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 및 배경
로널드 진 데이비스는 1955년 8월 6일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태어났다. 그는 훗날 메이저 리그에서 활약하는 아이크 데이비스의 아버지이다. 아이크가 어릴 때, 로널드는 5세부터 14세까지의 아이들을 위한 5일간의 야구 기본 캠프를 운영했으며, 아이크가 14세가 될 때까지 리틀 리그 코치를 맡았다. 또한, 아이크가 고등학생일 때는 배팅 연습에서 직접 공을 던져주기도 했다.
2. 프로 야구 경력
데이비스는 1978년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1988년까지 11년간 구원 투수로 활약했다. 그는 총 481경기에 구원으로 등판하여 130 세이브를 올렸다. 그의 선수 경력은 뉴욕 양키스에서의 전성기, 미네소타 트윈스에서의 기복, 그리고 일본 프로 야구 진출까지 다양하다.
2.1. 마이너 리그 및 초기 MLB 경력
데이비스는 1976년 메이저 리그 드래프트에서 시카고 컵스에게 3라운드 전체 56순위로 지명되며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마이너 리그에 있던 1978년, 그는 뉴욕 양키스로 트레이드되었고, 그해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그의 첫 메이저 리그 등판은 1978년 7월 29일 양키 스타디움에서 열린 미네소타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7회 초에 두 번째 구원 투수로 등판한 것이었다. 이 경기에서 그는 0이닝 동안 2실점을 기록했다.
2.2. 뉴욕 양키스 시절 (1978년~1981년)
뉴욕 양키스에서 데이비스는 리치 고세이지와 함께 구원 투수로 활약했다. 특히, 클리프 존슨과의 싸움으로 인해 올스타 구원 투수 리치 고세이지가 부상을 입자 데이비스는 팀의 마무리 투수 역할을 맡았다. 그는 또한 팀의 마무리 투수를 위한 중간 이닝 '셋업맨'으로 독점적으로 사용된 최초의 투수 중 한 명이었다. 1980년과 1981년 두 시즌 동안, 데이비스와 고세이지는 효과적인 계투 조합을 형성했으며, 이 투수 기용 공식은 오늘날에도 많은 팀에서 활용되고 있다.
1981년 5월 4일 캘리포니아 에인절스를 상대로 한 경기에서 데이비스는 한 경기 최다 연속 탈삼진 양키스 팀 기록인 8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이 기록은 마이클 킹이 2022년 4월 22일 구원 투수로 등판하여 9명의 타자 중 8명을 탈삼진시키며 타이를 이루었다. 이 업적은 그에게 한 경기 구원 투수 최다 탈삼진 팀 기록 또한 안겨주었다. 1981년, 그는 올스타전에도 선정되었다.
2.3. 미네소타 트윈스 시절 (1982년~1986년)
1982년 4월, 데이비스는 그렉 가녜, 폴 보리스와 함께 미네소타 트윈스로 트레이드되었고, 로이 스몰리가 뉴욕 양키스로 이적했다. 미네소타 트윈스 팬들 사이에서 그는 '론 붐붐 데이비스'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미네소타 트윈스에서 5시즌 중 3시즌에서 아메리칸 리그 세이브 순위 5위 안에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름은 여전히 '효과적이지 못한 구원 투수'와 동의어로 여겨진다. 1984년에는 그는 한 시즌 최다 블론세이브 기록인 14개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기록과 타이를 이루었다. 이 기록은 현재까지 깨지지 않았다.
1986년, 미네소타 트윈스에서의 마지막 해에 데이비스는 4월에 두 개의 세이브를 기록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이 두 개의 세이브는 그의 선수 경력의 마지막 세이브가 되었다. 그는 캘리포니아 에인절스와의 경기에서 시즌 첫 실점을 기록했다. 첫 타자에게 몸에 맞는 공을 던진 후, 그는 결국 만루를 만들고 폭투로 동점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였다. 9회 말에는 스리런 홈런을 허용하여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 그해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또 다른 경기에서는 9회 세이브 상황에 등판했다. 처음 두 타자를 잡아낸 후, 그는 만루를 만들고 볼넷을 허용하여 동점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였다. 그리고 다음 타자에게 몸에 맞는 공을 던져 결승점을 내주었다. 이 패배로 데이비스는 마무리 투수 역할을 잃었고 시즌 중반에 시카고 컵스로 트레이드되었다.
2.4. 말년 MLB 경력 (1986년~1988년)
미네소타 트윈스에서 시카고 컵스로 트레이드된 후, 데이비스는 남은 선수 경력 동안 구원 투수로 드물게 기용되었다. 그는 1987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서 뛰었으며, 1988년에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서 활약했다. 점차 그의 메이저 리그 출전 기회는 줄어들었다.
