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athletic training
리나 체랴조바는 어린 시절부터 체조와 트램펄린 훈련을 받으며 운동 능력을 길렀고, 이후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로 전향하여 세계적인 선수로 성장했다.
1.1. Childhood and education
리나 아나톨리예브나 체랴조바는 1968년 11월 1일 소련 우즈베크 SSR의 타슈켄트에서 태어났다.
1.2. Early athletic training
체랴조바는 스키 선수로 전향하기 전인 어린 시절부터 체조와 트램펄린 훈련을 받으며 뛰어난 신체 능력을 길렀다. 이러한 초기 훈련 경험은 그녀가 프리스타일 스키의 에어리얼 종목에서 필요한 공중 기술과 균형 감각을 습득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1987년에 그녀는 프리스타일 스키로 전향하여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2. Professional career
체랴조바는 1980년대 후반 프리스타일 스키에 입문한 이후 짧은 시간 안에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녀는 드미트리 카부노프 코치의 지도를 받으며 선수로서 기량을 발전시켰다.
2.1. World Cup success
1989년 12월에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에 데뷔한 체랴조바는 빠르게 월드컵 무대에 적응하며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특히 1992-93 시즌에는 총 8번의 레이스 중 6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월드컵 종합 우승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다음 시즌인 1993-94 시즌에도 11번의 레이스 중 6번의 우승을 거두며 2년 연속 월드컵 종합 우승이라는 위업을 이루었다.
2.2. Major international competitions
체랴조바는 월드컵에서의 성공 외에도 주요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1990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서의 첫 메달을 목에 걸었다. 1993년 FIS 프리스타일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의 알텐마르크트 대회에서는 에어리얼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챔피언에 올랐다.
선수 경력의 정점은 1994년 노르웨이 릴레함메르에서 열린 1994년 동계 올림픽이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에어리얼 종목에 출전하여 166.84점을 기록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 금메달은 우즈베키스탄이 독립 이후 동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최초이자 유일한 메달로, 그녀의 조국에 역사적인 순간을 안겨주었다.

2.3. Injuries and retirement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선수 경력의 최정점에 도달했던 직후, 체랴조바는 그해 여름 훈련 도중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그녀는 두개골 골절상을 입었으며, 한 달 이상 혼수상태에 빠지는 위기를 겪었다.
이 심각한 부상에도 불구하고 1995년 가을에 다시 대회에 복귀했지만, 부상의 여파로 이전의 기량을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다. 1998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이후 또 다른 부상을 입었으며, 결국 이 부상으로 인해 선수 경력을 마감하고 은퇴했다.
3. Personal life
1999년에 체랴조바는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그곳에서 그녀는 입양한 딸 알리나와 함께 생활했다.
4. Death
리나 체랴조바는 오랜 투병 끝에 2019년 3월 23일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에서 5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5. Legacy and recognition
리나 체랴조바는 우즈베키스탄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하게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한 선수로서 국가적인 영웅으로 추앙받았다. 그녀의 올림픽 금메달은 우즈베키스탄의 스포츠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그녀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그녀에게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공로 체육인' 칭호를 수여했다. 또한 2001년에는 그녀의 올림픽 금메달 획득을 기념하는 우즈베키스탄 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