본어, 《빅 코믹 오리지널》 1975년 1월 5일호 ~ 6월 5일호)
- 《돌아오지 않는 시간의 이야기》 (帰らざる時の物語카에라자루 토키노 모노가타리일본어, 《플레이 코믹》 1975년 1월 11일호 ~ 1976년 12월 9일호)
- 《더 콕핏 시리즈》 (ザ・コクピット・シリーズ더 콕핏 시리즈일본어, 《빅 코믹 오리지널》 1975년 6월 20일호 ~ 부정기 연재)
- 《다이버 0》 (ダイバー0다이버 제로일본어, 《소년 선데이》 1975년 9월 5일 증간호 ~ 1976년 9월 10일 증간호)
- 《줄무늬의 미메》 (トラジマのミーめ토라지마노 미메일본어, 《프린세스》 1975년 9월호 ~ 1977년 12월호)
- 《펫 파더》 (ペットファーザー펫 파자일본어, 《소년 액션》 1975년 10월 6일호 ~ 1976년 1월 26일호)
- 《오야시라즈 산가》 (親不知讃歌오야시라즈 산가일본어, 《마이니치 중학생 신문》 1976년 4월 3일자 ~ 1977년 3월 26일자) - 중학생의 일상을 유머러스하게 그린 전 51화.
- 《공룡장 이야기》 (恐竜荘物語쿄류소 모노가타리일본어, 《만화 고라쿠》 1976년 9월 2일호 ~ 1977년 5월 12일호)
- 《시간 여행 소년 미라이저 반》 (時間旅行少年 ミライザーバン지칸 료코 쇼넨 미라이자 반일본어, 《월간 만화 소년》 1976년 9월호 ~ 1978년 10월호)
- 《작은 마키》 (ちいさなマキ치이사나 마키일본어, 《요미우리 신문》 일요판 1977년 1월 9일자 ~ 7월 31일자) - 저연령층 대상 올 컬러 작품.
- 《우주해적 캡틴 하록》 (宇宙海賊キャプテンハーロック우주해적 캡틴 하록일본어, 《플레이 코믹》 1977년 1월 13일호 ~ 1979년 6월 14일호)
- 《은하철도 999》 (銀河鉄道999긴가 테츠도 999일본어, 《소년 킹》 1977년 1월 24・31일 합병호 ~ 1981년 11월 6일호)
- 《표류 간선 000》 (漂流幹線000효류 간센 000일본어, 《소년 킹》 1983년 1월 14일호 ~ 11월 25일호)
- 《신 은하철도 999》 (新銀河鉄道999신 긴가 테츠도 999일본어, 《빅 골드》 1996년 9월호 ~ 1999년 3월호)
- 《신 은하철도 999》 (新銀河鉄道999신 긴가 테츠도 999일본어, 《은하철도 999 웹》 1999년 3월 15일 ~ )
- 《신 은하철도 999》 (新銀河鉄道999신 긴가 테츠도 999일본어, 《빅 코믹》 2003년 5월 25일호 ~ )
- 《대순정군》 (大純情くん다이준조군일본어, 《소년 매거진》 1977년 2월 27일호 ~ 10월 9일호) - 사조반물 + SF.
- 《혹성로보 당가드 A》 (惑星ロボ ダンガードA와쿠세이 로보 단가도 에이스일본어, 《모험왕》 1977년 4월호 ~ 1978년 4월호)
- 《대초원의 작은 사조반》 (大草原の小さな四畳半다이소겐노 치이사나 요조한일본어, 《Apache》 1977년 7월 23일호 ~ 1978년 1월 8일호) - 서부극 + 일본인 + 대사조반물.
- 《곤충 황제》 (昆虫皇帝곤추 코테이일본어, 《기상천외》 1978년 1월호 ~ 1979년 12월호)
- 《마녀 천사》 (魔女天使마조 텐시일본어, 《월간 소년 매거진》 1978년 1월호 ~ 4월호, 1978년 9월 ~ 1979년 7월호)
- 《Queen 에메랄다스》 (Queenエメラルダス퀸 에메랄다스일본어, 《소년 매거진》 1978년 1월 8일호 ~ 10월 8일호)
- 《무한해 표류기》 (無限海漂流記무겐카이 효류키일본어, 《빅 골드》 1978년 6월 8일호 ~ 1985년 12월호 부정기 연재)
- 《표류 삼천만 광년》 (漂流3000万光年효류 산젠만 코넨일본어, 《월간 만화 소년》 1978년 12월호 ~ 1979년 7월호 미완)
- 《스테테 콘도르》 (ステテコンドル스테테 콘도르일본어, 《선데이 마이니치》 1979년 11월 11일 ~ 1980년 12월 21일호)
- 《신 타케토리 이야기 1000년 여왕》 (新竹取物語 1000年女王신 타케토리 모노가타리 센넨 조오일본어, 《산케이 신문》 조간 1980년 1월 28일자 ~ 1983년 5월 11일자)
- 《나스카》 (ナスカ나스카일본어, 《월간 만화 소년》 1980년 6월호 ~ 1981년 5월호)
- 《대사조반대 이야기 무위인 전설》 (大四畳半大物語 無偉人伝説다이요조한 오모노가타리 무이진 덴세쓰일본어, 《만화 고라쿠》 1980년 7월 17일호 ~ 8월호)
- 《중탄도 시리즈》 (重弾道シリーズ주단도 시리즈일본어, 《빅 코믹》 1981년 8월 25일호 ~ 1983년 2월 10일호)
- 《신기루 페리 아일랜더 0》 (蜃気楼フェリーアイランダー0신키로 페리 아일랜더 제로일본어, 《소년 킹》 1982년 1월 22일호 ~ ?)
