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루스 네가(Ruth Negga루스 네가영어, 1981년 5월 4일 출생)는 아일랜드의 배우로, 영화와 텔레비전, 연극 무대에서 폭넓은 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AMC 텔레비전 시리즈 《프리처》(2016년~2019년)에서 튤립 오헤어 역을, 영화 《러빙》(2016년)에서 밀드레드 러빙 역을 맡아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러빙》에서의 연기로는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으며, 2022년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브로드웨이 데뷔작에서 레이디 맥베스 역을 맡아 토니상 연극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에 지명되었다. 그녀는 또한 영화 《아이솔레이션》(2005년), 《플루토에서 아침 식사》(2005년), 《워크래프트》(2016년), 《애드 아스트라》(2019년), 《패싱》(2021년)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연기 스펙트럼을 넓혔다. 텔레비전에서는 BBC 미니시리즈 《크리미널 저스티스》(2008년~2019년), RTÉ의 《러브/헤이트》(2010년~2011년), E4의 《미스피츠》(2010년), ABC의 《마블 에이전트 오브 쉴드》(2013년~2015년), 애플 TV+의 《프레시드 인노센트》(2024년) 등 여러 작품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다.
2. 초기 생애 및 교육
루스 네가는 에티오피아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아일랜드로 이주했으며, 더블린에서 연기 교육을 받으며 배우의 길을 준비했다.
2.1. 출생 및 가족 배경
루스 네가는 1981년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에서 아일랜드인 어머니 노라와 에티오피아인 아버지 사이에서 외동딸로 태어났다. 그녀의 부모는 에티오피아의 한 병원에서 각각 간호사와 의사로 일하며 만났다. 네가는 4살 때까지 에티오피아에서 살았으며, 7살 때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사망한 후 어머니와 함께 아일랜드로 돌아왔다. 이후 아일랜드의 리머릭에서 성장했으며, 중등 교육을 위해 영국 런던으로 이주했다.
2.2. 교육
네가는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의 새뮤얼 베켓 센터에서 연극학을 전공하며 연기 공부를 시작했고, 연기학 학사 학위(BA in Acting Studies)를 취득했다.
3. 경력
루스 네가는 2004년 영화 데뷔 이후 꾸준히 다양한 장르와 플랫폼을 넘나들며 연기 경력을 쌓아왔다.
3.1. 초기 경력 및 연극 활동 (2004-2012)

네가는 2004년 아일랜드 영화 《캐피털 레터스》에서 타이워 역으로 스크린에 데뷔했으며, 이듬해에는 영화 《아이솔레이션》에서 주연 메리 역을 맡았다. 영화 데뷔 이전에는 주로 연극 무대에서 활동했다. 그녀의 연기를 본 닐 조던 감독은 영화 《플루토에서 아침 식사》(2005년)의 시나리오를 수정하여 그녀가 출연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존 말코비치와 함께 출연한 《아이 앰 큐브릭!》(2005년)과 단편 영화 《더 포 호스멘》, 《3분 4플레이》, 《스타즈》 등에도 출연했다.
텔레비전 분야에서는 《닥터스》, 《크리미널 저스티스》, 아일랜드 시리즈 《러브 이즈 더 드럭》에 출연했다. BBC 스리 시리즈 《퍼스널 어페어즈》에서는 로라 에이크먼, 애너벨 스콜리, 메이미 맥코이와 함께 주연 도리스 "시드" 시디키 역을 맡았다. RTÉ의 《러브/헤이트》 첫 두 시즌에서 로지 역을 연기했으며, 2010년에는 《파이브 도터스》에 출연했다. 2011년에는 BBC 제작 드라마 《셜리》에서 셜리 배시 역을 맡아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이 역할로 아일랜드 영화 & 텔레비전 아카데미상 텔레비전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2010년에는 E4의 《미스피츠》 시즌 2에서 니키 역을, 2010년에는 《더 네이티비티》에서 리아 역을, 2012년에는 《시크릿 스테이트》에서 아그네스 에반스 역을 맡았다.
연극 활동으로는 《덕》, 《타이터스 안드로니쿠스》, 《레이 미 다운 소프트리》 등에 출연했다. 2007년부터는 아일랜드 연극 그룹 판 판 시어터와 협력하기 시작했으며, 2010년에는 내셔널 시어터의 《햄릿》 프로덕션에서 오필리아 역을 연기했다.
