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background
1.1. Childhood and youth career
도쿠시게 겐타는 1984년 3월 9일 일본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키 187 cm, 몸무게 87 kg의 체격을 지닌 오른발잡이 골키퍼입니다.
그는 가고시마 시립 타케 초등학교와 가고시마 시립 타케 중학교를 다녔으며, 이후 이사하야 시립 오노 중학교를 졸업했습니다. 고등학교 진학 시에는 본래 가고시마 실업고등학교로의 진학을 희망했지만, 가정의 금전적인 문제로 인해 부모님의 설득으로 나가사키현립 쿠니미 고등학교로 진학했습니다.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나가사키현립 쿠니미 고등학교 축구부에서 활동했습니다. 그의 고등학교 시절 선배로는 오쿠보 요시토와 마츠하시 쇼타 등이 있으며, 후배로는 히라야마 소타와 와타나베 다이고 등이, 그리고 동급생으로는 도쿠나가 유헤이 등이 있었습니다. 2학년 때 팀은 고등학교 축구에서 '트리플 크라운'(주요 3개 타이틀)을 달성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3학년 때는 주장으로서 전일본 유스 선수권 대회와 고등학교 선수권 대회를 모두 제패했습니다. 이러한 활약으로 그는 U-16 대표팀을 시작으로 각 연령별 국가대표팀에 꾸준히 선발되었습니다. 2001년에는 아비스파 후쿠오카의 특별 강화 지정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2. Club career
2.1. Urawa Reds
도쿠시게는 고등학교 졸업 후인 2002년에 J1리그 클럽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 입단하여 프로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팀의 주전 골키퍼였던 츠즈키 료타와 야마기시 노리히로에 밀려 입단 후 3년 동안 단 한 경기도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습니다. 2005년에는 우라와 레즈로 복귀했으나, 여전히 주전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습니다.
2.2. Cerezo Osaka
2004년 10월, 골키퍼 부족을 겪고 있던 세레소 오사카로 임대 이적을 결정했습니다. 세레소 오사카에서 11월 23일 시미즈 에스펄스와의 경기에서 J리그 데뷔전을 치렀지만, 이 경기가 그 시즌 팀에서의 유일한 출전이었습니다. 결국 이토 토모히코와 타다 다이스케 등 다른 골키퍼들의 뒤에 머물렀고, 2005년에 우라와 레즈로 복귀했습니다.
2.3. Vissel Kobe
2005년 8월, 강등권 싸움을 하던 빗셀 고베에 임대 이적했습니다. 이 해 4경기 출전에 그쳤고, 빗셀 고베는 결국 강등되어 J2리그로 내려갔지만, 그의 임대 기간은 연장되었습니다. 이후 2년간은 팀이 J1리그로 승격했음에도 불구하고 오기 고타와 에노모토 타츠야 등의 골키퍼에 밀려 출전 기회를 거의 얻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2008년, 주전 골키퍼 에노모토 타츠야가 부상으로 약 한 달간 이탈하면서 기회를 얻어 J리그에서 9경기에 출전하며 당시 개인 최다 출장 기록을 세웠습니다. 이듬해인 2009년에는 빗셀 고베로 완전 이적했으며, 2010년 와다 마사히로 감독 부임 후 에노모토로부터 주전 자리를 빼앗았습니다. 시즌 막바지에는 눈부신 선방을 연달아 선보이며 팀의 J1리그 잔류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에노모토가 도쿠시마 보르티스로 이적한 2011년에는 개인 통산 처음으로 리그 전 경기에 풀타임 출전하며 1년 내내 주전으로 활약했습니다.
2012년에도 주전으로 활약했지만, 10월 24일 훈련 중 왼쪽 발목을 다쳐 팀의 강등 싸움 중 중요한 시기에 전력에서 이탈하는 아쉬움을 겪었습니다. 비록 시즌 막판에 복귀했지만, 팀은 결국 16위로 마감하며 J2리그로 강등되었습니다. 이후 야마모토 카이토와 김승규 등 새로운 골키퍼들이 영입되면서 출전 기회가 점차 줄어들었습니다. 2013년에는 야마모토에게 주전 자리를 내줬지만, 6월에 다시 주전 골키퍼로 복귀하여 팀의 1년 만의 J1리그 승격에 기여했습니다. 하지만 2014년부터는 야마모토와 김승규에 밀려 많은 경기를 뛰지 못했습니다.
2.4. V-Varen Nagasaki
2018년, 새로 J1리그로 승격한 V-바렌 나가사키로 완전 이적했습니다. 입단 직후 전년도 주전 골키퍼였던 마스다 타쿠야를 제치고 주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비록 팀은 시즌 종료 후 J2리그로 강등되었지만, 도쿠시게는 28경기에 출전하며 활약했습니다. 이듬해인 2019 시즌에는 토미자와 마사야와 주전 경쟁을 펼치며 27경기에 출전했습니다. 2020 시즌에는 시미즈 에스펄스에서 영입된 타카기와 토오루에게 개막전 선발 자리를 내줬지만, 시즌 내내 주전 경쟁을 이어가며 23경기에 출전했습니다. 2021 시즌에는 개막전 선발로 출전하며 좋은 출발을 보였으나, 리그 중반부터 토미자와가 주전으로 고정되면서 출전 기회를 잃었습니다.