- 《백작 전설》 (伯爵伝説하쿠샤쿠 덴세쓰일본어, 《만화 고라쿠》 1984년 8월 3일호 ~ 1985년 2월 1일호)
- 《HARD METAL 시리즈》 (HARD METALシリーズ하드 메탈 시리즈일본어, 《빅 코믹》 1984년 9월 10일호 ~ 1990년 1월 25일호) - 태평양 전쟁 남양 군도를 무대로 한 전기물.
- 《돈 토라》 (どんトラ돈 토라일본어, 《소년 킹》 1985년 7월 12일호 ~ 10월 25일호)
- 《코스모 로드 알파 잠자는 우주의 왕녀》 (コスモロードα 眠れる宇宙の王女코스모 로도 알파 네무레루 우추노 오조일본어, 《yac 뉴스》 1986년 9월 22일호 ~ 1988년 4월 1일호, 《L5》 1988년 5월호 ~ 1991년 11월호)
- 《구스코 부도리의 전기》 (グスコーブドリの伝記구스코 부도리노 덴키일본어, 《월간 코믹 톰》 1986년 10월호 ~ 12월호) - 미야자와 겐지 원작.
- 《V2 판처》 (V2パンツァーV2 판자일본어, 《소년 킹》 1987년 9월 24일 증간 영 킹 창간호 ~ 1988년 10월 17일호)
- 《무의 흑선 크라이시스 III》 (無の黒船 クライシスⅢ무노 쿠로부네 크라이시스 3일본어, 《석간 후지》 1988년 ~ 1989년) - 무 = 에너지 제로. 그 다음에 오는 흑선. 메이지 유신, 제2차 세계 대전에 이은 세 번째 위기란. 다케우치 히토시 (도쿄대 명예교수) 감수.
- 《신기루 기담》 (蜃気楼綺譚신키로 키탄일본어, 《빅 코믹》 1990년 5월 25일호 ~ 1991년 3월 25일호)
- 《니벨룽의 반지 ① 라인의 황금》 (ニーベルングの指環①ラインの黄金니벨룽노 유비와 1 라인노 오곤일본어, 《중고차 팬》 1990년 10월 10일호 ~ 1991년 11월 25일호) - 그레이트 하록이 주인공. 하록, 토치로들의 부모 세대 이야기.
- 《꿈 속 (왕)의 좁은 길》 (夢奥(王)の細道유메오쿠 (오)노 호소미치일본어, 《빅 코믹》 1991년 4월 25일호 ~ 8월 25일호)
- 《케이스 하드 시리즈》 (ケースハードシリーズ케이스 하드 시리즈일본어, 《빅 골드》 1993년 1월호 ~ 1996년 8월호) - 전장 시리즈 중 하나. 제2차 세계대전물.
- 《천사의 시공선》 (天使の時空船텐시노 지쿠센일본어, 《코믹 톰》 1993년 5월호 ~ 1997년 7월호) - 레오나르도 다 빈치 전기.
- 《화성여단 다나사이트 999.9》 (火聖旅団ダナサイト999.9카세이 료단 다나사이토 999.9일본어, 《소년왕》 1994년 10월호 ~ 1997년 4월호)
- 《니벨룽의 반지 ② 발키리》 (ニーベルングの指環②ワルキューレ니벨룽노 유비와 2 와루큐레일본어, 《신초샤 웹 코믹》 1997년 4월 1일호 ~ 1998년 2월 13일호)
- 《콕핏 레전드》 (コクピット・レジェンド콕핏 레전드일본어, 《빅 코믹 오리지널》 1997년 9월 증간호 ~ 1999년 9월 증간호 부정기 연재)
- 《니벨룽의 반지 ③ 지크프리트》 (ニーベルングの指環③ジークフリート니벨룽노 유비와 3 지크프리트일본어, 《신초샤 웹 코믹》 1998년 3월 11일호 ~ 1999년 6월 10일호)
- 《아녀 영웅전》 (児女英雄伝지조 에이유덴일본어, 《코믹 톰 플러스》 1998년 5월호 ~ 2000년 5월호)
- 《니벨룽의 반지 ④ 신들의 황혼》 (ニーベルングの指環④神々の黄昏니벨룽노 유비와 4 카미가미노 타소가레일본어, 《신초샤 웹 코믹》 1999년 8월 4일호 ~ )
7.1.3. 단편 및 기타 작품
- 《어머니와 자식의 명작 그림 이야기 장미의 왕자》 (母と子の名作絵話 ばらのおうじ하하토 코노 메이사쿠 에바나시 바라노 오지일본어, 《유치원》 1968년 3월호)
- 《두자춘》 (杜子春토시슌일본어, 《초등학교 4학년》 1968년 3월호)
- 《붉은 머리 하나》 (赤毛のひとつ아카게노 히토츠일본어, 《리본》 1968년 4월호 부록)
- 《세계 명작 이야기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 (世界名作物語 アリババと四十人のとうぞく세카이 메이사쿠 모노가타리 아리바바토 욘주닌노 토조쿠일본어, 《초등학교 4학년》 1968년 5월호)
- 《장화 신은 고양이》 (ながぐつをはいたねこ나가구쓰오 하이타 네코일본어, 《초등학교 1학년》 1968년 6월호)
- 《세계 명작 특집 일본 옛날 이야기 카구야히메》 (世界名作特集 日本昔話 かぐやひめ세카이 메이사쿠 토쿠슈 니혼 무카시바나시 카구야히메일본어, 《즐거운 유치원》 1968년 6월호)
- 《다이너소어 존 공룡대》 (ダイナソア・ゾーン 恐竜帯다이너소아 존 쿄류타이일본어, 《만화 고라쿠 dokuhon》 1968년 9월 1일 증간호)
- 《동면 행성》 (冬眠惑星토민 와쿠세이일본어, 《플레이 코믹》 1968년 9월 10일호)
- 《코스모 레이디 SS》 (コスモレディSS코스모 레이디 SS일본어, 《만화 고라쿠 dokuhon》 1969년 1월 7일 증간호)
- 《네안데르탈》 (ネアンデルタール네안데르타루일본어, 《플레이 코믹》 1969년 1월 25일호)
- 《파일럿 262》 (パイロット262파일럿 262일본어, 《코믹 매거진》 1969년 2월 25일호) - 캡틴 하록이 처음으로 주인공이 된 작품.