3.2. 경력 확장 및 주요 역할 (2013-2019)

2013년, 네가는 미국 텔레비전 시리즈 《마블 에이전트 오브 쉴드》에서 레인아 역으로 반복 출연이 확정되었다. 그녀는 이 프로그램에서 총 17개 에피소드에 출연했으며, 시즌 1과 2에서 주연급으로, 시즌 5에서는 게스트로 출연했다. 그녀는 스티브 맥퀸 감독의 아카데미상 수상작 전기 드라마 《12년의 노예》(2013년)의 촬영에 참여했으나, 그녀의 역할은 최종적으로 영화에서 편집되었다. 2015년 3월, 네가는 AMC 판타지 드라마 시리즈 《프리처》에서 튤립 오헤어 역으로 캐스팅되었고, 이 드라마는 이듬해 방영을 시작하여 2019년까지 이어졌다. 그녀는 이 드라마에서 주연 배우이자 공동 총괄 프로듀서로도 참여했다.
2016년, 네가는 제프 니콜스 감독의 역사 로맨스 영화 《러빙》에서 밀드레드 러빙 역을 맡아 주연으로 활약했다. 이 영화는 2016년 칸 영화제에서 초연되었고, 이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도 상영되었다. 영화는 1950년대와 1960년대 버지니아주에서 인종 간 결혼을 한 러빙 부부의 실화를 바탕으로 하며, 이들의 관계는 러빙 대 버지니아주 사건이라는 미국 연방 대법원 판결로 이어졌다. 네가는 이 역할로 극찬을 받았으며,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골든 글로브상 영화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라이징 스타상 등 여러 시상식에서 후보에 지명되었다.
2018년, 네가는 게이트 시어터의 《햄릿》 프로덕션에서 햄릿 왕자 역을 연기했다. 여성 배우가 햄릿 왕자 역을 맡는 것은 1741년 더블린에서 패니 퍼니벌이 선례를 남긴 바 있다. 네가는 2020년 봄 세인트 앤스 웨어하우스에서 햄릿 역을 다시 맡아 호평을 받았다. 2019년에는 SF 영화 《애드 아스트라》에서 헬렌 란토스 역으로 출연했다.
3.3. 최근 활동 (2020-현재)

2021년, 네가는 레베카 홀 감독의 시대극 《패싱》에서 테사 톰슨과 함께 주연을 맡았다. 이 영화는 넬라 라슨의 1929년 동명 소설을 각색한 것으로, 2021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초연되었고, 가을에는 뉴욕 영화제에서도 상영되었다. 네가는 1920년대 뉴욕에서 백인으로 '패싱'하며 인종의 경계를 넘나드는 밝은 피부색의 흑인 여성 클레어 역을 연기했다. 《버라이어티》지는 그녀의 연기를 "네가는 연약하고 눈부시며, 그녀가 들어서는 모든 방에서 클레어처럼 정확히 시선을 사로잡는다"고 극찬했다. 이 연기로 네가는 골든 글로브상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여우조연상, 미국 배우 조합상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으며,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2022년, 네가는 대니얼 크레이그가 맥베스 역을 맡은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에서 레이디 맥베스 역으로 브로드웨이에 데뷔했다. 이 연기로 그녀는 토니상 연극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에 지명되었다.
2023년에는 댄 레비의 장편 감독 데뷔작인 《굿 그리프》에 출연했다. 2024년에는 애플 TV+ 시리즈 《프레시드 인노센트》에서 바바라 사비치 역으로 8개 에피소드에 출연했다. 또한 2017년 《안젤라의 크리스마스》, 2020년 《안젤라의 크리스마스 위시》에서 어머니 역의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2021년 2월에는 전설적인 재즈 시대 공연가이자 민권 운동가인 조세핀 베이커에 대한 한정 드라마 시리즈에 주연 및 총괄 프로듀서로 출연할 것이 발표되었다.
3.4. 비디오 게임 성우 활동
네가는 비디오 게임 성우로도 활동했다. 2011년에는 《엘 샤다이: 아센션 오브 더 메타트론》에서 이쉬타르 역을, 2014년에는 《다크 소울 2》에서 샤나로트(에메랄드 헤럴드) 역의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4. 수상 및 후보 목록
루스 네가는 영화, 텔레비전, 연극 분야에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으며 다수의 수상 경력과 후보 지명 이력을 가지고 있다. 2003년에는 로렌스 올리비에상 가장 유망한 신인 배우 후보에 올랐으며, 2006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아일랜드의 슈팅 스타로 선정되기도 했다.
