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과 배경
카네하라 마사노리는 1982년 11월 19일 일본 도쿄도 무사시무라야마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절에 야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이후 도쿄도립 타나시 공업고등학교에 진학했지만 학업을 중퇴했다. 우연히 동네의 한 도장을 방문한 것이 계기가 되어 격투기 수련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는 선수 생활 초기에는 총합격투기 무사시무라야마 도장에서 훈련했으며, 이후 파라에스트라 하치오지/팀 ZST를 거쳐 현재는 리버설 짐 타치카와 ALPHA를 주재하고 있다. 그의 주된 격투 스타일은 브라질리언 주짓수이며, 그는 이 분야에서 검은띠를 보유하고 있다. 카네하라 마사노리의 신장은 172 cm, 체중은 66 kg, 리치는 173.5 cm이다. 그는 또한 "킨짱", "ZST 최강의 남자", "일본 격투기계의 그림자 반장", "일본 페더급 뒷골목 반장", "야마모토 KID를 쓰러뜨린 유일한 일본인", "주짓수의 신" 등 여러 별명을 가지고 있다.
2. 종합격투기 경력
카네하라 마사노리의 프로 종합격투기 경력은 2003년에 시작되었으며, 다양한 프로모션을 거치며 주목할 만한 여정과 중요한 시합들을 경험했다.
2.1. 초기 경력과 부상
카네하라 마사노리는 2003년 9월 15일 DEEP 12th 임팩트에서 라이트급 경기로 프로 종합격투기 데뷔전을 치렀으나 스기우치 이사무에게 리어네이키드 초크로 패했다. 초기 경력 동안 그는 DEEP, ZST, 판크라스 등 여러 일본 단체에서 활동하며 13승 6패 5무의 기록을 세웠다.
초기 활동 중 그는 2007년 3월 12일 HERO'S에서 테츠 스즈키를 상대로 2-0 판정승을 거두었고, 같은 해 4월 14일 K-1 글래디에이터스 2007 에스토니아 대회에서 아루나스 유르겔레나스에게 초크로 승리했다. 하지만 2008년 10월 23일 DEEP 38 임팩트에서 오츠카 타카후미에게 1-2로 판정패하기도 했다. 2009년 2월 1일 판크라스에서 아라이 켄지를 펀치로 KO시키며 센고쿠 진출 전까지의 성장 과정을 보여주었다.
2.2. 센고쿠 / SRC 시대
2009년 카네하라 마사노리는 센고쿠(World Victory Road)의 페더급 그랑프리(65 kg)에 참가하며 센고쿠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3월 20일 센고쿠 7진에서 김종만을 상대로 3-0 판정승을 거두며 1회전을 통과했고, 5월 2일 센고쿠 8진에서 정찬성을 상대로 다시 3-0 판정승을 거두며 2회전을 통과했다. 8월 2일 센고쿠 9진 그랑프리 준결승에서 히오키 하츠에게 0-3 판정패를 당했지만, 히오키가 뇌진탕으로 인한 의학적 불허가를 받아 결승전 출전이 불가능해지자 그를 대신하여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유도카 오미가와 미치히로를 상대로 2-1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며 그랑프리 우승을 차지했고, 동시에 초대 센고쿠 페더급 챔피언에 등극했다. 당시 그의 승리는 17대 1의 낮은 확률을 뚫은 이변으로 평가받았다.
그랑프리 우승 이후, 2009년 12월 31일 Dynamite!! 2009에서 야마모토 "KID" 노리후미와 논타이틀전을 치러 3-0 판정승을 거두었다. 이 승리는 카네하라가 야마모토 "KID" 노리후미를 꺾은 유일한 일본인 선수라는 역사적인 기록을 남겼다. 2010년 6월 20일 SRC 13에서 마를론 산드로를 상대로 첫 타이틀 방어전에 나섰으나, 경기 시작 38초 만에 어퍼컷을 맞고 KO패하며 왕좌에서 물러났다. 같은 해 12월 30일 센고쿠 소울 오브 파이트에서 마에다 요시로에게 TKO패를 당했다.