- 《임펄스 돔》 (インパルスドーム임펄스 돔일본어, 《별책 만화 액션》 1969년 3월호)
- 《제스라스 제3기》 (ゼスラス第3紀제스라스 다이산키일본어, 《별책 만화 액션》 1969년 6월호)
- 《미유에서 온 여자》 (ミユから来た女미유카라 키타 온나일본어, 《만화 고라쿠 dokuhon》 1969년 6월 9일 증간호)
- 《태양계 저격병》 (太陽系狙撃兵타이요케이 소게키헤이일본어, 《별책 만화 액션》 1969년 7월호)
- 《천지 창조 제2번》 (天地創造第二番텐치 소조 다이니반일본어, 《별책 만화 액션》 1969년 8월호)
- 《기계 인간 머시너 반》 (機械人間マシンナーバン키카이 닌겐 마시나반일본어, 《소년 선데이》 1969년 8월 15일 여름방학 증간호) - 《미라이저 반》의 프로토타입적 작품.
- 《올버스》 (オルバース오루바스일본어, 《별책 만화 액션》 1969년 9월호)
- 《마경 행성의 연인》 (魔境惑星の恋人마쿄 와쿠세이노 코이비토일본어, 《만화 고라쿠 dokuhon》 1969년 9월 3일 증간호)
- 《화성 영애》 (火星令嬢카세이 레이조일본어, 《별책 만화 액션》 1969년 10월 11일호)
- 《유령 부인》 (幽霊夫人유레이 후진일본어, 《별책 만화 액션》 1969년 10월호)
- 《다핀》 (ダフィン다핀일본어, 《SF 매거진 임시 증간》 1969년 10월호)
- 《시티 D60001년 사랑하는 레이》 (シティD60001年 愛するレイ시티 D60001넨 아이스루 레이일본어, 《별책 만화 액션》 1969년 10월 18일호)
- 《대마녀경》 (大魔女境다이마조쿄일본어, 《만화 고라쿠 dokuhon》 1969년 11월 12일 증간호)
- 《유령 군단》 (幽霊軍団유레이 군단일본어, 《플레이 코믹》 1969년 11월 22일호)
- 《그레이트 웨스턴》 (グレート・ウェスタン그레이트 웨스턴일본어, 《만화 고라쿠 dokuhon》 1969년 12월 10일호)
- 《L 부인 표류기》 (L夫人漂流記L 후진 효류키일본어, 《이야기 씨앗 책》 1970년 3월 11일 증간호)
- 《미래 도적 알리바바》 (未来盗賊アリババ미라이 토조쿠 아리바바일본어, 《이야기 씨앗 책》 1970년 4월 8일 증간호)
- 《요녀 셀레스트》 (妖女セレスト요조 세레스토일본어, 《만화 고라쿠 dokuhon》 1970년 6월 10일 증간호)
- 《대우주 번외지》 (大宇宙番外地다이우추 반가이치일본어, 《만화 고라쿠 증간》 1970년 9월 2일호)
- 《대야만인대》 (大野蛮人帯다이야반진타이일본어, 《맨 탑》 1970년 12월호)
- 《화석 여자》 (化石女카세키 온나일본어, 《만화 고라쿠 dokuhon》 1970년 11월 25일호)
- 《붉은 안개의 로렐라이》 (赤い霧のローレライ아카이 키리노 로레라이일본어, 《SF 매거진 임시 증간호》 1970년 11월호)
- 《하숙장 위인전》 (下宿荘偉人伝게슈쿠소 이진덴일본어, 《COM》 1971년 1월호)
- 《모형의 시대》 (模型の時代모케이노 지다이일본어, 《소년 매거진》 1971년 2월 28일호) - 고마쓰 사쿄 원작.