2.5. 일본 프로야구 경력 (1989년)
1989년 5월, 데이비스는 일본 프로 야구의 야쿠르트 스왈로즈에 입단하여 부진으로 해고된 호안 아이켈버거를 대신해 마무리 투수 역할을 맡았다. 그는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에 강한 면모를 보였다. 한신 타이거스를 상대로 12경기 19.2이닝 동안 2승 1패 6세이브 평균자책점 1.37의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다른 팀들과의 경기에서는 총 24경기 37이닝 동안 2승 4패 1세이브 평균자책점 5.35로 부진했다. 결과적으로 그는 총 7세이브만을 기록한 채 1년 만에 팀에서 해고되었다. 일본에서 활동할 당시 그는 은테 안경을 쓰고 신사적인 풍모를 지녔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2.6. 은퇴 및 그 이후
1990년, 데이비스는 뉴욕 양키스 산하 트리플 A 팀인 콜럼버스 클리퍼스에서 뛰는 것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그는 또한 단명했던 시니어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협회의 선 시티 레이스 소속으로 1990년에 활동하기도 했다.
3. 투구 스타일 및 특징
데이비스는 오른손 투수였으며, 사이드암 투구 자세를 가졌다. 그의 주요 구종으로는 슬라이더, 포크볼, 그리고 '떠오르는 패스트볼'로 알려진 라이징 패스트볼, '가라앉는 패스트볼'인 싱킹 패스트볼 등이 있었다. 그는 강속구 구원 투수로 평가받았다.
4. 개인 생활
데이비스는 아들 아이크 데이비스를 두었다. 아이크는 2008년 메이저 리그 드래프트에서 뉴욕 메츠에게 1라운드 전체 18순위로 지명되어 프로에 입문했다. 2010년 4월, 아이크는 뉴욕 메츠 소속으로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으며, 이로써 로널드 데이비스와 그의 아들은 메이저 리그 역사상 197번째 부자 선수 조합이 되었다.

또한, 1981년 메이저 리그 파업 기간 동안 데이비스는 캔자스시티의 하얏트 리젠시 호텔 레스토랑에서 웨이터로 일했다. 1981년 7월 18일, 이 호텔의 보도교 두 개가 붕괴되어 114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데이비스는 이후 구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인도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5. 특이 사항 및 에피소드
데이비스는 일본 프로 야구 야쿠르트 스왈로즈 시절 등번호 27번을 사용했다. 이는 네고로 히로미쓰 이후 스왈로즈에서 포수가 아닌 선수로는 유일하게 27번을 착용한 사례였다. 당시 오야 아키히코의 은퇴 후 결번 상태였고, 그 전에는 고쿠테쓰 스왈로즈 시절 마치다 유키히코가 외야수로 27번을 달았던 바 있다. 27번은 오랫동안 '주전 포수의 번호'로 여겨졌는데, 데이비스의 퇴단 후 1990년부터 후루타 아쓰야가 27번을 이어받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주전 포수로 활약했다. 데이비스가 이 번호를 택한 정확한 경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일본 프로 야구에서 뛰던 시절,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 팀 동료 래리 패리쉬가 몸에 맞는 공으로 인해 난투극에 휘말렸을 때, 데이비스는 불펜에서 달려와 동료를 지원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6. 경력 통계 및 기록
데이비스는 메이저 리그에서 11시즌, 일본 프로 야구에서 1시즌 동안 활약했다.
6.1. 메이저 리그 성적
다음은 로널드 데이비스의 메이저 리그 연도별 정규 시즌 투구 성적이다.
연도 | 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 사구 | 몸에 맞는 공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1978 | 뉴욕 양키스 | 4 | 0 | 0 | 0 | 0 | 0 | 0 | 0 | -- | ---- | 12 | 2.1 | 3 | 0 | 3 | 0 | 0 | 0 | 0 | 0 | 4 | 3 | 11.57 | 2.57 | |
1979 | 44 | 0 | 0 | 0 | 0 | 14 | 2 | 9 | -- | 0.875 | 357 | 85.1 | 84 | 5 | 28 | 9 | 1 | 43 | 1 | 0 | 29 | 27 | 2.85 | 1.31 | ||
1980 | 53 | 0 | 0 | 0 | 0 | 9 | 3 | 7 | -- | 0.750 | 544 | 131.0 | 121 | 9 | 32 | 3 | 5 | 65 | 5 | 1 | 50 | 43 | 2.95 | 1.17 | ||
1981 | 43 | 0 | 0 | 0 | 0 | 4 | 5 | 6 | -- | 0.444 | 285 | 73.0 | 47 | 6 | 25 | 3 | 0 | 83 | 1 | 1 | 22 | 22 | 2.71 | 0.99 | ||
1982 | 미네소타 트윈스 | 63 | 0 | 0 | 0 | 0 | 3 | 9 | 22 | -- | 0.250 | 458 | 106.0 | 106 | 16 | 47 | 12 | 1 | 89 | 5 | 1 | 53 | 52 | 4.42 | 1.44 | |
