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데이비드 A. 홉스는 1949년 4월 25일에 태어난 미국의 저명한 농구 코치이다. 그는 400회 이상의 승리와 18회의 포스트시즌 토너먼트 진출(이 중 16회는 NCAA 토너먼트)을 이끌며 인상적인 경력을 쌓았다.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와 앨라배마 대학교, 켄터키 대학교에서 보조 코치를 역임했고, 특히 앨라배마 대학교에서는 남자 농구팀의 총감독을 맡아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그의 지도 아래 로버트 호리, 안토니오 맥다이스, 레이트럴 스프리웰, 테이숀 프린스, 키스 보간스, 척 헤이즈와 같은 다수의 미래 NBA 스타들이 배출되어 그의 선수 육성 능력을 입증했다. 켄터키 대학교를 떠난 후에는 샬럿 밥캐츠의 스카우트로 활동했으며, 일본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 총감독으로서 국제 무대에서도 활동하며 농구계에 폭넓은 기여를 했다.
2. Early Life and Education
데이비드 A. 홉스의 초기 생애와 교육 배경은 그가 농구계에 발을 들이는 데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
2.1. Birth and Background
데이비드 A. 홉스는 1949년 4월 25일 버지니아주 린치버그에서 태어났다.
2.2. Education and Playing Career
홉스는 버지니아주의 페럼 주니어 칼리지에서 처음 두 시즌을 보낸 후,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VCU)로 편입하여 1970년부터 1971년까지 주니어 및 시니어 시즌 동안 선수로 활약했다. 그는 1972년 VCU에서 교육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3. Coaching Career
데이비드 홉스는 고등학교 코치직을 시작으로 대학교 보조 코치, 대학교 총감독, NBA 스카우트, 그리고 국가대표팀 감독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농구 코칭 경력을 쌓았다.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그는 400회 이상의 승리를 이끌었으며, 16번의 NCAA 토너먼트를 포함하여 총 18회의 포스트시즌 토너먼트 진출을 달성했다.
3.1. High School Coaching
데이비드 홉스는 1972년 리-데이비스 고등학교에서 코치 경력을 시작했으며, 1976년부터 그곳에서 헤드 코치를 맡았다. 이후 그는 버지니아주 메커닉스빌에 위치한 메커닉스빌 고등학교에서 8시즌 동안 고등학교 농구 코치로 재직했으며, 마지막 3시즌은 헤드 코치를 역임했다.
3.2. College Assistant Coaching
홉스는 여러 대학교에서 보조 코치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팀의 성공과 선수 발전에 기여했다.
3.2.1.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홉스는 1980년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VCU)에서 대학 코치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J. D. 바넷 감독의 코칭 스태프에 합류하여 터비 스미스와 함께 보조 코치로 근무했다. 홉스는 6년 동안(1980년~1985년) 램스 팀의 코칭 스태프에서 활동했다.
3.2.2. University of Alabama
1985년, 홉스는 앨라배마 대학교의 윔프 샌더슨 감독 밑에서 보조 코치로 고용되었다. 그는 다음 7년 동안 이 직책을 수행하며 크림슨 타이드가 1회의 SEC 챔피언십과 4회의 SEC 토너먼트 우승을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 이 기간 동안 크림슨 타이드는 4차례의 NCAA 토너먼트 스위트 16에 진출했다. 보조 코치 시절, 그는 로버트 호리, 제임스 "할리우드" 로빈슨, 레이트럴 스프리웰과 같은 올-SEC 선수들을 지도할 기회를 가졌다.
3.2.3. University of Kentucky
2000년, 데이비드 홉스는 켄터키 대학교 코칭 스태프에 합류하여 터비 스미스 감독 밑에서 7년 동안 보조 코치로 일했다. 이 중 5년은 부감독(어소시에이트 헤드 코치)을 역임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켄터키 와일드캣츠는 5년 연속 NCAA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그는 켄터키에서 테이숀 프린스, 키스 보간스, 척 헤이즈 등 후에 NBA에서 활약하게 될 선수들을 지도했다. 2007년 스미스 감독이 팀을 떠나면서 홉스도 재계약되지 않았다.
