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와 배경
드래깅 카누는 1738년경에 태어났으며, 그의 가족과 어린 시절의 경험은 그의 후일 삶과 저항 활동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이름은 어린 시절의 일화에서 유래했으며, 천연두 생존은 그의 삶에 중요한 흔적을 남겼습니다.
1.1. 탄생과 가족
드래깅 카누는 1738년경에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 아타쿨라쿨라Attakullakulla아타쿨라쿨라영어 (체로키어로 찰라기찰라기체로키어, "작은 목수"라는 뜻)는 Nipissing First Nation니피싱 퍼스트 네이션영어의 우두머리였습니다. 그의 어머니 Nionne Ollie니온네 올리영어("온순한 암사슴"이라는 뜻)는 본래 내처즈족Natchez people내처즈족영어이었으나, 체로키 추장 오코노스토타의 아내에게 딸로 입양되었습니다. 이 두 원주민 집단(니피싱족과 내처즈족)의 많은 구성원들은 프랑스와의 갈등 이후 1700년부터 1731년까지 체로키 마을로 이주하여 체로키 사회에 적응했습니다. 특히 내처즈족은 약초 의술에 능하여 체로키 가족들 사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드래깅 카누의 가족은 현재 테네시주 남동부에 위치한 리틀 테네시 강의 오버힐 체로키족과 함께 살았습니다.
1.2. 이름의 유래와 초기 경험
체로키족 전설에 따르면, 드래깅 카누는 어린 시절의 한 사건으로 이 이름을 얻게 되었습니다. 그가 쇼니족과의 전쟁에 참여하고 싶어 했을 때, 그의 아버지는 카누를 메고 갈 수만 있다면 전쟁에 동행해도 좋다고 말했습니다. 어린 드래깅 카누는 전쟁 준비가 되었음을 증명하려 했지만, 무거운 카누를 끌고 갈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드래깅 카누'(끌고 가는 카누)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또한 그는 어린 나이에 천연두를 앓았으며, 그로 인해 얼굴에 흉터가 남았음에도 살아남았습니다. 그의 형제인 더 배저(The Badger) 또한 훗날 체로키 추장이 되었습니다.
2. 전쟁 지도자로서의 저항 활동
드래깅 카누는 백인 식민지 개척민들의 영토 침범에 맞서 끊임없이 저항하며 탁월한 군사 지도력을 발휘했습니다. 그는 여러 전쟁에서 체로키족과 동맹 부족들을 이끌고 원주민의 땅을 방어하는 데 헌신했습니다.
2.1. 영-체로키 전쟁 참여
드래깅 카누는 영국-체로키 전쟁에서 실제 전투 경험을 처음으로 쌓았습니다. 이 전쟁 이후, 그는 백인 식민지 개척민들의 체로키 영토 침범에 가장 강력하게 반대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습니다. 결국 그는 리틀 테네시 강에 위치한 미알로코("큰 섬 마을", 체로키어로 아모옐리 에그와아모옐리 에그와체로키어)의 우두머리가 되었습니다. 미국 독립 전쟁이 시작될 무렵, 체로키족이 영국에 동맹을 맺기로 결정하자, 드래깅 카누는 열정적으로 싸움에 나섰습니다. 그는 오버마운틴 정착지의 변경 주민들을 상대로 전쟁을 개시한 삼면 공격의 주요 부대 중 하나를 이끌도록 배정받았습니다. 이 공격은 올드 에이브럼이 와토가강과 놀리처키강 정착지를, 레이븐이 카터스 밸리를 공격했으며, 드래깅 카누는 아일랜드 플랫 전투에서 히튼 주둔지를 공격하며 싸웠습니다. 그는 이 전투에서 간신히 살아남았습니다.
2.2. 미국 독립 전쟁 기간의 저항
미국 독립 전쟁 기간 동안 드래깅 카누는 남동부 인디언들 사이에서 가장 중요한 전쟁 지도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는 식민지 확장주의에 대한 강력한 저항을 이끌며, 영국 왕당파 및 다른 원주민 부족들과 동맹을 맺어 자신의 세력을 강화했습니다. 그의 군대에는 상류 머스코기족, 치카소족, 쇼니족 등 다양한 부족들이 합류했으며, 프랑스와 스페인의 대리인들도 그를 지원했습니다. 그는 특히 아일랜드 플랫 전투와 같은 주요 전투에서 백인 정착민들과 맞서 싸우며 체로키족의 영토와 자결권을 지키려 노력했습니다. 이 시기의 충돌은 미국 독립 전쟁 이후에도 10년 이상 지속되며 '체로키-미국 전쟁' 또는 '치카마우가 전쟁'으로 불리게 됩니다.
2.3. 치카마우가 마을 설립
1776년 늦여름과 가을에 식민지 민병대의 반격으로 테네시와 캐롤라이나 지역의 체로키 미들 타운, 밸리 타운, 로워 타운이 파괴된 후, 그의 아버지 아타쿨라쿨라와 오코노스토타는 평화를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드래깅 카누는 아버지의 조언에 반대하고 패배를 인정하기를 거부하며 약 500명의 오버힐 체로키족을 이끌고 더 남쪽으로 이주했습니다. 이는 1777년 초에 일어났습니다.