연도 | 협회 | 부문 | 작품 | 결과 |
---|---|---|---|---|
2004 | 로렌스 올리비에상 | 연극 부문 신인상 | 덕 | 후보 |
2005 | 아일랜드 영화 & 텔레비전 아카데미 |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 | 플루토에서 아침 식사 | 후보 |
영화 부문 여우주연상 | 아이솔레이션 | 후보 | ||
2011 | 텔레비전 부문 여우조연상 | 러브/헤이트 | 후보 | |
2012 | 미스피츠 | 후보 | ||
텔레비전 부문 여우주연상 | 셜리 | 수상 | ||
왕립 텔레비전 학회 | RTS 텔레비전 어워드 여우주연상 | 수상 | ||
아일랜드 영화 & 텔레비전 아카데미 | 텔레비전 부문 여우조연상 | 시크릿 스테이트 | 후보 | |
2015 | 영국 아카데미 스코틀랜드상 | 영화 부문 여우주연상 | 이오나 | 후보 |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영국/아일랜드 여우주연상 | 러빙 및 이오나 | 후보 | |
2016 | 뉴욕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 | 최우수 신인상 | 러빙 | 수상 |
아프리카계 미국인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주연상 | 수상 | ||
여성 영화 저널리스트 연맹 | 여우주연상 | 수상 | ||
블랙 릴 어워드 | 여우주연상 | 수상 | ||
팜스프링스 국제 영화제 | 라이징 스타상 | 수상 | ||
산타바바라 국제 영화제 | 비르투오소상 | 수상 | ||
새틀라이트상 | 영화 부문 여우주연상 (이자벨 위페르와 공동 수상) | 수상 | ||
아카데미상 | 여우주연상 | 후보 | ||
AACTA 국제 어워드 | 여우주연상 | 후보 | ||
오스틴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주연상 | 후보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라이징 스타상 | 후보 | ||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 여우주연상 | 후보 | ||
댈러스-포트워스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주연상 | 후보 | ||
디트로이트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주연상 | 후보 | ||
플로리다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주연상 | 후보 | ||
골든 글로브상 | 영화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 | 후보 | ||
고섬 독립 영화상 | 여우주연상 | 후보 | ||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 여우주연상 | 후보 | ||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영국/아일랜드 여우주연상 | 후보 | ||
NAACP 이미지 어워드 | 영화 부문 여우주연상 | 후보 | ||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주연상 | 후보 | ||
샌디에이고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주연상 | 후보 | ||
샌프란시스코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주연상 | 후보 | ||
세인트루이스 게이트웨이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주연상 | 후보 | ||
워싱턴 D.C. 아레아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주연상 | 후보 | ||
아일랜드 영화 & 텔레비전 아카데미 | 텔레비전 부문 여우조연상 | 마블 에이전트 오브 쉴드 | 후보 | |
2019 | 데이타임 에미상 |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부문 최우수 연기상 | 안젤라의 크리스마스 | 후보 |
2020 | 드라마 데스크상 | 연극 부문 여우주연상 | 햄릿 | 후보 |
2021 |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패싱 | 후보 |
시카고 인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콜럼버스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그레이터 웨스턴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뉴욕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수상 | ||
필라델피아 영화 비평가 서클 | 여우조연상 | 수상 | ||
여성 영화 비평가 협회 | 최우수 스크린 커플상 | 수상 | ||
댈러스-포트워스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플로리다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고섬 독립 영화상 | 최우수 조연상 | 후보 | ||
라스베이거스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노스캐롤라이나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포틀랜드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샌프란시스코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세인트루이스 게이트웨이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2022 | 새틀라이트상 |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 | 후보 | |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 여우조연상 | 수상 | ||
국제 시네필 협회 | 여우조연상 | 수상 | ||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 | 올해의 조연 여우상 | 수상 | ||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수상 | ||
샌디에이고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여성 영화 저널리스트 연맹 | 여우조연상 | 후보 | ||
가장 대담한 연기상 | 후보 | |||
오스틴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블랙 릴 어워드 | 최우수 여우조연상 | 후보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여우조연상 | 후보 | ||
디스커싱필름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조지아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골든 글로브상 |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 | 후보 | ||
할리우드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노스다코타 영화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시애틀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미국 배우 조합상 |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 | 후보 | ||
토론토 영화 비평가 협회 | 여우조연상 | 후보 | ||
토니상 | 연극 부문 여우주연상 | 맥베스 | 후보 |
5. 개인적인 삶
루스 네가는 사생활에 대해 비교적 알려진 바가 적지만, 동료 배우들과의 관계가 대중에게 알려져 있다. 2006년에는 대학 시절부터 교제해 온 배우 태드 머피와 약혼했다.
