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로버트 로드리게스의 어린 시절과 교육 배경, 그리고 영화 제작에 대한 초기 관심사가 형성된 과정을 다룹니다.
1.1. 어린 시절 및 가족
로버트 앤서니 로드리게스는 1968년 6월 20일,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멕시코계 부모인 레베카 빌레가스(Rebecca Villegas영어)와 세실리오 G. 로드리게스(Cecilio G. Rodríguez영어)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간호사였고, 아버지는 세일즈맨이었다. 영화에 대한 그의 관심은 11살 때 아버지가 카메라가 달린 첫 번째 VCR 중 하나를 사주면서 시작되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직접 만화를 창작하고 영화를 만들며 시간을 보냈고, 가족들과 함께 자신이 만든 작품을 감상하고 비평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그의 누나 마리카르멘(Maricarmen영어)은 그가 고등학교 재학 중 연재했던 만화 《Los Hooligans영어》의 많은 캐릭터의 기반이 되었다.
1.2. 교육 및 초기 관심사
로드리게스는 샌안토니오에 있는 St. Anthony Catholic High School Seminary에 다니는 동안 학교 미식축구 경기를 비디오로 촬영하는 일을 맡았다. 그의 여동생에 따르면, 그는 경기 전체를 촬영하는 대신 부모의 반응이나 공이 날아가는 모습 등을 영화적인 스타일로 담아내어 얼마 지나지 않아 해고되었다고 한다. 고등학교에서 그는 Carlos Gallardo를 만났고, 두 사람은 고등학교와 대학 내내 비디오로 영화를 촬영했다.
그는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의 커뮤니케이션 학부에 진학하여 만화에 대한 사랑도 키웠다. 학교의 영화 프로그램에 입학할 만큼 높은 성적을 받지는 못했지만, 그는 대신 《Los Hooligans》라는 일일 만화 스트립을 만들었다. 이 만화는 3년 동안 학생 신문인 《The Daily Texan영어》에 연재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로드리게스는 계속해서 단편 영화를 만들었다.
1990년 말, 그는 지역 영화 공모전에 출품하여 대학 영화 프로그램에 입학할 기회를 얻었다. 그곳에서 그는 수상 경력이 있는 16mm 단편 영화 《Bedhead》(1991년)를 제작했다. 이 영화는 나이 많은 오빠의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싫어하는 어린 소녀의 유쾌한 모험을 다룬다. 이때부터 로드리게스의 특유의 스타일, 즉 빠른 컷, 강렬한 줌, 빠른 카메라 움직임이 유머 감각과 함께 등장하기 시작했다. 《Bedhead》는 Black Maria Film Festival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고, 2006년 MoMA에서 열린 블랙 마리아 20주년 회고전에도 선정되었다.
2. 경력
로드리게스의 초기 데뷔작부터 할리우드에서의 성공작,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한 최신 프로젝트, 그리고 현재까지 미완성된 다양한 작품들을 상세히 소개합니다.
2.1. 초기 경력 및 데뷔

단편 영화 《Bedhead》는 로드리게스가 영화 제작자로서 진지하게 경력을 쌓도록 충분한 관심을 끌었다. 그는 친구 아드리안 카노(Adrian Kano영어)가 모은 돈과 본인이 의료 실험 연구에 참여하여 받은 돈으로 약 7000 USD를 모아 스페인어 액션 영화 《엘 마리아치》(1992년)를 촬영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엘 마리아치》에 출연하게 될 피터 마콰르트(Peter Marquardt영어)를 만났다.
《엘 마리아치》는 1993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관객상을 수상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원래는 스페인어 저예산 홈 비디오 시장을 겨냥한 영화였지만, 콜럼비아 픽처스가 수십만 달러를 들여 후반 작업을 거쳐 미국에 배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7000 USD로 만들어진 영화"로 홍보되었고, 26.00 만 USD의 예산 대비 260.00 만 USD의 수익을 올리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로드리게스는 이 영화를 만들면서 겪은 경험을 자신의 책 《승부사들(Rebel Without a Crew영어)》(1995년)에 상세히 기록했다.