이 집단은 테네시강을 따라 현재의 채터누가 근처, 사우스 치카마우가 크릭이 테네시 강과 합류하는 지점에서 약 11265 m (7 mile) 상류 지역으로 이주했습니다. 이후 변경 주민들은 이들이 크릭(개울) 근처에 정착했기 때문에 그들을 "치카마우가"라고 불렀습니다. 이들은 11개의 마을을 세웠는데, 이 중 하나는 나중에 "올드 치카마우가 타운"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이 마을은 해당 지역의 영국 측 보조 감독관인 스코틀랜드인 존 맥도날드의 교역소 강 건너편에 위치했습니다. 맥도날드는 치카마우가족에게 미국 식민지 개척민들과 싸울 총, 대포, 탄약 및 보급품을 정기적으로 공급했습니다. 1779년 봄, 미국 개척자 에반 셸비는 버지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 출신 변경 주민들을 이끌고 드래깅 카누의 치카마우가 마을들을 파괴하는 원정을 벌였습니다. 셸비는 패트릭 헨리에게 보낸 편지에서 "치카마우가 체로키족은 자신들의 의무를 깨닫고 미합중국과의 평화 협상을 원한다"고 보고하며 성공을 알렸습니다.
2.4. 다섯 개의 로워 타운으로의 재배치
1782년, 전쟁이 시작된 이래 두 번째로 대규모 미국 군대에 의해 체로키 마을들이 공격받았습니다. 존 시비어 대령의 군대가 초래한 파괴로 인해 드래깅 카누의 집단은 테네시 강을 따라 더 남쪽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드래깅 카누는 테네시 리버 고지의 자연 장애물 아래에 "다섯 개의 로워 타운"을 건설했습니다. 이 마을들은 주로 조지아주 북서부 외곽과 훗날 앨라배마주가 된 지역에 위치했으며, 러닝 워터 타운(현재의 와이츠사이드), 니카잭 타운(같은 이름의 동굴 근처), 롱 아일랜드(테네시 강변), 크로우 타운(크로우 크릭 하구), 룩아웃 마운틴 타운(현재의 트렌턴 위치)이었습니다. 이러한 이동 이후, 이 집단은 "로워 체로키"라고도 불리게 되었습니다.
2.5. 지속적인 원정 및 습격
러닝 워터 타운을 기지로 삼아, 드래깅 카누는 미국 남동부 전역의 백인 정착지, 특히 동부 테네시의 홀스턴강, 와토가강, 놀리처키강 유역에 거주하는 미국 식민지 개척민들에 대한 공격을 이끌었습니다. 1780년 이후에는 컴벌랜드강 지역, 메로와 워싱턴 지구, 프랭클린주, 중부 테네시 지역의 정착지들도 공격했으며, 켄터키주와 버지니아주까지 습격했습니다. 그의 세 형제인 리틀 아울, 더 배저, 그리고 Turtle-at-Home터틀-앳-홈영어은 종종 그의 군대와 함께 싸웠습니다. 그는 자신의 땅을 지키기 위한 저항을 멈추지 않았으며, 이는 원주민의 생존권을 위한 투쟁의 상징으로 남아있습니다.
3. 사망
드래깅 카누는 1792년 2월 29일 러닝 워터 타운에서 사망했습니다. 그의 사망 원인은 머스코기족과 촉토족과의 동맹 체결을 축하하며 밤새 춤을 춘 후의 극심한 피로(또는 심장마비)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치카마우가족은 자신들의 전쟁 부대가 컴벌랜드 정착지에서 최근 거둔 승리를 축하하고 있었습니다. 그가 사망한 후, 존 와츠가 그의 뒤를 이어 추장으로 임명되었습니다.
4. 유산과 영향
역사가 존 P. 브라운의 저서 『올드 프론티어』와 제임스 무니의 초기 민족지학 서적 『체로키 신화』에서는 드래깅 카누를 젊은 테쿰세의 역할 모델로 평가합니다. 테쿰세는 치카마우가족과 함께 살며 그들의 전쟁에 참여했던 쇼니족의 일원이었습니다. 세쿼야의 직계 후손인 트래블러-버드가 쓴 『그들이 거짓말한다고 전해라』라는 책에서는 테쿰세와 세쿼야 모두 드래깅 카누의 젊은 전사들 중 한 명이었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드래깅 카누는 식민지 확장에 대한 저항과 원주민 토지 방어의 상징으로 역사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의 지도력과 끈질긴 저항은 이후 세대의 원주민 지도자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으며, 현재까지도 원주민의 권리와 자결권을 옹호하는 데 중요한 역사적 맥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5. 함께 보기
- 치카모가 전쟁
- Historic Cherokee sett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