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마르셀리노 가르시아 토랄(Marcelino García Toral)은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감독이다. 선수 시절에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주로 스포르팅 히혼에서 74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1994년에 28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한 후, 1997년부터 감독 경력을 시작하여 레크레아티보, 라싱 산탄데르, 레알 사라고사, 세비야 FC, 비야레알 CF, 발렌시아 CF, 아틀레틱 빌바오,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등 다수의 스페인 및 해외 클럽을 지휘했다.
그는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레크레아티보), 코파 델 레이 우승(발렌시아),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우승(아틀레틱 빌바오) 등 여러 팀의 우승을 이끌며 성공적인 감독 경력을 쌓았다. 특히 2006-07 시즌과 2017-18 시즌에는 미겔 무뇨스 상을 수상하며 스페인 최고의 감독으로 인정받았다. 2023년 11월에는 과거 인연이 있던 비야레알 CF의 감독으로 복귀하여 현재까지 팀을 이끌고 있다.
2. 선수 경력
마르셀리노는 스페인 아스투리아스의 비야비시오사에서 태어나 유소년 시절을 보냈다.
2.1. 출생 및 유년기
마르셀리노는 1965년 8월 14일 스페인 아스투리아스의 비야비시오사에서 태어났다.
2.2. 청소년 경력
그는 스포르팅 히혼의 유소년 팀을 거쳐 축구 선수로서 성장했다. 또한, 1983년부터 1987년까지 스페인 각 연령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 스페인 U-18 대표팀에서 6경기, U-19 대표팀에서 1경기, U-20 대표팀에서 6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으며, U-21 대표팀에서는 7경기에 나섰다. 특히 1985년 FIFA U-20 월드컵에 참가하여 스페인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2.3. 성인 클럽 경력
마르셀리노는 스포르팅 히혼에서 성인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1985년 12월 22일, 셀타 비고와의 경기에서 프리메라리가 데뷔전을 치렀으며, 경기는 1대1 무승부로 끝났다. 그는 스포르팅 히혼에서 주로 활용되지는 못했으나, 1986-87 시즌에는 개인 최다인 33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리그 4위 달성에 힘을 보탰다. 스포르팅 히혼 소속으로 총 74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이후 세군다 디비시온의 라싱 산탄데르와 레반테 UD로 이적했으나, 두 팀 모두 강등을 경험하는 아쉬움을 겪었다. 특히 라싱 산탄데르에서는 32경기 4골, 레반테에서는 48경기 1골을 기록했다. 1992년에는 하위 리그의 엘체 CF로 옮겨 49경기 1골을 기록했다. 마르셀리노는 1994년, 28세의 나이에 부상으로 인해 현역에서 은퇴했다. 그의 성인 클럽 경력 통산 기록은 262경기 출전, 17골이다.
3. 감독 경력
마르셀리노는 1997년부터 지도자 경력을 시작하여 스페인 및 해외의 여러 클럽을 거치며 다양한 성공과 위기를 경험했다.
3.1. 초기 감독직
마르셀리노는 1997년 32세의 나이로 CD 레알타드의 감독으로 부임하며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아스투리아스 지방에 위치한 이 하위 리그 팀을 이끌었고, 스페인어로 '충성'을 의미하는 팀 이름 '레알타드'와 그의 지도 철학이 잘 어우러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2000년대 초에는 스포르팅 히혼 B팀의 감독으로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5시즌 중 4시즌 동안 팀을 지휘했다.
3.2. 명성을 얻기 시작한 시기 (레크레아티보, 라싱, 사라고사)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스포르팅 히혼 1군 팀의 감독을 맡아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각각 5위와 10위의 성적을 기록했다. 2005년에는 같은 리그의 레크레아티보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첫 시즌 만에 팀을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으로 이끌고 라리가로 승격시켰다. 이듬해인 2006-07 시즌에는 강등 후보로 예상되던 레크레아티보를 리그 8위라는 클럽 역사상 최고 성적으로 이끌며 명성을 얻기 시작했고, 이 공로로 첫 미겔 무뇨스 상을 수상했다.