2.2. 주류 성공작 및 주요 작품


《엘 마리아치》의 속편인 《데스페라도》는 안토니오 반데라스를 주연으로 캐스팅했으며, 살마 아예크를 국제적인 관객에게 소개하는 영어권 데뷔작이 되었다. 로드리게스는 이후 쿠엔틴 타란티노와 협력하여 뱀파이어 스릴러 영화 《황혼에서 새벽까지》(1996년)를 만들었다. 그는 이 영화의 두 편의 속편을 공동 제작했으며, 자신의 케이블 네트워크인 El Rey영어를 위해 TV 시리즈 각본, 감독, 제작을 맡았다. 또한 로드리게스는 Kevin Williamson과 함께 SF 스릴러 《패컬티》(1998년)에도 참여했다.
2001년, 로드리게스는 《스파이 키드》로 할리우드에서 첫 번째 흥행 성공을 거두며 영화 프랜차이즈의 시작을 알렸다. 2003년에는 '마리아치 삼부작' 또는 '멕시코 삼부작'을 완성하는 세 번째 '마리아치' 영화인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멕시코》가 개봉했다. 그는 현재 Troublemaker Studios라는 제작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회사는 이전에는 Los Hooligans Productions영어라는 이름이었다.
로드리게스는 2005년 Frank Miller의 그래픽 노블을 각색한 네오 누아르 범죄 스릴러 영화 《씬 시티》를 공동 감독했다. 이 영화는 타란티노가 한 장면을 게스트 감독하기도 했다. 2004년 제작 과정에서 로드리게스는 밀러의 만화 시각 스타일이 자신의 영화에 중요하다고 여겨 밀러를 공동 감독으로 크레딧에 올릴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Directors Guild of America (DGA)는 워쇼스키스와 같은 "합법적인 팀"만이 감독 크레딧을 공유할 수 있다는 규정을 들어 이를 허용하지 않았다. 이에 로드리게스는 DGA에서 사임하는 것을 선택하며, "촬영 전에 조용히 사임하는 것이 더 쉬웠다. 그렇지 않았다면 내가 원치 않는 타협을 하거나 조합에 나중에 해가 될 선례를 남겨야 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DGA에서 사임함으로써 로드리게스는 파라마운트 픽쳐스의 영화 《John Carter of Mars》 감독직을 포기해야 했다. 로드리게스는 이미 이 영화의 감독으로 계약하고 발표된 상태였으며, 《씬 시티》를 마친 직후 촬영을 시작할 계획이었다.
《씬 시티》는 2005년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으며 흥행에도 성공했다. 특히 《엑스맨》이나 《스파이더맨》과 같은 인지도가 없는 하이퍼 폭력적인 만화책 각색작으로서는 더욱 주목할 만했다. 로드리게스는 밀러의 모든 《씬 시티》 만화책을 각색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2005년 로드리게스는 《샤크보이와 라바걸의 모험 3-D》를 개봉했다. 이 영화는 그의 《스파이 키드》 시리즈와 유사하게 어린 관객을 겨냥한 슈퍼히어로 어린이 영화였다. 《샤크보이와 라바걸》은 로드리게스의 7살 아들 레이서(Racer영어)가 구상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했으며, 레이서는 각본 크레딧을 받았다. 이 영화는 전 세계 박스오피스에서 6900.00 만 USD 이상을 벌어들였다.
로드리게스는 2007년 동시 개봉작인 《그라인드하우스》의 일부로 영화 《플래닛 테러》의 각본과 감독을 맡았다. 《그라인드하우스》의 다른 영화는 쿠엔틴 타란티노가 감독했다.
