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수 경력
드미트리 토르빈스키는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유소년 아카데미에서 축구를 시작하여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여러 주요 클럽에서 활동했으며, 러시아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국제 무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1. 초기 생애 및 유소년 경력
드미트리 토르빈스키는 1984년 4월 28일 러시아 SFSR 노릴스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 풋살 선수로 활동하며 트릭키한 움직임을 선보였으나, 이후 축구로 전향하여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의 유소년 아카데미에 입단하면서 본격적인 축구 선수로서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스파르타크 유소년팀에서 성장했다.
1.2. 클럽 경력
드미트리 토르빈스키는 선수 생활 동안 여러 클럽을 거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1.2.1.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첫 번째 시기 및 임대)

토르빈스키는 2001년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유소년 아카데미에 입단한 후, 리저브 팀에서 몇 년을 보낸 뒤 2002년 1군에 데뷔했다. 2003년에도 부분적으로 경기에 출전하며 활약했지만, 2004년 심각한 부상을 입어 단 한 경기에 출전하는 데 그치는 등 거의 한 해를 부상으로 보냈다.
정기적인 출전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2005년에는 러시아 퍼스트 리그 소속팀인 스파르타크 첼랴빈스크로 임대 이적하여 24경기에 출전해 4골을 기록하며 주전으로 활약했다. 임대 기간을 마친 후 2006년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로 복귀했지만, 복귀 후에도 잦은 부상으로 꾸준한 활약을 이어가지 못했다.
2007년 12월, 스파르타크와의 계약이 만료되면서 자유 이적 신분이 되었고, 총 2006 시즌과 2007 시즌 동안 공식전 57경기 5골을 기록하며 리그 2회 연속 준우승(2006, 2007), 2006년 러시아 컵 준우승, 2007년 러시아 컵 4강 진출에 기여했다. 그는 또한 2003년 러시아 컵 우승의 주역이기도 했다.
1.2.2.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008년, 토르빈스키는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를 떠나 같은 모스크바를 연고로 하는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로 이적했다. 그는 2012-13 시즌까지 로코모티프 소속으로 공식전 115경기에 출전하여 8골을 기록했으며, 이 기간 동안 팀의 2009 시즌 리그 4위, 2011-12 시즌 러시아 컵 8강 진출 등에 기여했다.
1.2.3. 이후 클럽 경력 및 은퇴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를 떠난 후 토르빈스키는 여러 팀을 거치며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 루빈 카잔 (2013-2014)**: 2013-14 시즌에는 루빈 카잔 소속으로 공식전 29경기 2골을 기록하며 UEFA 유로파리그에도 출전했다.
- 로스토프 (2014-2015)**: 2014년 7월 로스토프에 입단하여 2014-15 시즌 동안 32경기 2골을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2014년 러시아 슈퍼컵과 강등 플레이오프에 출전했다.
- 크라스노다르 (2015-2017)**: 2015-16 시즌부터 2016-17 시즌까지 크라스노다르에서 공식전 45경기를 소화하며 2시즌 연속 리그 4위, 2015-16 시즌 러시아 컵 4강, 2016-17 시즌 UEFA 유로파리그 16강 진출 등에 기여했다.
- 파포스 FC (2017-2018)**: 2017년 12월, 키프로스 퍼스트 디비전 소속의 파포스 FC와 계약했지만, 단 3경기 출전에 그쳤다.
-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2018)**: 2018년 2월, 키프로스를 떠나 러시아로 돌아와 발티카 칼리닌그라드에 입단하여 18경기에 출전해 1골을 기록했다.
-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2018-2019)**: 2018년 8월 30일,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소속팀인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와 1년 계약을 맺었다. 그는 2018-19 시즌을 끝으로 18년간의 프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1.3. 국가대표팀 경력

드미트리 토르빈스키는 2007년 3월 24일 에스토니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러시아 국가대표팀에 데뷔했다. 이듬해인 2008년 5월 23일 카자흐스탄과의 친선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하며 팀의 6-0 대승에 기여했다.
그는 2008년 UEFA 유로 2008 본선 엔트리에 합류하여 네덜란드와의 8강전에서 교체 투입되어 안드레이 아르샤빈의 크로스를 받아 연장전에서 러시아의 두 번째 골을 성공시켰다. 이 골은 경기를 2-1로 앞서게 하는 결승골이 되었고, 러시아는 결국 3-1로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토르빈스키는 UEFA 유로 2008에서 3위(동메달)를 차지하는 데 크게 기여하며 세계에 이름을 알렸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는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지 않았으나, 2015년 3월 27일 UEFA 유로 2016 예선 몬테네그로와의 경기에서 국가대표팀에 복귀했다. 이 경기는 몬테네그로 팬들의 무질서한 행동으로 인해 0-0 상황에서 중단되어 몰수패 처리되었다. 그는 또한 2016년 아스널 소속의 알란 자고예프의 대체 선수로 UEFA 유로 2016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이 대회에서는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으며 팀은 조별리그에서 탈락의 아픔을 겪었다.
