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로버트 크레이머(Robert Kramer, Robert Kramer로버트 크레이머영어, 1939년 6월 22일 ~ 1999년 11월 10일)는 미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배우이다. 그는 1965년부터 1999년 사이에 19편의 영화를 연출했으며, 대부분은 좌파적 관점에서 제작된 정치 영화였다. 뉴욕에서 태어나 스와스모어 칼리지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교육받은 크레이머는 1968년 뉴욕에서 설립된 영화 제작 집단인 '더 뉴스릴(The Newsreel더 뉴스릴영어)'의 공동 설립자였다. 그는 반제국주의, 반자본주의, 반인종주의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 영화를 제작했으며, 할리우드와 주류 미디어에 대한 반감을 가졌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상업적인 성공을 추구하기보다는 자신의 정치적 이념을 영화에 담는 데 집중하게 만들었다. 유럽에서는 그가 장뤽 고다르 다음으로 중요한 모더니즘 정치 영화 감독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1979년 유럽으로 이주한 후에도 활발히 활동했으며, 1999년 프랑스 루앙의 한 병원에서 수막염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2. 초기 생애 및 교육
로버트 크레이머는 1939년 6월 22일 미국 뉴욕주 뉴욕에서 태어났다. 그는 스와스모어 칼리지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철학과 서양사학을 공부했다. 그의 학업 배경은 이후 그의 영화에 나타나는 깊이 있는 사회 및 정치적 분석의 토대가 되었다.
3. 경력 시작 및 활동
크레이머는 1960년대에 급진적인 좌익 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1967년에는 '더 뉴스릴(The Newsreel더 뉴스릴영어)'이라는 영화 제작 집단을 공동 설립했다. 이 집단은 사회 운동과 소수자들의 투쟁에 밀착하여 수많은 헌신적인 영화를 제작하고 배급하는 데 기여했으며, 오늘날까지 그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더 뉴스릴'에서의 활동은 크레이머의 영화 경력의 중요한 시작점이었으며, 그의 정치적, 사회적 참여의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4. 주요 활동 및 업적
로버트 크레이머는 감독, 각본가, 배우로서 폭넓게 활동하며 자신의 정치적 이념을 영화에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4.1. 정치적 영화와 이념
크레이머는 반제국주의, 반자본주의, 반인종주의를 포함하는 확고한 좌파적 이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할리우드와 주류 기업 미디어에 대한 강한 반감을 표출하며, 상업적 통합보다는 자신의 신념을 담은 영화 제작에 전념했다. 그의 영화는 사회 문제, 인권, 소수자 문제에 대한 그의 깊은 관점을 반영하며, 종종 다큐멘터리 영화와 극 영화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특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유럽에서는 그가 정치 영화 분야에서 모더니즘의 거장인 장뤽 고다르 다음으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기도 한다.
4.2. 주요 작품 및 연출 활동
크레이머는 여러 중요한 작품들을 연출했다. 1970년 스릴러 영화인 '아이스(Ice아이스영어)'를 직접 쓰고 연출했으며, 1975년에는 존 더글러스(John Douglas존 더글러스영어)와 함께 '마일스톤(Milestones마일스톤영어)'을 공동 연출했다. 1969년에는 노먼 프럭터(Norman Fruchter노먼 프럭터영어) 및 존 더글러스와 공동으로 남베트남에서 다큐멘터리 영화 '인민 전쟁(The People's War더 피플스 워영어)'을 촬영하기도 했다. 유럽 이주 후인 1982년에 연출한 프랑스 영화 '아 투트 알뤼르(À toute allure아 투트 알뤼르프랑스어)'는 같은 해 칸 영화제에 출품되기도 했다. 그의 다른 대표작으로는 '닥스 킹덤(Doc's Kingdom닥스 킹덤영어)'(1987)과 '루트 1/USA(Route One/USA루트 1/USA영어)'(1989) 등이 있다.
4.3. 각본 및 연기 활동
크레이머는 자신이 연출한 영화 '아이스'의 각본을 쓰고 직접 출연하기도 했다. 또한, 1982년 빔 벤더스 감독의 영화 '사물의 상태(Der Stand der Dinge데어 슈탄트 데어 딩게독일어)'의 각본을 공동 집필하는 등 다른 감독의 작품에도 참여했다.
