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로버트 태퍼트는 1955년 5월 14일 미국 미시간주 로열오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미시간 주립 대학교에 입학하면서 영화 제작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1. 학창 시절 및 동료들과의 만남
태퍼트는 미시간 주립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했지만, 그의 친구이자 룸메이트였던 아이번 레이미를 통해 영화에 깊이 빠져들게 되었다. 아이번 레이미의 형제인 샘 레이미와 레이미의 오랜 친구 브루스 캠벨을 만나면서 태퍼트는 그들과 함께 영화 제작에 몰두하게 되었다. 샘 레이미는 이미 수년 동안 형제 아이번, 테드 레이미 그리고 어린 시절 친구 브루스 캠벨과 함께 미시간주에서 영화를 제작하고 있었다.
1.2. 경력의 시작과 르네상스 픽처스 설립
로버트 태퍼트는 샘 레이미, 브루스 캠벨과 함께 영화 제작 경력을 시작했다. 태퍼트와 샘 레이미 감독은 여러 편의 단편 영화를 함께 실험한 후, 그들의 첫 장편 영화인 그래픽 호러 영화 《이블 데드》를 제작하기로 결정했다. 이 영화는 태퍼트가 프로듀싱하고, 레이미가 감독했으며, 브루스 캠벨이 주연을 맡았다. 이들은 함께 영화 제작 회사인 르네상스 픽처스(Renaissance Pictures르네상스 픽처스영어)를 설립했다.
2. 영화 제작 경력
로버트 태퍼트는 독립 영화부터 주요 스튜디오 작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영화 제작 활동을 펼쳤다.
2.1. 초기 영화와 '이블 데드' 프랜차이즈
태퍼트가 프로듀싱한 첫 장편 영화 《이블 데드》는 프랑스 칸 영화제에서 관객들에게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호러 작가 스티븐 킹의 호평을 받아 미국과 국제적으로 극장 개봉되었다. 당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지는 못했지만, 이 영화는 컬트적인 인기를 얻으며 이후 호러 고전으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이 영화는 다섯 편의 영화와 한 편의 텔레비전 시리즈로 구성된 《이블 데드》 프랜차이즈를 탄생시켰으며, 태퍼트는 이 모든 작품에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그는 이후에도 수많은 영화를 계속해서 제작했으며, 주로 샘 레이미나 브루스 캠벨이 어떤 형태로든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요 작품으로는 《크라임웨이브》(1986), 《이블 데드 2》(1987), 《이지 휠즈》(1989), 《다크맨》(1990), 《캡틴 슈퍼마켓》(1992), 《하드 타겟》(1993, 총괄 프로듀서), 《타임캅》(1994), 《퀵 앤 데드》(1995, 총괄 프로듀서), 《심플 플랜》(1998), 《기프트》(2000, 총괄 프로듀서) 등이 있다.
2.2. 고스트 하우스 픽처스 설립 및 주요 작품
2002년, 태퍼트는 영화 제작사 고스트 하우스 픽처스(Ghost House Pictures고스트 하우스 픽처스영어)를 공동 설립했다. 이 회사의 첫 번째 개봉작인 《그루지》는 국제적으로 거의 2.00 억 USD의 수익을 올리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성공에 이어 고스트 하우스 픽처스는 《부기맨》(2005), 《라이즈: 블러드 헌터》(2007), 《메신저》(2007), 《30 데이즈 오브 나이트》(2007), 샘 레이미가 감독한 《드래그 미 투 헬》(2009), 《포제션》(2012), 그리고 토브 후퍼의 기념비적인 영화 《폴터가이스트》의 리메이크작(2015) 등을 제작했다.
2.3. 주요 협업
태퍼트는 오랜 협력자인 샘 레이미 외에도 다양한 감독들과 협업했다. 2013년, 태퍼트와 레이미는 우루과이 감독 페데 알바레즈의 단편 영화 《아타케 데 파니코!》를 보고 그에게 《이블 데드》 리메이크를 맡겼다. 디아블로 코디는 이 대본을 미국식으로 다듬는 데 기여했다.
