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데니 해리거는 펜실베이니아주 포드 시티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야구에 두각을 나타냈다.
1.1. 고등학교 시절
해리거는 펜실베이니아주 포드 시티에 위치한 포드 시티 고등학교(Ford City High School영어)에 재학하며 학교 야구팀에서 활약했다. 주니어 및 시니어 시절 동안 그는 타율 0.400를 기록했으며, 275명의 타자를 삼진으로 잡아내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1987년에는 팀을 펜실베이니아주 고등학교 체육 협회(Pennsylvania Interscholastic Athletic Association영어) 주 챔피언십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준결승과 결승전에서 모두 승리를 기록했다. 당시 그는 미래 NFL 쿼터백인 거스 프레로트(Gus Frerotte영어)와 함께 뛰었다. 해리거는 2006년 포드 시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이듬해에는 1987년 주 챔피언십 우승팀의 일원으로 다시 한번 헌액되었다.
2. 프로 경력
데니 해리거는 미국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를 비롯해 다양한 마이너 리그, 독립 리그, 멕시칸 리그, 대만 프로야구 리그 등에서 활약하며 폭넓은 프로 경력을 쌓았다.
2.1. 마이너 리그 야구 (1987-1998)
해리거는 NCAA 디비전 I(NCAA Division I영어) 프로그램으로부터 대학 야구 장학금 제안을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198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18라운드에서 뉴욕 메츠에 지명되었다. 그는 1987년 6월 30일 킹스포트 메츠(Kingsport Mets영어) 소속으로 구원 투수로 등판하며 프로 데뷔전을 치렀다. 해리거는 뉴욕 메츠의 팜 시스템(farm system영어)에서 6시즌 동안 투수로 활동한 후, 1993년 10월 15일 자유 계약 선수(free agency영어) 자격을 얻었다. 이후 1993년 11월 9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계약을 맺고, 그들의 트리플 A(Triple-A영어) 산하 팀인 라스베이거스 스타즈(Las Vegas Stars영어)에서 세 시즌 동안 뛰었다. 1996년 10월 15일 다시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으며, 한 달여 뒤인 11월 15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즈의 트리플 A 산하 팀인 털레도 머드 헨스(Toledo Mud Hens영어)와 계약했다. 1997년 10월 15일에 다시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지만, 같은 해 12월 8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즈와 재계약했다.
2.2. 메이저 리그 야구 (1998)
해리거는 1998년 6월 16일 미네소타 트윈스를 상대로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5.1이닝 동안 6개의 안타, 3개의 볼넷, 4개의 자책점을 허용했다. 이후 메이저 리그 경력에서 6.2이닝을 더 던져 총 12이닝을 소화했으며, 최종 평균자책점은 6.75로 기록되었다. 메이저 리그 등판 후 그는 다시 털레도 머드 헨스로 이관되었다.
2.3. 마이너 리그 야구 (1999)
1998년 10월 15일 자유 계약 선수가 된 해리거는 1999년 인터내셔널 리그(1999 International League영어) 시즌 동안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언스(Indianapolis Indians영어)에서 뛰었다. 그는 이 시즌에 14승 6패의 기록과 4.29의 평균자책점을 남겼다.
2.4. 한국 프로야구 (2000-2001)
2000년, 30세의 나이에 해리거는 KBO 리그의 LG 트윈스에 입단하며 한국 프로야구에 진출했다. 그는 2000 시즌에 3.12의 평균자책점과 17승 10패의 기록을 남겼으며, 이는 당시 리그 다승 4위, 평균자책점 2위, 탈삼진 3위에 해당하는 뛰어난 성적이었다. LG 트윈스는 그해 67승 63패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으나, 두산 베어스에게 패하며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해리거는 플레이오프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2001 시즌에도 LG 트윈스와 재계약에 성공하여 활약했다. 2001년 팀은 58승 67패를 기록했다. 그는 LG 트윈스 역사상 최고의 외국인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2.5. 기타 리그 (2003-2006)
2002 시즌을 쉬고 난 후, 해리거는 2003년 애틀랜틱 리그(Atlantic League of Professional Baseball영어)의 롱아일랜드 덕스(Long Island Ducks영어)에서 뛰었다. 그는 덕스에서 3.79의 평균자책점과 5승 10패를 기록했다. 다음 시즌인 2004년에는 대만 프로야구 리그(Chinese Professional Baseball League영어)의 중신 웨일스(Chinatrust Whales영어)에 합류하여 46.2이닝을 던지며 2승 3패를 기록했다. 이후 다시 애틀랜틱 리그로 돌아와 내슈아 프라이드(Nashua Pride영어)에서 2004년에 65.1이닝 동안 3.31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05년에는 프라이드에 복귀하여 185.2이닝과 총 30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가장 많이 기용된 투수가 되었고, 이러한 활약으로 2005년 애틀랜틱 리그 올스타 팀에 선정되었다. 2006 시즌에는 멕시칸 리그(Mexican League영어)의 아세레로스 데 몬클로바(Acereros de Monclova영어)에서 3경기에 등판했다. 멕시칸 리그에서의 짧은 활동 후, 해리거는 다시 애틀랜틱 리그의 랭커스터 번스터머스(Lancaster Barnstormers영어)로 이적했다. 그는 번스터머스의 에이스 투수(Ace (baseball)영어)로 활약하며 17승 4패와 2.63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이 시즌에 그는 승리, 평균자책점, 이닝, 탈삼진, 볼넷 부문에서 리그 상위 3위 안에 들었으며, 특히 애틀랜틱 리그 단일 시즌 최다승 기록인 17승을 세웠다. 해리거의 뛰어난 투구를 앞세운 번스터머스는 2006년 애틀랜틱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3. 통산 기록
데니 해리거의 주요 리그별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 리그 | 연도 | 팀 | 승 | 패 | 평균자책점 | 비고 | 
|---|---|---|---|---|---|---|
| 메이저 리그 | 1998 |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 0 | 0 | 6.75 | 총 12이닝 소화 | 
| KBO 리그 | 2000 | LG 트윈스 | 17 | 10 | 3.12 | 다승 4위, 평균자책점 2위, 탈삼진 3위 | 
| KBO 리그 | 2001 | LG 트윈스 | - | - | - | 재계약 성공 | 
| 애틀랜틱 리그 | 2006 | 랭커스터 번스터머스 | 17 | 4 | 2.63 | 리그 최다승 기록 (17승), 리그 챔피언십 우승 | 
4. 평가 및 유산
데니 해리거는 특히 KBO 리그의 LG 트윈스에서 활약하며 팀 역사상 최고의 외국인 선수 중 한 명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00년 시즌 그의 뛰어난 활약은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크게 기여했으며, 비록 플레이오프에서 부진했으나 팀과의 재계약에 성공하며 신뢰를 얻었다. 그의 꾸준함과 리그 상위권 성적은 한국 야구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또한 애틀랜틱 리그에서 세운 단일 시즌 17승 기록과 팀의 챔피언십 우승을 이끈 점은 그의 선수 경력 전반에 걸쳐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었음을 입증한다.