2.3. UFC 진출 이전 시기
센고쿠 시대가 끝난 후 카네하라 마사노리는 7승 2패의 기록을 쌓으며 다시 상승세를 탔다. 2011년 7월 7일 러시아에서 열린 파이트 나이츠 배틀 오브 모스크바 4에서 라스울 미르자예프와의 65kg급 타이틀전에서 TKO패를 당하며 왕좌 획득에 실패했다. 하지만 2012년 4월 8일 HEAT에서 제이크 해튼을 상대로 밴텀급 첫 경기를 치러 초크 슬리퍼로 서브미션 승리를 거두었다.
이 시기 그는 판크라스 252에서 조 피어슨을 상대로 21초 만에 펀치 KO승을 거두기도 했다. 2012년 12월 22일 DEEP HALEO 임팩트에서 톰 맥케나에게 TKO 승리 후, 마이크를 잡고 관중석에 있던 여자친구에게 공개적으로 프로포즈를 하여 화제가 되었다. 2014년 4월 29일 DEEP 66 임팩트에서 키타다 토시아키와 대결 중, 카네하라가 길로틴 초크에 잡힌 상태에서 키타다를 링 밖으로 밀쳐내 두 선수 모두 링 밖으로 떨어졌다. 이로 인해 키타다가 후두부를 부상당해 경기 속행이 불가능해졌고, 심판진은 카네하라가 고의로 상대를 링 밖으로 떨어뜨렸다고 판단하여 반칙패를 선언했다.
2.4. 얼티밋 파이팅 챔피언십 (UFC)
2014년 7월, 카네하라 마사노리는 UFC와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되었다. 원래는 2014년 9월 20일 UFC 파이트 나이트 52에서 유라이아 페이버와 대결할 예정이었으나, 공식 발표 전에 페이버가 빠지고 알렉스 카세레스와 대결하게 되었다. 카네하라는 UFC 데뷔전에서 카세레스에게 3-0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며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2015년 6월 27일 UFC 파이트 나이트 70에서 라니 야히야와 대결할 예정이었으나, 미국 국무부 영사국의 기술적 문제로 인해 비자 발급이 지연되면서 여러 국제 선수들의 여행 제한이 발생했다. 이 문제로 인해 여러 경기가 연기되었고, 결국 카네하라 대 야히야 경기는 2015년 7월 15일 UFC 파이트 나이트 71로 미뤄졌다. 카네하라는 이 경기에서 1-2 스플릿 판정패를 당했다.
2016년 1월 2일 UFC 195에서 마이클 맥도널드와 대결했다. 그는 1라운드를 압도하며 경기를 유리하게 이끌었고, 2라운드에서도 암 트라이앵글 초크로 맥도널드를 거의 서브미션 직전까지 몰아붙였다. 그러나 맥도널드가 빠져나와 오히려 리어네이키드 초크로 카네하라를 역전 서브미션 시켰고, 카네하라는 2라운드 서브미션 패배를 당했다. 이 패배 이후 그는 UFC에서 방출되었다.
이 경기에는 논란이 있었다. 카네하라 측은 맥도널드가 암 트라이앵글 초크에서 벗어나는 과정에서 케이지 그래브 (Cage Grab, 철망 잡기) 반칙을 저질렀다고 주장하며 UFC와 북미 커미션에 항의했다. 그러나 UFC는 그의 계약을 갱신하지 않았고, 커미션 또한 "심판이 반칙을 놓친 경우 판정 변경의 이유가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카네하라 측의 항소를 기각했다. 카네하라 본인은 이 판정에 대해 "이런 식이라면 레프리에게 들키지 않으면 무엇이든 해도 좋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경기는 지금도 납득할 수 없다"고 여러 차례 언급하며 불만을 표했다.
2.5. 일본 단체 복귀
UFC 방출 후 카네하라 마사노리는 다시 일본 종합격투기 단체인 DEEP으로 돌아왔다. 2016년 12월 17일 DEEP 케이지 임팩트 2016에서 찰리 알라니스와 대결하여 1라운드 닥터 스톱 TKO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는 그의 페더급 복귀전이었다. 2018년 4월 1일 DEEP 하치오지 초인 마츠리 2018에서는 좀호드 츄왓타나를 상대로 1라운드 어깨 조르기 서브미션 승리를 기록했다.