- 《은하철도의 밤》 (銀河鉄道の夜긴가 테츠도노 요루일본어, 《희망의 친구》 1971년 4월호)
- 《야광 도시의 미라이》 (夜光都市のミライ야코 토시노 미라이일본어, 《COM》 1971년 4월호)
- 《야마비코 13호》 (ヤマビコ13号야마비코 13고일본어, 《소년 매거진》 1971년 4월 4일호)
- 《공간 기갑단》 (空間機甲団쿠칸 키코단일본어, 《COM》 1971년 8월호)
- 《매달아야 할 많은 여자》 (つるすべき多くの女쓰루스베키 오쿠노 온나일본어, 《빅 코믹》 1971년 11월호)
- 《공백 지대의 외아들》 (空白地帯のひとりむすこ쿠하쿠치타이노 히토리무스코일본어, 《소년 챔피언》 1972년 6월 26일호)
- 《서부 나가야 인별첩》 (西部長屋人別帖세이부 나가야 닌베쓰초일본어, 《소년 선데이》 1972년 8월 27일호)
- 《우게쓰 이야기》 (雨月物語우게쓰 모노가타리일본어, 《빅 코믹》 1972년 7월 10일호)
- 《근시 인류 시집》 (近眼人類詩集킨간 진루이 시슈일본어, 《고3 코스》 1973년 4월호 ~ 10월호)
- 《흑사조 (데스 버드) 4444》 (黒死鳥(デスバード)4444코쿠시초 (데스바도) 4444일본어, 《소년 매거진》 1973년 7월 8일호)
- 《성녀에게 흰 피》 (聖女に白い血세이조니 시로이 치일본어, 《빅 코믹》 1973년 8월 25일호)
- 《가죽의 그림자 159》 (皮の影159카와노 카게 159일본어, 《빅 코믹》 1973년 11월 25일호)
- 《반딧불이 우는 섬》 (螢の泣く島호타루노 나쿠 시마일본어, 《빅 코믹 오리지널》 1974년 1월 20일호)
- 《곤충국 표류기》 (昆虫国漂流記곤추고쿠 효류키일본어, 《별책 소년 점프》 1974년 2월호) - 자신의 종전부터 초등학생 시절을 그린 자전 만화.
- 《안녕 로망의 시간아》 (さらばロマンの時よ사라바 로망노 토키요일본어, 《빅 코믹》 1974년 4월 25일호)
- 《사케잔》 (サケザン사케잔일본어, 《빅 오리지널》 1974년 5월 20일호)
- 《대마녀왕 제3기》 (大魔女王第3紀다이마조오 다이산키일본어, 《주간 플레이 보이》 1974년 11월 12일호)
- 《네 개의 눈동자》 (四つの瞳요츠노 히토미일본어, 《빅 코믹》 1974년 11월 25일호)
- 《선천성 충혈마》 (先天性充血魔센텐세이 주케츠마일본어, 《헤이본 펀치 여름 증간호》 1975년 8월 30일호)
- 《원인 1470호》 (猿人1470号엔진 1470고일본어, 《만화 고라쿠》 1975년 10월 30일호)
- 《3000년의 봄》 (3000年の春산젠넨노 하루일본어, 《만화 고라쿠》 1976년 1월 15일・22일 합병호) - 훗날 《사차원 시계》라는 제목으로 문고화.
- 《유령 성녀》 (幽霊聖女유레이 세이조일본어, 《만화 고라쿠》 1976년 3월 18일호)
- 《제3 가면 제국》 (第三仮面帝国다이산 카멘 제이코쿠일본어, 《만화 고라쿠》 1976년 4월 15일호)
- 《세렌의 늪》 (セレンの沼세렌노 누마일본어, 《만화 고라쿠》 1976년 5월 13일호)
- 《스러스터 월드》 (スラストワールド스라스토 와루도일본어, 《만화 고라쿠》 1976년 6월 10일호)
- 《망상권 소멸》 (妄想圏消滅모소켄 쇼메쓰일본어, 《기상천외》 1976년 7월호)
- 《블랙홀 제국》 (ブラックホール帝国블랙홀 제이코쿠일본어, 《만화 고라쿠》 1976년 7월 8일호)
- 《갤럭시 퀸》 (ギャラクサークイーン갸라쿠사 퀸일본어, 《영 코믹》 1976년 7월 14일호)
- 《사차원 시계》 (四次元時計요지겐 도케이일본어, 《만화 액션》 1976년 9월 9일호)
- 《심바》 (シンバ심바일본어, 《소년 선데이》 1976년 12월 5일호)
- 《마녀 천사》 (魔女天使마조 텐시일본어, 《월간 소년 매거진》 1977년 1월호)
- 《대살마타 박물사》 (大サルマタ博物史다이사루마타 하쿠부쓰시일본어, 《주간 플레이 보이》 1977년 1월 18일・25일 합병호)
- 《대순정군》 (大純情くん다이준조군일본어, 《소년 매거진》 1977년 1월 30일・2월 6일 합병호)
- 《지저 잠수함》 (地底潜水艦치테이 센스이칸일본어, 《소년 선데이》 1977년 2월 20일호)
- 《대개인 전쟁》 (大個人戦争다이코진 센소일본어, 《SF 판타지아》 1977년 3월 25일 발행)
- 《냉혈 제3 생물대》 (冷血第3生物帯레이케츠 다이산 세이부쓰타이일본어, 《만화 고라쿠》 1977년 11월 3일호)
- 《해저 기계 제국 영호》 (海底機械帝国零号카이테이 키카이 제이코쿠 레이고일본어, 《소년 점프》 1978년 4월 15일 증간호 SF 어드벤처 특집호) - SF 단편.