2.5. Ehime FC
2022년, 에히메 FC로 완전 이적했습니다. 프로 경력 처음으로 등번호 1번을 달았으며, 그 해 J3리그에서 33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수문장 역할을 톡톡히 해냈습니다. 2023년에는 8경기에 출전했으며, 팀의 J3리그 우승에 기여했습니다. 2024년에도 팀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J2리그에서 뛰고 있습니다.
3. National team career
2001년 9월, 도쿠시게는 2001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일본 U-17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습니다. 그는 이 대회에서 팀의 모든 3경기에 출전했습니다.
4. Career statistics
그의 프로 클럽 경력에 대한 포괄적인 통계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클럽 성적 | 리그 | 컵 | 리그컵 | 총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일본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총계 | |||||||
2001 | 쿠니미 고 | 고교 축구 선수권 대회 | 1 | 0 | - | - | 2 | 0 | |||
2002 | 우라와 | J1리그 | 0 | 0 | 0 | 0 | 0 | 0 | 0 | 0 | |
2003 | 0 | 0 | 0 | 0 | 0 | 0 | 0 | 0 | |||
2004 | 0 | 0 | 0 | 0 | - | 0 | 0 | ||||
C오사카 | 1 | 0 | - | 0 | 0 | 1 | 0 | ||||
2005 | 우라와 | 0 | 0 | 0 | 0 | - | 0 | 0 | |||
고베 | 4 | 0 | - | 0 | 0 | 4 | 0 | ||||
2006 | J2리그 | 3 | 0 | - | 1 | 0 | 4 | 0 | |||
2007 | J1 | 5 | 0 | 4 | 0 | 2 | 0 | 11 | 0 | ||
2008 | 9 | 0 | 0 | 0 | 2 | 0 | 11 | 0 | |||
2009 | 0 | 0 | 4 | 0 | 3 | 0 | 7 | 0 | |||
2010 | 13 | 0 | 2 | 0 | 2 | 0 | 17 | 0 | |||
2011 | 34 | 0 | 2 | 0 | 0 | 0 | 36 | 0 | |||
2012 | 31 | 0 | 3 | 0 | 1 | 0 | 35 | 0 | |||
2013 | J2 | 24 | 0 | - | 0 | 0 | 24 | 0 | |||
2014 | J1 | 7 | 0 | 1 | 0 | 1 | 0 | 9 | 0 | ||
2015 | 5 | 0 | 2 | 0 | 3 | 0 | 10 | 0 | |||
2016 | 0 | 0 | 6 | 0 | 2 | 0 | 8 | 0 | |||
2017 | 3 | 0 | 3 | 0 | 2 | 0 | 8 | 0 | |||
2018 | 나가사키 | J1 | 28 | 0 | 2 | 0 | 1 | 0 | 31 | 0 | |
2019 | J2 | 27 | 0 | 1 | 0 | 0 | 0 | 28 | 0 | ||
2020 | 23 | 0 | - | - | 23 | 0 | |||||
2021 | 12 | 0 | - | 0 | 0 | 12 | 0 | ||||
2022 | 에히메 | J3리그 | 33 | 0 | - | - | 33 | 0 | |||
2023 | 8 | 0 | - | - | 8 | 0 | |||||
2024 | J2리그 | 15 | 0 | 1 | 0 | 1 | 0 | 17 | 0 | ||
2025 | |||||||||||
J1 통산 | 140 | 0 | 29 | 0 | 19 | 0 | 188 | 0 | |||
J2 통산 | 104 | 0 | 2 | 0 | 2 | 0 | 108 | 0 | |||
J3 통산 | 41 | 0 | - | - | 41 | 0 | |||||
총 통산 | 285 | 0 | 31 | 0 | 23 | 0 | 339 | 0 |
- 참고: 2001년 아비스파 후쿠오카 특별 강화 지정 선수 (출장 없음)
5. Achievements and honors
도쿠시게 겐타가 선수 경력 동안 달성한 클럽 수준의 타이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에히메 FC
- J3리그: 1회 (2023년)
6. Personal life and anecdotes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시절, 선배 츠즈키 료타를 동경하여 머리 뒷부분(뒷목 부근의 머리카락)을 길게 기르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는 사소한 농담을 즐겨 하는 편이며, 종종 젊은 골키퍼들로부터 농담으로 놀림을 받기도 합니다.
7. See also / Related items
이 문서와 관련된 추가 정보나 다른 위키백과 문서로의 연결, 그리고 추가 자료를 위한 외부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의 선수 목록
- 세레소 오사카의 선수 목록
- 빗셀 고베의 선수 목록
- V-바렌 나가사키의 선수 목록
- 에히메 FC의 선수 목록
- U-17 축구 일본 국가대표팀
- [https://data.j-league.or.jp/SFIX04/?player_id=6836 J.League 공식 프로필]
- [https://www.fifa.com/fifaplus/en/member-associations/jpn/players/182904 FIFA 선수 프로필]
- [https://int.soccerway.com/players/kenta-tokushige/5412/ Soccerway 선수 프로필]
- [https://www.vissel-kobe.co.jp/profile/2014/player_30.html 빗셀 고베 공식 프로필 (2014년 버전)]
- [https://11aside.jp/athlete/kenta-tokushige/ 소속사 11aside 공식 프로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