종합격투기 외에도 짧은 기간 동안 킥복싱 경기에 도전하기도 했다. 2017년 7월 20일 로드 투 KNOCK OUT 2에서 나카오 미츠루를 상대로 5라운드 TKO승을 거두었고, 인터뷰에서 당시 RISE 라이트급 챔피언이었던 후카시와 대결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후 2017년 12월 10일 킹 오브 KNOCK OUT 2017에서 후카시와 실제로 대결했으나, 5라운드 판정패를 당했다. 이 경기에서 그는 후카시의 앞니를 부러뜨리는 등 선전했다.
2.5.1. RIZIN 파이팅 페더레이션
카네하라 마사노리는 2020년 2월 22일 RIZIN에 처음으로 출전하여 RIZIN.21에서 당시 DEEP 밴텀급 챔피언이었던 빅터 헨리와 대결했다. 1라운드에서 그라운드에서 우위를 점했음에도 불구하고, 2라운드에 라이트 훅을 맞고 다운된 후 파운딩에 의한 TKO패를 당했다. 이 경기 후 그는 기자회견에서 "패배하면 은퇴하겠다고 결심했다"며 일시적인 은퇴를 선언했다. 하지만 2021년 2월, 그는 약 5 kg 높은 페더급으로 체급을 올려 복귀를 선언하며 다시 한번 그의 회복력을 보여주었다.
복귀 후, 2021년 10월 24일 RIZIN.31에서 전 DEEP 페더급 챔피언인 아시다 타카히로와 대결하여 2라운드 라이트 스트레이트로 다운시킨 후 엘보우와 파운딩을 퍼부어 TKO 승리를 거두었다. 2022년 4월 16일 RIZIN TRIGGER 3rd에서는 레블 FC 페더급 챔피언인 마지마 카즈마사를 상대로 3라운드 파운딩에 의한 TKO 승리를 기록했다.
2023년 4월 29일 RIZIN LANDMARK 5에서 초대 파이팅 넥서스 페더급 챔피언인 야마모토 소라와 대결하여 스탠딩 타격으로 다운을 빼앗고 그라운드에서도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며 3-0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경기 후 마이크 퍼포먼스에서 그는 자신의 강함을 시험하고 싶다며 부갈 케라모프와의 대결을 요구했다. 2023년 9월 24일 RIZIN.44에서 전 RIZIN 페더급 챔피언인 클레베르 코이케 에르브스트와 대결하여 그라운드에서 우위를 점하며 경기를 지배했고, 3-0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며 클레베르의 브라질리언 주짓수 기술을 무력화시켰다.
2024년 4월 29일 아리아케 아레나에서 열린 RIZIN.46에서 현 RIZIN 페더급 챔피언인 스즈키 치히로를 상대로 타이틀전에 나섰으나, 1라운드 4분 20초에 펀치에 의한 TKO패를 당하며 왕좌 획득에 실패했다.
3. 주요 타이틀 및 수상
카네하라 마사노리는 종합격투기 및 다른 격투 스포츠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주요 타이틀과 토너먼트 우승, 개인 수상 내역을 획득했다.
- 센고쿠
- 초대 센고쿠 페더급 챔피언 (1회)
- 2009년 센고쿠 페더급 그랑프리 우승
- 기타
- 제4회 다카다 도장 서브미션 레슬링 토너먼트 75kg급 우승 (2004년)
- 센고쿠 베스트 바우트 상 (1회)
4. 개인 생활 및 주요 일화
카네하라 마사노리는 그의 개인 생활에서도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일화를 가지고 있다. 2012년 12월 22일 DEEP HALEO 임팩트에서 톰 맥케나에게 승리한 후, 그는 경기장에서 마이크를 잡고 관중석에 있던 여자친구에게 공개적으로 프로포즈를 하여 많은 이들의 축하를 받았다.
그의 격투 경력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 중 하나는 야마모토 "KID" 노리후미와 정찬성을 상대로 승리한 유일한 일본인 선수라는 점이다. 특히 야마모토 "KID" 노리후미는 일본 격투기계의 전설적인 인물로, 카네하라가 2009년 Dynamite!! 2009에서 그를 꺾은 것은 그의 경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또한 정찬성은 한국 종합격투기계의 대표적인 선수로, 그를 상대로 승리한 것 역시 그의 뛰어난 실력을 입증하는 사례이다.