태퍼트는 2016년 알바레즈 감독 및 작가 로도 사야게스와 다시 협력하여 전 세계적으로 1.57 억 USD의 수익을 올린 히트작 《맨 인 더 다크》를 제작했다. 그는 2021년 개봉한 이 영화의 속편 《맨 인 더 다크 2》에도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그 외에도 《그루지》(2020), 《언홀리》(2021), 《이블 데드 라이즈》(2023) 등의 영화 제작에 참여했다.
3. TV 드라마 제작 경력
로버트 태퍼트는 텔레비전 드라마 분야에서도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여러 영향력 있는 작품들을 제작했다.
3.1. 초기 TV 시리즈
1990년대에 태퍼트는 《다크맨 (TV 시리즈)》(1992), 《M.A.N.T.I.S.》(1994~1995, 23개 에피소드), 《스파이 게임》(1997, 13개 에피소드), 《아메리칸 고딕》(1995~1998, 22개 에피소드) 등 여러 텔레비전 시리즈를 제작하거나 각본을 썼다. 그는 또한 라이언 고슬링이 출연한 프리퀄 시리즈 《영 헤라클레스》(1998~1999, 3개 에피소드 각본)를 공동 제작했다. 이 외에도 《헤라클레스: 전설적인 모험》(1994~1999) 시리즈의 에피소드 "Once a Hero"를 쓰고 감독하기도 했다.
3.2. '제나: 여전사 족장'과 문화적 영향력
《헤라클레스: 전설적인 모험》을 제작하는 동안 태퍼트는 '제나'라는 캐릭터를 창조했으며, 이후 이 캐릭터를 별도의 시리즈인 《제나: 여전사 족장》(1995~2001)으로 스핀오프시켰다. 태퍼트는 이 시리즈의 15개 에피소드를 쓰고 4개 에피소드를 감독했다. 이 프랜차이즈는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았으며, 제나 캐릭터는 페미니즘 및 성 소수자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제나: 여전사 족장》은 《뱀파이어 해결사》의 제작자 조스 웨던을 비롯한 많은 이들에게 버피 서머스 (《뱀파이어 해결사》), 《다크 엔젤》의 맥스, 《앨리어스》의 시드니 브리스토, 쿠엔틴 타란티노의 《킬 빌》에 등장하는 신부와 같은 새로운 세대의 여성 액션 영웅을 위한 길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제나》에서 루시 로리스의 스턴트 대역을 맡았던 스턴트우먼 조이 벨은 이후 타란티노의 《킬 빌》에서 우마 서먼의 스턴트 대역으로 발탁되었다. 이처럼 《제나》는 텔레비전과 영화에서 여성 액션 영웅의 길을 닦는 데 기여하며 스턴트우먼 직업의 위상을 강화하는 데도 일조했다.
3.3. 후기 TV 시리즈
2008년부터 2010년까지 태퍼트는 ABC 스튜디오를 위해 테리 굿카인드의 인기 소설 《진실의 검》을 텔레비전으로 각색한 《시커》를 제작했으며, 총 44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이후 2010년에는 스타즈 채널을 위한 로마 시대 서사극 《스파르타쿠스》 시리즈를 제작했다. 이 시리즈에는 《스파르타쿠스: 피와 모래》, 《스파르타쿠스: 갓 오브 아레나》, 《스파르타쿠스: 복수의 시작》, 《스파르타쿠스: 최후의 전쟁》이 포함되며, 총 39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태퍼트의 가장 최근 텔레비전 프로젝트는 《이블 데드》 영화 프랜차이즈를 기반으로 한 《애쉬 vs 이블 데드》로, 2015년 스타즈 채널에서 첫 방영되어 2018년까지 총 30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그 외에도 《13: 피어 이즈 리얼》(2009, 8개 에피소드), 《좀비 로드킬》(2010, 6개 에피소드) 등의 TV 시리즈 제작에 참여했다.
4. 기타 활동
로버트 태퍼트는 영화 및 TV 제작 외에도 뮤지컬 제작에 참여하며 활동 영역을 넓혔다.