4.4. 유럽에서의 활동
1979년 크레이머는 유럽으로 이주하여 주로 프랑스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유럽에서의 활동은 그의 영화적 스타일과 주제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는 이곳에서도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영화들을 꾸준히 제작했다. 그의 유럽 활동은 그의 영화 세계를 더욱 확장하고 국제적인 인정을 받는 계기가 되었다.
5. 필모그래피
로버트 크레이머가 감독, 각본, 출연 등으로 참여한 영화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5.1. 장편 영화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66 | 인 더 컨트리 (In the Country영어) | 감독 | |
1968 | 엣지 (The Edge영어) | 감독 | |
1969 | 인민 전쟁 (People's War영어) | 공동 감독 | 노먼 프럭터, 존 더글러스와 공동 연출 |
1970 | 아이스 (Ice영어) | 감독, 각본, 출연 | |
1975 | 마일스톤 (Milestones영어) | 공동 감독 | 존 더글러스와 공동 연출 |
1977 | 포르투갈 계급 투쟁의 몇몇 장면 (Scenes from the Class Struggle in Portugal영어) | 감독 | |
1980 | 건즈 (Guns영어) | 감독 | |
1981 | 탄생 (La Naissance프랑스어) | 감독 | |
1982 | 아 투트 알뤼르 (À toute allure프랑스어) | 감독 | 1982년 칸 영화제 출품 |
1984 | 노르 나치 (Notre nazi프랑스어) | 감독 | |
1985 | 디젤 (Diesel영어) | 감독 | |
1986 | 언 플랑 당페르 (Un plan d'enfer프랑스어) | 감독 | |
1987 | 닥스 킹덤 (Doc's Kingdom영어) | 감독 | |
1987 | 엑스-컨트리 (X-Country영어) | 감독 | |
1989 | 루트 1/USA (Route One/USA영어) | 감독 | |
1990 | 디어 닥 (Dear Doc영어) | 감독 | |
1990 | 베를린 10/91 (Berlin 10/91영어) | 감독 | |
1991 | 비디오 레터: 로버트 크레이머와 스티븐 드워스킨 (Video Letters: Robert Kramer and Stephen Dwoskin영어) | 감독 | |
1991 | 바람 아래 (Sous le vent프랑스어) | 감독 | |
1991 | 망각에 맞서 (Contre l'oubli프랑스어) | 공동 감독 | 여러 감독이 참여한 옴니버스 영화 |
1992 | 라 루 (La Roue프랑스어) | 감독 | |
1993 | 스타팅 포인트 (Point de départ프랑스어) | 감독 | |
1995 | 워크 더 워크 (Walk the Walk영어) | 감독 | |
1996 | 르 망토 (Le Manteau프랑스어) | 감독 | |
1998 | 세이 콤스 사 (Say Koms Sa영어) | 감독 | |
1999 | 평원의 도시들 (Cités de la plaine프랑스어) | 감독 | 사후 2001년 개봉 |
5.2. 단편 영화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65 | FALN (FALN영어) | 공동 감독 | 피터 게스너와 공동 연출 |
1983 | 공포 (La Peur프랑스어) | 감독 | |
1991 | 페루, 피델 인투르사 페르난데스를 위하여 (Pour Fidel Intursa Fernandez, Pérou프랑스어) | 감독 | '망각에 맞서'의 한 에피소드 |
1997 | 전기의 유령 (Ghosts of Electricity영어) | 감독 | '영화의 미래 로카르노 반세기'의 한 에피소드 |
6. 개인사
로버트 크레이머의 결혼이나 가족 관계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공개된 자료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7. 사망
로버트 크레이머는 1999년 11월 10일, 프랑스 세느마리팀주 루앙의 한 병원에서 수막염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향년 60세였다.
8. 유산 및 평가
로버트 크레이머는 자신의 확고한 정치적 신념을 영화에 담아낸 중요한 감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들은 반제국주의, 반자본주의, 반인종주의라는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사회 운동과 소수자의 투쟁에 대한 헌신적인 시각을 보여주었다. 특히 유럽에서는 그가 정치 영화 분야에서 장뤽 고다르 다음으로 중요한 모더니즘 감독으로 언급될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주류 상업 영화계와의 거리를 유지하며 독립적인 영화 제작자의 길을 걸었으며, 이는 그의 예술적 순수성과 정치적 일관성을 상징하는 유산으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