5. 평가와 유산
카네하라 마사노리는 일본 종합격투기계에 오랜 기간 동안 큰 영향을 미쳐왔다. 그의 경력은 부상, 패배, 심지어 일시적인 은퇴 선언 등 여러 난관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재기하며 회복력의 상징이 되었다. 그는 초대 센고쿠 페더급 챔피언으로서 일본 종합격투기 단체의 황금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UFC와 RIZIN에서도 인상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일본 페더급의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야마모토 "KID" 노리후미와 정찬성과 같은 당대의 유명한 선수들을 상대로 일본인 선수로서 유일하게 승리한 기록은 그의 독특한 위상과 기여를 잘 보여준다. UFC 195에서 마이클 맥도널드와의 경기에서 불공정한 판정으로 인해 패배했다고 주장하며 스포츠의 공정성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낸 점은, 그가 단순한 선수를 넘어 스포츠의 진정성을 중요하게 여겼음을 보여준다. 최근 RIZIN에서의 활약은 그가 40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증명하며, 그의 투혼과 꾸준함은 많은 후배 선수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그는 단순히 경기에서 승리하는 것을 넘어, 일본 격투기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인물로 평가된다.
6. 경기 기록
6.1. 프로 종합격투기
승패 | 총 전적 | 상대 선수 | 승리/패배 방식 | 대회명 | 개최일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
패 | 31-15-5 | 스즈키 치히로 | TKO (펀치) | RIZIN.46 | 2024년 4월 29일 | 1 | 4:20 | 도쿄, 일본 | RIZIN 페더급 챔피언십 | |
승 | 31-14-5 | 클레베르 코이케 에르브스트 | 판정 (만장일치) | RIZIN.44 | 2023년 9월 24일 | 3 | 5:00 | 사이타마, 일본 | ||
승 | 30-14-5 | 야마모토 소라 | 판정 (만장일치) | RIZIN LANDMARK 5 | 2023년 4월 29일 | 3 | 5:00 | 도쿄, 일본 | ||
승 | 29-14-5 | 마지마 카즈마사 | TKO (펀치) | RIZIN TRIGGER 3rd | 2022년 4월 16일 | 3 | 3:37 | 초후, 일본 | ||
승 | 28-14-5 | 아시다 타카히로 | TKO (펀치 및 엘보우) | RIZIN.31 | 2021년 10월 24일 | 2 | 1:18 | 요코하마, 일본 | ||
패 | 27-14-5 | 빅터 헨리 | TKO (펀치) | RIZIN.21 | 2020년 2월 22일 | 2 | 0:45 | 하마마쓰, 일본 | 밴텀급 경기. | |
승 | 27-13-5 | 좀호드 츄왓타나 | 서브미션 (어깨 조르기) | DEEP 하치오지 초인 마츠리 2018 | 2018년 4월 1일 | 1 | 1:55 | 도쿄, 일본 | 페더급 복귀 | |
승 | 26-13-5 | 찰리 알라니스 | TKO (닥터 스톱) | DEEP 케이지 임팩트 2016: DEEP vs WSOF-GC | 2016년 12월 17일 | 1 | 0:30 | 도쿄, 일본 | ||
패 | 25-13-5 | 마이클 맥도널드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UFC 195 | 2016년 1월 2일 | 2 | 2:09 | 라스베이거스, 네바다 주, 미국 | ||
패 | 25-12-5 | 라니 야히야 | 판정 (스플릿) | UFC 파이트 나이트: 미르 vs. 더피 | 2015년 7월 15일 | 3 | 5:00 |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 주, 미국 | ||