그는 여러 DVD 출시작에서 "10분 영화 학교"라는 코너를 통해 예비 영화 제작자들에게 저렴한 방식으로 좋은 수익성 있는 영화를 만드는 방법을 보여주었다.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멕시코》 DVD부터 로드리게스는 "10분 요리 학교" 시리즈를 시작했는데, 영화에서 조니 뎁의 캐릭터인 에이전트 샌즈(Agent Sands영어)가 먹었던 음식과 같은 "푸에르코 피빌(Puerco Pibil영어)"(유카탄의 오래된 요리인 Cochinita pibil 기반) 레시피를 공개했다. 이 시리즈의 인기로 인해 《씬 시티》 DVD의 2디스크 버전에는 또 다른 "요리 학교"가 포함되었는데, 로드리게스가 밤샘 촬영 및 편집 세션 동안 출연진과 스태프를 위해 만든 "씬 시티 아침 타코" 레시피를 가르쳤다. 그는 원래 《플래닛 테러》 DVD 출시와 함께 세 번째 "요리 학교"를 공개할 계획이었지만, DVD의 "영화 학교" 코너에서 대신 《그라인드하우스》 DVD 세트에 포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텍사스 바비큐... 무덤에서!"라는 제목의 요리 학교는 영화 속 Jeff Fahey의 캐릭터 JT 헤이그(JT Hague영어)의 "비밀 바비큐 레시피"를 기반으로 한 요리이다.
로드리게스는 조지 루카스 감독이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도록 직접 초대하면서 디지털 영화 제작에 대한 강한 지지자가 되었다. 그는 2010년 오스틴 영화제에서 '영화 제작에 대한 특별 기여상'을 수상했다.
2010년 로드리게스는 새로운 《프레데터》 속편인 《프레데터스》를 제작했다. 이 영화의 각본은 그가 원작을 본 후 썼던 초기 초안을 기반으로 했다. 로드리게스의 아이디어에는 행성 크기의 사냥 보호 구역과 납치된 숙련된 인간들을 사냥하는 데 프레데터가 사용하는 다양한 생물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개봉한 이 영화는 박스오피스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마셰티》는 로드리게스가 감독한 장편 영화로 2010년 9월에 개봉했다. 이 영화는 2007년 영화 《그라인드하우스》를 위해 로드리게스가 감독한 가짜 예고편을 확장한 것이다. 주연은 대니 트레호가 맡았다. 트레호는 로드리게스의 사촌으로, 《데스페라도》, 《황혼에서 새벽까지》,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멕시코》, 그리고 트레호가 마셰티 역으로 처음 등장한 《스파이 키드》 등 그의 다른 영화들에도 함께 작업했다. 원래 《플래닛 테러》 DVD의 추가 콘텐츠로 직접 DVD로 출시될 예정이었지만, 극장 개봉작으로 제작되었다.
로드리게스에 따르면, 이 영화의 기원은 《데스페라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대니를 만났을 때, '이 사람은 멕시코의 장클로드 반담이나 찰스 브론슨 같아야 하고, 매년 영화를 내야 하며, 그의 이름은 마셰티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서 아주 오래전에 그렇게 하기로 결정했지만, 결국 이제야 하게 되었다. 그래서 물론, 지금은 계속해서 장편 영화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롤링 스톤》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로드리게스는 1993년에 트레호를 《데스페라도》에 캐스팅했을 때 이 각본을 썼다고 밝혔다. "그래서 나는 멕시코 출신의 연방 요원이 미국에서 도끼질을 하는 일에 고용되는 아이디어를 썼다. 때때로 FBI나 DEA가 자신들의 요원이 죽는 것을 원치 않는 정말 힘든 일을 할 때, 멕시코에서 요원을 고용하여 2.50 만 USD를 주고 일을 시킨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나는 '그게 바로 마셰티다. 그는 자신에게는 많은 돈이지만 여기 다른 사람들에게는 푼돈인 정말 위험한 일을 하러 올 것이다'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나는 결코 그 영화를 만들지 못했다."