- 《산타크루즈의 다리》 (サンタクルーズの橋산타크루즈노 하시일본어, 《빅 코믹 오리지널》 1979년 1월 5일호)
- 《번외 철도 대번외편》 (番外鉄道 大番外編반가이 테츠도 다이반가이헨일본어, 《만화 고라쿠》 1979년 1월 18일호)
- 《에로빈 후드의 모험》 (エロビンフッドの冒険에로빈 훗도노 보켄일본어, 《주간 플레이 보이》 1979년 1월 16일・23일 합병호)
- 《요정 빙하대》 (妖精氷河帯요세이 효가타이일본어, 《빅 코믹 오리지널》 1979년 3월 5일호)
- 《더 토치로》 (ザ・トチロー더 토치로일본어, 《소년 점프》 1979년 4월 16일호)
- 《사케잔 뇌제》 (サケザン雷帝사케잔 라이테이일본어, 《소년 매거진》 1980년 1월 25일 증간호)
- 《더 토치로 II 나의 청춘 하록》 (ザ・トチローII わが青春のハーロック더 토치로 2 와가 세이슌노 하록일본어, 《소년 점프》 1980년 3월 10일호)
- 《밤 걷는 고양이》 (夜あるき猫요아루키 네코일본어, 《만화 기상천외》 1980년 11월호)
- 《후루사토야》 (ふるさとや후루사토야일본어, 《커스텀 코믹》 1980년 12월호)
- 《야케자카의 야케자카야》 (やけ坂のやけ酒屋야케자카노 야케자카야일본어, 《커스텀 코믹》 1981년 4월호)
- 《밤의 까마귀 이야기》 (闇夜の鴉の物語야미요노 카라스노 모노가타리일본어, 《만화 고라쿠》 1981년 5월호)
- 《DK 컴퍼니》 (DKカンパニーDK 컴퍼니일본어, 《만화 고라쿠》 1981년 12월 18일호)
- 《1000년 대왕》 (1000年大王센넨 다이오일본어, 《소년 매거진》 1982년 5월 5일호)
- 《요괴 마녀 사이나그리스》 (妖界魔女サイナグリス요카이 마조 사이나그리스일본어, 《소년 킹》 1983년 1월 15일 증간호)
- 《배터 유라 아우치 붉은 배트 푸른 배트의 시대 이야기》 (バッターユーラアウチ 赤バット青バットの時代の物語밧타 유라 아우치 아카밧토 아오밧토노 지다이노 모노가타리일본어, 《Number》 1984년 10월 5일호)
- 《미오 (1985년 만화)|미오》 (澪미오일본어, 《빅 코믹》 1985년 5월 23일 증간호)
- 《위대한 시간 바보》 (偉大なる時間バカ이다이나루 지칸 바카일본어, 《NEW 펀치 사우루스》 1989년 4월 26일호)
- 《천사의 철갑탄》 (天使の徹甲弾텐시노 텟코단일본어, 《영 슛》 1989년 11월호)
- 《톱니바퀴 성의 흥망》 (歯車城の興亡하구루마조노 코보일본어, 《모노 매거진》 1991년 5월 2일・16일 합병호)
- 《귀환 그림자 노병》 (帰還 影の老兵키칸 카게노 로헤이일본어, 《빅 코믹 증간》 1995년 8월호)
- 《초시공 전함 마호로바》 (超時空戦艦まほろば초지쿠 센칸 마호로바일본어, 《빅 골드》 1998년 4월호)
- 《나는 미군 미군의 말》 (わたしはミーくん ミーくんのかく語りき와타시와 미군 미군노 카쿠 카타리키일본어, 《빅 코믹 스페리올》 2003년 11월 30일 증간호)
- 《하나의 대지》 (一つの大地히토츠노 다이치일본어, 《월간 IKKI》 2004년 2월호 부록)
- 《동물 그림 이야기 나는 미군》 (動物絵物語 わたしはミーくん도부쓰 에모노가타리 와타시와 미군일본어, 《빅 코믹 스페리올》 2005년 2월 15일 증간호)
- 《일본국 낙성기 지옥의 터널》 (日本国落城記 地獄のトンネル니혼고쿠 라쿠조키 지고쿠노 톤네루일본어, 《빅 코믹》 2005년 8월 25일호)
- 《우주해적 캡틴 하록 은하 성녀 루나라》 (宇宙海賊キャプテンハーロック 銀河聖女ルナーラ우주해적 캡틴 하록 긴가 세이조 루나라일본어, 《챔피언 RED》 2014년 10월호)
- 《내일에서 온 그림자 GENNAI》 (明日から来た影 GENNAI아스카라 키타 카게 겐나이일본어, 1989년 단행본) - SF적 요소가 가미된 히라가 겐나이의 전기 만화.
- 《호타루나 요괴》 (ホタルナ妖호타루나 아야카시일본어, 2006년)
- 《Out of Galaxy 은의 코시카》 (Out of Galaxy 銀のコーシカ아웃 오브 갤럭시 긴노 코시카일본어, 2009년)
- 《은하 2000광년 우주전함 노틸러스의 전설》 (銀河2000光年 宇宙戦艦ノーチラスの伝説긴가 니센코넨 우추센칸 노치라스노 덴세쓰일본어, 2004년 DVD 《리그 오브 레전드 시공을 초월한 싸움 얼티밋 에디션》 부록)
7.2. 영상화된 작품
그의 만화가 애니메이션, 영화 등 영상 매체로 각색되거나 그가 기획에 참여한 작품들이다.
7.2.1. TV 애니메이션
- 《우주전함 야마토》 (1974년)
- 《혹성로보 당가드 A》 (1977년)
- 《SF서유기 스타징가》 (1978년)
- 《우주해적 캡틴 하록》 (1978년)
- 《은하철도 999》 (1978년)
- 《우주전함 야마토 2》 (1978년)
- 《SF서유기 스타징가 II》 (1979년)
- 《우주전함 야마토 새로운 여행길》 (1979년)
- 《우주전함 야마토 III》 (1980년)
- 《마린 스노우의 전설》 (マリンスノーの伝説마린 스노우노 덴세쓰일본어, 1980년)
- 《마테를링크의 파랑새: 틸틸과 미틸의 모험 여행》 (1980년) - 캐릭터 디자이너.