승 | 25-11-5 | 알렉스 카세레스 | 판정 (만장일치) | UFC 파이트 나이트: 헌트 vs. 넬슨 | 2014년 9월 20일 | 3 | 5:00 | 사이타마, 일본 | ||
패 | 24-11-5 | 키타다 토시아키 | 실격 (링 밖으로 던짐) | DEEP 66 임팩트 | 2014년 4월 29일 | 1 | 1:37 | 도쿄, 일본 | ||
승 | 24-10-5 | 조 피어슨 | KO (펀치) | 판크라스 252: 20주년 기념 | 2013년 9월 29일 | 1 | 0:21 | 요코하마, 일본 | ||
승 | 23-10-5 | 웨이드 쵸트 | KO (펀치) | DEEP 62 임팩트 | 2013년 4월 26일 | 1 | 4:16 | 도쿄, 일본 | ||
승 | 22-10-5 | 톰 맥케나 | TKO (펀치) | DEEP 할레오 임팩트 | 2012년 12월 22일 | 1 | 2:45 | 도쿄, 일본 | ||
승 | 21-10-5 | 토니 레이스 | TKO (펀치) | DEEP 도쿄 임팩트 2012 인 디퍼 아리아케 | 2012년 7월 21일 | 1 | 4:28 | 도쿄, 일본 | 밴텀급 데뷔 | |
승 | 20-10-5 | 제이크 해튼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HEAT 22 | 2012년 4월 8일 | 1 | 3:16 | 도쿄, 일본 | 라이트급 경기 | |
승 | 19-10-5 | 브래디 해리슨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XFS: 힐사이드 해벅 | 2011년 11월 19일 | 3 | 3:59 | 밸리 센터, 캘리포니아 주, 미국 | 캐치웨이트 (64 kg (140 lb)) 경기 | |
패 | 18-10-5 | 라스울 미르자예프 | TKO (펀치) | 파이트 나이츠: 모스크바 전투 4 | 2011년 7월 7일 | 1 | 1:44 | 모스크바, 러시아 | 65kg급 타이틀 매치 | |
승 | 18-9-5 | 미야지 토모유키 | KO (펀치) | 판크라스: 인상적인 투어 5 | 2011년 6월 5일 | 2 | 0:09 | 도쿄, 일본 | ||
패 | 17-9-5 | 마에다 요시로 | TKO (스탠딩 펀치 연타) | 월드 빅토리 로드 프레젠츠: 소울 오브 파이트 | 2010년 12월 30일 | 1 | 1:27 | 도쿄, 일본 | ||
패 | 17-8-5 | 마를론 산드로 | KO (펀치) | 월드 빅토리 로드 프레젠츠: 센고쿠 라이덴 챔피언십 13 | 2010년 6월 20일 | 1 | 0:38 | 도쿄, 일본 | 센고쿠 페더급 챔피언십 타이틀 방어 실패 | |
승 | 17-7-5 | 야마모토 "KID" 노리후미 | 판정 (만장일치) | Dynamite | 2009 | 2009년 12월 31일 | 3 | 5:00 | 사이타마, 일본 | 논타이틀전 |
승 | 16-7-5 | 오미가와 미치히로 | 판정 (스플릿) | 월드 빅토리 로드 프레젠츠: 센고쿠 9 | 2009년 8월 2일 | 3 | 5:00 | 사이타마, 일본 | 센고쿠 페더급 그랑프리 결승 | |
패 | 15-7-5 | 히오키 하츠 | 판정 (만장일치) | 월드 빅토리 로드 프레젠츠: 센고쿠 9 | 2009년 8월 2일 | 3 | 5:00 | 사이타마, 일본 | 센고쿠 페더급 그랑프리 준결승 | |
승 | 15-6-5 | 정찬성 | 판정 (만장일치) | 월드 빅토리 로드 프레젠츠: 센고쿠 8 | 2009년 5월 2일 | 3 | 5:00 | 도쿄, 일본 | 센고쿠 페더급 그랑프리 8강전 | |
승 | 14-6-5 | 김종만 | 판정 (만장일치) | 월드 빅토리 로드 프레젠츠: 센고쿠 7 | 2009년 3월 20일 | 3 | 5:00 | 도쿄, 일본 | 센고쿠 페더급 그랑프리 16강전 | |
승 | 13-6-5 | 아라이 켄지 | KO (펀치) | 판크라스: 체인징 투어 1 | 2009년 2월 1일 | 1 | 3:14 | 도쿄, 일본 | ||
패 | 12-6-5 | 오츠카 타카후미 | 판정 (스플릿) | DEEP 38 임팩트 | 2008년 10월 23일 | 2 | 5:00 | 도쿄, 일본 | 페더급 데뷔 | |