4.1. 뮤지컬 제작
태퍼트는 1980년대 뉴욕을 배경으로 한 사랑 이야기이자 그 시대의 노래들을 담은 무대 뮤지컬 《플레져돔(Pleasuredome플레져돔영어)》을 제작했다. 이 뮤지컬은 태퍼트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했으며, 2017년 태퍼트의 고향인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성공적으로 초연되어 비평가들의 찬사와 매진을 기록했다. 이 작품에는 그의 아내 루시 로리스가 출연했다. 첫 13주 동안 총 57,000장의 티켓이 판매되었다.
5. 개인적인 삶

로버트 태퍼트에게는 도로시 태퍼트(Dorothy Tapert도로시 태퍼트영어)와 메리 베스 태퍼트(Mary Beth Tapert메리 베스 태퍼트영어)라는 두 명의 누이가 있으며, 제프 태퍼트(Jeff Tapert제프 태퍼트영어)라는 남동생도 있다.
그는 배우 루시 로리스와 1998년 3월 28일에 결혼했다. 루시 로리스는 《제나: 여전사 족장》에서 주연을 맡았다. 부부에게는 줄리어스 로버트 베이 태퍼트(Julius Robert Bay Tapert줄리어스 로버트 베이 태퍼트영어, 1996년생)와 주다 미로 태퍼트(Judah Miro Tapert주다 미로 태퍼트영어, 2002년생)라는 두 아들이 있다.
6. 평가 및 영향력
로버트 태퍼트의 작품은 비평가들로부터 다양한 평가를 받았으며, 영화 및 텔레비전 산업 전반에 걸쳐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
6.1. 장르 영화에 미친 영향
태퍼트는 호러 및 액션 영화 장르에 크게 기여했다. 그가 프로듀싱한 초기 작품인 《이블 데드》는 저예산으로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칸 영화제에서 성공을 거두고 스티븐 킹의 찬사를 받으며 극장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이후 컬트적인 인기를 얻어 호러 고전으로 재평가되었으며, 《이블 데드》 프랜차이즈의 시작점이 되었다. 그는 고스트 하우스 픽처스를 통해 《그루지》, 《맨 인 더 다크》 등 상업적으로 성공한 호러 영화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장르 영화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6.2.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태퍼트의 텔레비전 프로덕션은 대중문화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제나: 여전사 족장》은 여성 캐릭터 묘사에 있어 지속적인 유산을 남겼다. 이 시리즈는 기존의 남성 중심적 액션 영웅 서사에서 벗어나 강력하고 독립적인 여성 주인공을 전면에 내세웠으며, 이는 이후 《뱀파이어 해결사》의 버피, 《다크 엔젤》의 맥스, 《앨리어스》의 시드니 브리스토, 그리고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킬 빌》에 등장하는 신부와 같은 새로운 세대의 여성 액션 영웅들이 등장하는 데 중요한 선례를 제공했다. 또한 《제나》는 스턴트우먼의 역할과 위상을 높이는 데도 기여하며, 이 직업이 전통적인 남성 영역에서 벗어나 여성들에게도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7. 필모그래피
로버트 태퍼트의 주요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제작 및 참여 목록은 다음과 같다.