2010년부터는 배우 도미닉 쿠퍼와 연인 관계를 이어왔다. 두 사람은 2009년 헬렌 미렌과 함께 연극 《페드르》 각색 작품에서 함께 작업하며 처음 만났다. 이들은 런던의 프림로즈 힐에서 동거했으며, 약 6년간 관계를 유지했다. 언론에 이들의 결별이 처음 보도된 것은 2018년 4월이었는데, 네가는 언론이 자신들의 결별 사실을 아는 데 수년이 걸렸다고 언급했다. 네가와 쿠퍼는 AMC의 《프리처》에서 연인 역으로 함께 출연하기도 했으며, 네가는 쿠퍼를 "가장 친한 친구"라고 표현했다.
2020년 기준으로 네가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고 있다.
6. 영향력 및 평가
루스 네가는 연기력과 작품 선택을 통해 영화계와 대중문화에 꾸준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녀는 2006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아일랜드의 '슈팅 스타'로 선정되며 일찍이 재능을 인정받았다. 2020년에는 《아이리시 타임스》가 선정한 아일랜드 최고의 영화 배우 50인 목록에서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영화 《러빙》과 《패싱》에서 인종 문제와 사회적 정체성을 다루는 깊이 있는 연기를 선보이며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러빙》에서 밀드레드 러빙 역을 통해 인종 간 결혼의 법적 투쟁을 섬세하게 그려냈고, 《패싱》에서는 인종적 '패싱'이라는 복잡한 주제를 탁월하게 소화하며 사회적 논의를 이끌어냈다. 이러한 역할들은 그녀가 단순한 배우를 넘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연극 무대에서도 셰익스피어의 《햄릿》에서 햄릿 왕자 역을, 《맥베스》에서 레이디 맥베스 역을 맡는 등 고전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며 연기 스펙트럼의 폭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7. 출연 작품
7.1. 영화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2004 | 캐피털 레터스 | 타이워 | |
2005 | 플루토에서 아침 식사 | 찰리 | |
아이솔레이션 | 메리 | ||
2006 | 아이 앰 큐브릭! | 롤리타 | 크레딧 미기재 |
2012 | 더 사마리탄 | 아이리스 | |
2013 | 월드 워 Z | WHO 의사 | |
12년의 노예 | 셀레스트 | 삭제 장면 | |
지미: 올 이즈 바이 마이 사이드 | 아이다 | ||
2014 | 노블 | 조안 | |
오브 마인드 앤 뮤직 | 제시카 | ||
2015 | 이오나 | 이오나 | |
2016 | 러빙 | 밀드레드 러빙 | |
워크래프트 | 타리아 여왕 | ||
2017 | 안젤라의 크리스마스 | 어머니 | 목소리 출연 |
2019 | 애드 아스트라 | 헬렌 란토스 | |
2020 | 안젤라의 크리스마스 위시 | 어머니 | 목소리 출연 |
2021 | 패싱 | 클레어 벨류 | |
2023 | 굿 그리프 | 소피 |
7.2. 텔레비전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2004 | 닥터스 | 완다 해리슨 | 에피소드: "더 리플레이스먼트" |
러브 이즈 더 드럭 | 리사 시어린 | 4개 에피소드 | |
2008 | 크리미널 저스티스 | 멜라니 로이드 | 5개 에피소드 |
2009 | 퍼스널 어페어즈 | 시드 / 도리스 시디키 | 5개 에피소드 |
2010 | 파이브 도터스 | 로셸 | 3개 에피소드 |
미스피츠 | 니키 | 6개 에피소드 | |
더 네이티비티 | 리아 | 4개 에피소드 | |
2010-2011 | 러브/헤이트 | 로지 | 8개 에피소드 |
2011 | 셜리 | 셜리 배시 | TV 영화 |
2012 | 시크릿 스테이트 | 아그네스 에반스 | 4개 에피소드 |
2013-2015, 2018 | 마블 에이전트 오브 쉴드 | 레인아 | 시즌 1-2 반복 출연 시즌 5 게스트 출연; 17개 에피소드 |
2016-2019 | 프리처 | 튤립 오헤어 | 주연; 총괄 프로듀서 겸임 |
2019 | 루시 오헤어-커스터 | "세상의 끝" (시리즈 피날레) | |
2024 | 프레시드 인노센트 | 바바라 사비치 | 8개 에피소드 |
7.3. 비디오 게임
연도 | 제목 | 역할 |
---|---|---|
2011 | 엘 샤다이: 아센션 오브 더 메타트론 | 이쉬타르 |
2014 | 다크 소울 2 | 샤나로트 (에메랄드 헤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