레크레아티보 감독직을 사임한 후, 2007년에는 과거 선수로 뛰었던 라싱 산탄데르의 지휘봉을 잡았다. 2007-08 시즌에 라싱을 리그 6위라는 구단 역대 최고 성적으로 이끌며 UEFA컵 진출권을 획득했다. 특히 라싱은 이 시즌에 41실점만 기록하여 리그에서 세 번째로 적은 실점을 허용하는 견고한 수비를 선보였다. 이 시기에 그는 레알 베티스의 감독직 제안을 받았으나, 구단 경영진의 간섭에 대한 불만으로 거절한 일화도 있다.
2008년 5월 29일, 라싱을 떠나 세군다 디비시온로 강등된 레알 사라고사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팀의 승격을 목표로 했고, 2008-09 시즌에 리그 2위를 차지하며 팀을 다시 라리가로 승격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계약으로 그는 당시 레알 마드리드의 베른트 슈스터 감독의 퇴임 이후 연봉 240.00 만 EUR를 받으며 스페인 내 최고 연봉 감독이 되었다. 그러나 2009-10 시즌에 접어들어 성적 부진에 시달리자, 2009년 12월 13일 아틀레틱 빌바오에 홈에서 1대2로 패한 경기를 포함하여 부진한 결과를 기록하자 해임되었다. 당시 사라고사는 강등권에서 벗어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질 결정이 내려졌다.

3.3. 위기와 주요 클럽 재임
2011년 2월 초, 마르셀리노는 하위권에 머물던 친정팀 라싱 산탄데르로 복귀하여 미겔 앙헬 포르투갈 감독의 후임이 되었다. 그는 2010-11 시즌을 12위로 마쳤으나, 구단의 급여 미지급 문제로 신뢰를 잃고 2011년 6월 7일 계약을 해지했다.
같은 해 세비야 FC의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2011-12 시즌에 7경기 연속 무승을 기록하며 11위로 추락하자 2012년 2월 6일 경질되었다. 특히 경질 직전 경기는 비야레알에 1대2로 홈에서 패한 경기였다.
2013년 1월 14일, 비야레알 CF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팀을 해당 시즌 말에 라리가로 복귀시켰고, 이후 3시즌 연속 리그 6위 이내에 진입하는 등 팀의 안정적인 성적을 이끌었다. 특히 2015-16 시즌에는 리그 4위를 기록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획득했고, UEFA 유로파리그에서도 팀을 준결승까지 올려놓았다. 그러나 2016-17 시즌 첫 공식 경기를 며칠 앞둔 2016년 8월 10일, 구단 이사회와의 의견 차이, 특히 마테오 무사치오의 주장직 박탈 문제로 인해 경질되었다. 이와 함께 스포르팅 히혼과의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승부 조작 의혹이 제기된 것도 경질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도 있었다.
2017년 5월 11일, 2년 계약을 맺고 발렌시아 CF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2018-19 시즌에는 팀을 이끌고 세비야에서 열린 코파 델 레이 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를 2대1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발렌시아에 오랜만에 주요 트로피를 안겼다. 그러나 2019년 9월 11일, 구단 경영진과의 갈등으로 인해 해임되었다.
2021년 1월 4일, 아틀레틱 빌바오의 감독으로 부임하며 2022년 6월 30일까지 계약을 체결했다. 부임 후 첫 세 경기에서 국내 리그에서는 FC 바르셀로나에 패했으나,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에서는 같은 바르셀로나와 레알 마드리드를 연달아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취임 3경기 만에 클럽에 우승 트로피를 선사했다. 그는 또한 2019-20 시즌과 2020-21 시즌 코파 델 레이 결승에 올랐으나, 두 번 모두 준우승에 그쳤다. 특히 2019-20 시즌 결승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연기되어 2021년에 진행되었다. 2022년 5월 24일, 그는 6월 30일에 감독직에서 물러날 것이라고 발표하며 아틀레틱 빌바오와의 동행을 마무리했다.