- 《신 타케토리 이야기 1000년 여왕》 (1981년)
-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 무한궤도 SSX》 (1982년)
- 《코스모 워리어 제로》 (2001년)
- 《건 프론티어》 (2002년)
- 《SUBMARINE SUPER 99》 (2003년)
- 《은하철도 이야기》 (2003년) - 화업 50주년 기념 작품.
- 《우주교향시 메텔: 은하철도 999 외전》 (2004년)
- 《은하철도 이야기 ~영원으로의 분기점~》 (2006년)
- 《마츠모토 레이지 "오즈마"》 (2012년)
7.2.2. 극장판 애니메이션
- 《우주전함 야마토》 (1977년)
- 《혹성로보 당가드 A 대 곤충 로봇 군단》 (1977년)
- 《혹성로보 당가드 A 우주 대해전》 (1978년)
- 《안녕 우주전함 야마토 사랑의 전사들》 (1978년)
- 《우주해적 캡틴 하록 아르카디아호의 비밀》 (1978년)
- 《은하철도 999》 (1979년)
- 《야마토여 영원히》 (1980년)
- 《은하철도 999 유리의 크레아》 (1980년)
- 《안녕 은하철도 999: 안드로메다 종착역》 (1981년)
- 《1000년 여왕》 (1982년)
-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 (1982년)
- 《우주전함 야마토 완결편》 (1983년)
- 《인터스텔라 5555》 (2003년)
- 《캡틴 하록 -SPACE PIRATE CAPTAIN HARLOCK-》 (2013년)
7.2.3. OVA 및 기타 영상물
- 《YAMATO 2520》 (1995년)
- 《더 콕핏》 (1994년)
- 《퀸 에메랄다스》 (1998년)
- 《화성여단 다나사이트 999.9》 (1998년)
- 《하록 사가 니벨룽의 반지 라인의 황금》 (1999년)
- 《메텔 레전드》 (2000년)
- 《영 하록을 쫓아라! 코스모 워리어 제로 외전》 (2001년)
- 《대야마토 영호》 (2004년)
- 《은하철도 이야기 ~잊혀진 시간의 혹성~》 (2007년)
- 《아레이의 거울》 (アレイの鏡아레이노 카가미일본어, 1985년) - 국제 과학 기술 박람회에서 공개된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 《세인트 엘모 빛의 내방자》 (セントエルモ 光の来訪者센토 에루모 히카리노 라이호샤일본어, 1986년) - 간사이 전력 창립 35주년 기념 기업 홍보용 장편 애니메이션.
- 《빛의 바람의 아르마》 (光の風のアーマ히카리노 카제노 아루마일본어, 1992년) - 하우스텐보스 애니메이션 월드에서 상영된 작품.
- 《만화 비디오 우주해적 캡틴 하록》 (まんがビデオ 宇宙海賊キャプテンハーロック만가 비디오 우주해적 캡틴 하록일본어, 1999년)
- 《지구의 BOOO! 천연가스 생활을 지탱하는 에너지》 (地球のBOOO! 天然ガス・暮らしをささえるエネルギー치큐노 부! 텐넨가스 쿠라시오 사사에루 에네루기일본어, 1999년) - 도쿄 가스 주식회사 홍보부 기획.
- 《미래 스노우 엔젤 -물과 생명의 행성-》 (未来・スノーエンゼル -水と生命の惑星-미라이 스노우 엔젤 미즈토 세이메이노 와쿠세이일본어, 2002년) - 풀 CG 애니메이션.
- 《유마의 이야기 ~심포니 No.V》 (ユマの物語 ~シンフォニーNo.V유마노 모노가타리 심포니 넘버 파이브일본어, 2004년) - 웹 작품.
- 《KANPAI!-건배-》 (KANPAI!-乾杯-칸파이!-칸파이-일본어, 2015년) - 일본 주조 조합 중앙회 애니메이션. 캐릭터 원안.
7.3. 원작 제공 및 디자인
애니메이션, 게임, 상품 등에 원작자로서 참여하거나 디자인을 제공한 작품들이다.
- C. L. 무어의 스페이스 오페라 소설 《노스웨스트 스미스》 시리즈 일본어판 표지 일러스트 및 삽화 (1971년).
- 도호 영화 《모스라 대 고지라》 리바이벌 상영 시 팜플렛 표지에 고지라 일러스트 (1980년).
- 다프트 펑크 앨범 《디스커버리》 뮤직 비디오 제작 (2001년).
- 마이크로소프트 컴뱃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3 PC 소프트웨어 CD-ROM 케이스 라벨 그림 (2002년).
- 몽골과 일본의 '외교 관계 수립 30주년' 기념 우표 디자인 (2002년).
- 도쿄도 관광기선의 수상버스 '히미코', '호타루나', '에메랄다스' 디자인 (2004년, 2012년, 2018년).
- 홋카이도 치호쿠 고원 철도 후루사토 은하선 CR75형 차량 페인팅 열차 디자인 (2005년).
- NHK 《탐험 로망 세계유산》 진행역 CG 캐릭터 디자인.
- 와쿠나가 제약의 무좀·백선 치료제 '마세트 로션T' 패키지 디자인 (2006년).