로드리게스는 《Sin City: A Dame to Kill For》와 동시에 《마셰티》를 촬영하고 싶어 했다. 또한 2008년 Comic-Con International에서는 마셰티의 현황, 개봉 후 가능한 속편, 제작 우선순위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는 자신의 다른 작품들, 예를 들어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멕시코》 등에서 《마셰티》의 장면들을 정기적으로 가져다 사용했다고도 알려졌다. 《마셰티》는 2010년 9월 3일 미국 극장에서 개봉했다.
2010년 5월 5일, 로드리게스는 애리조나주의 논란이 많은 이민법에 대응하여 Ain't It Cool News영어에 "불법" 예고편을 공개했다. 이 가짜 예고편은 《그라인드하우스》에 등장했던 《마셰티》 예고편의 요소와 실제 영화의 장면들을 결합한 것으로, 영화가 반이민 정치인과 국경 자경단에 대항하여 마셰티가 봉기를 이끄는 내용임을 암시했다. Internet Movie Database를 포함한 여러 영화 웹사이트들은 이를 영화의 공식 티저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로드리게스는 나중에 이 예고편이 농담이었다고 밝히며 "싱코 데 마요였고 테킬라를 너무 많이 마셨다"고 설명했다.
2.3. 스트리밍 및 TV 프로젝트
2013년 12월, 로드리게스는 자신의 케이블 TV 채널인 El Rey Network영어를 설립했다. 이 채널은 그가 연출한 TV 시리즈 《From Dusk till Dawn: The Series》(2014년~2016년)를 방영했다.
2020년 5월, 로드리게스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통해 자신이 스타워즈 프랜차이즈의 디즈니+ 시리즈 《만달로리안》 시즌 2의 에피소드를 감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이 에피소드 세트에서 그로구 옆에서 기타를 치는 자신의 모습이 담긴 영상을 트위터에 올리기도 했다. 로드리게스는 2021년 12월에 공개된 《만달로리안》의 스핀오프 시리즈인 《보바 페트/The Book of Boba Fett》의 총괄 프로듀서도 맡았으며, 이 시리즈에서 그는 Dokk Strassi영어와 Mok Shaiz영어의 목소리 연기도 담당했다.
2020년, 로드리게스는 《샤크보이와 라바걸의 모험 3-D》의 스핀오프 작품인 《오늘부터 히어로》의 각본과 감독을 맡았으며, 이 영화는 2020년 12월 25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되었으나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2021년 8월에는 HBO 및 HBO 맥스와 2년간의 우선 협상 계약을 체결했다. 2023년에는 《스파이 키드: 아마겟돈》을 넷플릭스에서 공개했으며, 이 영화 역시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2.4. 미완성 프로젝트
로드리게스는 1998년부터 Mike Allred의 이색적인 만화 《Madman》의 영화 판권을 소유해왔다. 두 사람은 몇 차례 프로젝트 시작이 임박했음을 암시했지만, 실제로 성사되지는 않았고 다른 프로젝트들이 먼저 완료되었다. (올레드는 로드리게스와 프랭크 밀러를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씬 시티》 제작으로 이어졌다.) 2004년, 올레드는 자신의 만화 《The Golden Plates영어》를 홍보하면서 George Huang의 각본이 거의 완성되었다고 발표했다. 올레드는 2006년 WonderCon에서 《매드맨 더 무비》의 제작이 2006년에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했다. 황은 로드리게스가 콜럼비아 픽처스와 계약했을 때 황이 직원이었던 시절 로드리게스가 그에게 영화 제작 경력을 추구하라고 조언한 이래로 친구 관계를 유지해왔다.