승 | 12-5-5 | 스기우치 이사무 | KO (스탠딩 펀치 연타) | ZST: 배틀 해저드 03 | 2008년 8월 24일 | 1 | 0:47 | 도쿄, 일본 | ||
패 | 11-5-5 | 에리카스 페트라이티스 | 판정 | 슈토 리투아니아: 부시도 2008 | 2008년 3월 16일 | 2 | 5:00 | 빌뉴스, 리투아니아 | ||
승 | 11-4-5 | 시미즈 슌이치 | 서브미션 (암바) | ZST.16 | 2008년 2월 24일 | 2 | 0:42 | 도쿄, 일본 | ||
무 | 10-4-5 | 코타니 나오유키 | 무승부 (시간 만료) | ZST.15: 5주년 기념 대회 | 2007년 11월 23일 | 2 | 5:00 | 도쿄, 일본 | ||
승 | 10-4-4 | 토리야마 요이치로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ZST.14 | 2007년 10월 7일 | 1 | 3:45 | 도쿄, 일본 | ||
패 | 9-4-4 | 니시우치 타시로 | KO (펀치) | ZST.13 | 2007년 6월 10일 | 1 | 3:59 | 도쿄, 일본 | ||
승 | 9-3-4 | 아루나스 유르겔레나스 | 서브미션 (초크) | K-1 글래디에이터스 2007 에스토니아 | 2007년 4월 14일 | 1 | 1:47 | 탈린, 에스토니아 | ||
승 | 8-3-4 | 테츠 스즈키 | 판정 (다수) | HERO'S 8 | 2007년 3월 12일 | 2 | 5:00 | 나고야, 일본 | ||
승 | 7-3-4 | 사토 신야 | 서브미션 (암바) | ZST.12 | 2007년 2월 12일 | 1 | 0:56 | 도쿄, 일본 | ||
승 | 6-3-4 | 히무라 타로 | 서브미션 (암바) | ZST 스왓! 08 | 2006년 12월 17일 | 1 | 2:20 | 도쿄, 일본 | ||
승 | 5-3-4 | 이토 켄이치 | KO (니킥) | ZST 스왓! 07 | 2006년 10월 1일 | 2 | 1:00 | 도쿄, 일본 | ||
무 | 4-3-4 | 오타 히로유키 | 무승부 (시간 만료) | ZST 스왓! 06 | 2006년 8월 27일 | 2 | 5:00 | 도쿄, 일본 | ||
승 | 4-3-3 | 히야마 히사시 | 서브미션 (암바) | ZST 스왓! 05 | 2006년 6월 4일 | 1 | 0:56 | 도쿄, 일본 | ||
승 | 3-3-3 | 사이토 토시유키 | TKO (니킥) | ZST 스왓! 04 | 2006년 4월 23일 | 1 | 1:37 | 도쿄, 일본 | ||
패 | 2-3-3 | 사토 신야 | 서브미션 (치킨윙 암락) | ZST.8 | 2005년 11월 23일 | 2 | 2:47 | 도쿄, 일본 | ||
무 | 2-2-3 | 이소자키 노리마사 | 무승부 (시간 만료) | ZST: 배틀 해저드 2 | 2005년 9월 10일 | 2 | 5:00 | 도쿄, 일본 | ||
무 | 2-2-2 | 오타 히로유키 | 무승부 (시간 만료) | ZST 스왓! 02 | 2005년 7월 24일 | 2 | 5:00 | 도쿄, 일본 | ||
무 | 2-2-1 | 오쿠데 마사유키 | 무승부 (시간 만료) | ZST 스왓! 01 | 2005년 4월 17일 | 2 | 5:00 | 도쿄, 일본 | ||
승 | 2-2 | 이다 사토루 | 판정 (만장일치) | ZST: 그랑프리 2 결승 라운드 | 2005년 1월 23일 | 1 | 5:00 | 도쿄, 일본 | ||
패 | 1-2 | 오쿠데 마사유키 | 서브미션 (암바) | ZST: 그랑프리 2 오프닝 라운드 | 2004년 11월 3일 | 1 | 4:22 | 도쿄, 일본 | ||
승 | 1-1 | 타카야 유키 | 서브미션 (암바) | ZST.6 | 2004년 9월 12일 | 1 | 2:26 | 도쿄, 일본 | ||
패 | 0-1 | 스기우치 이사무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DEEP 12th 임팩트 | 2003년 9월 15일 | 2 | 1:44 | 도쿄, 일본 | 라이트급 경기 |
6.2. 프로 킥복싱