- 도쿄도 네리마구의 '네리탄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in 오이즈미' 일환으로 세이부 철도 오이즈미가쿠엔역 일일 역장 및 캐릭터 디자인 (2008년).
- 도요타 자동차 TV-CM '내일의 하모니' 출연 (2008년).
- 도쿄도 기타구 타키노가와 상점가 '타키노가와 바바 상점회' 심볼 캐릭터 및 간판 디자인.
-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3000계 전차 디자인 (2009년~2014년).
- 기타큐슈 모노레일 1000형 전차 랩핑 차량 디자인 (2010년~2016년, 2017년 '신 은하철도 999호'로 재디자인).
- 후쿠시마현 이나와시로호·우라반다이 수환경 보전 이미지 캐릭터 발표 (2010년).
- 후지 TV 꿈 스페셜 '타모리×SMAP 우리는 미래를 믿자! ~우주로의 도전과 기적의 이야기~' 내 애니메이션 작품 '하야부사의 기적' 감수·캐릭터 디자인 담당 (2011년).
- 에히메현 도온시 봇짱 극장 뮤지컬 '막부 말 소녀 - 닥터 오이네 이야기' 포스터 원화 제작 (2011년).
- ORANGE RANGE의 유닛 'NaotoHiroki&karatesystems' 앨범 《트래블 사운즈》 재킷 그림 (2013년).
- 북큐슈시 하수도 사업 100주년 기념 맨홀 디자인 (2018년).
7.4. 저서 및 화집
그가 직접 저술하거나 그림을 그린 에세이집, 화집, 비평서 등이다.
- 《레이지의 메카 존》 (零士のメカゾーン레이지노 메카 존일본어, 1979년, 마이니치 신문사) - 메카 중심의 일러스트집.
- 《영차원 우주 연대기》 (零次元宇宙年代記레이지겐 우추 넨다이키일본어, 1983년, 야마토쇼보) - 건 프론티어 II를 비롯한 마츠모토 레이지 소설·에세이집.
- 《시간의 톱니바퀴-기계 환상 스위스 기행-》 (時の歯車-機械幻想スイス紀行-토키노 하구루마-키카이 겐소 스위스 키코-일본어, 1999년, 일본 방송 출판 협회)
- 《멀리 시간의 바퀴가 접하는 곳》 (遠く時の輪の接する処토오쿠 토키노 와노 셋스루 토코로일본어, 2002년, 도쿄 서적) - 마츠모토의 자서전.
- 《마츠모토 레이지 화집-별의 바다, 미의 유전자》 (松本零士画集-星の海、美の遺伝子마츠모토 레이지 가슈-호시노 우미, 비노 이덴시일본어, 2004년, 아이이쿠샤)
- 《마츠모토 레이지 미래로 날아오르는 명언집-야마토・999의 말들-》 (松本零士未来へ翔び立つ名言集-ヤマト・999の言葉たち-마츠모토 레이지 미라이에 토비타츠 메이겐슈-야마토・999노 코토바타치-일본어, 2010년, 다케쇼보)
- 《미래 창조-꿈의 발상법-》 (未来創造-夢の発想法-미라이 소조-유메노 핫소호-일본어, 2010년, 가도카와 쇼텐)
- 《만화 역사 대박물관》 (漫画歴史大博物館만가 레키시 다이하쿠부쓰칸일본어, 1980년, 브론즈샤) - 마츠모토 레이지 편저.
- 《소년 소설 대계 별권 3 소년 만화 걸작집 1》 (少年小説大系 別巻3 少年漫画傑作集1쇼넨 쇼세츠 다이케이 벳칸 3 쇼넨 만가 케이사쿠슈 1일본어, 1993년, 산이치쇼보)
- 《소년 소설 대계 별권 4 소년 만화 걸작집 2》 (少年小説大系 別巻4 少年漫画傑作集2쇼넨 쇼세츠 다이케이 벳칸 4 쇼넨 만가 케이사쿠슈 2일본어, 1993년, 산이치쇼보)
- 《만화 대박물관-1924 - 1959-》 (漫画大博物館-1924 - 1959-만가 다이하쿠부쓰칸-1924 - 1959-일본어, 2004년, 쇼가쿠칸 크리에이티브) - 마츠모토 레이지 편저.
- 《꿀벌의 모험 마츠모토 레이지 미발표·초기 작품집 한정판 BOX》 (蜜蜂の冒険 松本零士未発表・初期作品集 限定版BOX미츠바치노 보켄 마츠모토 레이지 미핫표 쇼키 사쿠힌슈 한테이반 박스일본어, 2014년, 쇼가쿠칸 크리에이티브)
8. 기타 활동 및 직책
마츠모토 레이지는 예술 활동 외에도 다양한 공직, 사회 활동, 교육 활동에 참여했다.
8.1. 공직 및 사회 활동
- 일본 만화가협회 상무이사 (2000년 5월 ~ 2018년 6월경 퇴임), 저작권부 책임자.
- 컴퓨터 소프트웨어 저작권 협회 이사 (비상근, 2003년 4월 ~ 2011년 3월 또는 2012년 3월 사이 퇴임).
- 쓰쿠바 과학 만국 박람회 기념 재단 평의원 (2002년 4월 ~ 2021년 5월).
- 일본 우주 소년단 이사장 (1994년 9월 ~ 2021년 6월).
- 우주 개발 위원회 전문위원.
- 중앙 청소년 단체 연락 협의회 회장.
- 군산 시립 후레아이 과학관 명예 관장 (2001년 10월 ~ 2021년 6월).