2007년 5월, 로드리게스가 2008년 개봉을 목표로 《Barbarella》 리메이크를 감독하기로 계약했다고 발표되었다. 2007년 San Diego Comic-Con 컨벤션에서 배우 로사리오 도슨은 《바바렐라》 때문에 《씬 시티: 다크히어로의 부활》의 제작이 보류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녀는 또한 《바바렐라》 영화에서 아마존 역을 맡을 것이라고도 발표했다. 2008년 6월 현재, 로즈 맥고완을 주연으로 한 《바바렐라》 리메이크 계획은 지연되었고, 대신 배우와 감독은 영화 《Red Sonja》를 리메이크하고 있었다.
2008년 5월, 로드리게스는 로즈 맥고완이 주연을 맡을 가능성이 있는 감옥 드라마 TV 시리즈인 《Woman in Chains!영어》를 여러 곳에 제안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 2009년 5월, 로드리게스는 화가 Frank Frazetta와 애니메이터 Ralph Bakshi의 1983년 협업 영화인 《Fire and Ice》의 실사 리메이크를 제작할 계획이었다. 프라제타의 사망 직후 계약이 체결되었다.
2011년, 로드리게스는 코믹콘에서 《Heavy Metal》의 영화 판권을 구매했으며, 새로운 Quick Draw Studios에서 새로운 애니메이션 영화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2015년 11월, 로드리게스가 2115년에나 개봉될 영화 《100 Years》를 감독했다고 발표되었다. 2017년 3월에는 로드리게스가 존 카펜터 감독이 제작을 맡은 디스토피아 SF 액션 영화 《뉴욕 탈출》의 리메이크를 감독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3. 영화 제작 스타일 및 기술
로드리게스 특유의 '원맨 영화 제작자'로서의 면모와 '마리아치 스타일' 제작 방식, 그리고 디지털 영화 제작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 음악 및 편집에 대한 그의 참여를 조명합니다.
3.1. "원맨 영화 제작자"로서의 면모

로드리게스는 단순히 자신의 영화를 제작, 감독, 각본하는 것을 넘어, 종종 편집자, 촬영 감독, 카메라 오퍼레이터, 스테디캠 오퍼레이터, 작곡가, 미술 감독, 시각 효과 슈퍼바이저, 사운드 편집자로 활동한다. 이러한 다재다능함으로 인해 그는 "원맨 영화 제작자"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영화 크레딧에서 자신의 수많은 역할을 약어로 표기하는데, 예를 들어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멕시코》는 "로버트 로드리게스가 촬영하고, 자르고, 음악을 맡았다(shot, chopped, and scored by Robert Rodriguez영어)"고 표기되어 있으며, 《씬 시티》는 "로버트 로드리게스가 촬영하고 잘랐다(shot and cut by Robert Rodriguez영어)"고 명시되어 있다.
그는 자신의 영화 제작 스타일을 "마리아치 스타일"이라고 부른다. 그의 책 《승부사들》 뒷표지에 따르면, 이는 "돈이 아니라 창의력으로 문제를 해결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는 낮 시간을 자녀들과 함께 보내기 위해 밤에 작업하는 것을 선호하며, 많은 창의적인 사람들이 "밤샘 작업자"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Stu Maschwitz는 자신의 책 《The DV Rebel's Guide영어》에서 "로버트 로드리게스 리스트"라는 용어를 만들었는데, 이는 영화 제작자가 멋진 자동차, 아파트, 말, 사무라이 검 등 자신이 접근할 수 있는 것들을 목록으로 만들고, 그 목록을 기반으로 각본을 쓰는 것을 의미한다.
3.2. 디지털 영화 제작 및 혁신
로드리게스는 디지털 영화 제작의 강력한 지지자이며, 조지 루카스 감독이 로드리게스를 루카스의 본사에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도록 개인적으로 초대한 것을 계기로 이 방식에 익숙해졌다. 그는 저예산으로도 높은 효율성을 내는 디지털 촬영 및 편집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혁신적인 영화 제작 접근 방식을 선보였다. 그의 접근 방식은 돈이 아닌 창의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마리아치 스타일'과 맞닿아 있다.
