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 및 아마추어 경력
q=Tomball, Texas|position=right
로버트 리 더거는 텍사스주 톰볼에 위치한 톰볼 고등학교를 다녔다.
2013년 졸업반 시절, 그는 톰볼 고등학교를 텍사스 UIL 4A 주 챔피언십으로 이끌었다. 이 경기에서 그는 1실점 6탈삼진 완투승을 기록했으며, 타석에서는 3타수 4안타,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을 포함한 3점 홈런을 쳤다. 같은 해 4A 올스테이트 야구팀에 선정되었다.
고등학교 졸업 후 드래프트되지 않았고, 시스코 주니어 칼리지에 입학하여 대학 야구를 했다. 시스코에서 2년간 그는 각각 5.40 ERA와 4.37 ERA를 기록했다. 2학년을 마친 후 텍사스 공과대학교로 편입했다. 텍사스 공과대학교 3학년 때, 그는 구원 투수로 60.2이닝을 던지며 6승 1패, 평균자책점 2.67 ERA를 기록했다. 3학년을 마친 후, 그는 2016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18라운드에서 시애틀 매리너스에 지명되었다.
2. 프로 경력
로버트 리 더거는 다양한 메이저 리그 구단과 KBO 리그에서 활약하며 여러 차례의 이적과 승격, 강등을 겪었다.
2.1. 시애틀 매리너스 (첫 번째 재임)
q=Everett, Washington|position=right
2016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시애틀 매리너스에 18라운드 전체 537순위로 지명된 후 계약을 맺었다.
그는 에버렛 아쿠아삭스에 배정되었고, 이후 애리조나 리그 매리너스로 재배정되었다. 또한 타코마 레이니어스에서도 두 경기에 등판했다. 세 팀을 통틀어 12경기(6선발)에 출전하여 2승 1패, 평균자책점 4.62 ERA를 기록했다.
2017년에는 클린턴 럼버킹스에서 시즌을 시작하여 22경기(9선발)에서 4승 1패, 평균자책점 2.00 ERA, WHIP 0.99 WHIP의 기록을 세웠고 미드웨스트 리그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7월에는 모데스토 너츠로 승격되어 9선발에서 2승 5패, 평균자책점 3.94 ERA로 시즌을 마쳤다. 2017년 전체적으로는 총 31경기(18선발)에 등판하여 6승 6패, 2세이브, 평균자책점 2.75 ERA를 기록했다.
2.2. 마이애미 말린스
q=Jupiter, Florida|position=right
2017년 12월 7일, 더거는 닉 나이더트, 크리스토퍼 토레스와 함께 마이애미 말린스의 디 고든 및 국제 슬롯 머니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이적했다.
2018년에는 주피터 해머헤즈에서 시즌을 시작하여 플로리다 스테이트 리그 올스타 영예를 안았고, 5월에는 잭슨빌 점보쉬림프로 승격되었다. 두 팀에서 총 25번의 선발 등판을 통해 10승 7패, 평균자책점 3.40 ERA를 기록했다.
2019년에는 점보쉬림프로 복귀하여 서던 리그 올스타에 선정된 후 6월에 뉴올리언스 베이비케익스로 승격되었다. 같은 해 8월 5일, 말린스는 더거를 메이저 리그로 콜업했다. 그는 그날 뉴욕 메츠를 상대로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으나, 5이닝 동안 6실점을 허용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2019년 메이저 리그에서는 7경기에 등판하여 0승 4패, 평균자책점 5.77 ERA를 기록하며 첫 승을 거두지 못했다. 2020년에는 4경기에 등판하여 0승 2패, 평균자책점 12.66 ERA를 기록했다.
2.3. 시애틀 매리너스 (두 번째 재임)
2020년 12월 7일, 더거는 웨이버 클레임을 통해 시애틀 매리너스로 복귀했다. 2021년 2월 19일, 켄 자일스의 영입이 확정되면서 지명할당되었다. 2월 23일에는 트리플A 소속 타코마 레이니어스로 권리포기각서(outright) 처리되었고, 메이저 리그 스프링캠프에 초대되었다.
2021년 4월 15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더블헤더를 앞두고 40인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2021년 매리너스에서 12경기에 출전하여 평균자책점 7.36 ERA를 기록하고 19개의 탈삼진을 잡았다. 8월 22일, 그는 다시 매리너스에 의해 지명할당되었다. 8월 24일에는 웨이버를 통과하여 트리플A 타코마 레이니어스로 권리포기각서 처리되었다.
2.4. 탬파베이 레이스
2022년 3월 24일, 더거는 탬파베이 레이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시즌을 트리플A 소속 더럼 불스에서 시작했으며, 5월 1일 탬파베이의 현역 로스터에 합류했다.
그는 5.1이닝 동안 8피안타 3실점, 7탈삼진을 기록했으며, 다음 날 지명할당되었다.
2.5. 신시내티 레즈
2022년 5월 4일, 신시내티 레즈가 더거를 웨이버 클레임으로 영입했다. 5월 9일, 레즈는 그를 지명할당했다. 5월 10일, 더거는 웨이버를 통과하여 트리플A 소속 루이빌 배츠로 권리포기각서 처리되었다.