7.1. 영화
7.1.1. 프로듀서
- 《이블 데드》(1981)
- 《XYZ 머더스》(1985)
- 《이블 데드 2》(1987)
- 《이지 휠즈》(1989)
- 《다크맨》(1990)
- 《캡틴 슈퍼마켓》(1992)
- 《타임캅》(1994)
- 《그루지》(2004)
- 《부기맨》(2005)
- 《그루지 2》(2006)
- 《메신저》(2007)
- 《30 데이즈 오브 나이트》(2007)
- 《드래그 미 투 헬》(2009)
- 《포제션》(2012)
- 《이블 데드》(2013)
- 《폴터가이스트》(2015)
- 《맨 인 더 다크》(2016)
- 《그루지》(2020)
- 《언홀리》(2021)
- 《맨 인 더 다크 2》(2021)
- 《이블 데드 라이즈》(2023)
7.1.2. 총괄 프로듀서
- 《위딘 더 우즈》(1978, 단편 영화)
- 《이블 데드》(1981)
- 《루나틱스: 어 러브 스토리》(1991)
- 《하드 타겟》(1993)
- 《퀵 앤 데드》(1995)
- 《기프트》(2000)
- 《라이즈: 블러드 헌터》(2007)
- 《부기맨 2》(2007)
- 《나이트북스》(2021)
7.1.3. 배우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 1977 | 《해피 밸리 키드》 | N/A | 단편 영화 |
| 1977 | 《살인이다!》 | N/A | 단편 영화 |
| 1980 | 《블라인드 웨이터》 | 청각 장애인 매니저 | 단편 영화 |
| 1981 | 《이블 데드》 | 지역 주민 (크레딧 미기재) | |
| 1981 | 《토로. 토로. 토로!》 | N/A | 단편 영화 |
| 1982 | 《클리블랜드 스미스: 바운티 헌터》 | N/A | 단편 영화 |
| 1984 | 《고잉 백》 | 바의 안경 쓴 남자 (크레딧 미기재) | |
| 1985 | 《새피 삽》 | N/A | 단편 영화 |
| 1986 | 《크라임웨이브》 | 리알토의 바 손님 (크레딧 미기재) | |
| 1987 | 《이블 데드 2》 | 공항 직원 (크레딧 미기재) |
7.1.4. 기타 역할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 1977 | 《살인이다!》 | 사운드 유틸리티 | 크레딧 미기재 |
| 1978 | 《위딘 더 우즈》 | 발표자 | 단편 영화 |
7.2. 다이렉트 투 비디오
7.2.1. 프로듀서
- 《배틀 더 빅 투나》(1991, 다큐멘터리 영화)
- 《30 데이즈 오브 나이트: 다크 데이즈》(2010)
7.2.2. 총괄 프로듀서
- 《다크맨 2: 듀란트의 귀환》(1995)
- 《다크맨 3: 다크맨 죽다》(1996)
- 《헤라클레스와 제나: 올림푸스 전투》(1998)
- 《메신저 2: 허수아비》(2009)
7.3. 텔레비전
| 연도 | 제목 | 감독 | 각본 | 총괄 프로듀서 | 비고 |
|---|---|---|---|---|---|
| 1992 | 《다크맨 (TV 시리즈)》 | 예 | TV 영화 | ||
| 1994-1995 | 《M.A.N.T.I.S.》 | 예 | 23개 에피소드 | ||
| 1994-1999 | 《헤라클레스: 전설적인 모험》 | 예 | 예 | 예 | "Once a Hero" 에피소드 각본 및 감독 |
| 1995-1998 | 《아메리칸 고딕》 | 예 | 22개 에피소드 | ||
| 1995-2001 | 《제나: 여전사 족장》 | 예 | 예 | 예 | 15개 에피소드 각본, 4개 에피소드 감독 |
| 1997 | 《스파이 게임》 | 예 | 13개 에피소드 | ||
| 1997 | 《아마존 하이》 | 예 | 예 | TV 영화 | |
| 1998-1999 | 《영 헤라클레스》 | 예 | 예 | 3개 에피소드 각본 | |
| 2000 | 《잭 오브 올 트레이즈》 | 예 | 22개 에피소드 | ||
| 2000-2001 | 《클레오파트라 2525》 | 예 | 예 | "Quest for Firepower" 에피소드 각본 | |
| 2005 | 《에일리언 아포칼립스》 | 예 | 예 | TV 영화 (크레딧 미기재) | |
| 2008-2010 | 《시커》 | 예 | 44개 에피소드 | ||
| 2009 | 《13: 피어 이즈 리얼》 | 예 | 8개 에피소드 | ||
| 2010 | 《좀비 로드킬》 | 예 | 6개 에피소드 | ||
| 2010-2013 | 《스파르타쿠스》 | 예 | 39개 에피소드 | ||
| 2015-2018 | 《애쉬 vs 이블 데드》 | 예 | 30개 에피소드 |
7.3.1. 배우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 1995 | 《헤라클레스: 전설적인 모험》 | 군중 멤버 (크레딧 미기재) | "글래디에이터" 에피소드 |
| 1997 | 《제나: 여전사 족장》 | 본인 | "제나 스크롤" 에피소드 |
7.4. 비디오 게임
7.4.1. 총괄 프로듀서
- 《이블 데드: 리제너레이션》(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