3.3. 음악 및 편집
로버트 로드리게스는 자신의 영화 사운드트랙 작곡에 직접 참여하며, 대부분의 영화를 직접 편집한다.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멕시코》의 DVD에는 "필름은 죽었다(Film is Dead영어)"라는 특별 영상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디지털 영화 제작에 대한 그의 신념을 보여준다.
그는 또한 자신의 DVD에 "10분 요리 학교"라는 특별 코너를 포함하여 영화에 등장하는 음식 레시피를 직접 시연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멕시코》의 "푸에르코 피빌(Puerco Pibil영어)"이나 《씬 시티》의 "씬 시티 아침 타코" 등이 있다. 이는 그의 영화에 대한 다방면의 깊은 참여를 보여주는 특징이다.
4. 협업 및 영향력
로드리게스와 자주 협업하는 배우들 및 동료 영화 제작자들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의 작품에 영향을 미친 영화적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4.1. 주요 협업자들
로버트 로드리게스는 여러 배우들과 자주 협업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니 트레호는 로드리게스의 영화에 무려 10편이나 출연했으며, 안토니오 반데라스, 살마 아예크, Cheech Marin은 각각 7편에 출연했다. Alexa PenaVega는 6편, 제시카 알바, Daryl Sabara, Tom Savini, Patricia Vonne는 각각 5편의 작품에서 로드리게스와 함께 작업했다.
그는 쿠엔틴 타란티노와 매우 가까운 친구이며 빈번한 협업자이다. 타란티노는 로드리게스를 "형제"라고 부르며, 두 사람은 영화 제작사 A Band Apart의 멤버로 함께 활동하기도 했다. 이들의 협업은 《황혼에서 새벽까지》, 《그라인드하우스》 등 여러 작품에서 빛을 발했으며, 로드리게스는 타란티노의 《킬 빌 Vol. 2》에서 음악을 담당하기도 했다.
4.2. 영화적 영향
로드리게스는 자신의 텔레비전 쇼 《The Director's Chair영어》에서 존 카펜터, 쿠엔틴 타란티노, George Miller 등 자신이 가장 좋아하고 큰 영향을 받은 감독들을 초대하여 인터뷰했다.
그는 어린 시절 가장 좋아했던 영화가 《Escape to Witch Mountain》이라고 밝혔으며, 이 영화와 함께 《Willy Wonka & the Chocolate Factory》, 《치티 치티 뱅뱅》, 다양한 《제임스 본드》 영화들, 그리고 Ray Harryhausen의 영화들이 《스파이 키드》 시리즈 작업에 영감을 주었다고 인정했다. 그는 또한 홈 얼론이나 파워레인저와 같은 영화들을 예로 들며, 아이들은 자신에게 힘을 주는 모든 것을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5. 개인적인 삶
로드리게스는 2006년 4월, 16년간의 결혼 생활 끝에 아내 엘리자베스 아벨란과 결별했다고 발표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로켓(Rocket영어), 레이서(Racer영어), 레벨(Rebel영어), 로그(Rogue영어), 리애넌(Rhiannon영어) 등 다섯 자녀가 있다. 결별 후에도 아벨란은 로드리게스의 대부분의 영화 제작을 계속 담당하며 전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2007년 10월, 로드리게스는 영화 《그라인드하우스》 촬영 중 여배우 로즈 맥고완과 "밀회"를 가졌다고 보도되었다. 같은 달, 《Elle Magazine영어》은 로드리게스가 자신의 《Barbarella》 리메이크작에 맥고완을 주연으로 캐스팅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두 사람은 2009년 10월에 헤어졌다.
2010년 10월, 그는 《스파이 키드》 시리즈에서 카르멘 코르테스(Carmen Cortez영어) 역을 맡았던 알렉사 베가가 프로듀서 숀 코벨(Sean Covel영어)과 결혼할 때 주례를 섰다. 2014년 3월에는 SXSW 영화제 기간 동안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자신이 소장한 Frank Frazetta의 원화 작품 컬렉션을 전시하기도 했다.