5월 12일, 더거는 다시 현역 로스터에 합류했다. 그러나 그는 레즈에서 등판하지 못한 채 5월 14일 또다시 지명할당되었다. 5월 16일, 그는 웨이버를 통과하여 다시 루이빌로 복귀했다.
7월 7일, 레즈는 다시 더거의 계약을 선택했다. 다음 날, 레즈는 그를 지명할당하고 트리플A로 권리포기각서 처리했다. 8월 5일, 더거는 밀워키 브루어스를 상대로 선발 등판하기 위해 세 번째로 메이저 리그 로스터에 합류했다. 10월 4일, 더거는 다시 한번 지명할당되었다. 10월 6일, 그는 웨이버를 통과하여 루이빌로 권리포기각서 처리되었으나, 이를 거부하고 같은 날 자유계약선수를 선언했다.
2.6. 텍사스 레인저스
q=Round Rock, Texas|position=right
2023년 3월 29일, 더거는 텍사스 레인저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했으며, 같은 날 트리플A 소속 라운드록 익스프레스에 배정되었다. 그는 2023년 한 해 동안 라운드록 익스프레스에서 26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7승 10패, 평균자책점 4.31 ERA를 기록했고, 146.1이닝 동안 143개의 탈삼진을 잡았다. 이 해는 그가 프로 데뷔 이후 처음으로 메이저 리그에 승격되지 못한 시즌이었다. 11월 6일, 시즌 종료 후 자유계약선수가 되었다.
2.7. SSG 랜더스
2023년 11월 27일, 더거는 KBO 리그의 SSG 랜더스와 계약했다. 그는 2024년 시즌 커크 맥카티를 대체할 외국인 투수로 영입되었다.
그는 SSG 랜더스에서 6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12.71 ERA와 18개의 탈삼진을 기록했으나, 0승 3패에 그쳤으며 총 22.2이닝을 소화했다. 특히 4월 6일 NC 다이노스와의 경기에서는 3이닝 동안 KBO 리그 역사상 한 경기 최다 실점 타이 기록인 14실점을 허용하는 등 부진했다. 4월 24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도 2.2이닝 동안 9피안타 7실점을 기록했다.
결국 그는 2024년 4월 27일 SSG에 의해 웨이버 공시되었고, 그의 대체 선수로 드류 앤더슨이 영입되었다. 5월 4일 자유계약선수로 공식 전환되었다.
2.8.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24년 5월 17일, 더거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11월 6일 자유계약선수를 선언했다.
3. 경력 통계 및 정보
로버트 리 더거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력 통계 및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3.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통계
연도 | 팀 | 경기 | 선발 | 완투 | 완봉 | 세이브 | 승 | 패 | 승률 | 상대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2019 | MIA | 7 | 7 | 0 | 0 | 0 | 0 | 4 | .000 | 156 | 34.1이닝 | 33 | 6 | 17 | 1 | 5 | 25 | 2 | 0 | 26 | 22 | 5.77 ERA | 1.46 WHIP |
2020 | MIA | 4 | 1 | 0 | 0 | 0 | 0 | 2 | ---- | 56 | 10.2이닝 | 21 | 5 | 3 | 0 | 0 | 4 | 1 | 0 | 16 | 15 | 12.66 ERA | 2.25 WHIP |
2021 | SEA | 12 | 4 | 0 | 0 | 0 | 0 | 2 | .000 | 121 | 25.2이닝 | 34 | 4 | 12 | 0 | 1 | 19 | 1 | 0 | 24 | 21 | 7.36 ERA | 1.79 WHIP |
2022 | TB | 1 | 0 | 0 | 0 | 0 | 0 | 0 | ---- | 24 | 5.1이닝 | 8 | 0 | 0 | 0 | 0 | 7 | 1 | 0 | 3 | 3 | 5.06 ERA | 1.50 WHIP |
2022 | CIN | 3 | 1 | 0 | 0 | 0 | 0 | 1 | .000 | 48 | 10.2이닝 | 11 | 3 | 7 | 0 | 0 | 12 | 1 | 0 | 8 | 8 | 6.75 ERA | 1.69 WHIP |
2022년 시즌 합계 | 4 | 1 | 0 | 0 | 0 | 1 | 0 | .000 | 72 | 16.0이닝 | 19 | 3 | 7 | 0 | 0 | 19 | 2 | 0 | 11 | 11 | 6.19 ERA | 1.63 WHIP | |
MLB 4년 통산 | 27 | 13 | 0 | 0 | 0 | 1 | 7 | .000 | 405 | 86.2이닝 | 107 | 18 | 39 | 1 | 6 | 67 | 6 | 0 | 77 | 69 | 7.17 ERA | 1.68 WHIP |
-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3.2. 등번호
로버트 리 더거가 프로 경력 동안 사용한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 64번 (2019년 ~ 2020년)
- 30번 (2021년)
- 64번 (2022년)
- 76번 (2022년)
- 33번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