1983 | 66 | 0 | 0 | 0 | 0 | 5 | 8 | 30 | -- | 0.385 | 382 | 89.0 | 89 | 6 | 33 | 3 | 3 | 84 | 4 | 1 | 34 | 33 | 3.34 | 1.37 | ||
1984 | 64 | 0 | 0 | 0 | 0 | 7 | 11 | 29 | -- | 0.389 | 364 | 83.0 | 79 | 11 | 41 | 9 | 2 | 74 | 8 | 0 | 44 | 42 | 4.55 | 1.45 | ||
1985 | 57 | 0 | 0 | 0 | 0 | 2 | 6 | 25 | -- | 0.250 | 285 | 64.2 | 55 | 7 | 35 | 6 | 4 | 72 | 8 | 1 | 28 | 25 | 3.48 | 1.39 | ||
1986 | 36 | 0 | 0 | 0 | 0 | 2 | 6 | 2 | -- | 0.250 | 198 | 38.2 | 55 | 7 | 29 | 8 | 4 | 30 | 4 | 0 | 42 | 39 | 9.08 | 2.17 | ||
시카고 컵스 | 17 | 0 | 0 | 0 | 0 | 0 | 2 | 0 | -- | 0.000 | 91 | 20.0 | 31 | 3 | 3 | 0 | 0 | 10 | 0 | 1 | 18 | 17 | 7.65 | 1.70 | ||
'86합계 | 53 | 0 | 0 | 0 | 0 | 2 | 8 | 2 | -- | 0.200 | 289 | 58.2 | 86 | 10 | 32 | 8 | 4 | 40 | 4 | 1 | 60 | 56 | 8.59 | 2.01 | ||
1987 | 21 | 0 | 0 | 0 | 0 | 0 | 0 | 0 | -- | ---- | 144 | 32.1 | 43 | 8 | 12 | 1 | 0 | 31 | 1 | 2 | 23 | 21 | 5.85 | 1.70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4 | 0 | 0 | 0 | 0 | 0 | 0 | 0 | -- | ---- | 25 | 4.0 | 7 | 0 | 6 | 2 | 1 | 1 | 2 | 0 | 4 | 3 | 6.75 | 3.25 | ||
'87합계 | 25 | 0 | 0 | 0 | 0 | 0 | 0 | 0 | -- | ---- | 169 | 36.1 | 50 | 8 | 18 | 3 | 1 | 32 | 3 | 2 | 27 | 24 | 5.94 | 1.87 | ||
1988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9 | 0 | 0 | 0 | 0 | 1 | 1 | 0 | -- | 0.500 | 72 | 17.1 | 15 | 4 | 6 | 0 | 1 | 15 | 0 | 0 | 10 | 9 | 4.67 | 1.21 | |
MLB 총계 (11년) | 481 | 0 | 0 | 0 | 0 | 47 | 53 | 130 | 0.470 | 3217 | 746.2 | 735 | 82 | 300 | 56 | 22 | 597 | 39 | 8 | 361 | 336 | 4.05 | 1.39 |
6.2. 일본 프로야구 성적
다음은 로널드 데이비스의 일본 프로 야구 연도별 정규 시즌 투구 성적이다.
연도 | 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 사구 | 몸에 맞는 공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1989 | 야쿠르트 | 36 | 0 | 0 | 0 | 0 | 4 | 5 | 7 | -- | 0.444 | 249 | 56.2 | 57 | 3 | 31 | 6 | 4 | 34 | 0 | 1 | 26 | 25 | 3.97 | 1.55 |
NPB 총계 (1년) | 36 | 0 | 0 | 0 | 0 | 4 | 5 | 7 | -- | 0.444 | 249 | 56.2 | 57 | 3 | 31 | 6 | 4 | 34 | 0 | 1 | 26 | 25 | 3.97 | 1.55 |
6.3. 주요 기록
- 메이저 리그
- 첫 등판: 1978년 7월 29일, 미네소타 트윈스 대 뉴욕 양키스 경기 (양키 스타디움)
- 첫 승리: 1979년 5월 28일, 밀워키 브루어스 대 뉴욕 양키스 경기 (밀워키 카운티 스타디움)
- 첫 세이브: 1979년 6월 20일, 토론토 블루제이스 대 뉴욕 양키스 경기 (양키 스타디움)
- 올스타전 선정: 1회 (1981년)
- 일본 프로 야구
- 첫 등판: 1989년 6월 3일, 주니치 드래곤즈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경기 (메이지 진구 야구장)
- 첫 승리: 1989년 6월 15일, 한신 타이거스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경기 (한신 고시엔 구장)
- 첫 세이브: 1989년 6월 20일, 한신 타이거스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경기 (메이지 진구 야구장)
6.4. 등번호 목록
데이비스가 선수 경력 동안 사용했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 53 (1978년 ~ 1979년, 뉴욕 양키스)
- 39 (1979년 ~ 1981년, 뉴욕 양키스)
- 34 (1982년, 미네소타 트윈스)
- 39 (1982년 ~ 1987년, 미네소타 트윈스, 시카고 컵스)
- 54 (1987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33 (1988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27 (1989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