6. 수상 경력
로버트 로드리게스는 그의 작품과 경력에 대해 다양한 영화제 및 비평가상에서 수상하거나 후보에 올랐다. 다음은 그의 주요 수상 내역이다.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결과 | ||||||||||||||||||||||||||||||||||||||||||||||||||||||||||||||||||||||||||||||||||||||||||||||||||||||||||||||||||||||
---|---|---|---|---|---|---|---|---|---|---|---|---|---|---|---|---|---|---|---|---|---|---|---|---|---|---|---|---|---|---|---|---|---|---|---|---|---|---|---|---|---|---|---|---|---|---|---|---|---|---|---|---|---|---|---|---|---|---|---|---|---|---|---|---|---|---|---|---|---|---|---|---|---|---|---|---|---|---|---|---|---|---|---|---|---|---|---|---|---|---|---|---|---|---|---|---|---|---|---|---|---|---|---|---|---|---|---|---|---|---|---|---|---|---|---|---|---|---|---|---|---|---|
1993 | Deauville American Film Festival | 관객상 | 《엘 마리아치》 | 수상 | ||||||||||||||||||||||||||||||||||||||||||||||||||||||||||||||||||||||||||||||||||||||||||||||||||||||||||||||||||||||
비평가상 | 수상 | |||||||||||||||||||||||||||||||||||||||||||||||||||||||||||||||||||||||||||||||||||||||||||||||||||||||||||||||||||||||||
선댄스 영화제 | 드라마틱 영화 부문 관객상 | 수상 | ||||||||||||||||||||||||||||||||||||||||||||||||||||||||||||||||||||||||||||||||||||||||||||||||||||||||||||||||||||||||
심사위원 대상 | 후보 | |||||||||||||||||||||||||||||||||||||||||||||||||||||||||||||||||||||||||||||||||||||||||||||||||||||||||||||||||||||||||
1994 | Independent Spirit Award | 최우수 감독상 | 수상 | |||||||||||||||||||||||||||||||||||||||||||||||||||||||||||||||||||||||||||||||||||||||||||||||||||||||||||||||||||||||
최우수 첫 장편 영화상 카를로스 가야르도와 공동 수상 | 수상 | |||||||||||||||||||||||||||||||||||||||||||||||||||||||||||||||||||||||||||||||||||||||||||||||||||||||||||||||||||||||||
1996 | 새턴상 | 최우수 감독상 | 《황혼에서 새벽까지》 | 후보 | ||||||||||||||||||||||||||||||||||||||||||||||||||||||||||||||||||||||||||||||||||||||||||||||||||||||||||||||||||||||
실버 스크림 어워드 | 최우수 영화상 | 수상 | ||||||||||||||||||||||||||||||||||||||||||||||||||||||||||||||||||||||||||||||||||||||||||||||||||||||||||||||||||||||||
1999 | ALMA Award | 장편 영화 부문 뛰어난 라틴 감독 | 《패컬티》 | 후보 | ||||||||||||||||||||||||||||||||||||||||||||||||||||||||||||||||||||||||||||||||||||||||||||||||||||||||||||||||||||||
2002 | 장편 영화 부문 뛰어난 감독상 | 《스파이 키드》 | 후보 | |||||||||||||||||||||||||||||||||||||||||||||||||||||||||||||||||||||||||||||||||||||||||||||||||||||||||||||||||||||||
뛰어난 각본상 (오리지널 또는 각색) | 후보 | |||||||||||||||||||||||||||||||||||||||||||||||||||||||||||||||||||||||||||||||||||||||||||||||||||||||||||||||||||||||||
2003 | ASCAP Award | 최고 흥행 영화상 존 뎁니와 공동 수상 | 《스파이 키드 2: 잃어버린 꿈들의 섬》 | 수상 | ||||||||||||||||||||||||||||||||||||||||||||||||||||||||||||||||||||||||||||||||||||||||||||||||||||||||||||||||||||||