- 디스커버리 파크 야이즈 천문 과학관 명예 관장 (1997년 4월 ~ 2021년 6월).
- 기후 가카미가하라 항공 우주 박물관 명예 관장 (1996년 ~ 2021년 3월).
- 오사카부립 대형 아동관 빅밴 (현 사카이 시립 빅밴) 관장 (1999년 ~ 2010년), 명예 관장 (2010년 ~ 2021년 6월).
- 구레 시 해사 역사 과학관 (야마토 뮤지엄) 명예 관장 (2005년 ~ 2021년 6월).
- 규슈 철도 기념관 (기타큐슈시 모지구) 명예 관장 (2003년 ~ 2021년 6월).
- 기타큐슈 시 만화 박물관 (기타큐슈시 고쿠라키타구) 명예 관장 (2012년 8월 ~ 2021년 6월).
- 후쿠시마현 등이 주관하는 '전국 고등학교 컴퓨터 콘테스트' (컴퓨터 고시엔) 심사위원장 (2003년~).
- 에히메현 이요 관광 대사 (2003년 2월).
- 후쿠시마현 샤쿠나게 대사 (2004년 6월).
8.2. 디자인 작업
- 긴테쓰 이가선 '닌자 열차' 디자인 (1997년, 2003년 재디자인).
- 오사카부립 대형 아동관 빅밴 마스코트 캐릭터 '베알'과 '메로우' 디자인 (1999년).



이즈미키타 고속철도선 5000계 차량 1편성에 페인트 열차로 적용되었으며, 2017년 10월까지 운행되었다. 2000년에 폐차된 오사카부 도시개발 100계 전차 588호에도 '베알'이 디자인되어 이즈미가오카역 근처 공원에 정태 보존되어 있다.
- 후쿠이현 쓰루가시 역 앞 거리에 《은하철도 999》, 《우주전함 야마토》를 주제로 한 28개의 청동 모뉴먼트 건립 (1999년).
- 기타큐슈시 야하타히가시구 스페이스월드역 앞에서 개최된 기타큐슈 박람제 2001 공식 포스터.
-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시 고리야마 시립 후레아이 과학관 '스페이스 파크' 마스코트 캐릭터 '엔젤나'와 '미냥' 디자인 (2001년).
- 고쿠라 경륜장 마스코트 캐릭터 '스페이스 나이트' 디자인.
- 도쿄도 관광기선 수상버스 '히미코', '호타루나', '에메랄다스' 디자인.

- 홋카이도 치호쿠 고원 철도 후루사토 은하선 CR75형 차량 페인팅 열차 디자인 (2005년). 폐선 후 아쇼로군 리쿠베쓰정의 후루사토 은하선 리쿠베쓰 철도에서 동태 보존 중이다.
- NHK '탐험 로망 세계유산' 진행역 CG 캐릭터 디자인.
- 도쿄도 네리마구의 '네리탄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in 오이즈미' 일환으로 세이부 철도 오이즈미가쿠엔역에서 《은하철도 999》 캐릭터 '차장'과 함께 일일 역장 수행 (2008년).
- 네리마구의 주민표, 호적 관련 증명서, 과세 증명서 등 각종 증명서 발행 용지에 《은하철도 999》의 999호, 메텔, 호시노 테츠로, 차장의 일러스트가 인쇄되었다 (2009년 8월 3일 ~ 2013년 8월 2일).
- 2012년 8월 1일부터는 원동기장치자전거 번호판에 메텔의 컬러 일러스트가 그려진 오리지널 플레이트가 제작되어 5,000매 한정으로 교부되었다.
- 오이즈미가쿠엔역 북쪽 출구에 2015년 4월 4일 개장한 오이즈미 애니메이션 게이트에는 메텔과 호시노 테츠로의 등신대 청동상이 설치되었다.
- 도쿄도 기타구 타키노가와 상점가 '타키노가와 바바 상점회' 심볼 캐릭터 및 간판 디자인.
-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소속 3000계에 메텔, 호시노 테츠로, 차장을 새긴 디자인 전차 디자인 (2009년 5월 ~ 2014년 12월 운행).
- 기타큐슈 모노레일 개업 25주년 기념으로 1000형에 메텔, 호시노 테츠로, 차장을 디자인한 랩핑 차량 디자인 (2010년 3월 ~ 2016년 12월).
- 오사카부 이즈미키타 고속철도선의 페인트 열차 운행 종료 후, 7000계 차량 1편성에 새로운 랩핑 차량 '프론티어호'에 오사카부립 대형 아동관 빅밴의 마스코트 캐릭터 '베알'과 '메로우' 디자인 제공 (2017년 10월 2일).
- 북큐슈시 하수도 사업 100주년 기념 맨홀 9종 디자인 (20마리, JR 고쿠라역 주변에 설치). 기타큐슈 공항에 메텔 디자인 맨홀 1종 설치 (2018년 6월).
8.3. 교육 활동
- 디지털 할리우드 대학 특임교수.
- 교토 산업대학 전학 공통 교육 센터 객원 교원, 전학 교육 연구 센터 객원 교수.
- 다카라즈카 대학 교수, 훗날 특임교수 (2005년 ~ 2021년). 15년간 교편을 잡으며 많은 학생들에게 가르침을 주었다.
9. 관련 항목
- 레이지 (소행성)
- 마키 미야코
- 니시자키 요시노부
- 마키하라 노리유키
- 레이지버스
- 레이지 미터
- 오사카부 도시개발 5000계 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