1.3.1. 국제 경기 득점
러시아의 득점 기록을 먼저 표기한다.
2.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후 드미트리 토르빈스키는 지도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2019년 선수 생활을 마친 뒤 이듬해인 2020년 2월 25일부터 미국 플로리다주에 위치한 미국 내셔널 프리미어 사커 리그 소속의 마이애미 유나이티드 FC 산하 U-21팀의 감독직을 맡고 있다.
3. 개인 생활
드미트리 토르빈스키는 2008년 11월 29일 현재의 아내인 예브게니아(Evgenia)와 결혼했다. 결혼식에는 절친한 동료 축구 선수인 디냐르 빌럘레트디노프, 드미트리 시체프, 라도슬라프 코바치 등이 참석하여 성대하게 치러졌다. 2009년 7월 8일에는 아들 아르템(Artem)이 태어났다.
4. 수상 경력
드미트리 토르빈스키는 선수 경력 동안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여러 타이틀과 영예를 얻었다.
4.1. 클럽 수상 경력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준우승 (2006, 2007)
- 러시아 컵: 우승 (2003), 준우승 (2006), 4강 (2007)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4위 (2009)
- 크라스노다르**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4위 (2015-16, 2016-17)
- 러시아 컵: 4강 (2015-16)
4.2.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 러시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3위 (2008)
5. 경력 통계
클럽 | 시즌 | 리그 | 컵 | 대륙 대회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2001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0 | 0 | 0 | 0 | 0 | 0 | - | 0 | 0 | |
2002 | 3 | 0 | 1 | 0 | 2 | 0 | - | 6 | 0 | |||
2003 | 3 | 0 | 2 | 0 | 2 | 0 | 4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컵 출전) | 0 | 11 | 0 | ||
2004 | 0 | 0 | 1 | 0 | 0 | 0 | - | 1 | 0 | |||
스파르타크 첼랴빈스크 | 2005 | FNL | 24 | 4 | 1 | 0 | - | - | 25 | 4 |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2005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0 | 0 | 0 | 0 | - | - | 0 | 0 | ||
2006 | 13 | 0 | 2 | 0 | 3 | 0 | - | 18 | 0 | |||
2007 | 24 | 3 | 6 | 1 | 8 | 0 | 1 (2007년 러시아 슈퍼컵 출전) | 1 | 39 | 5 | ||
합계 (스파르타크 두 시기) | 43 | 3 | 12 | 1 | 15 | 0 | 5 | 1 | 75 | 5 |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2008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20 | 3 | 1 | 0 | - | 1 (2008년 러시아 슈퍼컵 출전) | 0 | 22 | 3 | |
2009 | 17 | 1 | 0 | 0 | - | - | 17 | 1 | ||||
2010 | 17 | 0 | 0 | 0 | 2 | 0 | - | 19 | 0 | |||
2011-12 | 34 | 1 | 2 | 0 | 5 | 0 | - | 41 | 1 | |||
2012-13 | 15 | 3 | 1 | 0 | - | - | 16 | 3 | ||||
2013-14 | 0 | 0 | 0 | 0 | - | - | 0 | 0 | ||||
합계 | 103 | 8 | 4 | 0 | 7 | 0 | 1 | 0 | 115 | 8 | ||
루빈 카잔 | 2013-14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19 | 1 | 1 | 0 | 9 | 1 | - | 29 | 2 | |
로스토프 | 2014-15 | 27 | 2 | 0 | 0 | 2 | 0 | 3 (2014년 러시아 슈퍼컵 1회, 강등 플레이오프 2회 출전) | 0 | 32 | 2 | |
크라스노다르 | 2015-16 | 15 | 0 | 2 | 0 | 7 | 0 | - | 24 | 0 | ||
2016-17 | 12 | 0 | 1 | 0 | 8 | 0 | - | 21 | 0 | |||
합계 | 27 | 0 | 3 | 0 | 15 | 0 | 0 | 0 | 45 | 0 | ||
파포스 | 2017-18 | 키프로스 퍼스트 디비전 | 3 | 0 | 0 | 0 | - | - | 3 | 0 | ||
커리어 총합 | 246 | 18 | 21 | 1 | 48 | 1 | 9 | 1 | 324 | 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