Imagen Award | 최우수 감독상 (해외 또는 국내) - 영화 | 수상 | ||||||||||||||||||||||||||||||||||||||||||||||||||||||||||||||||||||||||||||||||||||||||||||||||||||||||||||||||||||||||
2004 | ASCAP Award | 최고 흥행 영화상 | 《스파이 키드 3D: 게임 오버》 | 수상 | ||||||||||||||||||||||||||||||||||||||||||||||||||||||||||||||||||||||||||||||||||||||||||||||||||||||||||||||||||||||
2005 | 칸 영화제 | 기술 그랑프리 | 《씬 시티》 | 수상 | ||||||||||||||||||||||||||||||||||||||||||||||||||||||||||||||||||||||||||||||||||||||||||||||||||||||||||||||||||||||
Palme d'Or 프랭크 밀러와 공동 후보 | 후보 | |||||||||||||||||||||||||||||||||||||||||||||||||||||||||||||||||||||||||||||||||||||||||||||||||||||||||||||||||||||||||
Phoenix Film Critics Society Award | 최우수 편집상 | 수상 | ||||||||||||||||||||||||||||||||||||||||||||||||||||||||||||||||||||||||||||||||||||||||||||||||||||||||||||||||||||||||
Satellite Award | 뛰어난 촬영상 | 후보 | ||||||||||||||||||||||||||||||||||||||||||||||||||||||||||||||||||||||||||||||||||||||||||||||||||||||||||||||||||||||||
뛰어난 영화 편집상 | 후보 | |||||||||||||||||||||||||||||||||||||||||||||||||||||||||||||||||||||||||||||||||||||||||||||||||||||||||||||||||||||||||
뛰어난 오리지널 스코어상 | 후보 | |||||||||||||||||||||||||||||||||||||||||||||||||||||||||||||||||||||||||||||||||||||||||||||||||||||||||||||||||||||||||
뛰어난 사운드 (믹싱 & 편집) 존 프리쳇 등과 공동 후보 | 후보 | |||||||||||||||||||||||||||||||||||||||||||||||||||||||||||||||||||||||||||||||||||||||||||||||||||||||||||||||||||||||||
뛰어난 시각 효과상 | 후보 | |||||||||||||||||||||||||||||||||||||||||||||||||||||||||||||||||||||||||||||||||||||||||||||||||||||||||||||||||||||||||
2006 | ALMA Award | 장편 영화 부문 뛰어난 감독상 | 수상 | |||||||||||||||||||||||||||||||||||||||||||||||||||||||||||||||||||||||||||||||||||||||||||||||||||||||||||||||||||||||
ASCAP Award | 최고 흥행 영화상 존 뎁니와 공동 수상 | 수상 | ||||||||||||||||||||||||||||||||||||||||||||||||||||||||||||||||||||||||||||||||||||||||||||||||||||||||||||||||||||||||
Czech Lion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프랭크 밀러 및 쿠엔틴 타란티노와 공동 수상 | 수상 | ||||||||||||||||||||||||||||||||||||||||||||||||||||||||||||||||||||||||||||||||||||||||||||||||||||||||||||||||||||||||
Imagen Award | 최우수 감독상 | 수상 | ||||||||||||||||||||||||||||||||||||||||||||||||||||||||||||||||||||||||||||||||||||||||||||||||||||||||||||||||||||||||
《샤크보이와 라바걸의 모험 3-D》 | 수상 | |||||||||||||||||||||||||||||||||||||||||||||||||||||||||||||||||||||||||||||||||||||||||||||||||||||||||||||||||||||||||
2007 | Austin Film Critics Association Award | 오스틴 영화상 쿠엔틴 타란티노와 공동 수상 | 7. 필모그래피로버트 로드리게스의 주요 역할별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