2023년 6월, 1년간의 휴식기 끝에 리그 1의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와 계약하며 첫 해외 리그 감독 경력을 시작했다. 그러나 부임 7경기 만인 2023년 9월 20일, 구단 서포터즈인 울트라스의 거센 반발과 위협에 가까운 사임 요구를 받아 안전상의 이유로 감독직을 사임했다. 이는 스포츠 외적인 이유로 인한 퇴임으로 공식 발표되었다.
3.4. 비야레알로의 복귀
2023년 11월 13일, 마르셀리노는 비야레알 CF의 감독으로 다시 복귀하며 3년 계약을 맺었다. 이는 2023-24 시즌 비야레알의 세 번째 감독 교체였으며, 키케 세티엔과 파체타에 이어 팀을 맡게 되었다. 복귀 후 2024년 3월 7일, 마르세유의 스타드 벨로드롬 원정에서 UEFA 유로파리그 16강 1차전을 치렀으나 0대4로 패배했다.
4. 감독 통계
팀 | 국적 | 시작 | 종료 | 기록 | |||||||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률 % | ||||
CD 레알타드 | 스페인 | 1997년 2월 17일 | 1998년 6월 30일 | 63 | 36 | 15 | 12 | 107 | 65 | +42 | 57.14 |
스포르팅 히혼 B | 스페인 | 2001년 1월 15일 | 2003년 7월 19일 | 99 | 41 | 26 | 32 | 139 | 110 | +29 | 41.41 |
스포르팅 히혼 | 스페인 | 2003년 7월 19일 | 2005년 7월 12일 | 86 | 35 | 22 | 29 | 100 | 82 | +18 | 40.70 |
레크레아티보 | 스페인 | 2005년 7월 12일 | 2007년 6월 26일 | 84 | 38 | 22 | 24 | 124 | 90 | +34 | 45.24 |
라싱 산탄데르 | 스페인 | 2007년 6월 26일 | 2008년 5월 28일 | 46 | 20 | 13 | 13 | 56 | 51 | +5 | 43.48 |
레알 사라고사 | 스페인 | 2008년 5월 28일 | 2009년 12월 13일 | 59 | 26 | 17 | 16 | 97 | 73 | +24 | 44.07 |
라싱 산탄데르 | 스페인 | 2011년 2월 9일 | 2011년 6월 7일 | 16 | 7 | 3 | 6 | 24 | 25 | -1 | 43.75 |
세비야 FC | 스페인 | 2011년 6월 7일 | 2012년 2월 6일 | 27 | 9 | 9 | 9 | 29 | 30 | -1 | 33.33 |
비야레알 CF | 스페인 | 2013년 1월 14일 | 2016년 8월 10일 | 177 | 87 | 44 | 46 | 268 | 181 | +87 | 49.15 |
발렌시아 CF | 스페인 | 2017년 5월 23일 | 2019년 9월 11일 | 110 | 55 | 29 | 26 | 168 | 107 | +61 | 50.00 |
아틀레틱 빌바오 | 스페인 | 2021년 1월 4일 | 2022년 5월 24일 | 75 | 28 | 26 | 21 | 92 | 79 | +13 | 37.33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프랑스 | 2023년 6월 23일 | 2023년 9월 20일 | 7 | 3 | 3 | 1 | 9 | 6 | +3 | 42.86 |
비야레알 CF | 스페인 | 2023년 11월 13일 | 현재 | 59 | 28 | 18 | 13 | 113 | 89 | +24 | 47.46 |
총계 | 908 | 413 | 247 | 248 | 1326 | 988 | +338 | 45.48 |
5. 수상
5.1. 선수 시절
- FIFA U-20 월드컵: 준우승 (1985)
5.2. 감독 시절
- 테르세라 디비시온: 1997-98 (CD 레알타드)
- 세군다 디비시온: 2005-06 (레크레아티보)
- 코파 델 레이: 2018-19 (발렌시아)
- 준우승: 2019-20, 2020-21 (아틀레틱 빌바오)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21 (아틀레틱 빌바오)
5.3. 개인 수상
- 미겔 무뇨스 상 (라리가): 2006-07, 2017-18
- 미겔 무뇨스 상 (세군다 디비시온): 2008-09
- 라리가 이달의 감독상: 2013년 9월, 2015년 9월, 2024년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