3.3. Head Coach at University of Alabama
샌더슨 감독이 1992년 시즌을 마치고 앨라배마를 떠나자, 홉스는 총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첫 시즌인 1992-93년, 크림슨 타이드는 16승 13패를 기록하며 NIT 1라운드에 진출했다. 1994년과 1995년에는 안토니오 맥다이스와 같은 미래의 NBA 올스타 선수의 활약에 힘입어 20승 시즌을 기록하며 NCAA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1996년, 홉스는 앨라배마를 19승 13패로 이끌고 NIT 파이널 포에 진출했다. 그는 1997-98 시즌 이후 총감독직에서 물러났으며, 110승 76패(승률 59.4%)의 경력 기록을 남기고 9명의 올-SEC 선수를 배출했다.
3.4. Post-Kentucky Career
켄터키 대학교를 떠난 후, 데이비드 홉스는 다양한 전문적인 활동을 이어갔다.
3.4.1. NBA Scout
켄터키를 떠난 후, 홉스는 NBA의 샬럿 밥캐츠에서 2년 동안 스카우트로 활동했다.
3.4.2. Japan National Basketball Team
샬럿 밥캐츠에서의 스카우트 경력 이후, 홉스는 2009년 일본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의 총감독을 잠시 역임했다. 그는 2009년 동아시아 농구 선수권 대회에서 팀을 준우승으로 이끌었으나, 대회 이전부터 건강이 좋지 않아 대회 후 휴식에 들어갔으며, 이로 인해 총감독직에서 물러났다.
4. Personal Life
데이비드 홉스는 바바라 "스키트" 플릿 홉스(Barbara "Skeet" Fleet Hobbs)와 결혼하여 슬하에 성인 자녀 헤더(Heather)와 데이비드 주니어(David Jr.) 두 명을 두었다.
5. Head Coaching Record
데이비드 홉스의 대학 총감독 경력에 대한 상세한 승패 기록은 다음과 같다.
5.1. College
시즌 | 팀 | 전체 기록 | 콘퍼런스 기록 | 콘퍼런스 순위 | 포스트시즌 |
---|---|---|---|---|---|
1992-93 | 앨라배마 | 16-13 | 7-9 | 4위 (서부) | NIT 1라운드 |
1993-94 | 앨라배마 | 20-10 | 12-4 | 2위 (서부) | NCAA 디비전 I 2라운드 |
1994-95 | 앨라배마 | 23-10 | 10-6 | 3위 (서부) | NCAA 디비전 I 2라운드 |
1995-96 | 앨라배마 | 19-13 | 9-7 | 3위 (서부) | NIT 4위 |
1996-97 | 앨라배마 | 17-14 | 6-10 | 4위 (서부) | |
1997-98 | 앨라배마 | 15-16 | 6-10 | 4위 (서부) | |
앨라배마 총계 | 110-76 (승률 0.591) | 50-46 (승률 0.521) |
6. Legacy and Influence
데이비드 홉스의 코칭 경력은 그가 지도한 팀들과 선수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400회 이상의 승리와 수많은 포스트시즌 진출을 달성하며 뛰어난 팀 관리 능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그의 가장 중요한 유산 중 하나는 수많은 재능 있는 선수들을 NBA 스타로 성장시킨 능력이다. 그는 앨라배마 대학교에서 로버트 호리, 제임스 "할리우드" 로빈슨, 레이트럴 스프리웰, 안토니오 맥다이스를 지도했으며, 켄터키 대학교에서는 테이숀 프린스, 키스 보간스, 척 헤이즈와 같은 선수들을 양성하여 이들이 프로 무대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선수들의 성장은 홉스의 코칭 철학과 선수 개발에 대한 헌신을 명확히 보여주는 증거이며, 그는 농구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긍정적 영향을 남겼다.
7. See also
- 농구
- 미국의 스포츠
-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 앨라배마 대학교
- 켄터키 대학교
- 농구 남자 일본 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