승패 | 총 전적 | 상대 선수 | 승리/패배 방식 | 대회명 | 개최일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패 | 1-1 | 후카시 | 판정 (0-3) | 킹 오브 KNOCK OUT 2017 인 료고쿠 | 2017년 12월 10일 | 5 | 3:00 | 도쿄, 일본 | |
승 | 1-0 | 나카오 미츠루 | TKO (레프리 스톱) | 로드 투 KNOCK OUT.2 | 2017년 7월 20일 | 5 | 1:01 | 도쿄, 일본 |
6.3. 그래플링
승패 | 총 전적 | 상대 선수 (파트너) | 승리/패배 방식 | 대회명 | 개최일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무 | 4-1-3 | 나카무라 다이스케 & 오타 시노부 (파트너: 토코로 히데오) | 무승부 (시간 만료) | RIZIN LANDMARK vol.3 | 2022년 5월 5일 | 1 | 10:00 | 도쿄, 일본 | |
무 | 4-1-2 | 이와사키 마사히로 | 무승부 (시간 만료) | QUINTET 파이트 나이트 5 인 도쿄 | 2020년 10월 27일 | 1 | 8:00 | 도쿄, 일본 | |
무 | 4-1-1 | 세라 토모시게 | 무승부 (시간 만료) | QUINTET 파이트 나이트 인 도쿄 | 2018년 6월 9일 | 1 | 8:00 | 도쿄, 일본 | |
패 | 4-1-0 | 나카무라 다이스케 | 서브미션 (암바) | QUINTET 파이트 나이트 인 도쿄 | 2018년 6월 9일 | 1 | 2:33 | 도쿄, 일본 | |
승 | 4-0-0 | 빅터 헨리 | 서브미션 (아킬레스 건 록) | QUINTET 파이트 나이트 인 도쿄 | 2018년 6월 9일 | 1 | 7:11 | 도쿄, 일본 | |
승 | 3-0-0 | 아즈마 에메르손 | 서브미션 (암락) | ZST.25: 코타니 나오유키 데뷔 10주년 기념 대회 | 2010년 9월 26일 | 2 | 4:47 | 도쿄, 일본 | |
승 | 2-0-0 | 히로세 타카유키 | 판정 (포인트 7-5) | DEEP X 03 | 2008년 7월 5일 | 2 | 4:00 | 도쿄, 일본 | |
승 | 1-0-0 | 오쿠데 마사유키 | 서브미션 (암락) | ZST 스왓!-GX 1 | 2007년 8월 12일 | 1 | 3:18 | 도쿄, 일본 |
6.4. 아마추어 종합격투기
승패 | 총 전적 | 상대 선수 | 승리/패배 방식 | 대회명 | 개최일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패 | 2-3 | 크리스토퍼 밴더빌트 | 서브미션 (프런트 초크) | STE ZET 페더급 시리즈 | 2005년 3월 9일 | 1 | 0:37 | 도쿄, 일본 | |
승 | 2-2 | 이다 사토루 | 판정 (3-0) | ZST-GP2 파이널 스테이지 | 2005년 1월 23일 | 1 | 5:00 | 도쿄, 일본 | 제네시스 페더급 토너먼트 리저버 매치 |
패 | 1-2 | 오쿠데 마사유키 | 서브미션 (암바) | ZST-GP2 오프닝 스테이지 | 2004년 11월 3일 | 1 | 4:22 | 도쿄, 일본 | 제네시스 페더급 토너먼트 1회전 |
승 | 1-1 | 타카야 유키 | 서브미션 (암바) | ZST.6 | 2004년 9월 12일 | 1 | 2:35 | 도쿄, 일본 | |
패 | 0-1 | 스기우치 이사무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DEEP 12th 임팩트 | 2003년 9월 15일 | 2 | 1:44 | 도쿄, 일본 | 라이트급 경기 |
6.5. 엑시비션
승패 | 총 전적 | 상대 선수 | 승리/패배 방식 | 대회명 | 개최일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무 | 0-0-1 | 사쿠마 "불량 선배" 히로토 | 무승부 (시간 만료) | 파이팅 넥서스 vol.30 | 2023년 2월 26일 | 1 | 3:00 | 도쿄, 일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